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505B1 -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505B1
KR102183505B1 KR1020130092518A KR20130092518A KR102183505B1 KR 102183505 B1 KR102183505 B1 KR 102183505B1 KR 1020130092518 A KR1020130092518 A KR 1020130092518A KR 20130092518 A KR20130092518 A KR 20130092518A KR 102183505 B1 KR102183505 B1 KR 10218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isplay device
weight
part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720A (ko
Inventor
김병후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5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 H10K59/1275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two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50 내지 85 중랑부의 바인더와; 10 중량부의 가교성 모노머와; 5 내지 9 중랑부의 가소제 및 1 내지 3 중랑부의 개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를 표시장치에 적용함으로써 흘러내림 및 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보더레스 타입의 표시장치를 구현하기가 용이해지게 된다.

Description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DHESIV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포에 따른 선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표시장치(display device)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표시장치 등이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이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光源)이 내장된 백라이트(backlight) 유닛이 배치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명암 대비비가 우수하면서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진다.
위와 같이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표시장치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표시장치는 휴대용 컴퓨터는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및 벽걸이형 텔레비전 등 그 사용영역이 보다 다양해지면서 경량 및 박형을 추구하는 동시에 표시영역 외부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이에 대응되는 베젤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표시장치의 전면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필름이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접착제가 도포되고 제1접착제의 내측에 제1접착제보다 점성이 낮은 제2접착제가 도포된 후 이의 전면에 커버필름이 밀착 부착되게 된다.
이때, 베젤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특히 제1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영역이 좁아지며, 이와 같이 좁은 도포영역에 제1접착제를 도포함에 따라 제1접착제가 외부 또는 내부로 흘러 커버필름을 부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접착제가 외부로 흐르게 될 경우, 작업자는 흘러내리는 제1접착제를 닦아가며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또한, 제1접착제가 내부로 흐르게 될 경우 제1접착제와 제2접착제가 접촉하는 부분에 선 얼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선 얼룩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표시장치의 표면에 발생된 선 얼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표면에 발생된 선 얼룩은 커버필름을 부착하는 부착공정에서 표시장치의 외곽에 도포되는 제1접착제와 이의 내부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발생되며, 이러한 선 얼룩은 표시영역을 통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얼룩 불량이 발생될 경우 접착제를 제거하고 다시 도포하며 커버필름의 부착 공정을 새로 진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공정시간이 늘어나고, 나아가 전체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시간이 늘어나며, 불량에 따른 부품비용이 늘어나고 생산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력 및 신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흘러내림 및 선얼룩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보더레스(border-less) 타입의 표시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커버필름 부착 공정시간을 절감하고, 부착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50 내지 85 중랑부의 바인더와; 10 중량부의 가교성 모노머와; 5 내지 9 중랑부의 가소제 및 1 내지 3 중랑부의 개시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DOP), 디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DOA) 또는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tricresylphosphates:TC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이미드 계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이미드 계열 중 어느 하나에 장쇄분지(long chain branch)를 가지는 분지화된 올리고머(oligomer)를 도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모듈부와; 상기 표시모듈부의 외곽을 따라 도포되는 제1접착제와, 상기 제1접착제의 내측으로 도포되는 제2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모듈부의 전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표시모듈부와 접착되는 커버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착제는 상기 제2접착제보다 점도가 높고, 탄성력과 신장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컬러필터층이 포함된 제1기판 및 박막트랜지스터가 포함된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표시패널은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1기판 및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제2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2기판을 통해 외부로 나오는 빛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률과 신장률을 증대시키는 가소제를 포함하여 접착제의 점성도에 유연성을 부여하며 요변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흘러내림 및 선얼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더레스 타입의 표시장치의 구현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며, 보더레스 타입의 표시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커버필름 부착 공정시간을 절감하고, 부착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표시장치의 표면에 발생된 선 얼룩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일반적인 접착제의 도포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도 4a에 대한 사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도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b 및 도 5c는 도 5a에 대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영역(NDA)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표시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커버필름(110)과, 접착제(120)와,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모듈부(130) 및 하우징부(14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커버필름(110)은 표시모듈부(13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다.
이러한 커버필름(110)은 표시모듈부(130)의 네 가장자리, 비표시영역(NDA)을 덮으며 가리는 차단부(112)와, 차단부(112) 내측의 투과부(114)를 포함한다.
이때 커버필름(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차단부(1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필름(110)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배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버품(110)의 가장자리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120)는 표시모듈부(130)의 전면 외곽을 따라 도포되어 댐(dam) 형상을 가지는 제1접착제(122)와, 제1접착제(122)의 내측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는 제2접착제(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제(120)는 UV(ultra violet)광에 의해 경화되는 UV 경화형 접착제로, 바인더와 가교성 모노머와, 가소제 및 개시제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20)는 가소제를 포함하여 접착제의 요변성(thixotropy)을 증대시킴으로써 외곽 접착제로 사용함에 있어서 흘러내림 및 경계면에서의 선얼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외곽에 도포되는 제1접착제(122)는 제2접착제(124)보다 고점도를 가지도록 조성물의 조성비가 조절될 수 있다.
바인더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바인더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실록산(siloxane) 또는 실리콘 변성 폴리이미드 계열일 수 있다.
또는 바인더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이미드 계열 중 어느 하나에 장쇄분지(long chain branch)를 가지는 분지화된 올리고머(oligomer)를 도입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지화된 올리고머를 도입하여 사다리형(ladder type) 재료 설계를 함으로써 바인더의 탄성률 및 복원률을 제어할 수 있다.
가교성 모노머는 경도 및 경화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2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교성 모노머는, 일예로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아크릴레이트,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가소제(plasticizer)는 탄성률과 신장률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DOP), 디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DOA) 또는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tricresylphosphates:TCP)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는 요변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섞임성(compatibility)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즉 제1접착제(122)와 제2접착제(124)가 접촉하는 접촉 부분에서 잘 섞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에 발생되는 얼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가소제는 가소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내열성, 내한성, 내연성, 전기적 성질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제는 접착력과 시인성 및 경화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시제로는 아세토 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및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 2-비이미다졸, 시바 스페셜 케미칼사의 Irgacure369, Irgacure651, irgacure907, Irgacure819, Darocur TPO, OXE-01, OXE-02, 아데카사의 N-1919, NCI-831 등의 화합물을 단독 또는 이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아세토 페논계 화합물은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등이 있고,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 4'-디클로로벤조페논, 3,3'-디메틸-2-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벤조일 안식향산 메틸, 4-페닐 벤조페논, 히드록시 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이 있으며, 티오크산톤계 화합물은 티오크산톤, 2-크롤티오크산톤,2-메틸티오크산톤,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4-디에틸 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클로로 티오크산톤 등이 있고, 벤조인계 화합물은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 인 이소부틸 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접착제(120)는 바인더와, 가교성 모노머와, 가소제 및 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요변성이 증진되어 흘러내림 및 접촉면에서의 얼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착체(120)는 표시모듈부(130)에 의해 구현된 화상을 출력해줄 수 있도록 비교적 우수한 시인성을 가져야 한다.
표시모듈부(130)는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여 출력해주는 부이다.
이러한 표시모듈부(130)는 액정 표시모듈부일 경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기판이 합착됨으로써 이루어진 표시패널과 이의 배면에 배치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게 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모듈부일 경우, 제1기판과 제2기판이 합착됨으로써 이루어진 표시패널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표시모듈부(130)의 표시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통해 화상이 출력되도록 하여 비표시영역(NDA)의 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부(140)는 표시모듈부(130)의 전면을 제외한 측면과 배면을 감싸 두르며 표시모듈부(130)를 장치화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부(130)를 보호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커버필름(110)과 표시모듈부(130)의 사이의 접착제(120)가 형성 공정을 설명하면, 커버필름(110)을 준비하고, 표시패널부(130)의 전면 외곽에 제1접착제(122)를 도포함으로써 표시패널부(130)의 전면 외곽에 댐 형상이 형성된다. 이때, 제1접착제(122)는 스크린 프린팅법, 디스펜싱법, 잉크젯 프린팅법, 롤 프린팅법, 임프린팅법 및 스핀 코팅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착제(122)에 가경화를 진행하여 댐 형상을 유지시킨다. 이어 제1접착제(122)의 내측으로 제2접착제(124)를 도포한 후, 이의 전면에 커버필름(110)을 부착시킨다. 이렇게 부착된 후에 제2접착제(124)가 커버필름(110)과 표시모듈부(130)의 전면에 퍼지도록 수 분 내지 수 시간 동안 대기한 후, 가경화시킨다. 이어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이용하여 커버필름(110)이 부착된 표시모듈부(130)를 탈포시키고, 이물, 기포 등의 외관검사를 실시한 후에 UV광을 조사하여 본경화함으로써 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와 비교예로서 일반적인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비교예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80 중량부 로 사용하고, 아크릴 단량체로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를 15 중량부로 가교성 모노머로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3.5 중량부로 사용하고,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1 중량부로 사용하고, 첨가제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0.5 중량부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균일하게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
공중합 수지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인 실록산 계열 수지를 84 중량부로 사용하고,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를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로 사용하고, 탄성률과 신장률을 제어하기 위해서 디옥틸프탈레이트를 5 중량부로 사용하고, 개시제는 히드록시 벤조페논을 1 중량부로 사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균일하게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록산 계열 수지를 50 내지 8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7 내지 4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고, 디옥틸프탈레이트를 5 내지 9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히드록시 벤조페논을 1 내지 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2
공중합 수지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인 실록산 계열 수지를 84 중량부로 사용하고,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를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를 10 중량부로 사용하고, 탄성율과 신장율을 제어하기 위해서 디옥틸아디페이트를 5 중량부로 사용하고, 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1 중량부로 사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균일하게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록산 계열 수지를 50 내지 8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를 7 내지 4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고, 디옥틸아디페이트를 5 내지 9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1 내지 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와 실시예1 및 2에 따라 제조된 접착제를 적용할 경우에 경계면(접촉면)에서의 얼룩 유무에 대한 실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실험은 표시모듈부(도 1의 130)의 전면 외곽에 제1접착제(도 3의 122)를 도포하고 UV 가경화를 진행하며, 제1접착제(도 3의 122)의 내측에 제2접착제(도 3의 124)를 도포한 후, 커버필름(도 3의 110)을 표시모듈부(도 3의 130)의 전면으로 합착하여 UV 경화를 진행하였다. 이때, 조도는 2.2W/cm2, 적산광량은 7.7J/cm2 로 비교예와 실시예1 및2에 동일한 실험조건을 적용하였다.

적산광량(J/cm2)
경계면 얼룩 유무
제1접착제 제2접착제
비교예 7.7J 7.7J
실시예1 7.7J 7.7J
실시예2 7.7J 7.7J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및 2는 비교예와 달리 경계면(접촉면)에서 얼룩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비교예와 실시예1 및 2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비교예로서 일반적인 접착제의 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 대한 사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에 대한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모듈부(30)의 전면에는 비교예의 접착제(20)가 도포되게 되는데, 비교예의 접착제(20)는 외곽을 따라 도포되는 제1접착제(22)와 이의 내측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접착제(22)와 제2접착제(24)가 접하는 부분에는 경계면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경계면은 표시장치의 표면 상에 얼룩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모듈부(130)의 전면에는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접착제(120)가 도포되게 되는데,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접착제(120)는 외곽을 따라 도포되는 제1접착제(122)와 이의 내측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1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접착제(122)와 제2접착제(124)가 접하는 부분에는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제1접착제와 제2접착제가 접하는 부분에서는 섞임이 발생되며 경계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이는 제1접착제(122)와 제2접착제(124)가 바인더와 가교성 모노머 그리고 가소제와 개시제를 포함하며 요변성이 크게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접착제와 제2접착제의 조성물이 점도에서만 차이가 있을뿐 거의 유사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접착제와 제2접착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도록 조성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제2접착제는 표시모듈부의 전면 중앙에 도포되므로 특히 시인성이 우수하도록 조성물을 제조해야 할 것이며, 제1접착제는 표시모듈부의 전면 외곽을 따라 도포되므로, 특히 탄성력과 신장력, 즉 요변성이 크게 증대되도록 조성물을 제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접착제에는 가소제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부의 일 실시예로 액정 표시모듈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모듈부(130)는 서로 마주대하는 제1기판(212) 및 제2기판(222)과, 이들의 사이에 액정층(280)으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배면으로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230)을 포함한다. 이때, 제1기판(212)과 제2기판(222) 사이의 가장자리에는 씰패턴(292)이 형성되어 액정층(280)을 둘러싸며, 액정층(280)의 액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기판(212)의 내면에는 적, 녹, 청색의 컬러필터패턴을 포함하는 컬러필터층과 공통전극이 형성되고, 제2기판(222)의 내면에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기판(212)과 제2기판(222) 각각의 바깥쪽 면에는 제1편광판(218)과 제2편광판(219)이 위치한다. 여기서, 제1편광판(218)과 제2편광판(219)은 각각의 광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제1편광판(218)의 광투과축은 제2편광판(219)의 광투과축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1편광판(218)의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230)이 배치되어 표시패널에 빛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백라이트 유닛(230)은 광원으로 형광램프나 LED를 포함하는데,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측면형(Edge Type)으로 구분된다. 이때,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직접적으로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고, 측면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패널 하부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광원을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도광판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간접적으로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한편, 제2기판(222)은 제1기판(21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기판(222)의 일부 영역은 제1기판(212)과 중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제2기판(222)의 노출된 일부 영역에는 접속 패드(232a)가 형성되어 게이트 배선 또는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접속 패드(232a)는 연성회로기판(242)을 통해 외부의 인쇄회로기판(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모듈부(130)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제1기판(212)이 하부에 배치되고,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2기판(222)이 상부에 배치되며, 백라이트 유닛(230)이 제1기판(212)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는 제2기판(222)을 통해 외부로 나오는 빛에 의해 영상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기판(222)이 사용자가 바라보는 측에 배치됨으로써 표시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표시영역을 가리기 위한 기구물인 베젤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보더레스 타입의 액정 표시모듈부(13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액정 표시모듈부(130)는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과, 이들(표시패널, 백라이트 유닛)을 모듈화하기 위한 버텀커버와 서포트메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부의 일 실시예로 액정 표시모듈부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모듈부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모듈부는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1기판과 이와 마주하며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제2기판으로 이루어진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기판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2기판이 사용자가 바라보는 측에 배치됨으로써 베젤을 최소화하며 표시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0: 표시장치 110: 커버필름
112: 차단부 114: 개구부
120: 접착제 122: 제1접착제
124: 제2접착제 130: 표시모듈부
140: 하우징부

Claims (10)

  1.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모듈부와;
    상기 표시모듈부의 외곽을 따라 도포되는 제1접착제와, 상기 제1접착제의 내측으로 도포되는 제2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모듈부의 전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표시모듈부와 접착되는 커버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접착제는 50 내지 85 중량부의 바인더와; 10 중량부의 가교성 모노머와; 5 내지 9 중량부의 가소제 및 1 내지 3 중량부의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이고,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표시모듈부의 비표시 영역을 덮으며 가리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 내측의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착제는 상기 차단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접착제는 상기 투과부에 대응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DOP), 디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DOA) 또는 트리크레실포스테이트(tricresylphosphates:TCP)인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이미드 계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레핀(polyolefin), 실록산(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이미드 계열 중 어느 하나에 장쇄분지(long chain branch)를 가지는 분지화된 올리고머(oligomer)를 도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는 상기 제2접착제보다 점도가 높고, 탄성력과 신장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컬러필터층이 포함된 제1기판 및 박막트랜지스터가 포함된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1기판 및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제2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2기판을 통해 외부로 나오는 빛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제는 50 내지 85 중량부의 바인더와 10 중량부의 가교성 모노머 및 1 내지 3 중량부의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KR1020130092518A 2013-08-05 2013-08-05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8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18A KR102183505B1 (ko) 2013-08-05 2013-08-05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18A KR102183505B1 (ko) 2013-08-05 2013-08-05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20A KR20150016720A (ko) 2015-02-13
KR102183505B1 true KR102183505B1 (ko) 2020-11-26

Family

ID=5257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18A KR102183505B1 (ko) 2013-08-05 2013-08-05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5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47B1 (ko) 2008-07-16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67828B1 (ko) * 2011-07-28 2013-05-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258B1 (ko) * 2011-06-22 2017-08-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85731B1 (ko) * 2011-06-28 2017-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47B1 (ko) 2008-07-16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67828B1 (ko) * 2011-07-28 2013-05-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20A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6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41352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0044291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356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20100079698A1 (en) Display device
TWI695192B (zh) 光學顯示器
KR101820363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66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24437B (zh) 显示装置
KR101900057B1 (ko) 액정표시장치
CN104216155A (zh) 显示单元
US10025126B2 (en) Display device
WO2016035489A1 (ja) 表示装置
KR102183505B1 (ko)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82780B1 (ko) 접착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KR10200015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04665B1 (ko) 표시 장치
US11428969B2 (en) Optical display including a light shielding layer having printed patterns
KR10249904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10564B1 (ko) 내로우 베젤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
US11237427B2 (en) Ink composition for reflective sheet,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080039630A (ko) 액정표시장치
KR10241210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8628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40085993A (ko) 액정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