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656A -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 Google Patents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656A
KR20210115656A KR1020200031728A KR20200031728A KR20210115656A KR 20210115656 A KR20210115656 A KR 20210115656A KR 1020200031728 A KR1020200031728 A KR 1020200031728A KR 20200031728 A KR20200031728 A KR 20200031728A KR 20210115656 A KR20210115656 A KR 20210115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logy
aquatic
amphibians
wat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671B1 (ko
Inventor
박윤학
Original Assignee
박윤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학 filed Critical 박윤학
Priority to KR102020003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6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촌에 이미 관개 수로가 구축되어 있는 계단식 논의 3개의 층에있는 논바닥을 이용하여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 수생생태부, 육상생태부를 구축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structure for constructing natural alternative habitat for the Endangered Species of Amphibians}
본 발명은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 사고가 확산되면서 생물종과 함께 그 서식처를 보전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각종 개발이 계속되고 있어 많은 야생동물 서식처가 의도와는 상관없이 훼손되거나, 매립됨으로써 그 면적이 감소되고 있다.
환경을 보호하고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기 위해서, 이러한 서식처를 자연 그대로 보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지만, 어쩔 수 없이 훼손시켜야 하거나 소실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효율적인 방법으로 복원하거나 대체 서식처를 조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개구리류는 파충류나 대형조류의 먹이원이기 때문에 개구리류의 개체수 증가 혹은 서식처 복원은 먹이사슬을 다양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 양서류가 사라지는 것은 생태계 고리가 끊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끊어진 하나의 고리는 다른 고리도 망가뜨리고 만다. 그에 따라 고리의 하나인 인간에게도 영향이 미치므로 우리가 양서류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양서류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이나 금개구리는 양서류이며, 맹꽁이는 약 4.5㎝ 정도의 몸길이를 갖는 몸통이 좌우로 팽배되어 있어 몸 전체가 둥근형을 하고 등면은 황색 바탕에 청색이다. 생식은 한국의 서울, 경기, 경남과 중국 북동부 등에 주로 분포하여 땅 속에서 서식하며, 6월 경의 우기에 산란, 1회에 15∼20개의 알을 15∼20회에 걸쳐 낳는 생태적 특성을 나타낸다.
산란 직후의 알은 지름이 1㎜의 공 모양이며, 1마리가 1회에 15∼20개의 알을 15∼20회에 걸쳐 낳는다. 알은 28∼30시간이면 부화하며, 30일 뒤에 변태가 끝난다. 장마철에 만들어진 웅덩이나 괸 물에 산란하므로 다른 개구리에 비하여 빠른 변태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연중 땅 속에 서식하며, 야간에 땅 위로 나와 포식활동을 하고 6월 경의 우기에 물가에 모여 산란한다. 산란은 보통 밤에 하지만 비가 오거나 흐린 날씨에는 낮에도 수컷이 울음소리로 암컷을 유인한다. 이러한 습성으로 인해 산란시기 외에는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고 눈에 띄지도 않는다.
맹꽁이 습성을 좀 더 살펴보면 맹꽁이 사람을 두려워하는 습성이 있어 울타리로 경계를 형성해 주고 웅덩이에 돌 등을 놓아서 밑에 숨어 살도록 해주어야 한다. 산란은 수심 10cm정도 낮은 곳에서 하고, 생육은 주로 얕은 수심의 서식처에서 하며 먹이원은 개미, 지렁이 등이어서 이런 먹이 동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또한 맹꽁이는 동면을 하는데 10~20cm 정도의 땅속에서 동면을 한다. 따라서 방수의 경우 자연방수 진흙, 점토, 양질토사 다짐방수를 원칙으로 하나, 불가피할 경우 인공방수를 채택할 경우 식물 생육 및 하·동면을 위해서 토층을 충분히 확보해 주어야하며 수심은 0~40cm 사이에서 다양하게 조성해 주는 것이 좋다.
한편, 개구리과(Ranidae)에 속하는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는 몸의 등면이 전반적으로 밝은 녹색이고, 배면은 짙은 노란색이며, 등의 측면을 따라 융기된 금색 선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의 길이와 폭은 거의 같고, 주둥이는 앞끝이 약간 둥글며 둔하다. 아랫입술이 윗입술에 비하여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의 폭은 양쪽 윗눈꺼풀 사이의 거리와 같다. 등 옆선을 이루는 융기는 뚜렷하며, 눈의 뒤끝에서 시작하여 고막의 등가장 자리를 지나 몸통 양옆을 통과하여 뒷다리 기부 가까이에서 그치고, 몸통 중앙에서 폭이 가장 넓게 되어 있다. 이것이 참개구리와 구별되는 점이다(참개구리는 몸통 등 중앙에 녹색선이 하나 더 있음).
고막은 큰 편이고, 색깔은 갈색이다. 동공은 흑색으로 동그라미 모양이며, 언저리에 황금색의 가는 선이 둘러싸고 있다. 홍채는 대체로 황금색 가루를 뿌린 것 같으며, 동공의 앞쪽과 뒤쪽에 흑색의 무늬가 있고, 각막은 황청색을 띠고 있다. 몸통은 보통 팽대되어 있어 뚜렷하게 폭이 넓은 편이다. 앞다리는 짧은 편이며, 뒷다리의 약 ½이고, 바깥쪽 발바닥돌기의 뒤끝에서 제 4발가락 앞 끝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 앞다리의 팔뚝과 윗팔의 길이는 거의 같다. 뒷다리는 발달한 편이다. 각 발가락의 앞 끝은 약간 가는 편이며, 물갈퀴는 두껍고 발달되었으며, 각 발가락의 앞 끝까지 도달하고 있다. 뒷다리의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배면 근처에 세로로 달리는 불규칙한 피부 융기가 있으며, 그 주위에는 다수의 작은 융기가 널려 있고, 특히 항문 부근에는 약간 큰 융기가 조밀하게 있다. 성체가 되면 50mm 내외가 된다. 웅덩이, 연못 그리고 저지대의 습지대에 살고 있으며 습지를 대표하는 종이다. 가끔 습지의 연꽃위에서 잠자리, 나비 그리고 사마귀를 순식간에 잡아먹기도 한다. 번식지와 활동기에 서식하는 장소가 같아서 연중 물에서 밖으로 나오는 일이 거의 없지만, 11월이면 서식지 주변의 논두렁이나 초지 등의 육지로 올라와 땅속을 파고들어가 동면한다. 산란 시기는 5월에서부터 7월까지 긴 편이며, “쯔쯔 끄으윽”하며 작은 소리로 암컷을 유혹한다. 알은 옴개구리와 유사하게 습지식물 사이에 수십개씩 뭉쳐있는 형태로 있다. 금개구리는 어린 올챙이 시절부터 꼬리지느러미 좌우에 선명한 금줄이 있어 다른 개구리 올챙이와 현저히 구별된다. 참개구리와 서식처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끔 잡종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고유아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저습지와 논 등지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논이나 습지에 살고 있는 해충을 비롯하여 다양한 곤충을 먹고 산다. 한국, 중국, 몽골,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고 있다. 등쪽에 세로로 선명하게 두줄의 금색선이 튀어나와 “금줄개구리”라고도 하였고, 금개구리를 만나면 부귀영화를 누린다 하여 신성시 하였다. 백령도를 기점으로 서해안을 따라 서식처를 삼고 있으나 도시화, 산업화 그리고 각종 위락시설을 위한 서식처 파괴로 그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환경부에서 법적보호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서류 생활(은신처, 산란지, 식이지)을 고려하여 볼 때, 금개구리의 연중 행동반경은 713.8m2로 국내 서식하는 다른 양서류와는 달리 평생 습지와 그 주변의 가까운 육상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행동반경이 매우 협소하여 서식지의 공간적 제한을 적게 받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특별한 서식지 요소가 훼손되거나 감소될 경우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맹꽁이이나 금개구리의 생태복원 및 보전에 의하여 주변의 환경오염 지수를 감소하고 나아가 자연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라도 맹꽁이 서식지를 인공적으로 복원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이나 금개구리와 같은 양서류에 대한 서식처 복원을 위한 서식구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8933호에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서식구조는 연못과 같이 웅덩이 구조로만 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깨끗한 자연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웅덩이에 고인 깨끗한 자연수가 시간에 지나감에 따라 오염되게 되어, 주기적으로 오염된 자연수를 퍼내어 다시 깨끗한 자연수에서 웅덩이에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러운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서식구조는 임의의 지면을 파내어 원지반다짐층과 방수층을 포함하는 기초지반을 만들고, 그 기초지반위에 저습지부 및 완충토사지부를 만드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기초지반을 구축하는 데 많은 시간과 토사가 필요하게 되어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농촌에 이미 관개 수로가 구축되어 있는 계단식 논의 3개의 층에있는 논바닥을 이용하여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 수생생태부, 육상생태부를 구축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농촌에 이미 깨끗한 자연수가 자연적으로 공급되는 관개 수로가 구축되어 있고 이미 양서류가 서식하기에 좋은 토사(논흙, 펄흙)을 가지고 있는 계단식 유기(有機)논을 이용하여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를 조성하였기 때문에, 대체서식지를 구축하기 위한 토사가 많이 소요되지 않고, 깨끗한 자연수를 자연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관계시설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 종래보다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위해 요소가 제거된 상태에서 저렴하게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도 2는 도 1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100)는, 농촌에 이미 관개 수로가 구축되어 있는 계단식 논의 3개의 층에 있는 논바닥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 제1수생생태부(20), 제2수생생태부(30) 및 육상생태부(40)를 포함하고서 세개의 계단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는, 제일 높은 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는 논둑(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보다 높은 지면에서 자연적으로 깨끗한 자연수가 상기 논둑(1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는, 가로가 20m 그리고 세로가 40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의 논바닥에 자연수가 저장되어 있어서, 자연적으로 육상식물과 수생식물이 혼재하여 서식하게 되어, 식물의 자연천이 군락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는, 중간 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는 논둑(2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보다 낮은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에 존재하는 자연수가 상기 논둑(1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는, 가로가 20m 그리고 세로가 40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와 상기 제2수생생태부(30) 사이에 개재된 논둑(21)에 인접한 논바닥에 가로가 10m, 세로가 20m 그리고 깊이가 0.5m의 크기를 가진 육면체 형상의 미나리꽝(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변에 있는 2개의 논둑(21) 중 어느 하나의 논둑(21)에는 관정의 공급관(23)이 배치되어 관정에서 나온 지하수가 상기 공급관(23)을 통하여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인위적으로 자연수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나리꽝(22)의 바닥에는 논흙다짐층(24)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연수가 고여서 미나리가 식재되어 있어서,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존재하는 자연수를 정수하여 저장하고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주로 서식하면서 고인 자연수 속에서 산란하게 되어 있으며, 식재된 미나리에 의해 천적인 새로부터의 피난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는 논바닥에 자연수가 저장되어 있어서, 자연적으로 육상식물과 수생식물이 혼재하여 서식하게 되어, 식물의 자연천이 군락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와 상기 육상생태부(40)는, 제일 낮은 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는 논둑(5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보다 낮은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존재하는 자연수가 상기 논둑(2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와 상기 육상생태부(40) 사이에는 아래로 오목하고 바닥에 논흙다짐층(53)이 적층된 수로(52)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2수생생태부(30)는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보다 낮은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존재하는 자연수가 상기 논둑(2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에는, 상기 수로(52)에 인접한 논바닥에 직경이 5m 그리고 깊이가 1.8m의 크기를 가지고서 노랑어리연(36)이 심어진 U자 형상의 2개의 물웅덩이(31)가 상기 수로(52)에 유통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웅덩이(31)의 내면에는 바닥방수처리층(32)과 논흙다짐층(33)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물웅덩이(31)의 바닥에는 배출관(34)이 상기 물웅덩이(31)와 유통하게 배치되어 상기 물웅덩이(31)에 고인 자연수가 상기 배출관(34)을 통하여 외부로 인위적으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 노랑어리연(36)은 수면에 떠 있는 잎이 넓어서 개구리방석이라고도 알려져 있어서, 천적인 새로부터의 피난처(은신처)를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2개의 물웅덩이(31)의 수면과 상기 수로(52)의 수면은 동일한 높이 레벨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2개의 물웅덩이(31)에 고인 자연수가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의 바닥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게 되면, 자연적으로 상기 수로(52)에 유입되고, 그리고 상기 수로(52)에 존재하는 자연수가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의 바닥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게 되면, 자연적으로 상기 2개의 물웅덩이(31)에 유입되게 하여, 상기 2개의 물웅덩이(31)에 고인 자연수가 상기 2개의 물웅덩이(31)에 서로 출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물웅덩이(31)와 상기 제1수생생태부(20) 사이에 있는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의 논바닥에는 부들(35)이 식재되어 있어서,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에 존재하는 자연수를 정수하여 저장하고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주로 서식하며, 식재되어 키가 크게 자란 부들(35)에 의해 천적인 새로부터의 피난처(은신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수생생태부(30)는 논바닥에 자연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연수를 담고 있는 물웅덩이(31), 식재된 부들(35)과 노랑어리연(36)을 구비하고 있어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주서식지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육상생태부(40)은 상기 수로(5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육상생태부(40)에는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의 바닥보다 높은 높이 레벨이고 상기 논둑(51)의 높이 레벨보다 낮은 높이 레벨을 갖도록, 그리고 동면시에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땅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미나리꽝(22), 상기 물웅덩이(31) 및 상기 수로(52)를 형성시킬 때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논흙을 이용하여 둔덕(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둔덕(41)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상기 수로(52)를 건너 용이하게 올라올 수 있도록,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둔덕(41)의 표면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먹이들이 쌓인 먹이무덤(43)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둔덕(41)의 상부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에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식물이 심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둔덕(41)은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동면과 휴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100)의 테두리에는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776663호에 개시된 울타리(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인 조성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100)는, 양서류 서식에 최적의 여건을 보유하고 있는 습지를 지닌 3단형 논을 이용하여 만들어져서 기존 논의 원형을 보존하게 되고, 바닥표면이 벽면이 무기질 등 서식을 위한 영양분 풍부한 논흙으로 되어 있어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로서 안성맞춤이고, 수로(52)에 연결된 2개의 물웅덩이(31) 및 미나리꽝(22)을 구비하고 있어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산란지를 제공할 수 있고, 먹이무덤(43)이 마련된 둔덕(41)을 구비하고 있어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이주 초기 적응시에 먹이원을 제공하며, 식재된 자연천이구역을 구비하고 있어서 풍부한 먹이원을 유도할 수 있으며, 부들(35)과 노랑어리연(36)이 식재되어 있어서, 천적(새)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피난처(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고,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이 땅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둔덕(41)을 구비하고 있어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에 동면을 제공할 수 있고, 울타리(60)를 구비하고 있어서, 외부의 천적으로 부터 멸종위기종인 양서류를 보호함과 동시에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탈출을 방지하여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멸종을 방지하고, 미나리꽝(22)을 구비하고 있어서, 주변외부의 오염물(농약, 염분, 생활폐수)이 자연수에 혼입되어 자연수가 오염되는 경우에도 오염된 자연수를 정화하여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에게 정화된 자연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대체서식지 복원에 이바지할 수 있다.
특히, 울타리(60)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대체서식지에서 이탈현상이 심하게 되면,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어서 대체서식지의 일부 구역에서만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서식하게 되고, 결국에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전멸되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양서류의 대체서식지의 조성시에 논흙이 부족한 경우에 펄흙이 적용될 수도 있다.
100: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 10: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 11: 논둑, 20: 제1수생생태부, 21: 논둑, 22: 미나리꽝, 23: 공급관, 24: 논흙다짐층, 30: 제2수생생태부, 31: 물웅덩이, 32: 바닥방수처리층, 33: 논흙다짐층, 34: 배출관, 35: 부들, 36: 노랑어리연, 40: 육상생태부, 41: 둔덕, 42: 경사면, 43: 먹이무덤, 51: 논둑, 52: 수로 53: 논흙다짐층, 60: 울타리

Claims (5)

  1. 농촌에 이미 관개 수로가 구축되어 있는 계단식 논의 3개의 층에 있는 논바닥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 제1수생생태부(20), 제2수생생태부(30) 및 육상생태부(40)를 포함하고서 세개의 계단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는, 제일 높은 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는 논둑(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보다 높은 지면에서 자연적으로 깨끗한 자연수가 상기 논둑(1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는, 중간 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는 논둑(2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보다 낮은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육상생물과 수생생물 생태부(10)에 존재하는 자연수가 상기 논둑(1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와 상기 육상생태부(40)는, 제일 낮은 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 테두리에는 논둑(5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보다 낮은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존재하는 자연수가 상기 논둑(2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생생태부(30)는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보다 낮은 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존재하는 자연수가 상기 논둑(21)을 넘어 월류되어 유입되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와 상기 육상생태부(40) 사이에는 아래로 오목하고 바닥에 논흙다짐층(53)이 적층된 수로(52)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생생태부(20)는,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와 상기 제2수생생태부(30) 사이에 개재된 논둑(21)에 인접한 논바닥에 육면체 형상의 미나리꽝(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변에 있는 2개의 논둑(21) 중 어느 하나의 논둑(21)에는 관정의 공급관(23)이 배치되어 관정에서 나온 지하수가 상기 공급관(23)을 통하여 상기 제1수생생태부(20)에 인위적으로 자연수를 공급하게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미나리꽝(22)의 바닥에는 논흙다짐층(24)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연수가 고여서 미나리가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에는, 상기 수로(52)에 인접한 논바닥에 노랑어리연(36)이 심어진 U자 형상의 2개의 물웅덩이(31)가 상기 수로(52)에 유통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웅덩이(31)의 내면에는 바닥방수처리층(32)과 논흙다짐층(33)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물웅덩이(31)의 바닥에는 배출관(34)이 상기 물웅덩이(31)와 유통하게 배치되어 상기 물웅덩이(31)에 고인 자연수가 상기 배출관(34)을 통하여 외부로 인위적으로 배출하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2개의 물웅덩이(31)와 상기 제1수생생태부(20) 사이에 있는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의 논바닥에는 부들(35)이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생태부(40)는 상기 수로(5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육상생태부(40)에는 상기 제2수생생태부(30)의 바닥보다 높은 높이 레벨이고 상기 논둑(51)의 높이 레벨보다 낮은 높이 레벨을 갖도록, 그리고 동면시에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땅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100)의 조성시에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논흙을 이용하여 둔덕(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둔덕(41)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가 상기 수로(52)를 건너 올라올 수 있도록,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둔덕(41)의 표면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먹이들을 쌓아 놓은 먹이무덤(43)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둔덕(41)의 상부에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에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식물이 심어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100)의 테두리에는 울타리(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 구조.
KR1020200031728A 2020-03-16 2020-03-16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KR10237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28A KR102375671B1 (ko) 2020-03-16 2020-03-16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28A KR102375671B1 (ko) 2020-03-16 2020-03-16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656A true KR20210115656A (ko) 2021-09-27
KR102375671B1 KR102375671B1 (ko) 2022-03-16

Family

ID=7792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728A KR102375671B1 (ko) 2020-03-16 2020-03-16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30B1 (ko)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자원의 추적 관찰을 통한 관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37Y1 (ko) * 2000-09-25 2001-09-25 한상관 강이나 하천의 저수로에 돌 상자를 이용한 다단계 계단의 구조에 의해 물고기와 양서류 또는 파충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의 다단계 계단 겸용 침수방지 축대의 구조
KR100938668B1 (ko) *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20110073997A (ko) * 2009-12-24 2011-06-30 (주)오.엘컨설팅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KR20160145883A (ko) * 2015-06-10 2016-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서류 서식을 위한 유닛형 인공 비오톱
KR20170003764A (ko) * 2015-06-30 2017-01-10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37Y1 (ko) * 2000-09-25 2001-09-25 한상관 강이나 하천의 저수로에 돌 상자를 이용한 다단계 계단의 구조에 의해 물고기와 양서류 또는 파충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의 다단계 계단 겸용 침수방지 축대의 구조
KR100938668B1 (ko) *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20110073997A (ko) * 2009-12-24 2011-06-30 (주)오.엘컨설팅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KR20160145883A (ko) * 2015-06-10 2016-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서류 서식을 위한 유닛형 인공 비오톱
KR20170003764A (ko) * 2015-06-30 2017-01-10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oceedings of the 2014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Society pp.61-62(2014.10.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30B1 (ko)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자원의 추적 관찰을 통한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671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risp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s of salmon and trout in fresh water
Baker et al. Amphibian habitat management handbook
Mavuti An account of some important freshwater wetlands of Kenya
JP2005065562A (ja) ドジョウの養殖方法
KR100958933B1 (ko)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KR102375671B1 (ko)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Williams et al. Designing new ponds for wildlife
Deuti et al. Amphibians of the Eastern Ghats
Melville et al. Mai Po Marshes
Balchand Kuttanad: A case study on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water resources mismanagement
CN108935329B (zh) 东北林蛙开放式栖息生境及其构建方法
Lawler Managing mosquitoes on the farm
Turner et al. Vulnerability of island flora and fauna in the Great Barrier Reef to climate change
Dobie et al. Propagation of Minnows: And Other Bait Species
Mathias et al. Wetland and aquatic habitats
Romanowski Planting wetlands and dams: A practical guide to wetland design, construction and propagation
RU2083760C1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условий развития флоры и фауны на мелиорируемых землях
Flynn et al. The Marsh Land as a Changing En ironment
Zhang et al. Biology and Control of Oncomelania Snail in China
Johnson et al. Fish ponds on farms
Hey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freshwater fish in South Africa
Okamura Preservation of reservoir by both drainage and removal of exotic species
Hoffman et al. Beavers and conservation in Oregon coastal watersheds
Nicholls Some Observations on the Bionomics and Breeding-Places of Anopheles in Saint Lucia, British West Indies
BEEN et al. MANAGEMENT OF INVASIVES SPECIES IN WATERBIRD HABITAT IN LAKE NAIVASHA, KENY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