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203B1 -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 Google Patents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203B1
KR102183203B1 KR1020180113119A KR20180113119A KR102183203B1 KR 102183203 B1 KR102183203 B1 KR 102183203B1 KR 1020180113119 A KR1020180113119 A KR 1020180113119A KR 20180113119 A KR20180113119 A KR 20180113119A KR 102183203 B1 KR102183203 B1 KR 10218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habitat
spotted
format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613A (ko
Inventor
고병설
황인서
배진호
최유나
김성수
박현실
곽기수
Original Assignee
해양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양환경공단 filed Critical 해양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8011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203B1/ko
Priority to PCT/KR2019/010657 priority patent/WO2020060045A1/ko
Publication of KR2020003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물범 서식부, 제1 물범 서식부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물범 서식부, 제1 물범 서식부와 제2 물범 서식부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 물범 서식부, 및 제2 물범 서식부로부터 외해 방향으로 형성되어 파랑을 감쇠시키는 파랑 감쇠부를 포함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HABITAT FOR SPOTTED SEAL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자연 환경 파괴, 고온 현상, 기후 변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식물의 개체수가 줄어들거나 더 나아가 멸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서해안에는 천연기념물 331호 점박이물범이 서식하고 있다. 바다가 오염되고 해수 온도가 변화하는 등 복합적인 이유에 의해 점박이물범은 대략 200마리정도가 남아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백령도 인근에 대부분의 개체가 서식하고 있으며, 또한 서해안의 조석차에 의하여 점박이물범의 서식지가 협소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멸종위기에 놓인 야생동물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적으로 야생동물의 교배를 유도하고,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고, 인공 서식지를 만드는 등 다방면에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984호(2014.08.14 공고)
본 발명은, 복수층의 물범 서식부가 형성되어 해수면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이동하며 서식할 수 있으며, 물범 서식부를 구성하는 석재 사이 공극에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물범 서식부, 제1 물범 서식부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물범 서식부, 제1 물범 서식부와 제2 물범 서식부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 물범 서식부, 및 제2 물범 서식부로부터 외해 방향으로 형성되어 파랑을 감쇠시키는 파랑 감쇠부를 포함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가 제시된다.
중간 물범 서식부는 제1 물범 서식부로부터 제2 물범 서식부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중간 물범 서식부의 경사면은 점박이물범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물범 서식부는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고, 중간 물범 서식부는 제1 물범 서식부로부터 제2 물범 서식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파랑 감쇠부는 해저면에서 제2 물범 서식부로 갈수록 수심이 낮아지게 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키도록 제2 물범 서식부와 해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중간 물범 서식부는 제1 물범 서식부로부터 제2 물범 서식부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제1 물범 서식부 및 제2 물범 서식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물범 서식부 및 제2 물범 서식부를 지지하는 측면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측면 경사부는 중간 물범 서식부 방향으로 점박이물범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중간 물범 서식부보다 급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물범 서식부, 제2 물범 서식부, 중간 물범 서식부 및 파랑 감쇠부는 복수의 석재를 쌓아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석재 사이에는 해양 생물이 서식 가능한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물범 서식부, 제2 물범 서식부, 중간 물범 서식부 및 파랑 감쇠부의 하부의 해저면에 설치되어 부지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범 서식부의 측방향에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3 물범 서식부, 및 제3 물범 서식부의 외해 방향에 제3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4 물범 서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물범 서식부의 높이는 제1 물범 서식부, 제3 물범 서식부, 제2 물범 서식부, 제4 물범 서식부 순으로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점박이물범의 생리 활동 및 휴식을 위한 점박이물범 서식지 조성 방법으로서, 부지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해저면에 매트를 설치하는 단계, 매트의 상부에 석재를 기준수준면보다 높게 쌓아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복수의 물범 서식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물범 서식부의 외해 방향에 석재를 쌓아 파랑으로부터 물범 서식부를 보호하는 파랑 감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물범 서식부는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물범 서식부, 제1 물범 서식부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물범 서식부, 제1 물범 서식부와 제2 물범 서식부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 물범 서식부를 포함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조성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층의 물범 서식부가 형성되어 해수면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이동하며 서식할 수 있으며, 물범 서식부를 구성하는 석재 사이 공극에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를 나타낸 우측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의 외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를 나타낸 조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100) 및 점박이물범 서식지(100) 조성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물범 서식부(110), 제1 물범 서식부(110)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물범 서식부(1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물범 서식부(112), 제1 물범 서식부(110)와 제2 물범 서식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 물범 서식부(118), 및 제2 물범 서식부(112)로부터 외해 방향으로 형성되어 파랑을 감쇠시키는 파랑 감쇠부(130)를 포함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100)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층의 물범 서식부는 기본수준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해수면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이동하며 서식할 수 있으며, 물범 서식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석재(160) 사이 공극(162)은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점박이물범 서식지(100)는 점박이물범이 휴식 및 생리 활동을 할 수 있는 서식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해조류, 어패류 등의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범 서식부(110)는 복수의 석재(160)로 형성되며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물범 서식부(110)는 기본수준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해수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휴식, 생리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석재(160)는 1.0㎥급의 석재(160)로 형성되며, 복수의 석재(160) 사이에 공극(162)이 형성되어 해조류 및 어패류 등의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복수의 석재 사이 공극은 쥐노래미, 조피볼락 등 서해안 주요어종이 서식지(은신처, 산란장 등)로 이용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여 점박이물범의 먹이 자원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해양 생물의 개체수 증가로 주변 어장 및 어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물범 서식부(112)는 제1 물범 서식부(110)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물범 서식부(1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물범 서식부(112)는 상술한 제1 물범 서식부(110)와 같이 복수의 석재(160)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본수준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물범 서식부(112)는 제1 물범 서식부(110)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물범 서식부(110)는 제2 물범 서식부(112)보다 높은 위치에 복수의 석재(160)를 쌓아서 형성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높아질수록 평면 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2 물범 서식부(112)는 제1 물범 서식부(110)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물범 서식부(118)는 제1 물범 서식부(110)와 제2 물범 서식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점박이물범은 해수면 근처에서 생활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가 생기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점박이물범의 습성에 적합한 서식지의 환경을 위하여 중간 물범 서식부(118)는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물범 서식부(118)는 제1 물범 서식부(110)로부터 제2 물범 서식부(112)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중간 물범 서식부(118)의 경사면은 상술한 바와 같은 습성을 가진 점박이물범이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하는 동시에 점박이물범이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물범 서식부(118)의 경사면은 점박이물범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간 물범 서식부(118)는 제1 물범 서식부(110)와 제2 물범 서식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하므로 점박이물범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경사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점박이물범은 육상에서 몸을 옆으로 굴려 이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점박이물범이 중간 물범 서식부(118) 위를 이동할 때 경사도가 일정하지 않거나 급한 경우 이동이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몸을 굴려 이동하는 점박이물범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간 물범 서식부(118)의 경사도는 15~2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 중간 물범 서식부(118)는 높이와 밑변의 길이의 비가 1:5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랑 감쇠부(130)는 제2 물범 서식부(112)로부터 외해 방향으로 형성되어 파랑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파랑 감쇠부(130)는 해저면에서 제2 물범 서식부(112)로 갈수록 수심이 낮아지게 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키도록 제2 물범 서식부(112)와 해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파랑 감쇠부(130)는 제2 물범 서식부(112)와 해저면 사이에 해저면에서 제2 물범 서식부(112)로 갈수록 수심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파랑에너지를 감쇠시켜 제2 물범 서식부(112)에 전달되는 파랑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파랑 감쇠부(130)는 점진적으로 수심을 낮춰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키는 것이 파랑 감쇠부(130)에 전달되는 파랑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파랑 감쇠부(130)의 경사도가 낮은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파랑 감쇠부(130)는 경제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10~30%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파랑 감쇠부(130)는 높이와 밑변의 길이의 비가 1:5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랑 감쇠부(130) 및 상술한 중간 물범 서식부(118)는 외해 방향에서 진입하는 점박이물범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상술한 경사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경사부(140)는 제1 물범 서식부(110) 및 제2 물범 서식부(1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물범 서식부(110) 및 제2 물범 서식부(11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경사부(140)는 제1 물범 서식부(110) 및 제2 물범 서식부(1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물범 서식부(110) 및 제2 물범 서식부(112)를 구조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점박이물범 서식지(100)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경사부(140)는 중간 물범 서식부(118) 방향으로 점박이물범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중간 물범 서식부(118)보다 급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측면 경사부(140)는 경사도가 급하게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이동하기 불편하게 하여 중간 물범 서식부(118)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측면 경사부(140)는 60% 내지 70%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으며, 자세하게 높이와 밑변의 길이의 비가 1:1.5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물범 서식부(114)는 제1 물범 서식부(110)의 측방향에 제1 물범 서식부(1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물범 서식지는 제3 물범 서식부(114)의 외해 방향에 제3 물범 서식부(114)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물범 서식부(110)와 제2 물범 서식부(112)가 하나의 유닛으로 점박이물범 서식지(100)의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조수차에 따라서 물범 서식부의 높이를 다양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제3 물범 서식부(114) 및 제4 물범 서식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물범 서식부(116)의 높이는 제1 물범 서식부(110), 제3 물범 서식부(114), 제2 물범 서식부(112), 제4 물범 서식부(116) 순으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점박이물범은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서 제1 내지 제4 물범 서식부(116) 각각을 이동하며 생활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4 물범 서식부(116)는 기본수준면 DL+0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물범 서식부(116)는 각각 1m의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물범 서식부(116)의 높이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4 물범 서식부(116)는 기본수준면보다 높이 형성되는 것이 점박이물범의 서식 공간 확보에 바람직할 것이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물범 서식부(110), 제2 물범 서식부(112), 중간 물범 서식부(118) 및 파랑 감쇠부(130)는 복수의 석재(16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석재(160) 사이에는 해양 생물이 서식 가능한 공극(16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석재(1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16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50)는 제1 물범 서식부(110), 제2 물범 서식부(112), 중간 물범 서식부(118) 및 파랑 감쇠부(130)의 하부의 해저면에 설치되어 부지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매트(150)는 폴리에스터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해저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점박이물범 서식지(100)를 조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석재(160)를 쌓는 과정에서 생기는 토사의 이동 및 부유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점박이물범 서식지(100) 조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점박이물범 서식지(100) 조성 방법은 점박이물범의 생리 활동 및 휴식을 위한 점박이물범 서식지(100) 조성 방법으로서, 부지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해저면에 매트(150)를 설치하는 단계, 매트(150)의 상부에 석재(160)를 기준수준면보다 높게 쌓아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복수의 물범 서식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물범 서식부의 외해 방향에 석재(160)를 쌓아 파랑으로부터 물범 서식부를 보호하는 파랑 감쇠부(13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범 서식부는 도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물범 서식부(110), 제1 물범 서식부(110)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물범 서식부(1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물범 서식부(112), 제1 물범 서식부(110)와 제2 물범 서식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 물범 서식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상술한 점박이물범 서식지(100) 조성 방법의 순서가 진행되기 전에 대상 조성 위치의 수심 측정을 하여 시공 순서 및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전파측위, 위성측위, 광학적 측위 등 다양한 수심 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심을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석재(160)가 쌓이기 전에 매트(150)를 설치하여 해저면을 평탄화할 수 있으며, 매트(150)가 설치된 경우 이후 진행되는 석재(160) 쌓는 과정에서 부유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물범 서식부(116), 중간 물범 서식부(118), 파랑 감쇠부(130) 및 측면 경사부(14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석재(160)를 활용한 큰돌쌓기 공법으로 시공하여 생물 부착, 서식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사용되는 석재(160)는 이웃하는 석재(160)와 크기 및 맞물림면을 고려하여 배치 및 시공되며, 이를 통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갖음과 동시에 석재(160) 사이에 공극(16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석재(160) 사이로 공극(162)이 형성되어 조류, 파랑 등의 변화로 인한 지형 및 어장환경 변화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점박이물범 서식지
110: 제1 물범 서식부
112: 제2 물범 서식부
114: 제3 물범 서식부
116: 제4 물범 서식부
120: 중간 물범 서식부
130: 파랑 감쇠부
140: 측면 경사부
150: 매트
160: 석재
162: 공극

Claims (10)

  1.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물범 서식부;
    상기 제1 물범 서식부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물범 서식부;
    상기 제1 물범 서식부와 상기 제2 물범 서식부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 물범 서식부; 및
    상기 제2 물범 서식부로부터 외해 방향으로 형성되어 파랑을 감쇠시키는 파랑 감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는 상기 제1 물범 서식부로부터 상기 제2 물범 서식부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1 물범 서식부 및 상기 제2 물범 서식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물범 서식부 및 상기 제2 물범 서식부를 지지하는 측면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경사부는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 방향으로 점박이물범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보다 급한 경사도를 갖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는 상기 제1 물범 서식부로부터 상기 제2 물범 서식부로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의 경사면은 점박이물범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범 서식부는 상기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는 상기 제1 물범 서식부로부터 상기 제2 물범 서식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랑 감쇠부는 해저면에서 상기 제2 물범 서식부로 갈수록 수심이 낮아지게 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키도록 상기 제2 물범 서식부와 해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범 서식부, 상기 제2 물범 서식부,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 및 상기 파랑 감쇠부는 복수의 석재를 쌓아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석재 사이에는 해양 생물이 서식 가능한 공극이 형성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범 서식부, 상기 제2 물범 서식부, 상기 중간 물범 서식부 및 상기 파랑 감쇠부의 하부의 해저면에 설치되어 부지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매트를 더 포함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범 서식부의 측방향에 상기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3 물범 서식부; 및
    상기 제3 물범 서식부의 외해 방향에 상기 제3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4 물범 서식부를 더 포함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물범 서식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물범 서식부, 상기 제3 물범 서식부, 상기 제2 물범 서식부, 상기 제4 물범 서식부 순으로 낮아지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10. 점박이물범의 생리 활동 및 휴식을 위한 점박이물범 서식지 조성 방법으로서,
    부지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해저면에 매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매트의 상부에 석재를 기준수준면보다 높게 쌓아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복수의 물범 서식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물범 서식부의 외해 방향에 석재를 쌓아 파랑으로부터 상기 물범 서식부를 보호하는 파랑 감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범 서식부는,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물범 서식부;
    상기 제1 물범 서식부에 대해 외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물범 서식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점박이물범이 서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물범 서식부;
    상기 제1 물범 서식부와 상기 제2 물범 서식부 사이에 형성되어 해수면 높이의 변화에 따라 점박이물범이 해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중간 물범 서식부를 포함하는, 점박이물범 서식지 조성 방법.
KR1020180113119A 2018-09-20 2018-09-20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KR10218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19A KR102183203B1 (ko) 2018-09-20 2018-09-20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PCT/KR2019/010657 WO2020060045A1 (ko) 2018-09-20 2019-08-21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19A KR102183203B1 (ko) 2018-09-20 2018-09-20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13A KR20200033613A (ko) 2020-03-30
KR102183203B1 true KR102183203B1 (ko) 2020-11-25

Family

ID=6988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119A KR102183203B1 (ko) 2018-09-20 2018-09-20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3203B1 (ko)
WO (1) WO202006004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37Y1 (ko) 2000-09-25 2001-09-25 한상관 강이나 하천의 저수로에 돌 상자를 이용한 다단계 계단의 구조에 의해 물고기와 양서류 또는 파충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의 다단계 계단 겸용 침수방지 축대의 구조
KR100762474B1 (ko) 2007-05-11 2007-10-02 김광원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잠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9534B2 (ja) * 1990-09-11 1998-08-20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人工擬岩岩礁及びその設置方法
JPH1067581A (ja) * 1996-08-23 1998-03-10 Toa Harbor Works Co Ltd 水中の環境共生型ブロックの形成方法
US20080276533A1 (en) * 2004-12-09 2008-11-13 Fountainhead L.L.C. Renewably buoyant, self-protective floating habitat
AU2014229180A1 (en) * 2013-03-15 2015-10-08 Michael BARTKOWSKI Artificial reef
KR101420984B1 (ko) 2013-11-01 2014-08-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파제 및 어초 기능을 구비하는 수중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1688008B1 (ko) * 2014-07-03 2016-12-2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37Y1 (ko) 2000-09-25 2001-09-25 한상관 강이나 하천의 저수로에 돌 상자를 이용한 다단계 계단의 구조에 의해 물고기와 양서류 또는 파충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의 다단계 계단 겸용 침수방지 축대의 구조
KR100762474B1 (ko) 2007-05-11 2007-10-02 김광원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잠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보도자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045A1 (ko) 2020-03-26
KR20200033613A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036B1 (ko)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CN110835899B (zh) 一种环状内凹型湿地水鸟栖息繁殖岛及其构建方法和应用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AU2012201758A1 (en) Artificial Reef for Seaweed
KR200386996Y1 (ko) 간벌목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Cowles et al. Negative interspecies interactions in a Glaucous-winged Gull colony on Protection Island, Washington
KR102183203B1 (ko)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KR101375558B1 (ko) 다단 대형 파이프형 인공어초
KR101708685B1 (ko) 트라이포드 인공어초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KR100996879B1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KR100734466B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0315165B1 (ko) 상자형 인공어초
KR100424135B1 (ko) 다기능성 어초
KR102350819B1 (ko) 화로형 인공어초
KR101239378B1 (ko)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20170005923A (ko) 맹꽁이 인공사육시설
KR20040026980A (ko) 피라미드식 강제어초
KR100977533B1 (ko) 인공 어초
KR200389601Y1 (ko) 인공어초
JPH0739270A (ja) 造礁サンゴの無性生殖法と浮力体を利用した魚礁の造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