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44B1 -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344B1
KR102183344B1 KR1020190015672A KR20190015672A KR102183344B1 KR 102183344 B1 KR102183344 B1 KR 102183344B1 KR 1020190015672 A KR1020190015672 A KR 1020190015672A KR 20190015672 A KR20190015672 A KR 20190015672A KR 102183344 B1 KR102183344 B1 KR 10218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injection
reinforcing material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763A (ko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19001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3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는: 지반에 설치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강관과,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주입관과, 강관과 주입관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강관과 주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SEPERATE TYPE STIFFENER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 주입관, 공급관을 구간에 따라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강관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연결부재를 통해 다수개의 주입관을 연결하여 보강재를 각 챔버를 거쳐 천공홀에 주입하며, 연결부재를 통해 팽창물질을 팽창부재로 공급하여 팽창함으로써, 연결부재를 1가지 타입으로 제작하면 각 챔버 구간에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주입관과 공급관을 실링부재를 통해 연결부재에 삽입하기만 하면 밀봉이 이루어지므로 기밀성과 조립성을 형상시키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굴착면이나 연약지, 절개지의 지반을 개량 및 보강하기 위해 지반 또는 암반에 천공하고 천공된 공간으로 시멘트를 포함한 보강재(그라우트라고도 함)를 주입하는 보강재 주입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터널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강관을 삽입하고 보강재를 주입하여 지반을 차수 또는 보강하기도 하고, 터널 굴착시 암반에 생기는 크랙 및 공동을 탐지하여 일정 직경의 천공홀을 형성하고 이 천공홀에 보강재를 주입하기도 한다.
이와같이, 보강재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구간별로 보강재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강관의 내부에 신축부재를 설치하여 신축부재(또는 팩커)의 양측에 구비된 압착부재를 길이방향으로 당겨주고 외측으로 팽창시켜 강관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므로 각 구간마다 챔버공간이 나뉘어진다.
그런데, 기존의 보강재 주입장치는 신축부재를 외측으로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강관의 단부에 구비된 너트를 이용하여 중심연결관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압착부재를 거쳐 신축부재의 양측을 가압하므로 신축부재를 반경 외측방향으로 팽창하고 강관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게 되지만, 신축부재의 팽창 작동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너트와 체결된 나사산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신축부재의 확창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팽창물질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강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전체구조물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천공홀의 크기가 커질 뿐만아니라, 공급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5562호(2006.07.20, 발명의 명칭: 멀티 그라우팅 주입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강관, 주입관, 공급관을 구간에 따라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강관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연결부재를 통해 다수개의 주입관을 연결하여 보강재를 각 챔버를 거쳐 천공홀에 주입하며, 연결부재를 통해 팽창물질을 팽창부재로 공급하여 팽창함으로써, 연결부재를 1가지 타입으로 제작하면 각 챔버 구간에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주입관과 공급관을 실링부재를 통해 연결부재에 삽입하기만 하면 밀봉이 이루어지므로 기밀성과 조립성을 형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는, 지반에 설치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주입관; 및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관 중 가장 선단부에 위치한 강관에는 선단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강관 중 가장 하단부에 위치한 강관에는 엔드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강관과 이웃하는 상기 강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바디부; 상기 주입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통홀부; 및 상기 강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홈부의 반경방향 깊이는 상기 강관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주입관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될 때,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은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챔버에 보강재를 각각 공급하도록 상기 연통홀부의 진입측부위까지만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느 하나의 상기 챔버에 보강재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다른 챔버에 보강재가 이동되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통홀부가 마감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연통홀부에 끼움 설치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부에 구비되는 걸림턱부에 걸려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급관이 구비되어 팽창물질이 공급되고,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상기 연통홀부에는 팽창물질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외측에는 팽창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통로에서 배출되는 팽창물질에 의해 팽창되어 각 구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홀부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주입관과 상기 공급관 사이에 밀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홀부에는 상기 공급관의 경로를 차단하는 차단캡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관에는 외측으로 연통되는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에는 외측으로 분사된 보강재가 역류하여 상기 강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관의 선단부에는 경사지 또는 절개지를 포함한 사면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는, 강관, 주입관, 공급관을 구간에 따라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다수개의 강관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연결부재를 통해 다수개의 주입관을 연결하여 보강재를 각 챔버를 거쳐 천공홀에 주입하며, 연결부재를 통해 팽창물질을 팽창부재로 공급하여 팽창함으로써, 연결부재를 1가지 타입으로 제작하면 각 챔버 구간에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관과 공급관을 실링부재를 통해 연결부재에 삽입하기만 하면 밀봉이 이루어짐으로써, 관로 연결부위의 기밀성과 조립성을 형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의 천공홀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에서 4개의 영역을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C"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3의 "D"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A"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B"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C"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D"부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의 천공홀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에서 4개의 영역을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C"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는 도 3의 "D"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A"부 결합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의 "B"부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C"부 결합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3의 "D"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는, 강관(100), 주입관(200) 및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강관(100)은 지반의 천공홀(10)에 설치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다. 강관(100)은 연결부재(300)의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강관(100) 중 가장 선단부에 위치한 강관(100)에는 선단브라켓(110)이 구비된다. 선단브라켓(110)은 강관(100)의 입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강관(100) 중 가장 하단부에 위치한 강관(100)에는 엔드캡(120)이 구비될 수 있다. 엔드캡(120)은 중심부위가 돌출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된다.
주입관(200)은 강관(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구성이다, 주입관(200)은 연결부재(30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주입관(200)은, 강관(100)에서 제1챔버(22)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되는 제1주입관(210)과, 강관(100)에서 제2챔버(24)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되는 제2주입관(220)과, 강관(100)에서 제3챔버(26)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되는 제3주입관(230)과, 강관(100)에서 제4챔버(28)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되는 제4주입관(240)을 포함한다.
제1주입관(210)은 제1챔버(22)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됨으로써, 보강재를 제1챔버(22)에 주입하여 첫 번째 분사공(130)을 통해 천공홀(10) 내에 배출시켜 천공홀(10)의 해당위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지반을 보강하도록 한다.
제2주입관(220)은 제2챔버(24)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됨으로써, 보강재를 제2챔버(24)에 주입하여 두 번째 분사공(130)을 통해 천공홀(10) 내에 배출시켜 천공홀(10)의 해당위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지반을 보강하도록 한다.
제3주입관(230)은 제3챔버(26)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됨으로써, 보강재를 제3챔버(26)에 주입하여 세 번째 분사공(130)을 통해 천공홀(10) 내에 배출시켜 천공홀(10)의 해당위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지반을 보강하도록 한다.
제4주입관(240)은 제4챔버(28)의 진입측 연결부재(300)까지만 연장 형성됨으로써, 보강재를 제4챔버(28)에 주입하여 네 번째 분사공(130)을 통해 천공홀(10) 내에 배출시켜 천공홀(10)의 해당위치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지반을 보강하도록 한다.
연결부재(300)는 강관(100)과 주입관(200)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강관(100)과 주입관(200)을 각각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부재(300)는, 강관(100)과 이웃하는 강관(100)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바디부(310)와, 주입관(200)이 설치되도록 바디부(3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통홀부(320)와, 강관(100)이 설치되도록 바디부(31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0)를 포함한다.
안착홈부(330)의 반경방향 깊이는 강관(100)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통홀부(320)는 주입관(200)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될 때,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부(322)의 길이방향 간격은 후술하는 팽창물질이 배출되는 배출통로(410)의 직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관(200)은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300)와 다른 하나의 연결부재(300) 사이에 형성되는 챔버(20)에 보강재를 각각 공급하도록 연통홀부(320)의 진입측부위까지만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관(100)은 본 실시예에서는 5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연결부재(300)의 안착홈부(330)에 각각 삽입된 후, 강관(100)의 둘레와 연결부재(300)의 둘레에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된다.
이와같이, 강관(100)의 외경과 연결부재(300)의 바디부(310)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본 장치의 일체감을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00) 사이에 배치되는 강관(100)의 내부공간은 각 챔버(20)의 내부공간에 대응한다.
어느 하나의 챔버(20)에 보강재가 주입되는 경우, 진출측 연결부재(300)를 통해 다른 챔버(20)에 보강재가 이동되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통홀부(320)가 마감부재(340)에 의해 차단된다.
마감부재(340)는, 연통홀부(320)에 끼움 설치되는 끼움부(342)와, 끼움부(34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연통홀부(320)에 구비되는 걸림턱부(322)에 걸려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돌부(344)를 포함한다.
이탈방자돌부(344)는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입부(346)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진입부(346)는 중심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되고, 중심부위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일측의 걸림턱부(322)에 의해 오므려지면서 반경이 협소한 연통홀부(320)를 통과하여 타측의 걸림턱부(322)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확장되어 걸려짐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연통홀부(320)에 걸림 장착되는 것이다.
연통홀부(320)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급관(400)이 구비되어 팽창물질이 공급된다. 공급관(400)이 연결되는 연통홀부(420)에는 팽창물질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통로(41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통로(410)는 일측 걸림턱부(322)와 타측 걸림턱부(344) 사이에 위치하는 연통홀부(320)에 대해 직교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형성된다.
강관(100)의 외측에는 팽창부재(420)가 구비되어 배출통로(410)에서 배출되는 팽창물질에 의해 팽창되어 각 구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란다.
팽창부재(420)는 팽창시트를 포함한다.
팽창부재(420)는 플렉시블한 연성을 가지면서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재질을 적용하도록 한다.
연통홀부(320)에는 실링부재(350)가 설치되어 주입관(200)과 공급관(400)을 연통홀부(320)의 걸림턱부(322)에서 밀봉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링부재(350)는 사각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링부재(350)는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통홀부(320)에는 공급관(400)의 경로를 차단하는 차단캡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캡부재(360)는 마개 형태로 형성되어 연통홀부(320)에서 걸림턱부(322) 근처까지 결합 장착된다.
차단캡부재(360)는 연통홀부(320)에 삽입되는 결합부(362)와, 결합부(362)에 접하여 연통홀부(32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연통홀부(320)의 입구부위를 차단하는 머리부(364)를 포함한다.
결합부(362)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통홀부(3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부에 체결되어 결합하도록 한다.
강관(100)에는 외측으로 연통되는 분사공(130)이 형성된다.
분사공(130)에는 외측으로 분사된 보강재가 역류하여 강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부재(500)는, 분사공(130)의 내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몸체부(510)와, 몸체부(510)의 내측단부에 구비되고, 강관(100)의 내주면에 걸림 장착되는 내측걸림부(520)와, 몸체부(510)의 외측단부에 구비되고, 강관(100)의 외주면에 걸림 장착되는 외측걸림부(530)를 포함환다.
강관(100)의 선단부에는 경사지 또는 절개지를 포함한 사면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사부재(600)는 별개로 제작되어 선단측 강관(100)의 둘레에 삽입 설치되고, 용접을 통해 강관(100)의 둘레에 고정된다.
이때, 나사부재(600)는 경사지 또는 절개지를 포함하는 사면의 천공홀(100)에 삽입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판부재(미도시)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나사부재(600)의 나사산에 너트부재(미도시)가 체결된다.
이와같이, 나사부재(600)는 너트부재에 의해 지면에 설치된 지지판부재를 가압하여 지반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작동함에 따라 주입관(200)을 거쳐 천공홀(10)에 보강재 주입이 이루어져 고착된 지반이 긴밀하게 보강되고, 강관(100)의 유동에 의한 절개지, 경사지 등의 지반 소실 및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지반의 천공홀(10)에 팽창부재(420)를 팽창시켜 구획하고, 보강재 주입을 통해 천공홀(10)을 보강시키는 상태를 살펴 본다.
먼저, 공급관(400)을 통해 팽창물질을 주입하면 연결부재(300)의 연통홀부(320)에서 배출통로(410)를 거쳐 팽창물질을 배출시켜 팽창부재(420)를 확장시키고, 천공홀(10)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분리하므로 각 챔버(20)의 외부구간을 구획하도록 한다.
연이어, 제1주입관(210)을 통해 보강재를 주입하면, 첫 번째 연결부재(300)와 두 번째 연결부재(300) 사이에 배치된 강관(100)의 제1챔버(22)에 보강재가 유입되어 분사공(130)에 설치된 체크부재(500)를 통해 천공홀(10)로 주입되어 지반을 보강한다.
그 다음, 제2주입관(220)을 통해 보강재를 주입하면, 두 번째 연결부재(300)와 세 번째 연결부재(300) 사이에 배치된 강관(100)의 제2챔버(24)에 보강재가 유입되어 분사공(130)에 설치된 체크부재(500)를 통해 천공홀(10)로 주입되어 지반을 보강한다.
또한, 제3주입관(230)을 통해 보강재를 주입하면, 세 번째 연결부재(300)와 네 번째 연결부재(300) 사이에 배치된 강관(100)의 제3챔버(26)에 보강재가 유입되어 분사공(130)에 설치된 체크부재(500)를 통해 천공홀(10)로 주입되어 지반을 보강한다.
그리고, 제4주입관(240)을 통해 보강재를 주입하면, 네 번째 연결부재(300)의 단부 측에 배치된 강관(100)의 제4챔버(28)에 보강재가 유입되어 분사공(130)에 설치된 체크부재(500)를 통해 천공홀(10)로 주입되어 지반을 보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는, 강관, 주입관, 공급관을 구간에 따라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다수개의 강관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연결부재를 통해 다수개의 주입관을 연결하여 보강재를 각 챔버를 거쳐 천공홀에 주입하며, 연결부재를 통해 팽창물질을 팽창부재로 공급하여 팽창함으로써, 연결부재를 1가지 타입으로 제작하면 각 챔버 구간에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관과 공급관을 실링부재를 통해 연결부재에 삽입하기만 하면 밀봉이 이루어짐으로써, 관로 연결부위의 기밀성과 조립성을 형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천공홀 20 : 챔버
22 : 제1챔버 24 : 제2챔버
26 : 제3챔버 28 : 제4챔버
100 : 강관 110 : 선단브라켓
120 : 엔드캡 130 : 분사공
200 : 주입관 210 : 제1주입관
220 : 제2주입관 230 : 제3주입관
240 : 제4주입관 300 : 연결부재
310 : 바디부 320 : 연통홀부
322 : 걸림턱부 330 : 안착홈부
340 : 마감부재 342 : 끼움부
344 : 이탈방지돌부 346 : 경사진입부
350 : 실링부재 360 : 차단캡부재
400 : 공급관 410 : 배출통로
420 : 팽창부재 500 : 체크부재
510 : 몸체부 520 : 내측걸림부
530 : 외측걸림부 600 : 나사부재

Claims (13)

  1. 지반에 설치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주입관; 및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강관과 이웃하는 상기 강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바디부;
    상기 주입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통홀부; 및
    상기 강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주입관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될 때,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중 가장 선단부에 위치한 강관에는 선단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강관 중 가장 하단부에 위치한 강관에는 엔드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의 반경방향 깊이는 상기 강관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5. 삭제
  6. 지반에 설치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주입관; 및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강관과 이웃하는 상기 강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바디부;
    상기 주입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통홀부; 및
    상기 강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관은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챔버에 보강재를 각각 공급하도록 상기 연통홀부의 진입측부위까지만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챔버에 보강재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다른 챔버에 보강재가 이동되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통홀부가 마감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연통홀부에 끼움 설치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부에 구비되는 걸림턱부에 걸려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9. 지반에 설치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는 주입관; 및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강관과 상기 주입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강관과 이웃하는 상기 강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바디부;
    상기 주입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통홀부; 및
    상기 강관이 설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홀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급관이 구비되어 팽창물질이 공급되고,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상기 연통홀부에는 팽창물질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강관의 외측에는 팽창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통로에서 배출되는 팽창물질에 의해 팽창되어 각 구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부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주입관과 상기 공급관 사이에 밀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부에는 상기 공급관의 경로를 차단하는 차단캡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에는 외측으로 연통되는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에는 외측으로 분사된 보강재가 역류하여 상기 강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선단부에는 경사지 또는 절개지를 포함한 사면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KR1020190015672A 2019-02-11 2019-02-11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KR10218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72A KR102183344B1 (ko) 2019-02-11 2019-02-11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72A KR102183344B1 (ko) 2019-02-11 2019-02-11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763A KR20200098763A (ko) 2020-08-21
KR102183344B1 true KR102183344B1 (ko) 2020-11-27

Family

ID=7223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72A KR102183344B1 (ko) 2019-02-11 2019-02-11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3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19B1 (ko) * 2007-03-21 2008-03-18 (주)진양비지엠텍 직천공 동시 그라우팅 주입장치
KR101541718B1 (ko) * 2015-02-10 2015-08-05 주식회사 마성건설 이중패커식 그라우팅 장치를 이용한 논실링 그라우팅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419B1 (ko) * 2007-03-21 2008-03-18 (주)진양비지엠텍 직천공 동시 그라우팅 주입장치
KR101541718B1 (ko) * 2015-02-10 2015-08-05 주식회사 마성건설 이중패커식 그라우팅 장치를 이용한 논실링 그라우팅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763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016B1 (ko) 그라우트재 동시주입용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1919084B1 (ko) 이중 패커가 구비된 강관 그라우팅 동시주입장치
KR100772684B1 (ko) 복합 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KR102333126B1 (ko) 선천공 동시주입 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동시 주입 방법
KR100697629B1 (ko)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일링 장치
KR101056416B1 (ko) 가압식 패커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공법
KR102430248B1 (ko) 이중 쐐기형 역류차단밸브를 구비한 원스텝 다단 가압 그라우팅 장치
KR102183344B1 (ko) 조립형 보강재 주입장치
KR101636261B1 (ko) 가압이 가능한 돌기형 강지보재와 가이드빔을 이용한 강관다단 터널 구축 공법
KR101056417B1 (ko) 소일네일링용 가압식 패커
KR102229640B1 (ko) 무실링 동시 주입 강관 보강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1639702B1 (ko) 락볼트
KR102082937B1 (ko) 회수용 코킹 조립체가 구비된 그라우팅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2103791B1 (ko) 이중팩커를 이용한 그라우팅 동시주입 강관
KR102079076B1 (ko) 직천공 그라우팅 동시주입 강관
KR102083383B1 (ko) 그라우팅 동시주입 강관
KR102368275B1 (ko) 원스텝 다단 가압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위한 제거식 패커 장치
KR200434206Y1 (ko) 그라우팅 주입장치용 체크밸브
KR100568763B1 (ko) 다단주입이중관을 이용한 그라우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지반그라우트방법
KR102015467B1 (ko) 강관 다단 그라우팅용 강관구조체
KR102210300B1 (ko) 그루빙타입 보강재 주입장치
JP3834721B2 (ja) 地山補強工法
KR102386141B1 (ko) 강관 다단 그라우팅 장치
KR102565097B1 (ko) 제거식 직천공 동시주입 그라우팅 장치 및 공법
JP2003301448A (ja) 地盤注入材の注入装置および注入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