KR102184284B1 -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284B1
KR102184284B1 KR1020200132463A KR20200132463A KR102184284B1 KR 102184284 B1 KR102184284 B1 KR 102184284B1 KR 1020200132463 A KR1020200132463 A KR 1020200132463A KR 20200132463 A KR20200132463 A KR 20200132463A KR 102184284 B1 KR102184284 B1 KR 10218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metal
metal ingot
gold
plat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환
Original Assignee
박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환 filed Critical 박춘환
Priority to KR102020013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22C1/03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using maste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61K6/844Noble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heavy work, e.g. ingots, slabs, blooms, or billet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orm is unimportant ; Rolling combined with forging or pressing
    • B21B1/026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2Alloys based on g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4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27B2014/0818Dis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과보철용 금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공정별 장치 마다 그 공정에 맞는 단일 작업을 단계별로 이동해가며 수행하던 공정을 개선하여 인근 공정을 연결시켜 그룹별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공정마다 공정연결을 고려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연결성을 확보토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금덩이(2) 및 니켈, 크롬, 티타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재하는 도가니(15)가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15)의 외측면을 코일 형태로 감싸는 가열코일(12)이 구비되는 용해로(10); 상기 도가니(15)는 단면적이 하향 축소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코일(12)은 도가니(15)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 중앙측에 배출공(17a)이 형성되어 도가니(15) 내에서 금덩이(2)가 액상금으로 용해되면서 배출공(17a)을 통해 하향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공(17a)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이 유입되는 상측개방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개방부(22)의 하단에 액상금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경사면(23)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해 내측수직성형면(29)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성형면(29)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해 하측바닥면(24)이 형성되는 성형부재(20)가 상기 용해로(10) 내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성형부재(20)는 상측개방부(22), 안내경사면(23), 내측수직성형면(29) 및 하측바닥면(24)이 좌우 대칭 구비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로 분리 형성되어 마주하게 구비되고, 상기 성형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이동부재(131)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를 압연하는 압연부재(30); 상기 압연부재(30)는 위치고정형 하부롤러(33)와, 상기 하부롤러(33)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간격유지를 위해 상하수직이동형 상부롤러(31)로 구비되며, 상기 압연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이동부재(135)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커팅하는 절단부재(40); 상기 절단된 띠형금괴(6)를 수평안착대(51) 상에 위치시켜 띠형금괴(6)의 단부 일부를 프레스 커팅가공하여 사각 형태의 치과보철용 금합금(7)을 형성하는 프레스커팅기(50); 상기 프레스커팅된 치과보철용 금합금(7)의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연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old alloy for dental prosthesis with connection efficiency between working process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보철용 금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공정별 장치 마다 그 공정에 맞는 단일 작업을 단계별로 이동해가며 수행하던 공정을 개선하여 인근 공정을 연결시켜 그룹별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공정마다 공정연결을 고려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연결성을 확보토록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29822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치과용 합금은 온도, 산도, 압력변화 등의 다양한 환경변화가 일어나는 구강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첫째로, 씹는 압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마모, 변형 등이 없어야 하며, 치아의 경도 강도와 비슷해야 하고 치아색과 유사해야 한다. 또한 구강내에서 부식이나 변색 등이 없어야 하며 인체 유해성이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융점이 비교적 낮고 주조성이 우수하며 공기중에서도 산화가 발생하지 않는 75% 이상의 금 함량의 합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금 함량이 높은 합금은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금합금과 제반 성질이 유사하지만 경제성이 우수한 금대용 합금으로 저금합금 및 비귀금속합금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금대용 합금(이하 ‘금합금’이라 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현재에는 금을 포함한 금혼합물을 용해하고 이를 성형한 후 압연, 절단, 커팅하는 공정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왔고, 각 공정의 이동과정에서 작업자가 작업물(금합금)을 직접 이동해가며 공정을 실시함에 따라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 아니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다 보니 작업의 정확도가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10-032982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치과보철용 금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공정별 장치 마다 그 공정에 맞는 단일 작업을 단계별로 이동해가며 수행하던 공정을 개선하여 인근 공정을 연결시켜 그룹별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공정마다 공정연결을 고려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연결성을 확보토록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금덩이(2) 및 니켈, 크롬, 티타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재하는 도가니(15)가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15)의 외측면을 코일 형태로 감싸는 가열코일(12)이 구비되는 용해로(10); 상기 도가니(15)는 단면적이 하향 축소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코일(12)은 도가니(15)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 중앙측에 배출공(17a)이 형성되어 도가니(15) 내에서 금덩이(2)가 액상금으로 용해되면서 배출공(17a)을 통해 하향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공(17a)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이 유입되는 상측개방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개방부(22)의 하단에 액상금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경사면(23)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해 내측수직성형면(29)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성형면(29)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해 하측바닥면(24)이 형성되는 성형부재(20)가 상기 용해로(10) 내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성형부재(20)는 상측개방부(22), 안내경사면(23), 내측수직성형면(29) 및 하측바닥면(24)이 좌우 대칭 구비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로 분리 형성되어 마주하게 구비되고, 상기 성형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이동부재(131)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를 압연하는 압연부재(30); 상기 압연부재(30)는 위치고정형 하부롤러(33)와, 상기 하부롤러(33)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간격유지를 위해 상하수직이동형 상부롤러(31)로 구비되며, 상기 압연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이동부재(135)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커팅하는 절단부재(40); 상기 절단된 띠형금괴(6)를 수평안착대(51) 상에 위치시켜 띠형금괴(6)의 단부 일부를 프레스 커팅가공하여 사각 형태의 치과보철용 금합금(7)을 형성하는 프레스커팅기(50); 상기 프레스커팅된 치과보철용 금합금(7)의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연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는 중앙측 배출공(17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7a)의 수직 하향측으로 배출안내부재(16)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 형태를 갖는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는 용해로(10) 내의 가열집중로(10a)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배출안내부재(16)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의 시야 인식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성형부재(20) 측으로의 액상금 주입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재(20)의 좌측성형틀(21)은 후방측 고정대(12)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은 하단부 간에 힌지(123) 결합되어, 상기 좌측성형틀(21)이 고정대(1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123)의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우측성형틀(25)이 회전되면서 성형부재(20) 내에 성형된 판형금괴(5)를 상기 수평이동부재(13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연부재(30)에서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진입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면(132)을 갖는 수평이동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배출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하향경사면(136)을 갖는 하향경사이동부재(135)가 구비되며, 상기 하향경사이동부재(135)의 단부에 다수의 이동롤러(143)가 배치된 연장수평이동부재(142)가 더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의 배출측에 절단부재(40)가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의 측부에 판형금괴(5)의 수평기준위치를 잡아주는 기준대(145)가 구비되고, 상기 기준대(145) 상에 판형금괴(5)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장공(148)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장공(148) 상에 판형금괴(5)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후방가압편(146)이 구비되어,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 상에 판형금괴(5)가 위치되면 후방가압편(146)이 수평장공(148) 상에서 돌출되어 판형금괴(5)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절단부재(40) 측으로 판형금괴(5)를 강제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40)는 상하 수직이격되는 각각의 회전축(49) 상에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가 고정연결되어 축회전되고,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는 각각 다수개가 회전축(49)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격된 각각의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 사이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 및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구비 배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의 수직 하부측에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고정커팅롤러(45)의 수직 상부측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편심커팅롤러(41)와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회전되면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차지점에서 판형금괴(5)가 길이방향으로 커팅되면서 다수의 띠형금괴(6)로 커팅분리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커팅기(50) 상에 안착되는 띠형금괴(6)의 단부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부의 이동방향 전방측에 스토퍼(57)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7)에 의해 띠형금괴(6)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금괴(6)의 단부가 위치되는 수평안착대(51) 상에 사각 형태를 갖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 크기 만큼의 배출통공(5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52)의 상부측에 띠형금괴(6)의 단부를 프레스 커팅하는 커팅툴(54)이 상하수직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금덩이(2) 및 니켈, 크롬, 티타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재하는 단면적이 하향 축소되는 테이퍼 형태의 도가니(15)를 준비하고, 상기 도가니(15)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가열코일(12)을 준비하는 용해로(10)를 마련하여,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 중앙측에 배출공(17a)이 형성되어 도가니(15) 내에서 금덩이(2)가 액상금으로 용해되면서 배출공(17a)을 통해 하향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는 중앙측 배출공(17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7a)의 수직 하향측으로 배출안내부재(16)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 형태를 갖는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는 용해로(10) 내의 가열집중로(10a)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게 하는 단계(S1); 상기 배출공(17a)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이 유입되는 상측개방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개방부(22)의 하단에 액상금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경사면(23)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해 내측수직성형면(29)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성형면(29)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해 하측바닥면(24)이 형성되는 성형부재(20)를 상기 용해로(10) 내에 마련하되, 상기 성형부재(20)는 상측개방부(22), 안내경사면(23), 내측수직성형면(29) 및 하측바닥면(24)이 좌우 대칭 구비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로 분리 형성되어 마주하게 마련하고, 상기 성형부재(20)의 좌측성형틀(21)은 후방측 고정대(12)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은 하단부 간에 힌지(123) 결합되어, 상기 좌측성형틀(21)이 고정대(1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123)의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우측성형틀(25)이 회전되면서 성형부재(20) 내에 성형된 판형금괴(5)를 상기 수평이동부재(13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S2); 상기 성형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이동부재(131)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압연부재(30)를 통과시켜 판형금괴(5)를 압연토록 하고, 상기 압연부재(30)는 위치고정형 하부롤러(33)와, 상기 하부롤러(33)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간격유지를 위해 상하수직이동형 상부롤러(31)로 준비하며, 상기 압연된 판형금괴(5)를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배출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하향경사면(136)을 갖는 하향경사이동부재(135)와, 상기 하향경사이동부재(135)의 단부에 다수의 이동롤러(143)가 배치된 연장수평이동부재(142)를 통해 이동시키는 단계(S3); 상기 압연되어 이동된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절단부재(40)를 준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커팅되게 하되, 상기 절단부재(40)는 상하 수직이격되는 각각의 회전축(49) 상에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가 고정연결되어 축회전되고,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는 각각 다수개가 회전축(49)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격된 각각의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 사이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 및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구비 배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의 수직 하부측에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고정커팅롤러(45)의 수직 상부측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편심커팅롤러(41)와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회전되면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차지점에서 판형금괴(5)가 길이방향으로 커팅되면서 다수의 띠형금괴(6)로 커팅분리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4); 상기 절단된 띠형금괴(6)를 프레스커팅기(50)의 수평안착대(51) 상에 위치시켜 띠형금괴(6)의 단부 일부를 프레스 커팅가공하여 사각 형태의 치과보철용 금합금(7)을 형성하되, 상기 프레스커팅기(50) 상에 안착되는 띠형금괴(6)의 단부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부의 이동방향 전방측에 스토퍼(57)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7)에 의해 띠형금괴(6)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금괴(6)의 단부가 위치되는 수평안착대(51) 상에 사각 형태를 갖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 크기 만큼의 배출통공(5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52)의 상부측에 띠형금괴(6)의 단부를 프레스 커팅하는 커팅툴(54)이 상하수직이동되도록 하는 단계(S5); 상기 프레스 커팅된 금합금(7)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6); 상기 표면 연마된 금합금(7)을 세정 후 건조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보철용 금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공정별 장치 마다 그 공정에 맞는 단일 작업을 단계별로 이동해가며 수행하던 공정을 개선하여 인근 공정을 연결시켜 그룹별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공정마다 공정연결을 고려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연결성을 확보토록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의 성형부재를 포함한 용해로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해로의 상세 실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성형부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연부재 및 절단부재의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압연부재의 상세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부재의 상세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커팅기의 상세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치과보철용 금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공정별 장치 마다 그 공정에 맞는 단일 작업을 단계별로 이동해가며 수행하던 공정을 개선하여 인근 공정을 연결시켜 그룹별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공정마다 공정연결을 고려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연결성을 확보토록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용해로(10), 성형부재(20), 압연부재(30), 절단부재(40) 및 프레스커팅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용해로(10)가 구비된다. 상기 용해로(10)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금덩이(2) 및 니켈, 크롬, 티타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재하는 도가니(15)가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15)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가니(15)의 외측면을 코일 형태로 감싸는 가열코일(12)이 구비된다.
상기 용해로(1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 보면, 상기 도가니(15)는 단면적이 하향 축소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코일(12)은 도가니(15)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형성함으로써 내부공간이 형성된 가열코일(12)의 상부측에서 도가니(15)를 삽입하게 되면 테이퍼 형태의 구조의 의해 상호간에 마찰 걸림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 중앙측에 배출공(17a)이 형성되어 도가니(15) 내에서 금덩이(2)가 액상금으로 용해되면서 배출공(17a)을 통해 하향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용해로(10) 내에는 액상금을 판형금괴(5)로 성형하기 위한 수단으로 성형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부재(2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공(17a)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이 유입되는 상측개방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개방부(22)의 하단에 액상금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경사면(23)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해 내측수직성형면(29)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성형면(29)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해 하측바닥면(24)이 형성되어지되, 성형되는 판형금괴(5)를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형부재(20)는 상측개방부(22), 안내경사면(23), 내측수직성형면(29) 및 하측바닥면(24)이 좌우 대칭 구비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로 분리 형성되어 마주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호 마주하는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은 미도시되었으나 액상금의 주입되어 안정적으로 성형이 되도록 상호간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부재(20)는 용해로(10) 내에서 도가니(15)의 하부측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정 상호간에 연결성을 부여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 성형부재(20) 내에서 판형금괴(5)의 조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용해로(10) 내에 진공장치를 구비하여 진공 상태에서 성형부재(20) 내로 액상금이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성형부재(20)를 포함한 용해로(1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는 중앙측 배출공(17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배출공(17a)의 수직 하향측으로 배출안내부재(16)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가니(15) 내에서 용해되는 액상금의 하향배출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였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가니(15)는 용해로(10) 내에서도 성형부재(20)와 분리되어 가열집중로(10a) 내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돌출 형태를 갖는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는 용해로(10) 내의 가열집중로(10a)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배출안내부재(16)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의 시야 인식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성형부재(20) 측으로의 액상금 주입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액상금의 안정적인 하향배출성을 더욱 증대시켰다.
이때, 상기 가열집중로(10a) 상에 노출된 배출안내부재(16)의 길이(d1)는 2∼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에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의 상단면까지의 길이(d2)는 7∼1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집중로(10a) 상에서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를 일부 노출하게 됨으로 인해 배출시점에서부터 서서히 액상금이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액상금의 응고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성형부재(20) 내에서 응고 성형된 판형금괴(5)의 이탈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부재(20)의 좌측성형틀(21)은 후방측 고정대(12)에 결합 고정되게 하고, 상기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은 하단부 간에 힌지(123) 결합되게 하여, 상기 좌측성형틀(21)이 고정대(1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123)의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우측성형틀(25)이 회전되면서 외부로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힌지(123)는 미도시되었으나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작동가능하나, 안정적인 회전과 각도조절을 위해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동 또는 유압 등의 기계적 회전구조로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부재(20)는 승강조절 가능한 승강부재를 구비하여 배출안내부재(16)를 통해 액상금의 배출 시 배출안내부재(16) 측으로 상승이동함으로써 액상금의 안정적인 공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성형부재(20)의 상측개방부(22)의 내측공간부 내에 배출안내부재(16)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액상금의 공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액상금의 공급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회귀토록 한다.
이에 더하여 후술되는 압연부재(30)로의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우측성형틀(25)을 90°이상 회전시켜 판형금괴(5)를 상기 수평이동부재(13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우측성형틀(25)의 회전각도를 110°∼135°로 설정하게 되면 우측성형틀(25)의 내측수직성형면(29)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우측성형틀(25) 상에서 판형금괴(5)의 이탈 전, 성형부재(20) 내에서 판형금괴(5)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상기 압연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이동부재(131)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를 압연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압연부재(30)는 위치고정형 하부롤러(33)와, 상기 하부롤러(33)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간격유지를 위해 상하수직이동형 상부롤러(31)가 압연작업대(39) 상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롤러(31)의 상하수직이동을 위한 구조의 일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부롤러(31)에 연결된 회전축(32)의 양단부는 각각 수직승강대(34)에 연결되고, 상기 양측 수직승강대(34)는 각각 상부측에 종동기어(38)가 연결되며, 상기 양측 종동기어(38)는 상호간에 이격되어지되, 양측 종동기어(38) 간에 맞물려 양측 종동기어(38)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주동기어(37)가 연결되고, 상기 주동기어(37)는 손잡이(36)를 갖는 핸들(35)의 회전작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구조에 의해 핸들(35)을 회전시키게 되면 주동기어(37) 및 종동기어(38)의 연결 회전을 통해 수직승강대(34)가 상하로 수직 이동되면서 상부롤러(31)를 이동시키면서 하부롤러(33)와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연부재(30)를 통해 압연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이동부재(135)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커팅하는 절단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압연부재(30)와 절단부재(40) 사이에서의 판형금괴(5) 이동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압연부재(30)에서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진입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면(132)을 갖는 수평이동부재(131)가 구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배출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하향경사면(136)을 갖는 하향경사이동부재(135)가 구비되게 하여 판형금괴(5)가 하향경사면(13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하향경사이동부재(135)의 단부에 다수의 이동롤러(143)가 배치된 연장수평이동부재(142)가 더 연장형성되게 하여,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의 배출측에 절단부재(40)가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롤러(33)에 마주하는 수평이동부재(131) 및 하향경사이동부재(135)의 인접면에는 하부롤러(33)의 원형외주연을 감싸는 형태의 만곡면(133,137)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하부롤러(33)를 외부로부터 보호토록 한다.
상기 절단부재(40)는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커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의 측부에 판형금괴(5)의 수평기준위치를 잡아주는 기준대(145)가 구비되고, 상기 기준대(145) 상에 판형금괴(5)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장공(148)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장공(148) 상에 판형금괴(5)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후방가압편(146)이 구비되게 하여,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 상에 판형금괴(5)가 위치되면 후방가압편(146)이 수평장공(148) 상에서 돌출되어 판형금괴(5)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절단부재(40) 측으로 판형금괴(5)를 강제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후방가압편(146)의 작동은 기준대(145) 상에 판형금괴(5)의 진입 및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연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재(4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 보면, 상기 절단부재(40)는 상하 수직이격되는 각각의 회전축(49) 상에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가 고정연결되어 축회전되고,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는 각각 다수개가 회전축(49) 상에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된 각각의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 사이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 및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구비 배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의 수직 하부측에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고정커팅롤러(45)의 수직 상부측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편심커팅롤러(41)와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회전되면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차지점에서 판형금괴(5)가 길이방향으로 커팅되면서 다수의 띠형금괴(6)로 커팅분리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절단부재(40)를 통해 절단된 띠형금괴(6)를 도 7에서와 같이 수평안착대(51) 상에 위치시켜 띠형금괴(6)의 단부 일부를 프레스 커팅가공하여 사각 형태의 치과보철용 금합금(7)을 형성하는 프레스커팅기(5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스커팅기(50)는 상세하게 살펴 보면, 프레스커팅기(50) 상에 안착되는 띠형금괴(6)의 단부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부의 이동방향 전방측에 스토퍼(57)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7)에 의해 띠형금괴(6)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금괴(6)의 단부가 위치되는 수평안착대(51) 상에 사각 형태를 갖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 크기 만큼의 배출통공(5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52)의 상부측에 띠형금괴(6)의 단부를 프레스 커팅하는 커팅툴(54)이 상하수직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57)는 커팅되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의 설정 길이에 따라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거리조절수단(5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리조절수단(56)은 일예로서 손잡이를 회전시켜가며 스토퍼(57)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마이크로캘리퍼스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툴(54)의 하단면에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의 표면에 도안을 표시하는 마킹수단을 구비하여 커팅과 동시에 치과보철용 금합금(7)의 표면에 도안을 마킹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다수의 금덩이(2) 및 니켈, 크롬, 티타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재하는 단면적이 하향 축소되는 테이퍼 형태의 도가니(15)를 준비하고, 상기 도가니(15)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가열코일(12)을 준비하는 용해로(10)를 마련하여,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 중앙측에 배출공(17a)이 형성되어 도가니(15) 내에서 금덩이(2)가 액상금으로 용해되면서 배출공(17a)을 통해 하향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는 중앙측 배출공(17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7a)의 수직 하향측으로 배출안내부재(16)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 형태를 갖는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는 용해로(10) 내의 가열집중로(10a)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게 하는 단계(S1); 상기 배출공(17a)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이 유입되는 상측개방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개방부(22)의 하단에 액상금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경사면(23)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해 내측수직성형면(29)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성형면(29)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해 하측바닥면(24)이 형성되는 성형부재(20)를 상기 용해로(10) 내에 마련하되, 상기 성형부재(20)는 상측개방부(22), 안내경사면(23), 내측수직성형면(29) 및 하측바닥면(24)이 좌우 대칭 구비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로 분리 형성되어 마주하게 마련하고, 상기 성형부재(20)의 좌측성형틀(21)은 후방측 고정대(12)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은 하단부 간에 힌지(123) 결합되어, 상기 좌측성형틀(21)이 고정대(1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123)의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우측성형틀(25)이 회전되면서 성형부재(20) 내에 성형된 판형금괴(5)를 상기 수평이동부재(13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S2); 상기 성형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이동부재(131)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압연부재(30)를 통과시켜 판형금괴(5)를 압연토록 하고, 상기 압연부재(30)는 위치고정형 하부롤러(33)와, 상기 하부롤러(33)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간격유지를 위해 상하수직이동형 상부롤러(31)로 준비하며, 상기 압연된 판형금괴(5)를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배출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하향경사면(136)을 갖는 하향경사이동부재(135)와, 상기 하향경사이동부재(135)의 단부에 다수의 이동롤러(143)가 배치된 연장수평이동부재(142)를 통해 이동시키는 단계(S3); 상기 압연되어 이동된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절단부재(40)를 준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커팅되게 하되, 상기 절단부재(40)는 상하 수직이격되는 각각의 회전축(49) 상에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가 고정연결되어 축회전되고,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는 각각 다수개가 회전축(49)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격된 각각의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 사이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 및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구비 배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의 수직 하부측에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고정커팅롤러(45)의 수직 상부측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편심커팅롤러(41)와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회전되면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차지점에서 판형금괴(5)가 길이방향으로 커팅되면서 다수의 띠형금괴(6)로 커팅분리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4); 상기 절단된 띠형금괴(6)를 프레스커팅기(50)의 수평안착대(51) 상에 위치시켜 띠형금괴(6)의 단부 일부를 프레스 커팅가공하여 사각 형태의 치과보철용 금합금(7)을 형성하되, 상기 프레스커팅기(50) 상에 안착되는 띠형금괴(6)의 단부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부의 이동방향 전방측에 스토퍼(57)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7)에 의해 띠형금괴(6)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금괴(6)의 단부가 위치되는 수평안착대(51) 상에 사각 형태를 갖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 크기 만큼의 배출통공(5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52)의 상부측에 띠형금괴(6)의 단부를 프레스 커팅하는 커팅툴(50)이 상하수직이동되도록 하는 단계(S5); 상기 프레스 커팅된 금합금(7)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6); 상기 표면 연마된 금합금(7)을 세정 후 건조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한다.
상술된 구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치과보철용 금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공정별 장치 마다 그 공정에 맞는 단일 작업을 단계별로 이동해가며 수행하던 공정을 개선하여 인근 공정을 연결시켜 그룹별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속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공정마다 공정연결을 고려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연결성을 확보토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금덩이 5 : 판형금괴
6 : 띠형금괴 7 : 치과보철용 금합금
10 : 용해로 12 : 가열코일
15 : 도가니 17 : 바닥부
17a : 배출공 20 : 성형부재
21 : 좌측성형틀 22 : 상측개방부
23 : 안내경사면 24 : 하측바닥면
25 : 우측성형틀 29 : 내측수직성형면
30 : 압연부재 32 : 상부롤러
33 : 하부롤러 40 : 절단부재
50 : 프레스커팅기 131 : 수평이동부재
134 : 이동롤러 135 : 이동부재
138 : 이동롤러

Claims (9)

  1.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금덩이(2) 및 니켈, 크롬, 티타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재하는 도가니(15)가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15)의 외측면을 코일 형태로 감싸는 가열코일(12)이 구비되는 용해로(10);
    상기 도가니(15)는 단면적이 하향 축소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코일(12)은 도가니(15)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 중앙측에 배출공(17a)이 형성되어 도가니(15) 내에서 금덩이(2)가 액상금으로 용해되면서 배출공(17a)을 통해 하향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공(17a)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이 유입되는 상측개방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개방부(22)의 하단에 액상금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경사면(23)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해 내측수직성형면(29)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성형면(29)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해 하측바닥면(24)이 형성되는 성형부재(20)가 상기 용해로(10) 내에 구비되어지되, 상기 성형부재(20)는 상측개방부(22), 안내경사면(23), 내측수직성형면(29) 및 하측바닥면(24)이 좌우 대칭 구비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로 분리 형성되어 마주하게 구비되고,
    상기 성형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이동부재(131)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를 압연하는 압연부재(30);
    상기 압연부재(30)는 위치고정형 하부롤러(33)와, 상기 하부롤러(33)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간격유지를 위해 상하수직이동형 상부롤러(31)로 구비되며,
    상기 압연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이동부재(135)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커팅하는 절단부재(40);
    상기 절단된 띠형금괴(6)를 수평안착대(51) 상에 위치시켜 띠형금괴(6)의 단부 일부를 프레스 커팅가공하여 사각 형태의 치과보철용 금합금(7)을 형성하는 프레스커팅기(50);
    상기 프레스커팅된 치과보철용 금합금(7)의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연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는 중앙측 배출공(17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7a)의 수직 하향측으로 배출안내부재(16)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태를 갖는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는 용해로(10) 내의 가열집중로(10a)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배출안내부재(16)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의 시야 인식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성형부재(20) 측으로의 액상금 주입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재(20)의 좌측성형틀(21)은 후방측 고정대(12)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은 하단부 간에 힌지(123) 결합되어, 상기 좌측성형틀(21)이 고정대(1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123)의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우측성형틀(25)이 회전되면서 성형부재(20) 내에 성형된 판형금괴(5)를 상기 수평이동부재(13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부재(30)에서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진입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면(132)을 갖는 수평이동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배출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하향경사면(136)을 갖는 하향경사이동부재(135)가 구비되며, 상기 하향경사이동부재(135)의 단부에 다수의 이동롤러(143)가 배치된 연장수평이동부재(142)가 더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의 배출측에 절단부재(40)가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의 측부에 판형금괴(5)의 수평기준위치를 잡아주는 기준대(145)가 구비되고, 상기 기준대(145) 상에 판형금괴(5)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장공(148)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장공(148) 상에 판형금괴(5)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후방가압편(146)이 구비되어, 상기 연장수평이동부재(142) 상에 판형금괴(5)가 위치되면 후방가압편(146)이 수평장공(148) 상에서 돌출되어 판형금괴(5)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절단부재(40) 측으로 판형금괴(5)를 강제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40)는 상하 수직이격되는 각각의 회전축(49) 상에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가 고정연결되어 축회전되고,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는 각각 다수개가 회전축(49)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격된 각각의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 사이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 및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구비 배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의 수직 하부측에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고정커팅롤러(45)의 수직 상부측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편심커팅롤러(41)와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회전되면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차지점에서 판형금괴(5)가 길이방향으로 커팅되면서 다수의 띠형금괴(6)로 커팅분리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커팅기(50) 상에 안착되는 띠형금괴(6)의 단부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부의 이동방향 전방측에 스토퍼(57)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7)에 의해 띠형금괴(6)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금괴(6)의 단부가 위치되는 수평안착대(51) 상에 사각 형태를 갖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 크기 만큼의 배출통공(5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52)의 상부측에 띠형금괴(6)의 단부를 프레스 커팅하는 커팅툴(54)이 상하수직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9.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금덩이(2) 및 니켈, 크롬, 티타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내재하는 단면적이 하향 축소되는 테이퍼 형태의 도가니(15)를 준비하고, 상기 도가니(15)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가열코일(12)을 준비하는 용해로(10)를 마련하여,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 중앙측에 배출공(17a)이 형성되어 도가니(15) 내에서 금덩이(2)가 액상금으로 용해되면서 배출공(17a)을 통해 하향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도가니(15)의 바닥부(17)는 중앙측 배출공(17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7a)의 수직 하향측으로 배출안내부재(16)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 형태를 갖는 배출안내부재(16)의 하단부(16a)는 용해로(10) 내의 가열집중로(10a)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게 하는 단계(S1);
    상기 배출공(17a)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금이 유입되는 상측개방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개방부(22)의 하단에 액상금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경사면(23)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측면을 성형하기 위해 내측수직성형면(29)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성형면(29)의 하단에 액상금을 판형금괴(5)의 바닥면을 성형하기 위해 하측바닥면(24)이 형성되는 성형부재(20)를 상기 용해로(10) 내에 마련하되, 상기 성형부재(20)는 상측개방부(22), 안내경사면(23), 내측수직성형면(29) 및 하측바닥면(24)이 좌우 대칭 구비된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로 분리 형성되어 마주하게 마련하고, 상기 성형부재(20)의 좌측성형틀(21)은 후방측 고정대(12)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좌측성형틀(21) 및 우측성형틀(25)은 하단부 간에 힌지(123) 결합되어, 상기 좌측성형틀(21)이 고정대(1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123)의 힌지축(124)을 중심으로 우측성형틀(25)이 회전되면서 성형부재(20) 내에 성형된 판형금괴(5)를 수평이동부재(131)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S2);
    상기 성형된 판형금괴(5)를 다수의 이동롤러(134)가 배치된 수평이동부재(131)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압연부재(30)를 통과시켜 판형금괴(5)를 압연토록 하고, 상기 압연부재(30)는 위치고정형 하부롤러(33)와, 상기 하부롤러(33)의 상부측에 이격되어 간격유지를 위해 상하수직이동형 상부롤러(31)로 준비하며, 상기 압연된 판형금괴(5)를 하부롤러(33)의 판형금괴(5) 배출측에 다수의 이동롤러(138)가 배치된 하향경사면(136)을 갖는 하향경사이동부재(135)와, 상기 하향경사이동부재(135)의 단부에 다수의 이동롤러(143)가 배치된 연장수평이동부재(142)를 통해 이동시키는 단계(S3);
    상기 압연되어 이동된 판형금괴(5)가 다수의 띠형금괴(6)로 형성되도록 절단부재(40)를 준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커팅되게 하되, 상기 절단부재(40)는 상하 수직이격되는 각각의 회전축(49) 상에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가 고정연결되어 축회전되고,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는 각각 다수개가 회전축(49)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격된 각각의 상부고정커팅롤러(42) 및 하부고정커팅롤러(45) 사이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 및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구비 배치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커팅롤러(42)의 수직 하부측에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고정커팅롤러(45)의 수직 상부측에 상부편심커팅롤러(41)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편심커팅롤러(41)와 하부편심커팅롤러(46)가 회전되면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차지점에서 판형금괴(5)가 길이방향으로 커팅되면서 다수의 띠형금괴(6)로 커팅분리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4);
    상기 절단된 띠형금괴(6)를 프레스커팅기(50)의 수평안착대(51) 상에 위치시켜 띠형금괴(6)의 단부 일부를 프레스 커팅가공하여 사각 형태의 치과보철용 금합금(7)을 형성하되, 상기 프레스커팅기(50) 상에 안착되는 띠형금괴(6)의 단부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단부의 이동방향 전방측에 스토퍼(57)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7)에 의해 띠형금괴(6)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금괴(6)의 단부가 위치되는 수평안착대(51) 상에 사각 형태를 갖는 치과보철용 금합금(7) 크기 만큼의 배출통공(5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공(52)의 상부측에 띠형금괴(6)의 단부를 프레스 커팅하는 커팅툴(54)이 상하수직이동되도록 하는 단계(S5);
    상기 프레스 커팅된 금합금(7)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6);
    상기 표면 연마된 금합금(7)을 세정 후 건조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방법.
KR1020200132463A 2020-10-14 2020-10-14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8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63A KR102184284B1 (ko) 2020-10-14 2020-10-14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63A KR102184284B1 (ko) 2020-10-14 2020-10-14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284B1 true KR102184284B1 (ko) 2020-11-30

Family

ID=7364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63A KR102184284B1 (ko) 2020-10-14 2020-10-14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2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822B1 (ko) 1999-07-19 2002-03-25 엄재수 금속-자기질용 치과 귀금속 합금
KR100543546B1 (ko) * 1998-07-03 2006-01-20 니폰추조 가부시키가이샤 소실모형 주조법 및 섬유보강 도포주형
KR20070099496A (ko) * 2007-09-06 2007-10-09 이아영 치과용 보철합금의 제조방법(도재소부용)
KR101420609B1 (ko) * 2012-02-29 2014-07-21 희성촉매 주식회사 연속주조공정에 의한 치과주조용 팔라듐-인듐 합금 제조방법
KR101483729B1 (ko) * 2009-10-29 2015-01-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입체상 섬유여재 절단 자동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546B1 (ko) * 1998-07-03 2006-01-20 니폰추조 가부시키가이샤 소실모형 주조법 및 섬유보강 도포주형
KR100329822B1 (ko) 1999-07-19 2002-03-25 엄재수 금속-자기질용 치과 귀금속 합금
KR20070099496A (ko) * 2007-09-06 2007-10-09 이아영 치과용 보철합금의 제조방법(도재소부용)
KR101483729B1 (ko) * 2009-10-29 2015-01-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입체상 섬유여재 절단 자동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420609B1 (ko) * 2012-02-29 2014-07-21 희성촉매 주식회사 연속주조공정에 의한 치과주조용 팔라듐-인듐 합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49620U (zh) 一种用于模具加工的铣削加工中心定位装置
KR102184284B1 (ko) 작업공정 상호간의 연결효율성을 갖춘 치과보철용 금합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579922B (zh) 一种轧辊加工用表面打磨装置的使用方法
CN210632927U (zh) 用于银器加工的浇铸装置
CN113696006B (zh) 一种筒形铸件加工用双面磨削设备及其使用方法
CN210968143U (zh) 一种钢铁生产用钢锭表面处理装置
CN213259358U (zh) 一种钢锭生产用翻转机构
CN206492902U (zh) 浇口杯毛坯生产装置
CN211194493U (zh) 碳棒中心取料机结构
CN206936858U (zh) 一种金属料饼夹具及个性化加工中心
CN113600730A (zh) 一种具有保温结构的回转平台加工用锻造装置
CN110590131A (zh) 一种新型压延玻璃成型设备
CN202770681U (zh) 多用光谱试样模具
CN216967455U (zh) 一种精密模具制造用表面细处理装置
CN211387236U (zh) 一种浇铸工件表面磨削装置
CN214263846U (zh) 一种可消除收缩气孔的压铸模具
CN212948702U (zh) 半自动翻转模具
CN215143827U (zh) 一种机电一体化加工车床
CN219956078U (zh) 一种铝锭废料回收装置
CN211102777U (zh) 一种模具加工用定位装置
CN114589467B (zh) 贵金属多级变径通道及其制作方法
CN210996271U (zh) 一种精密预、终锻模
JP4563631B2 (ja) エレクトロスラグ法を利用して鋳造物または再溶解ビレットを連続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3729773U (zh) 一种易拉盖生产用去毛刺装置
CN217371930U (zh) 一种皮带轮生产用可调节夹持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