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036B1 -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 Google Patents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036B1
KR101683036B1 KR1020140057731A KR20140057731A KR101683036B1 KR 101683036 B1 KR101683036 B1 KR 101683036B1 KR 1020140057731 A KR1020140057731 A KR 1020140057731A KR 20140057731 A KR20140057731 A KR 20140057731A KR 101683036 B1 KR101683036 B1 KR 101683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bitat
area
terrain
preserving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753A (ko
Inventor
양덕석
손병훈
최지혜
박기숙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주식회사 이산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4005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0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완경사 지형부(11),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 교목식재부(13), 하부 은신처(14), 산란처(15), 동면지(16), 제 2 완경사 지형부(17), 그리고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를 포함하고 완경사 보존 지형인 凹형 지형의 습지로 조성되는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경사 지형부(11)는 북방산개구리의 접근성을 확보되도록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일측에 사면 경사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완경사 지형부(17)는 기존 수림대(19)와 서식처 간에 북방산개구리의 접근성을 확보되도록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타측에 사면 경사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는 1 완경사 지형부(11)와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이 맞닿는 영역에 형성되며 북방산개구리의 먹이인 곤충류를 유인하도록 화관목과 초화류가 식재되고, 상기 교목식재부(13)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 완경사 영역에 형성되며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 상에서 그늘 확보 및 수온조절과 식재된 왕버들의 낙엽이 제 2 하향단(DS2)으로 흘러 내려가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처를 제공하도록 왕버들이 식재되며, 상기 하부 은신처(14)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에서 수평 영역에 형성되며 북방산개구리가 자연석의 하부로 은신할 수 있도록 자연석이 놓여지고, 상기 산란처(15)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2 하향단(DS2)에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 사이에 수심 0.1 m 전후의 개방 수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면지(16)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수평 영역에 산란처(15)의 최상단 수면으로부터 수심 1.5 내지 2 m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동면지(16)를 제공하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경사면 및 수평 영역에는 북방산개구리의 동면을 위한 자연석이 놓여지며,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는 제 2 상향단(US2)의 완경사 영역 중 제 2 상향단(US2)의 수평 영역과 인접하게 화관목과 초화류가 식재되고, 상기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은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로부터 동면지(16) 까지 길이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하향단과 동면지(16)으로부터 제 2 완경사 지형부(17)까지 길이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2 상향단(US1 내지 US2)의 다단의 상향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과 제 1 내지 제 2 상향단(US1 내지 US2)은 길이방향으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상,하향단(US1,DS1) 과 제 2 상,하향단(US2,DS2)의 완경사 영역은 수평 영역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습지 조성시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의 가치를 보존시키기 위한 생태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북방산개구리 생태 특성에 맞춰서 공간을 디자인하고 구체화하며, 실제 습지 실시설계시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생태 습지 내 양서류 서식처 조성에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습지 조성시 생물서식처도 함께 조성하는 하이브리드 습지를 만들 수 있으며, 개체 존재가 희박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처가 아니라 생물지표종인 북방산개구리 서식처를 복원 또는 대체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조건하에서 광범위 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Construction structure of natural restoration for rana dybowskii's habitats}
본 발명은 습지 조성시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복원으로 생태계 구조의 지속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국토의 효율적 토지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개발사업으로 인해 자연환경과 생물서식처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생물서식처와 관련된 환경압에 대한 대안으로 생물서식처를 복원하거나 대체조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정부에서는 기후변화 생물지표(CBIS; Climate-sensitive Biologocal Indicator Species)를 설정해 놓고 있다. 기후변화 생물지표는 기후변화로 인해 계절활동, 분포역 및 개체군 크기 변화가 뚜렷하거나 뚜렷할 것으로 예상되어 지표화하여 정부에서 지속적인 조사ㆍ관리가 필요한 생물종을 의미하며 그 중 하나로 북방산개구리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산간 계곡이나, 하천변, 댐 주변 서식생물 중 환경부지정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북방산개구리의 개체보존 및 유지와 더 나아가 먹이사슬 중간 단계인 양서류의 서식환경 거점을 조성함으로써, 생태계구조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Revetment of watercourse bank for inhabitation of aquatic animal)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20246호)
2.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Spontaneous restoring equipment for Kaloula)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6688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습지 조성시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복원으로 생태계 구조의 지속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는, 제 1 완경사 지형부(11),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 교목식재부(13), 하부 은신처(14), 산란처(15), 동면지(16), 제 2 완경사 지형부(17), 그리고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를 포함하고 완경사 보존 지형인 凹형 지형의 습지로 조성되는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경사 지형부(11)는 북방산개구리의 접근성을 확보되도록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일측에 사면 경사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완경사 지형부(17)는 기존 수림대(19)와 서식처 간에 북방산개구리의 접근성을 확보되도록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타측에 사면 경사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는 1 완경사 지형부(11)와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이 맞닿는 영역에 형성되며 북방산개구리의 먹이인 곤충류를 유인하도록 화관목과 초화류가 식재되고, 상기 교목식재부(13)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 완경사 영역에 형성되며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 상에서 그늘 확보 및 수온조절과 식재된 왕버들의 낙엽이 제 2 하향단(DS2)으로 흘러 내려가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처를 제공하도록 왕버들이 식재되며, 상기 하부 은신처(14)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에서 수평 영역에 형성되며 북방산개구리가 자연석의 하부로 은신할 수 있도록 자연석이 놓여지고, 상기 산란처(15)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2 하향단(DS2)에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 사이에 수심 0.1 m 전후의 개방 수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면지(16)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수평 영역에 산란처(15)의 최상단 수면으로부터 수심 1.5 내지 2 m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동면지(16)를 제공하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경사면 및 수평 영역에는 북방산개구리의 동면을 위한 자연석이 놓여지며,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는 제 2 상향단(US2)의 완경사 영역 중 제 2 상향단(US2)의 수평 영역과 인접하게 화관목과 초화류가 식재되고, 상기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은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로부터 동면지(16) 까지 길이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하향단과 동면지(16)으로부터 제 2 완경사 지형부(17)까지 길이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2 상향단(US1 내지 US2)의 다단의 상향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과 제 1 내지 제 2 상향단(US1 내지 US2)은 길이방향으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상,하향단(US1,DS1) 과 제 2 상,하향단(US2,DS1)의 완경사 영역은 수평 영역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초화류는 구절초, 벌개미취 및 원추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하향단(DS2), 제 3 하향단(DS3), 제 1 상향단(US1)으로 이루어진 북방산개구리 서식처(A2)는 원지반 다짐 후에 최소 15cm 이상의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 위에는 토사로 15cm 이상 피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는, 습지 조성시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의 가치를 보존시키기 위한 생태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는, 북방산개구리 생태 특성에 맞춰서 공간을 디자인하고 구체화하며, 실제 실시설계시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생태 습지 내 양서류 서식처 조성에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는, 습지 조성시 생물 서식처도 함께 조성하는 하이브리드 습지를 건설할 수 있으며, 개체 존재가 희박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처가 아니라 생물지표종인 북방산개구리 서식처를 복원 또는 대체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조건하에서 광범위 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의 구성요소 및 다단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가 실제로 습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의 구성요소 및 다단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가 실제로 습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는 제 1 완경사 지형부(11),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 교목식재부(13), 하부 은신처(14), 산란처(15), 동면지(16), 제 2 완경사 지형부(17), 그리고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를 포함하고, 완경사 보존 지형인 凹형 지형의 습지로 조성된다.
제 1 완경사 지형부(11)는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의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일 측에 형성되며, 사면 경사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어 북방산개구리의 서식처 조형의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은 도 1과 같이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와 인접하여 교목식재부(13), 하부 은신처(14), 산란처(15), 동면지(16), 제 2 완경사 지형부(17), 그리고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제 1 완경사 지형부(11)와 제 2 완경사 지형부(17)에 의해 생물서식처로 조성되는 습지 내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는 북방산개구리 서식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완경사 보존 지형이 형성되며, 제 1 완경사 지형부(11) 및 제 2 완경사 지형부(17)의 경사면에는 북방산개구리 주생활터로 녹지사면과,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가 형성된다.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는 제 1 완경사 지형부(11)와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이 맞닿는 영역에 형성되며, 화관목과 초화류를 식재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에 식재된 초화류에 의해 곤충류에 대한 유인 기능이 수행되며, 초화류 지대는 구절초, 벌개미취, 원추리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곤충류에 대한 유인 기능을 극대화한다.
한편,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은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로부터 동면지(16)까지 길이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의 다단의 하향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하향단(제 1 하향단(DS1), 제 2 하향단(DS2) 및 제 3 하향단(DS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2 상향단(US1 내지 US2)에서 하향 및 상향의 개념은 도 1의 F1 방향으로의 진행시를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한 개념으로, 절대적인 하향 및 상향의 개념이 아님을 명확히 한다.
교목식재부(13)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에서 완경사 영역에 형성되며, 왕버들이 식재된다. 식재된 왕버들은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 상에서 그늘 확보 및 수온조절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식재된 왕버들의 낙엽은 제 2 하향단(DS2)으로 흘러 내려가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부 은신처(14)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에서 수평 영역에 형성되며, 자연석이 놓여져서 자연석의 하부로 북방산개구리가 은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산란처(15)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2 하향단(DS2)에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 사이에 수심 0.1 m(10 cm) 전후의 개방 수면으로 형성된다.
동면지(16)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수평 영역에 산란처(15)의 최상단 수면으로부터 수심 1.5 내지 2 m의 깊이를 갖고 형성되며, 북방산개구리의 동면지를 제공한다.
한편, 동면지(16)를 제공하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경사면 및 수평 영역에는 자연석이 놓여 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드(pond)의 수심은 산란처(15)를 형성하는 폰드(pond)의 수심이 얕은 부분으로 0.1 m에서부터 동면지(16)를 형성하는 깊은 부분으로 1.5 내지 2 m 사이에 조성된다. 그리고 제 2 하향단(DS2), 제 3 하향단(DS3), 제 1 상향단(US1)으로 이루어진 북방산개구리 서식처(A2)는 원지반 다짐 후에 최소 15cm 이상의 방수층이 확보되어야 하며, 방수층 위에는 양질의 토사로 15cm 이상 피복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동면지(16)가 형성된 제 3 하향단(DS3)을 중심으로 제 1,2 하향단(DS1,DS2)과 인접한 반대 영역으로는 다단의 상향단인 제 1 상향단(US1) 및 제 2 상향단(US2)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상,하향단(US1,DS1) 및 제 2 상,하향단(US2,Ds2) 각각은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이 포함되며, 각 상향단의 완경사 영역은 수평 영역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산란처(15)의 최상단 수면에 해당하는 영역과 수평면상으로 만나는 영역은 자연석을 활용하여 식재가 침범하지 않는 개방수면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2 완경사 지형부(17)는 제 2 상향단(US2)의 완경사 영역에 형성되어 기존 수림대(19)와 서식처 간에 북방산개구리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사도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도로 형성된다.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는 제 2 상향단(US2)의 완경사 영역 중 제 2 상향단(US2)의 수평 영역과 인접하게 화관목과 초화류가 식재되어 형성됨으로써, 초화류에 의해 기존 수림대(19)로부터의 곤충류에 대한 유인 기능을 극대화한다.
기존 수림대(19)는 서식처 조성 이전에 있던 자연환경으로, 서식처 조성시 기존 수림대와 인접하여 연계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은 북방산개구리의 비오톱(biotope)을 의미하며, 상술하는 제 2 하향단(DS2), 제 3 하향단(DS3), 제 1 상향단(US1)으로 이루어진 북방산개구리 서식처(A2)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북방산개구리의 서식을 위한 먹이터, 산란처, 은신처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그리고 북방산개구리 서식처(A2)는 생태 습지 및 생물 서식처로 생태계 복원사업 등과 연계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에 의해 북방산개구리 서식처의 물리적 환경과 북방산개구리 생활특성을 반영한 서식처 구성요소의 기술적 조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주변 청정환경과 연계되는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거점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특히, 댐 주변 특성인 상시 만수위와 하천변 수위 상승을 극복하기 위해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을 서식처 부지 형태(凹형 지형)와 서식처 구성요소(주생활터, 산란처, 은신처, 먹이터 및 휴식처, 동면장소)에 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복원 및 대체서식처의 기술적 조성이 가능하다.
凹형 지형 형성으로 인해 댐 및 하천 주변에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조성시, 상시 만수위 또는 하천수위 상승에도 물에 잠기지 않도록 습지 제방의 높이가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북방산개구리 서식처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구조
11: 제 1 완경사 지형부
12: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
13: 교목식재부
14: 하부 은신처
15: 산란처
16: 동면지
17: 제 2 완경사 지형부
18: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
A1: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
A2: 북방산 개구리 서식처

Claims (11)

  1. 제 1 완경사 지형부(11),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 교목식재부(13), 하부 은신처(14), 산란처(15), 동면지(16), 제 2 완경사 지형부(17), 그리고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를 포함하고 완경사 보존 지형인 凹형 지형의 습지로 조성되는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1)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경사 지형부(11)는 북방산개구리의 접근성을 확보되도록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일측에 사면 경사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완경사 지형부(17)는 기존 수림대(19)와 서식처 간에 북방산개구리의 접근성을 확보되도록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타측에 사면 경사가 1 : 4 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는 1 완경사 지형부(11)와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이 맞닿는 영역에 형성되며 북방산개구리의 먹이인 곤충류를 유인하도록 화관목과 초화류가 식재되고,
    상기 교목식재부(13)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 완경사 영역에 형성되며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 상에서 그늘 확보 및 수온조절과 식재된 왕버들의 낙엽이 제 2 하향단(DS2)으로 흘러 내려가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처를 제공하도록 왕버들이 식재되며,
    상기 하부 은신처(14)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1 하향단(DS1)에서 수평 영역에 형성되며 북방산개구리가 자연석의 하부로 은신할 수 있도록 자연석이 놓여지고,
    상기 산란처(15)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2 하향단(DS2)에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 사이에 수심 0.1 m 전후의 개방 수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면지(16)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수평 영역에 산란처(15)의 최상단 수면으로부터 수심 1.5 내지 2 m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동면지(16)를 제공하는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의 제 3 하향단(DS3)의 경사면 및 수평 영역에는 북방산개구리의 동면을 위한 자연석이 놓여지며,
    제 2 휴식처 및 먹이터(18)는 제 2 상향단(US2)의 완경사 영역 중 제 2 상향단(US2)의 수평 영역과 인접하게 화관목과 초화류가 식재되고,
    상기 서식처 환경 보전 지형 영역(A1)은 제 1 휴식처 및 먹이터(12)로부터 동면지(16) 까지 길이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하향단과 동면지(16)으로부터 제 2 완경사 지형부(17)까지 길이 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2 상향단(US1 내지 US2)의 다단의 상향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향단(DS1 내지 DS3)과 제 1 내지 제 2 상향단(US1 내지 US2)은 길이방향으로 완경사 영역과 수평 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상,하향단(US1,DS1) 과 제 2 상,하향단(US2,DS2)의 완경사 영역은 수평 영역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화류는 구절초, 벌개미취 및 원추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향단(DS2), 제 3 하향단(DS3), 제 1 상향단(US1)으로 이루어진 북방산개구리 서식처(A2)는 원지반 다짐 후에 최소 15cm 이상의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 위에는 토사로 15cm 이상 피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57731A 2014-05-14 2014-05-14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KR101683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731A KR101683036B1 (ko) 2014-05-14 2014-05-14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731A KR101683036B1 (ko) 2014-05-14 2014-05-14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53A KR20150130753A (ko) 2015-11-24
KR101683036B1 true KR101683036B1 (ko) 2016-12-07

Family

ID=5484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731A KR101683036B1 (ko) 2014-05-14 2014-05-14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37A (ko) 2018-04-12 2019-10-2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귀뚜라미와 산개구리 산개구리 동면 및 산란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262B (zh) * 2016-05-24 2017-11-10 谢庭生 紫色土丘岗缓坡蜂窝状坡面林草复合种植高效利用方法
CN106012947B (zh) * 2016-06-12 2018-06-0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地形地貌条件的鱼类栖息地划分方法
CN105951660B (zh) * 2016-06-20 2018-04-0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库上下游及干支流鱼类栖息地综合保护系统
CN110651755A (zh) * 2019-09-26 2020-01-07 黄山龙王潭生态园有限公司 一种生态棘胸蛙养殖方法
CN110835899B (zh) * 2019-11-22 2021-11-02 山东黄河三角洲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局 一种环状内凹型湿地水鸟栖息繁殖岛及其构建方法和应用
CN110984059A (zh) * 2019-12-18 2020-04-10 山东黄河三角洲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委员会 一种滨海河口湿地保护与修复系统构建方法和应用
CN117449243B (zh) * 2023-11-08 2024-07-23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用于生境栖息地修复的生态丁坝群构建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68B1 (ko) *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100958933B1 (ko) * 2009-07-22 2010-05-19 주식회사 에코탑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980A (ko) * 2003-02-05 2004-08-11 상 을 이 생물다양성 복원에 적합한 인공 생태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68B1 (ko) *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100958933B1 (ko) * 2009-07-22 2010-05-19 주식회사 에코탑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영선. 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 대체서식시 계획 모형 -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 맹꽁이 서식처를 사례로 -: 상명대학교. 2008년, 박사학위 논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37A (ko) 2018-04-12 2019-10-2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귀뚜라미와 산개구리 산개구리 동면 및 산란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53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036B1 (ko)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Preston Vanishing landscapes: Land and life in the Tulare Lake Basin
Green et al. North American amphibians: distribution and diversity
KR20170003764A (ko)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Steegman Boreal forest adaptations: The northern Algonkians
Junk et al. Flood pulsing and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biodiversity in floodplains
CN110835899B (zh) 一种环状内凹型湿地水鸟栖息繁殖岛及其构建方法和应用
KR101315363B1 (ko)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KR100958933B1 (ko)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Cowles et al. Negative interspecies interactions in a Glaucous-winged Gull colony on Protection Island, Washington
Nougaret et al. A study of phylloxera infestation in California as related to types of soils
KR20170005923A (ko) 맹꽁이 인공사육시설
KR102375671B1 (ko)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Mnaya et al. Ecohydrology-based planning as a solution to address an emerging water crisis in the Serengeti ecosystem and Lake Victoria
Reitan et al. Responses of birds to damming-a review of the influence of lakes, dams and reservoirs on bird ecology
KR100938668B1 (ko)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Turner et al. Vulnerability of island flora and fauna in the Great Barrier Reef to climate change
Denevan The aboriginal settlement of the Llanos de Mojos: a seasonally inundated Savanna in Northeastern Bolivia.
TWI605751B (zh) Wetland restoration methods and wetlands
Morreale et al. Community-level enhancements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Hutson Environmental heterogeneity in the Chunchucmil economic region
Hanberry et al. Biodiversity and representative species in dry pine forests
KR102183203B1 (ko)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Khan Amphibians of Pakistan and their conservation status
KR20050040049A (ko) 곤충서식 환경 조성형 인공연못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