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928B1 - 보온재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보온재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928B1
KR102183928B1 KR1020190176862A KR20190176862A KR102183928B1 KR 102183928 B1 KR102183928 B1 KR 102183928B1 KR 1020190176862 A KR1020190176862 A KR 1020190176862A KR 20190176862 A KR20190176862 A KR 20190176862A KR 102183928 B1 KR102183928 B1 KR 10218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insulating material
heating elem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숙
김영원
오세종
안대선
Original Assignee
(주)에코파워텍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파워텍,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코파워텍
Priority to KR102019017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16L59/123Anchoring devices; Fix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relative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an inner pipe with respect to an outer pipe, e.g. stress c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3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hook and slot or keyhole-ty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발열체에 보온재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보온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보온재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보온재 고정 장치는, 발열체를 둘러싸며 설치된 보온재를 고정하며 상태를 감시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발판유닛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체의 상부에 상기 보온재와 밀착 설치되는 발판유닛연결체, 고정와이어로 상기 발판유닛 연결체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발열체의 하부를 둘러싸 상기 보온재를 고정하는 와이어연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온재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heat insulation}
본 발명은 보온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에 보온재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보온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보온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의 발전설비나 배관설비 등과 같은 발열체에는 열손실 방지 또는 안전문제 등의 이유로 보온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발전설비나 배관설비는 통상 발열면적이 크기 때문에 넓은 면적의 보온재를 여러 장 사용하여 발열면에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특히, 터빈이나 배관과 같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원통형상의 발열체의 경우, 발열면이 상하좌우면 전체가 연결되어 있어 보온재의 고정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발열면에 부착되는 보온재로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발포성 보온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자중에 의한 처짐 자체를 막기는 어려운 면이 있고, 발전설비나 배관설비가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보온재가 처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장에서는 보온재를 고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 중에 재료가 열화 되거나 파손되면서 단열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착물이 떨어지면서 제 기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었다.
이에, 발열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비를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9692호(2016. 05.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열체에 보온재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진동 및 자중에 의한 보온재의 쳐짐을 줄이며 보온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설비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온재 관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온재 관리 장치는, 발열체를 둘러싸며 설치된 보온재를 고정하며 상태를 감시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발판유닛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체의 상부에 상기 보온재와 밀착 설치되는 발판유닛연결체와, 고정와이어로 상기 발판유닛 연결체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발열체의 하부를 둘러싸 상기 보온재를 고정하는 와이어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보온재와 밀착하는 지지판과, 인접한 지지판과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홈부와 후크부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되어 발판이나 손잡이가 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파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연결유닛은 상기 발판유닛연결체의 양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와이어를 감는 와이어권취부와, 상기 고정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와이어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이어는 상기 발열유닛연결체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양단부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와이어권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고정부 사이를 왕복하는 상기 고정와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고정와이어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권취부는 역방향회전제한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고정되어 이동하며 상기 보온재로 둘러싸인 상기 발열체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발열체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고정되어 이동하며,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보온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온재 관리 장치는, 보온재를 비교적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보온재 또는 설비 관리를 위하여 관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진동이 발생하는 설비에 설치하더라도 보온재가 처지는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보온재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인지하여 교환 또는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판유닛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와이어연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와이어연결부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및 도 6은 도 1의 감지유닛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감지유닛이 측정하는 위치에 따른 온도와 거리에 관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관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판유닛연결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와이어연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관리 장치(1)는 발열체(10)를 둘러싼 보온재(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단열상태를 감시하여 열누설 여부나 보온재(20)의 고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보온재 관리 장치(1)는 복수 개의 발판유닛(150)이 연결된 발판유닛연결체(100)와, 발판유닛연결체(100)의 양단부를 고정와이어(250)로 연결하는 와이어연결유닛(3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온재 관리 장치(1)는 고정와이어(25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400)와, 보온재(20)의 상태를 감시하는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유닛연결체(100)는 발열체(10)의 상부와 측부를 둘러싸며 고정되며 발열체(10)를 고정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보온재(20)에 쉽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발판유닛연결체(100)는 보온재(20)에 밀착되어 보온재(20)를 발열체(10)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게 발판이나 손잡이를 제공하여 보온재(20)를 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한다.
발판유닛연결체(100)는 복수 개의 발판유닛(150)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특히, 발판유닛연결체(100)는 발판유닛(150)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곡면을 이루는 발열체(10)를 따라 밀착될 수 있다.
발판유닛(150)은 보온재(20)에 밀착되는 지지판(160)과, 손잡이 또는 발판이 되는 파지부(180)를 포함하며, 다른 발판유닛이 연결될 수 있도록 홈부(161)와 후크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60)은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보온재(20)에 밀착되며, 중량을 줄이기 위해 중앙 또는 일단부가 절개되어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판(160)은 보온재(20)가 밀착되는 면의 반대편에 파지봉(182)이 고정되는 고정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81)는 파지봉(182)과 함께 파지부(180)를 이루며, 쌍을 이루어 지지판(16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81)는 별도로 형성되어 지지판(160)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지지판(160)과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판금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파지봉(182)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고정부(18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파지봉(182)은 관리자가 보온재(20)를 관리할 때 손으로 잡거나 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발판유닛(150)은 지지판(160)의 양단부에 각각 홈부(161)와 후크부(162)가 설치되어 직렬로 연결이 가능하다. 홈부(161)는 지지판(160)에 형성된 일종의 홀(hole)로 후크부(162)가 걸려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후크부(162)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홈부(161)에 걸려 지지하는 구조로, 후크부(162)가 고정되는 홈부(161)는 반드시 폐쇄된 형태의 링구조 또는 통상의 홀(hole)형태일 필요는 없다. 즉, 홈부(161)는 후크부(162)와 후크 결합이 가능할 정도의 고리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다.
홈부(161)와 후크부(162)는 서로 걸려 인장력을 받는 구조로 발판유닛(150)이 고정와이어(250)와 함께 보온재(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홈부(161)와 후크부(162)는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발판유닛(150)이 굴절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발판유닛(15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발판유닛연결체(100)의 양단부에는 와이어연결유닛(300)이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연결유닛(300)은 고정와이어(250)를 이용하여 발판유닛연결체(100)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연결체이다.
발판유닛연결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의 전체면을 모두 둘러싸는 구조가 아니라 발열체(10)의 상면과 측면까지만 둘러싸는 구조를 이룬다. 즉, 발판유닛연결체(100)는 손잡이와 발판 역할로 필요한 부분인 측면과 상면까지만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중량이 작은 고정와이어(250)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열체(10)의 하부를 고정와이어(250)로 연결하여 발판유닛연결체(100)의 자중에 의한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연결유닛(300)은 고정와이어(250)를 감는 와이어권취부(360)와, 고정와이어(250)를 가이드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롤러(370)를 포함한다. 와이어권취부(36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래칫장치와 같은 역방향회전방지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와이어(250)의 양단을 각각 와이어권취부(360)에 고정하고 적어도 한쪽의 와이어권취부(360)를 회전시켜 고정와이어(250)를 감으면 고정와이어(250)가 팽팽하게 당겨져 보온재(20)를 발열체(10)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와이어(250)는 보온재(20)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와이어연결유닛(300)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가이드롤러(370)를 경유하여 와이어권취부(36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와이어(250)가 가이드롤러(370)를 경유함에 따라 보온재(20)와 접하는 선이 적어도 3개가 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고정와이어(25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고정부(181) 사이를 왕복하는 3개의 고정와이어(250) 중 적어도 2개의 사이에 간격유지부(400)를 설치하여 넓은 면적의 보온재(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0)는 고정와이어(25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도 4의 410참조)와, 지지바(도 4의 410참조)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와이어(250)를 가이드하는 지지롤러(도 4의 420참조)를 포함 할 수 있다. 지지바(도 4의 410참조)는 고정와이어(25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와이어(250)의 장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보온재(20)에 밀착되어 보온재(20)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0)는 고정와이어(250)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발열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여러 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온재 관리 장치(1)는 이미 설치된 보온재(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지유닛(500)을 포함하고 있다. 즉, 감지유닛(500)은 보온재(20)가 열화되거나 파손되어 열을 차단할 수 없거나 보온재(20)가 하부로 늘어져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는 이송부(550)에 의해 이송되는 함체(600)에 수용된다.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는 보온재(20)가 자중에 의하여 늘어지거나 파손되기 쉬운 발열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보온재(20)를 감시한다. 즉,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는 발열체(10) 하부에 위치하여 보온재(20)가 부착된 발열체(1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거나 보온재(20)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는 일정 위치에 고정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발열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550)에 설치되어 발열체(10)의 전체면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는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일정 거리 이격되어 온도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측정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온도측정부(700)는 적외선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발열체(1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거리측정부(800)는 레이저센서, 초음파센서 등의 거리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800)는 이송부(550)로부터 보온재(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보온재(20)가 최초에 설치되었을 때를 기준값으로 하여 이후에 거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보온재(20)의 쳐짐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송부(550)는 발열체(10)의 직하방에 설치되며, 함체(600)가 이송부(550) 위를 왕복 운동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송부(550)는 벨트, 체인, 와이어에 함체(600)를 연결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이송부(550)는 발열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함체(600)를 구동하고 함체(600)의 구동방향을 가이드한다.
이송부(550)는 발열체(10)의 온도와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구간에 설치된다. 이송부(550)의 출발점(X1)과 끝점(X2)은 각각 보온재(20)가 설치된 구역의 시작과 끝에 위치할 수 있다.
함체(600)는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를 포함하여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가 같은 지점의 온도와 거리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한다. 함체(600)는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의 이동을 돕고 외부로부터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를 보호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와이어연결부의 설치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와이어연결부를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연결유닛(300) 사이에 하나의 고정와이어(250)가 왕복하여 연결된다. 편의상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두 개의 와이어연결유닛(300) 중 하나를 상측 와이어연결유닛(300)이라하고 나머지 하나를 하측 와이어연결유닛(300)이라 한다. 이하 와이어연결유닛(3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편의상 상측과 하측으로 구분하여 칭한다.
고정와이어(250)는 상측 와이어권취부(360)로부터 시작하여 하측 가이드롤러(370)와 다시 상측 가이드롤러(370)를 거쳐 하측 와이어권취부(36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와이어(250)는 두 개의 와이어권취부(360) 사이에서 3줄로 보온재(도 1의 20참조)를 고정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고정와이어(250)가 와이어연결유닛(300)에 설치될 때에는 다소 느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2줄의 고정와이어(250) 중 외측에 위치하는 두 줄의 고정와이어(250) 사이에 간격유지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400)는 발열체(도 1의 10참조)의 크기에 따라 길이와 개수가 선택될 수 있다.
고정와이어(250)는 상측 와이어권취부(360) 또는 하측 와이어권취부(360) 중 어느 하나만 감아도 전체적으로 균형을 맞춰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측 와이어권취부(360)를 회전시켜 고정와이어(250)를 감기시작하면 고정와이어(250)는 상측 간격유지부(400)의 지지롤러(420)와 하측 간격유지부(400)의 지지롤러(420)를 순차적으로 거쳐 하측 가이드롤러(370)를 돌아 다시 상측 가이드롤러(370)로 이동한다. 이때, 두 개의 간격유지부(400)는 지지바(410)가 보온재(도 1의 20참조)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고정와이어(250)만 지지롤러(420)와 가이드롤러(370)를 경유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측 가이드롤러(370)를 지난 고정와이어(250)는 다시 상측 지지롤러(420)와 하측 지지롤러(420)를 지나 하측 와이어권취부(360)에 연결된다. 결국, 고정와이어(250)는 상측 와이어권취부(360)와 하측 와이어권취부(360) 양측에만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상측 와이어연결유닛(300)과 하측 와이어연결유닛(300)을 서로 당겨 간격을 줄이게 된다. 즉, 상측 와이어권취부(360)와 하측 와이어권취부(360) 중 어느 하나를 조이면 두 개의 간격유지부(400)는 위치가 변하지 않으며 두 개의 와이어연결유닛(300) 사이가 줄어들게 되면서 보온재(도 1의 20참조)를 고정하게 된다.
특히, 두 개의 와이어연결유닛(300)에 각각 포함된 가이드롤러(370)는 움직도르레 역할을 하면서 와이어권취부(360)에서 감는 힘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는 일측의 와이어권취부(360) 하나에서 고정와이어(250)를 당기더라도 전체가 대칭적으로 조여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양측의 와이어권취부(360)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와이어권취부(360) 내부에 설치된 역방향회전방지장치는 고정와이어(250)를 감다가 힘을 줄이더라도 풀리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작업자가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온재 관리 장치의 감지유닛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감지유닛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감지유닛이 측정하는 위치에 따른 온도와 거리에 관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감지유닛(500)은 발열체(10)의 중앙 직하방에 발열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온도와 거리를 감지한다. 감지유닛(500)에는 온도측정부(700)와 거리측정부(800)가 포함되어 있어 원주방향으로 센서점검각도(A)에 해당하는 면적의 온도와 거리를 감지한다.
온도측정부(700)는 적외선 센서나 열화상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센서점검각도(A)에 해당하는 영역을 감지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측정부(700)는 보온재(20) 외측으로 방사되는 열을 감지하여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보온재(20)가 정상상태일 경우, 발열체(10)의 온도보다 현저하게 낮은 온도가 측정될 것이나, 보온재(20)가 이탈되거나 파손된 경우, 정상상태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측정될 것이다. 즉, 온도측정부(700)는 지속적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특정 시기와 위치에서 기준값 이상의 온도 상승이 있을 경우 보온재(20)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800)는 이송부(550)로부터 보온재(20)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800)는 보온재(20)가 설치된 초기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부로 늘어지는 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기준값 이상으로 보온재(20)가 처지면 보온재(20)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800)가 이송부(550)에 설치되어 있어 기준 거리를 이송부(550)로부터 보온재(20) 사이로 정의한 것이며, 기준 거리는 거리측정부(8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송부(550)의 위치를 X라 하고 도 7의 그래프에 X축으로 표현하며, 위치 X에서 측정되는 표면온도와 거리를 각각 Y와 T축(세로축)으로 표현하였다. 이송부(550)의 양단부를 각각 X1, X2 라 하고 그 중간의 임의의 지점을 X'이라 하였고, 표면측정온도(B)와 표면측정거리(C)를 측정하여 그래프화 하였다.
X1 과 X2 사이의 구간에서 표면측정온도(B)와 표면측정거리(C)는 일정 편차 이내에서 큰 변화없이 유지되다가 X'주위에서 표면측정온도(B)는 크게 증가하고 표면측정거리(C)는 크게 줄어드는 변화가 감지된다. 즉, 보온재(20)와 거리측정부(800) 사이의 거리가 갑자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고, 표면측정온도(B)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보온재(20)의 단열 기능이 매우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보온재(20)가 어떠한 이유로 발열체(10)로부터 분리되었고 보온재(20)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관리장치(1)는 보온재(20)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다가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시 파악할 수 있어, 사고 발생을 미리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재(20) 교체시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보온재 관리 장치 10: 발열체
20: 보온재 25: 지지대
100: 발판유닛연결체 150: 발판유닛
160: 지지판 161: 홈부
162: 후크부 180: 파지부
181: 고정부 182: 파지봉
200: 와이어연결부 250: 고정와이어 300: 와이어연결유닛 350: 와이어고정부 360: 와이어권취부 370: 가이드롤러 400: 간격유지부 410: 지지바 420: 지지롤러 500: 감지유닛 550: 이송부 600: 함체 700: 온도측정부 800: 거리측정부 A: 센서점검각도 B: 표면측정온도 C: 표면측정거리 T: 온도 Y: 거리

Claims (10)

  1. 발열체를 둘러싸며 설치된 보온재를 고정하며 상태를 감시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발판유닛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체의 상부에 상기 보온재와 밀착 설치되는 발판유닛연결체; 및
    고정와이어로 상기 발판유닛 연결체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발열체의 하부를 둘러싸 상기 보온재를 고정하는 와이어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보온재와 밀착하는 지지판과, 인접한 지지판과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홈부와 후크부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되어 발판이나 손잡이가 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파지봉을 포함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4. 발열체를 둘러싸며 설치된 보온재를 고정하며 상태를 감시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발판유닛이 서로 굴절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체의 상부에 상기 보온재와 밀착 설치되는 발판유닛연결체; 및
    고정와이어로 상기 발판유닛 연결체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발열체의 하부를 둘러싸 상기 보온재를 고정하는 와이어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연결유닛은 상기 발판유닛연결체의 양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와이어를 감는 와이어권취부와, 상기 고정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와이어고정부를 포함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는 상기 발판유닛연결체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양단부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와이어권취부에 연결되는 보온재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고정부 사이를 왕복하는 상기 고정와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고정와이어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권취부는 역방향회전제한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고정되어 이동하며 상기 보온재로 둘러싸인 상기 발열체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발열체의 직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고정되어 이동하며,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보온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온재 관리 장치.
KR1020190176862A 2019-12-27 2019-12-27 보온재 관리 장치 KR10218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62A KR102183928B1 (ko) 2019-12-27 2019-12-27 보온재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62A KR102183928B1 (ko) 2019-12-27 2019-12-27 보온재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928B1 true KR102183928B1 (ko) 2020-11-27

Family

ID=7364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862A KR102183928B1 (ko) 2019-12-27 2019-12-27 보온재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9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144B1 (ko) * 2009-07-24 2012-06-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재의 온도 측정 장치
KR20130065941A (ko) * 2011-12-12 2013-06-20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KR101619692B1 (ko) 2015-01-29 2016-05-11 문인득 2-루프 가압경수로형의 증기 발생기의 보온재 장착구조
KR20180018190A (ko) * 2016-08-12 2018-02-21 임동현 밸브 단열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144B1 (ko) * 2009-07-24 2012-06-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재의 온도 측정 장치
KR20130065941A (ko) * 2011-12-12 2013-06-20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KR101619692B1 (ko) 2015-01-29 2016-05-11 문인득 2-루프 가압경수로형의 증기 발생기의 보온재 장착구조
KR20180018190A (ko) * 2016-08-12 2018-02-21 임동현 밸브 단열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8683T3 (es) Banco de pruebas de cable
US9335318B2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discard state of a high-strength fiber rope in use in lifting gear
KR101292073B1 (ko) 와이어 로프 손상 검출 및 확인장치
KR101519410B1 (ko) 배전선로 점검장치
JP6154730B2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JP6801485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温度監視システム
KR102183928B1 (ko) 보온재 관리 장치
KR101641137B1 (ko) 고로 장입용 벨트 컨베이어의 와이어 로프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JP7317352B2 (ja) メッシュベルト検査装置およびメッシュベルト検査方法
KR20210005088A (ko) 에너지 체인을 작동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15182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장치
KR20130077848A (ko) 휴대용 영상 점검장치
JP2005195459A (ja) 物品搬出モニタ装置
KR102521918B1 (ko) 금속시스 파단 시험장치, 금속시스 파단 시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케이블의 금속시스 변형률 결정방법
KR20110019084A (ko) 케이블 포설시스템
KR101486212B1 (ko)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US4348907A (en) Retirement elongation indicator for mast raising lines
KR102322670B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 로프 결함 검출 장치
KR102326864B1 (ko)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CN102161429A (zh) 一种基于光纤技术的带式输送机故障在线监测装置及方法
CN201914691U (zh) 一种基于光纤技术的带式输送机故障在线监测装置
KR101273236B1 (ko) 소구경배관 소켓용접부 갭 측정용 스캐너
US5380502A (en) System for suspending reactor tubes in a reactor
KR20160115181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시스템
CN113270737B (zh) 一种wlg管型母线槽用管形风电线接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