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933B1 -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 Google Patents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933B1
KR100958933B1 KR1020090066883A KR20090066883A KR100958933B1 KR 100958933 B1 KR100958933 B1 KR 100958933B1 KR 1020090066883 A KR1020090066883 A KR 1020090066883A KR 20090066883 A KR20090066883 A KR 20090066883A KR 100958933 B1 KR100958933 B1 KR 10095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bitat
water
delete delete
low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영
김형인
정흥락
김현돈
최승운
심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to KR102009006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는, 멸종위기2급으로 분류되어 있어 개체수가 희소한 맹꽁이를 자연 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조성되는, 생태조성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① 맹꽁이의 서식장치를 조성하기 위한 지역의 하방을 최소 1m 이상을 파내 단단하게 다짐한 원지반다짐층 상부에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이상 방수층이 조성되는 기초지반과; ② 상기 맹꽁이의 서식 및 산란을 위해 수면이 얕고 아늑한 독립적인 분위기의 단위공간이 다수 구비되도록 그 외측 끝단이 구불구불한 형태로 조성되고, 상기 기초지반 상부는 부드러운 점질성토사인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두께 이상의 표토층이 형성되고 일정 넓이만큼 용수가 채워지며, 상기 맹꽁이의 산란에 적합한 pH(수소이온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애기부들, 꽃창포, 달뿌리풀, 갈대, 부들, 매자기를 포함한 정수식물 중, 갈대가 포함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태로 식재되는 저습지부와; ③ 맹꽁이에 대한 서식의 효율을 높이고 외부와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저습지부 둘레에 일정폭을 가지는 형태이되, 하부는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이 되는 곤충이나 벌레의 서식과 맹꽁이의 하·동면에 적합한 서식구조를 위해 토사가 복토되고, 상기 토사 상부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지렁이와 개미와 벌레들의 서식을 위한 썩은 나무와 통나무와 짚더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토사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색깔이 화려한 비비추, 부처꽃, 왕원추리, 물레나물, 제비붓꽃, 삼백초, 참좁쌀풀을 포함하는 관목 및 초본 중, 색깔이 다른 어느 두 종 이상을 포함하여 식재시키는 완충토사지부와; ④ 상기 완충토사지부의 외측 둘레에 일정폭으로 맹꽁이 서식에 적합하고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환경을 위해 외부에서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울타리용 식재로서 갯버들, 꼬리조팝, 쉬땅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재에 의해 조성되는 울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습지부와 완충토사지부에 나무와 식재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수면(open space)이 70% 이상 유지되도록 식재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점 사라져가는 맹꽁이가 자연상태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그 생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맹꽁이의 서식처 조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줌은 물론, 이러한 맹꽁이의 서식 복원을 통해 청정 생태 환경을 보존 및 유지하는 데 유용하게 적용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맹꽁이, 서식, 자연, 환경, 복원, 습지, 완충지

Description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Spontaneous restoring equipment for Kaloula}
본 발명은 멸종위기2급으로 분류되어 있어 개체수가 희소한 맹꽁이를 자연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조성되는,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 사고가 확산되면서 생물종과 함께 그 서식처를 보전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각종 개발이 계속되고 있어 많은 야생동물 서식처가 의도와는 상관없이 훼손되거나, 매립됨으로써 그 면적이 감소되고 있다.
환경을 보호하고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기 위해서, 이러한 서식처를 자연 그대로 보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지만, 어쩔 수 없이 훼손시켜야 하거나 소실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효율적인 방법으로 복원하거나 대체서식처를 조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렇게 종을 번식시키고 서식처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개발과 기술개발이 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75522호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은 반딧불이 사육장치와 사육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종의 증식에 중점을 두고 있을뿐 근본적인 해결방안인 서식처 복원에 대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25958호 『친환경적인 반딧불이 복원장치』의 경우 소규모 공원이나 도시내 옥상, 정원과 같은 공간에 반딧불이가 생육할 수 있는 자연환경을 조성하여 반딧불이의 생태를 복원하는 반딧불이 복원시시템 및 이의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의 복원이 아닌 서식처의 조성을 통해 자연생태계를 복구할 수 있도록 고안한 특허이나 전체적인 반딧불이의 생태를 고려한 것이 아닌 수환경(정화연못)에 중점을 두고 고안된 특허이다.
한편 자연 생태환경 또는 서식처 복원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6407호 『아파트 내에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시스템』이 있으나 이는 단지 특정 종과 그 서식처의 복원이라기보다는 도시 내 자연 생태늪의 조성에 관한 정도의 기술이고, 또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84810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 및 구조』는 생물의 종의 특성을 연구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맹꽁이에 대한 서식처 복원을 위한 특허출원 사례를 없다.
개구리류는 파충류나 대형조류의 먹이원이기 때문에 개구리류의 개체수 증가 혹은 서식처 복원은 먹이사슬을 다양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 양서류가 사라지는 것은 생태계 고리가 끊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끊어진 하나의 고리는 다른 고 리도 망가뜨리고 만다. 그에 따라 고리의 하나인 인간에게도 영향이 미치므로 우리가 양서류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양서류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맹꽁이(Kaloula)는 맹꽁이과의 양서류이며, 약 4.5㎝ 정도의 몸길이를 갖는 몸통이 좌우로 팽배되어 있어 몸 전체가 둥근형을 하고 등면은 황색 바탕에 청색이다. 생식은 한국의 서울, 경기, 경남과 중국 북동부 등에 주로 분포하여 땅 속에서 서식하며, 6월 경의 우기에 산란, 1회에 15∼20개의 알을 15∼20회에 걸쳐 낳는 생태적 특성을 나타낸다.
산란 직후의 알은 지름이 1㎜의 공 모양이며, 1마리가 1회에 15∼20개의 알을 15∼20회에 걸쳐 낳는다. 알은 28∼30시간이면 부화하며, 30일 뒤에 변태가 끝난다. 장마철에 만들어진 웅덩이나 괸 물에 산란하므로 다른 개구리에 비하여 빠른 변태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연중 땅 속에 서식하며, 야간에 땅 위로 나와 포식활동을 하고 6월 경의 우기에 물가에 모여 산란한다. 산란은 보통 밤에 하지만 비가 오거나 흐린 날씨에는 낮에도 수컷이 울음소리로 암컷을 유인한다. 이러한 습성으로 인해 산란시기 외에는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고 눈에 띄지도 않는다.
맹꽁이 습성을 좀 더 살펴보면 맹꽁이 사람을 두려워하는 습성이 있어 울타리로 경계를 형성해 주고 웅덩이에 돌 등을 놓아서 밑에 숨어 살도록 해주어야 한다. 산란은 수심 10cm정도 낮은 곳에서 하고, 생육은 주로 얕은 수심의 서식처에서 하며 먹이원은 개미, 지렁이 등이어서 이런 먹이 동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또한 맹꽁이는 동면을 하는데 10~20cm 정도의 땅속에서 동면을 한다. 따라서 방수의 경우 자연방수 진흙, 점토, 양질토사 다짐방수를 원칙으로 하나, 불가피할 경우 인공방수를 채택할 경우 식물 생육 및 하·동면을 위해서 토층을 충분히 확보해 주어야하며 수심은 0~40cm 사이에서 다양하게 조성해 주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맹꽁이의 생태복원 및 보전에 의하여 주변의 환경오염 지수를 감소하고 나아가 자연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라도 맹꽁이 서식지를 인공적으로 복원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맹꽁이는 과거 도시 근교와 농촌 등지 어느 곳에도 장마철이 되면 많이 발견되었던 종이었으나, 도시가 확장되고 농지의 개량으로 논둑 및 웅덩이가 없어지고 농약의 살포 등의 원인으로 급격히 감소되어 최근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 위기종(危機種)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2급으로 지정되어 법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사람의 손길이 거의 없는 철원 지역의 비무장지대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뿐만 아니라, 맹꽁이의 개체군을 보존함과 동시에 자연 생태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서식지 복원을 위한 기술개발 및 보존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① 맹꽁이의 서식장치를 조성하기 위한 지역의 하방을 최소 1m 이상을 파내 단단하게 다짐한 원지반다짐층 상부에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이상 방수층이 조성되는 기초지반과; ② 상기 맹꽁이의 서식 및 산란을 위해 수면이 얕고 아늑한 독립적인 분위기의 단위공간이 다수 구비되도록 그 외측 끝단이 구불구불한 형태로 조성되고, 상기 기초지반 상부는 부드러운 점질성토사인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두께 이상의 표토층이 형성되고 일정 넓이만큼 용수가 채워지며, 상기 맹꽁이의 산란에 적합한 pH(수소이온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애기부들, 꽃창포, 달뿌리풀, 갈대, 부들, 매자기를 포함한 정수식물 중, 갈대가 포함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태로 식재되는 저습지부와; ③ 맹꽁이에 대한 서식의 효율을 높이고 외부와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저습지부 둘레에 일정폭을 가지는 형태이되, 하부는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이 되는 곤충이나 벌레의 서식과 맹꽁이의 하·동면에 적합한 서식구조를 위해 토사가 복토되고, 상기 토사 상부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지렁이와 개미와 벌레들의 서식을 위한 썩은 나무와 통나무와 짚더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토사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색깔이 화려한 비비추, 부처꽃, 왕원추리, 물레나물, 제비붓꽃, 삼백초, 참좁쌀풀을 포함하는 관목 및 초본 중, 색깔이 다른 어느 두 종 이상을 포함하여 식재시키는 완충토사지부와; ④ 상기 완충토사지부의 외측 둘레에 일정폭으로 맹꽁이 서식에 적합하고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환경을 위해 외부에서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울타리용 식재로서 갯버들, 꼬리조팝, 쉬땅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재에 의해 조성되는 울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습지부와 완충토사지부에 나무와 식재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수면(open space)이 70% 이상 유지되도록 식재되는 특징을 갖는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에 있어, 상기 저습지부는 수심 30cm이상 부분에서는 검정말, 나사말, 물수세미, 말즘을 포함한 침수식물 중, 검정말이 포함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에 대한 각 구성 및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제공되는 각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점 사라져가는 맹꽁이가 자연 상태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서식하여 그 생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맹꽁이의 서식처 조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
아울러 맹꽁이의 서식 복원을 통해 청정 생태 환경을 보존 및 유지하는 데 유용하게 적용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를 위해서는 맹꽁이에 대해 잘 아는 것이 중요하며, 아래에서 맹꽁이의 생태적 특성 등을 살펴본다.
맹꽁이는 개구리목(Anura) 맹꽁이과(Microhylidae) 맹꽁이속(Kaloula)에 속하는 양서류이다. 몸길이 4.5cm정도 되는 맹꽁이는 머리 폭이 넓고 몸집이 뚱뚱해서 두꺼비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지만 두꺼비에 비해 몸이 좀 더 공처럼 둥글다.
머리의 폭은 길이보다 약간 길고, 이들 차이는 윗눈꺼풀의 폭과 같다. 주둥이는 짧고 작으며, 맨 끝이 약간 둔하면서 뾰족하게 되어 있고, 아랫입술보다 약간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동공은 흑색이며 타원형이고, 바깥 언저리에는 황금색 가는 선이 있다. 홍채는 흑색이고, 황금색의 가루를 바른 것 같으며, 각막은 은백색이고, 뒤쪽의 윗가장자리에서 약간 그 일부를 노출한다. 몸통은 팽배되어 있고 몸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보통 올챙이는 성체로 자라는데 20일 가량 걸리지만 충분한 양의 먹이가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12일 정도면 충분히 자란다.
맹꽁이는 물 근처에서 서식하나 산란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저지대의 논 주변에서 땅속 생활을 한다. 주로 곤충을 잡아먹으며, 개미와 지렁이가 주된 먹이원이다.
이러한 맹꽁이는 보통 첫 장마 때에 산란을 하며, 6 ~ 7월의 첫장마가 끝나면 굴속에서 나와 물이 고여 있는 곳에 모여 요란하게 울면서 짝을 찾는다. 맹꽁이 의 산란된 덩어리 형태의 알은 4개가 서로 붙어 있고, 알은 개구리의 알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보통, 1000-3000개 정도의 알을 낳는데 알은 하나씩 비행접시 모양으로 수면위에 떠다닌다. 알은 하나씩 이틀이면 올챙이로 부화한다.
또한 맹꽁이는 산란기 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뭍에서 서식하며, 산란기가 끝나면 다시 땅을 파고 들어가 땅속 생활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의 측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1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에서 저습지의 경계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10)는, 기초지반(100)과, 저습지부(110)와, 완충토사지부(120)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가뭄이나 메마름을 대비하여 추가적으로 용수시설을 구비하는 것도 좋다.
먼저 본 실시예의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10)에 있어 기초지반(100)은, 맹꽁이의 서식을 위한 생태적 구조를 조성하기 위한 지역의 하방을 파내 일정 깊이로 다짐하고, 상기 다짐한 상단을 방수용 토사로 일정 두께 방수하여 조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초지반(100)을 조성하기 위한 지역을 최소 1m이상 파낸 뒤 다져 원지반다짐층(100a)을 형성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파낸 후 최소 30cm 이상의 방수층(100b)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성한 원지반다짐층(100a)의 상부에 부드러운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이상 두께로 하는 자연방수를 실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연방수가 불가피할 경우에는 시트방수를 채택하여 방수층(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시트방수 채택시에는 방수층 상단에 토층을 30cm이상 확보해 식물 생육에 원활하도록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지반(100)의 조성을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다짐한 방수층(100b)의 상부에는 맹꽁이가 파고 들어가 서식하거나 하·동면을 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점질성토사로 상기 생태적 구조를 깊이 0-40cm로 형성하고, 일정 넓이만큼 용수를 채워 저습지구역(110)을 조성하게 된다.
저습지부(110)는 그 조성크기에 제한이 없지만, 본 실시예의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10)에 있어 이러한 저습지부(110)는 50㎡ 정도로 조성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저습지부(110)의 외측으로는 완충토사지부(120)가 조성 조성된다.
본 저습지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외형구조 및 단면구조에 따른 둘레 및 하부의 모양에 맞도록, 기초지반(100)의 상부에 그 깊이와 조성 골격에 따라 점질성토사에 의해 표토층(110a)을 형성하며, 이때의 표토로는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30cm이상의 두께로 조성하게 된다.
본 저습지부(110)의 모양은 그 둘레가 밋밋한 타원 또는 단순하고 완만한 둥근 형태보다 튀어나오고 들어간 부분이 있도록 변화가 있는 불규칙적인 형태가 바람직하다.
맹꽁이가 성체 때에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하고, 올챙이 때에는 주로 수심이 낮고 면적이 좁은 공간에 서식하므로, 저습지부(110)의 수심은 다양하게 조성해 주는 것이 좋다.
저습지부(110)는 맹꽁이의 서식 특성에 따라 가장자리는 0~20cm, 가장 깊은 곳은 20cm~40cm정도가 좋으며, 수심을 최고 40cm 정도로 하되 중앙부분에는 턱이나 섬을 만들어 맹꽁이가 휴식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맹꽁이는 산란기에 수심 약 10cm정도 되는 곳에 산란을 하기 때문에, 맹꽁이가 육지와 저습지부(110)를 오가거나 알을 낳기 쉽도록 수심 10cm정도의 얕은 수심 서식처를 넓게 확보되도록 조성하는 것이 좋다.
후술하는 완충토사지부(120)와 관련되겠지만, 본 저습지부(110)의 주변으로는 교목을 식재를 배제하여 연못에 햇볕이 드는 것을 방지하거나 습지바닥에 낙엽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맹꽁이산란의 제한요인은 수질 상태인데 ph 4.0이하로 산성화되면 산란에 장애가 발생하므로 저습지부(110)에는 서식에 적합한 ph유지를 위해 정수식물 또는 침수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여기서 조성위치에 따른 식재 종류를 살펴본다.
먼저 완충토사지부(120)에는 비비추, 부처꽃, 왕원추리, 물레나물, 제비붓꽃, 삼백초, 참좁쌀풀 등과 같은 관목 및 초본 중,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색깔이 다른 식물 두종 이상을 식재한다.
저습지부(110)의 수심 30cm 이하 부분은 애기부들, 꽃창포, 달뿌리풀, 갈대, 부들, 매자기 등과 같은 정수식물 중, 본 실시예에서는 갈대를 포함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식재한다.
그리고 저습지부(110)의 30cm이상의 수심 부분은 검정말, 나사말, 물수세미, 말즘 등과 같은 침수식물 중, 본 실시예에서는 검정말을 포함한 어느 하나 이상을 식재한다. 이 과정에서 침수식물을 식재하게 되면 물속의 용존산소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수서곤충의 다양성 회복과 맹꽁이 서식에 적합한 수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저습지부(110)의 조성을 완료한 후에는 저습지부(110)의 외측으로, 맹꽁이에 대한 서식의 효율을 높이고 외부와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저습지부(110) 둘레에 일정폭을 가지는 형태이되, 하부는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이 되는 곤충이나 벌레의 서식을 위해 토사를 복토되고 상기 토사에 관목과 식물이 식재되는 완충토사지부(120)를 조성한다. 아울러 식재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수면(open space)이 70% 이상 약 80~90% 정도 유지되도록 저습지부(110)와 완충토사지부(120)를 조성하게 된다. 상기 저습지부(110)내 정수식물과 침수식물의 식재시 무분별한 식물의 확산으로 인한 개방수면 확보를 위해 포트식재로 조성하게 된다.
본 맹꽁이 자연복원 서식장치(10)에 있어 이러한 완충토사지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절이 생기지 않게 저습지부(110)와 본 완충토사지부(120)를 경사각 15° 이하로 완만하게 조성함으로써, 연결성을 확보된 상태에서 맹꽁이가 수중과 육상 모두를 편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가 밑변에 대해 1:4 정도의 비율이 되도록 완만한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완충토사지부(120)는 저습지부(110)의 최외각 둘레에서부터 맹꽁이의 하·동면에 적합한 서식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사방으로 최소한 3m이상의 폭을 갖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저습지부(110)와 맞닿거나 가까운 완충토사지부(120)의 호안은 지름 150~200 mm 정도 되는 호박돌, 그리고 고사목 등으로 맹꽁이에 알맞은 서식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본 완충토사지부(120)의 모양도, 그 둘레가 밋밋한 타원 또는 단순하고 완만한 형태보다 튀어나오고 들어간 부분이 있도록 구불구불하게 변화가 있는 불규칙적인 형태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완충토사지부(120)는 맹꽁이가 숨기 좋고 먹이인 지렁이와 개미가 살기 좋도록 개미들이 잘 서식하는 썩은 나무나 통나무, 그리고 차광을 해주어 지렁이서식에 유리한 짚더미 등을 곳곳에 흩트려 놓거나 마련해 주게 된다.
식재는 자생종을 위주로 하고 수생식물이 너무 무성하지 않게 식재하여, 앞서의 저습지부(110)와 본 완충토사지부(120)에 식재되는 나무와 식재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수면(open space)이 70% 이상 약 80~90% 정도가 유지되도록 조성한다.
햇빛이 비치는 수면에 맹꽁이가 알을 낳으며, 물이 너무 차갑지 않아야 올챙이의 성장에 적합하다. 따라서 수온을 유지하기 위해 완충토사지부(120)내에 교목은 배제하고 관목이나 초화류를 식재해 햇빛이 비치는 개방수면을 충분이 확보하되 낙엽의 적층을 지양하고 식물뿌리의 발육으로 인해 토양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맹공이의 원활한 서식을 도울 뿐만 아니라 먹이인 개미와 지렁이의 서식에도 적합하도록 한다.
또한 자생식물들을 도입하는 것이 좋으며, 양서류의 먹이가 되는 곤충들을 유인하기 위하여 색깔이 화려한 자생 초화류들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토사지부(120)의 둘레는 맹꽁이들의 서식과 하면 및 동면에 방해를 주지 않게끔,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의 접근을 어렵게 하도록 울타리를 마련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갯버들, 꼬리조팝, 쉬땅나무 중 어느 하나로 울타리부(130)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생태조성구조의 조성을 완성하게 된다.
아울러 이외에도 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10)에 물이 거의 완전히 마르거나 오랜 가뭄 등의 상태를 고려하여 용수시설을 설치하거나, 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10) 주위에 용수조 등을 마련하여, 이로부터 물을 유입시키도록 조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지금까지의 본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의 측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에서 저습지의 경계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100 : 기초지반
100a : 원지반다짐층 100b : 방수층
110 : 저습지부 110a : 표토층
120 : 완충토사지부
130 : 울타리부

Claims (9)

  1. 맹꽁이의 서식을 위한 서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식장치를 조성하기 위한 지역의 하방을 최소 1m 이상을 파내 단단하게 다짐한 원지반다짐층 상부에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이상 방수층이 조성되는 기초지반과;
    상기 맹꽁이의 서식 및 산란을 위해 수면이 얕고 아늑한 독립적인 분위기의 단위공간이 다수 구비되도록 그 외측 끝단이 구불구불한 형태로 조성되고, 상기 기초지반 상부는 부드러운 점질성토사인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두께 이상의 표토층이 형성되고 일정 넓이만큼 용수가 채워지며, 상기 맹꽁이의 산란에 적합한 pH(수소이온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애기부들, 꽃창포, 달뿌리풀, 갈대, 부들, 매자기를 포함한 정수식물 중, 갈대가 포함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태로 식재되는 저습지부와;
    맹꽁이에 대한 서식의 효율을 높이고 외부와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저습지부 둘레에 일정폭을 가지는 형태이되, 하부는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이 되는 곤충이나 벌레의 서식과 맹꽁이의 하·동면에 적합한 서식구조를 위해 토사가 복토되고, 상기 토사 상부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지렁이와 개미와 벌레들의 서식을 위한 썩은 나무와 통나무와 짚더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토사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색깔이 화려한 비비추, 부처꽃, 왕원추리, 물레나물, 제비붓꽃, 삼백초, 참좁쌀풀을 포함하는 관목 및 초본 중, 색깔이 다른 어느 두 종 이상을 포함하여 식재시키는 완충토사지부와;
    상기 완충토사지부의 외측 둘레에 일정폭으로 맹꽁이 서식에 적합하고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환경을 위해 외부에서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울타리용 식재로서 갯버들, 꼬리조팝, 쉬땅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재에 의해 조성되는 울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습지부와 완충토사지부에 나무와 식재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수면(open space)이 70% 이상 유지되도록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습지부는
    수심 30cm이상 부분에서는 검정말, 나사말, 물수세미, 말즘을 포함한 침수식물 중, 검정말이 포함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KR1020090066883A 2009-07-22 2009-07-22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KR10095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883A KR100958933B1 (ko) 2009-07-22 2009-07-22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883A KR100958933B1 (ko) 2009-07-22 2009-07-22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933B1 true KR100958933B1 (ko) 2010-05-19

Family

ID=4228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883A KR100958933B1 (ko) 2009-07-22 2009-07-22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9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753A (ko) * 2014-05-14 2015-11-24 한국수자원공사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CN105951660A (zh) * 2016-06-20 2016-09-2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库上下游及干支流鱼类栖息地综合保护系统
CN106012947A (zh) * 2016-06-12 2016-10-12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地形地貌条件的鱼类栖息地划分方法
CN106035163A (zh) * 2016-06-12 2016-10-2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水动力条件的鱼类栖息地划分方法
KR102421530B1 (ko)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자원의 추적 관찰을 통한 관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간행물(2001.03)*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753A (ko) * 2014-05-14 2015-11-24 한국수자원공사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KR101683036B1 (ko) * 2014-05-14 2016-12-07 한국수자원공사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CN106012947A (zh) * 2016-06-12 2016-10-12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地形地貌条件的鱼类栖息地划分方法
CN106035163A (zh) * 2016-06-12 2016-10-2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水动力条件的鱼类栖息地划分方法
CN106012947B (zh) * 2016-06-12 2018-06-0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地形地貌条件的鱼类栖息地划分方法
CN105951660A (zh) * 2016-06-20 2016-09-2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库上下游及干支流鱼类栖息地综合保护系统
KR102421530B1 (ko)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자원의 추적 관찰을 통한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ckman Rice field ecology in northeastern Thailand: the effect of wet and dry seasons on a cultivated aquatic ecosystem
Chabreck Coastal marshes: ecology and wildlife management
CN105248081B (zh) 湿地物种多样性生境系统构建方法
CN109399802B (zh) 一种湿地公园人工鸟岛结构的构建方法
KR100958933B1 (ko)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Deuti et al. Amphibians of the Eastern Ghats
Headlee The mosquitoes of New Jersey and their control
KR20170005923A (ko) 맹꽁이 인공사육시설
Timmins et al. Conservation opportunities on a highly modified island: Mana Island, Wellington, New Zealand
Raffaele et al. Birds of Puerto Rico and the Virgin Islands: Fully Revised and Updated Third Edition
Jacobs et al. Ecology and management of flowering rush (Butomus umbellatus L.)
CN107268521A (zh) 一种寒区砂质陡坡生物栖息地构建方法
CN108935329B (zh) 东北林蛙开放式栖息生境及其构建方法
KR20210115656A (ko)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Romanowski Planting wetlands and dams: A practical guide to wetland design, construction and propagation
Wood Physical, Industrial and Sectional Geography of Michigan
Berg Population structure, size, and the thermal ecology of Iowa wood turtles (Glyptemys insculpta): A comparison between suburban and rural populations
Keith et al. Grímsey, North Iceland
Hayward Birds of the upper Colorado River basin
Goonatilake et al.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lft Island: An ecological, socio-economic and archaeological assessment
Ostrovsky New Data on the Fauna of Dragonflies and Damselflies (Insecta, Odonata) of Southeastern Belarus
Khan Amphibians of Pakistan and their conservation status
Ng‘weno Seasonal wetlands in Nairobi
Flynn et al. The Marsh Land as a Changing En ironment
Matson Earth Ponds: The Country Pond Maker's Guide to Building, Maintenance, and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