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997A -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997A
KR20110073997A KR1020090130824A KR20090130824A KR20110073997A KR 20110073997 A KR20110073997 A KR 20110073997A KR 1020090130824 A KR1020090130824 A KR 1020090130824A KR 20090130824 A KR20090130824 A KR 20090130824A KR 20110073997 A KR20110073997 A KR 20110073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ond
ecological
base
aqu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문기
김영근
김용희
김성완
천미연
Original Assignee
(주)오.엘컨설팅
김성완
변문기
김영근
김용희
천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엘컨설팅, 김성완, 변문기, 김영근, 김용희, 천미연 filed Critical (주)오.엘컨설팅
Priority to KR102009013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3997A/ko
Publication of KR20110073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토(現場土)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못 조성시 굴토(掘土)된 현장토(現場土)를 녹화마대에 담아 기반흙주머니 제조에 활용하고, 이 기반흙주머니를 이용하여 연못의 바닥부 및 사면부를 형성하여 연못 연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인 녹화마대를 이용하여 연못을 조성함으로써 식재지의 안정화 시간이 단축되고 각종 식물이 활착하는 과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생태연못 조성방법에서 불완전했던 수역, 습역, 육역의 자연스러우면서 완전한 생태기반조성이 가능한 조성 방법으로서, 자체순환이 가능한 근자연형 생태연못으로서 교육의 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연못, 생태정원, 현장토, 녹화마대, 친환경, 육상식물, 수생식물, 습지식물, 생태학습

Description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Ecopark using pond earth and develop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장토(現場土)를 활용하여 수역, 습역, 육역의 생태기반이 조성 가능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못 조성시 굴토(掘土)된 현장토를 현장에서 그대로 재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현장토 처리비용이 절감되는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태연못 혹은 생태정원이란 습지의 한 유형으로, 도시화와 산업화 등으로 훼손되거나 사라진 자연적인 습지를 대신하여 다양한 종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된 인공습지의 유형 중의 하나이다.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생활하려는 현대인의 경향을 고려하여, 이러한 생태연못은 선진 외국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 있어서도 많이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생태연못은 소생물권의 최소단위인 비오톱(Biotope)의 한 유형으로 수생, 습생, 육생비오톱 등의 형태로 조성할 수 있으며, 수생 및 습지 식물의 도입 으로 다양한 동식물의 종이 증가될 수 있고, 식물 생산성의 증가는 산소방출의 증가라는 순기능을 한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생태연못의 계획, 조성, 관리과정에서 다양한 주민이 참여할 수 있어 교류와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는 등 생태연못의 조성은 광범위한 효과를 가져다준다.
첨부한 도 16는 기존 인공 연못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인공적으로 연못을 조성함에 있어서, 흙을 이용하여서는 연못의 바닥부 및 사면부의 구조를 연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 연못은 보편적으로 연못의 바닥면이나 사면이 콘크리트로 형성되거나 또는 블록 등을 이용하여 조성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연못을 조성하는 경우, 콘크리트 또는 블록 구조의 반(反)환경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식생환경이 불안정하게 형성되어 식물들이 안정적으로 살 수 없으며, 흙을 주 생활근거로 하는 곤충 등과 같은 생물들이 살아날 수 없기 때문에, 식물들을 새로 식재하거나 생물들을 새로 들여오지 않으면 단지 가두어진 물만이 존재하는 삭막한 연못이 된다.
그리고, 일정 깊이로 굴토(掘土)된 연못의 바닥면 및 사면 등에 콘크리트 또는 블록 구조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굴토되면서 응집성이 약화된 흙 위에 시공해야 하므로 콘크리트 구조의 시공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못 조성시 굴토된 현장토(現場土)를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러한 현장토를 처리하기 위하여 싣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인건비, 주유비, 차량 대여비 등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물론이고, 최근 친환경적인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어린이들에게 자연을 탐구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바, 연못을 인공적으로 조성함에 있어서도 다양한 식생물이 살 수 있도록 환경친화적인 연못 조성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연못 조성을 위해 굴토(掘土)된 현장토(現場土)를 녹화마대에 담아 기반흙주머니 제조에 활용하고, 이 기반흙주머니를 이용하여 연못의 바닥부 및 사면부를 형성하여 연못 연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깊이로 굴토하고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방수층의 안쪽으로 인공 연못의 기반을 형성하여 수생생육기반과 습지생육기반을 조성하는 제2단계; 상기 방수층의 바깥쪽으로 식재조림 토양층을 형성하여 육지생육기반을 조성하는 제3단계; 상기 수생생육기반과 습지생육기반 및 육지생육기반에 식물과 동물을 식재 혹은 방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수생생태계, 습지생태계, 육상생태계를 모두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조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연못 조성을 위해 굴토한 현장토와 녹화마대를 이용하여 기반흙주머니를 제조하고, 이 기반흙주머니를 이용하여 연못의 바닥부 및 사면부 등을 형성함으로 써 연못 연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인 녹화마대를 이용하여 연못을 조성함으로써 식재지의 안정화 시간이 단축되고 각종 식물이 활착하는 과정이 간단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기반흙주머니 제조시 이용된 현장토는 연못 조성을 위해 현장에서 굴토된 토양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기존 토양의 성질과 식재지 토양의 성질이 동일하여 토양 간에 이질성이 없어서 기존 생물서식의 환경이 그대로 보존되는 효과가 있다.
3. 현장토를 활용한 녹화마대의 이용으로 공사시 현장토 처리비용 및 연못 구조의 연출을 위한 조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기존 토양 내부의 미생물 및 무기물 등으로 인해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수환경이 조성된다.
5. 연못과 연못 주변으로 수생생태, 습지생태 및 육상생태 등의 환경이 동시에 조성될 수 있고, 각 생태환경에 적합한 동물과 식물의 서식지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학교 내 생태학습관으로 활용할 수 있다.
6. 현장토를 사용하는 등 자연상태의 환경을 그대로 적용한 근 자연형 인공습지로서 환경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연못 조성시 자연 생태계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에 대한 것으로, 굴토(掘土)한 현장토(現場土)와 녹화마대를 활용하여 제작한 기반흙주머니를 이용하여 연못의 바닥부 및 사면부를 자유자재로 형성하므로 기존에 인공 연못을 시공하는데 따른 어려움을 개선하며, 환경 친화적인 녹화마대를 이용하여 식재지의 안정화 시간이 단축되고 수생식물의 활착 과정이 간단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생태정원의 구현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연못 예정지에서 굴토한 현장토로 기반흙주머니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녹화마대 및 기반흙주머니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는 기반흙주머니를 배열 및 적층하여 연못의 사면부 및 바닥부를 조성한 현장 사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연못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식물을 식재한 현장 사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방수 생태연못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근 자연형의 생태정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먼저 인공연못(혹은 연못)을 형성하기 위한 구덩이를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연못 예정지의 자연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토하여 도 6과 같이 대략 직사각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고, 구덩이를 굴토하며 발생한 토사 즉, 현장토를 녹화마대 안에 담아 도 3과 같이 기반흙주머니들을 제작한다.
그리고, 굴토한 구덩이 위에 제1방수시트(부직포)를 깐 다음 벤토나이트를 포설하고, 그 벤토나이트 위에 제2방수시트(부직포)를 덮어 방수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수층을 형성함으로 인해 자연습지의 불투수층과 동일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지표면에서 자연지반을 가로지르는 상기 방수층 위에 기반흙주머니를 조적하여 인공 연못의 기반을 형성함으로써 일정 깊이와 너비의 인공 연못을 조성하여 상기 방수층과의 사이에 연못기반층(수생생육기반과 습지생육기반)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덩이의 바닥면에 기반흙주머니들을 조밀히 깔아 급수, 배수 및 식재가 용이한 연못 바닥부를 형성하고, 구덩이의 사면에도 기반흙주머니들을 적재하여 연못의 사면부를 형성하여 수생생육기반과 습지생육기반을 모두 조성한다.
연못의 사면부는 구덩이의 바닥면에서부터 기반흙주머니들을 적재하여 형성하고, 연출하고자 하는 사면부의 형태에 따라 최하층부터 최상층까지 적재되는 기반흙주머니의 수를 조절하며 기반흙주머니들을 적재하여 완경사면에서부터 급경사면까지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연못의 사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연못의 예상 수면선 위까지 조적된 기반흙주머니가 수분의 이동 및 식재가 용이한 연못 호안 즉, 습지생육기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적재된 기반흙주머니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최하층부터 순서대로 차곡차곡 쌓아 조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기반흙주머니를 배열 혹은 조적하는 수준을 조절하여 인공 연못의 사면부의 경사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생생육기반과 습지생육기반에는 수생생태계 및 습지생태계에서 서식하는 적합한 수생식물과 습지식물을 식재한다.
그리고, 연못 예정지는 식수대 등이 근접하여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한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기반흙주머니를 쌓아 올려 형성한 연못 호안 상부 혹은 방수층의 바깥쪽에서부터 굴토된 현장토를 식재 기반토로 활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마운딩하거나 평지 등으로 포설 및 다짐하여 육지형 식재조림 토양층(혹은 육지생육기반)을 형성하고, 이 식재조림 토양층에 다양한 종류의 육상식물을 식재한다.
즉, 연못의 바닥부와 사면부, 호안 및 육지면의 식재조림 토양층에 다양한 식물을 식재한다.
식물의 식재가 완료되면 원하는 높이의 수면 즉 예상 수면선까지 연못 구덩이에 물을 공급하고, 곤충과 양서류 및 어류 등을 적합한 환경에 방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생생태계, 습지생태계, 육상생태계 등을 동시에 모두 조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은 기존의 생태정원 조성 방식과는 달리 현장토와 녹화마대 등 자연 친화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근자연(近自然) 형태의 연못을 조성하 게 되므로 도 9와 같이 자연형 방수 생태연못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현장토는 현장에서 굴토된 토양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생태정원의 지반 토양과 성질이 동일하고 토질간에 이질성이 없어서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안정화되는 활착 과정에 무리가 없고 기존 생물서식 환경이 그대로 보존될 수 있다.
도 10은 수심에 따라 식재되는 수생식물을 종 별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1과 같이 각 종의 수심 분포에 따라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연못을 조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연못에 식재되는 수생식물의 종류는 수심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이를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80193509-PAT00001
Figure 112009080193509-PAT00002
상기 표와 같이 수생식물은 정수성, 부엽성, 침수성, 부유성 등 생육형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다양한 종이 식재될 수 있고, 그 종류로는 표 2와 같이 개연, 검정말, 다사말, 노랑어리연꽃, 마름, 무늬고랭이, 무니창포, 물수세미, 물옥잠, 물칸나, 백련, 부들, 부레옥잠, 붕어말, 수련, 질경이 택사, 창포, 큰고랭이, 폰테데리아 코다타, 홍련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수생식물이 연못에서 점유하는 면적이 수면의 5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식물의 원활한 생육환경조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수생식물은 수심에 따라 식재될 수 있는 종류가 나누어지므로, 수생식물의 종에 따라 식재 가능한 수심을 고려하여 식재할 위치를 정한다.
그리고, 계단 형태로 형성된 연못의 사면부 혹은 바닥부에서 수생식물을 식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있는 기반흙주머니를 들어내고 그 자리에 수생식물을 식재한다.
이때, 수생식물은 현장토를 식재 기반토로 이용하여 간단히 식재될 수 있다.
또한, 연못 수중에는 물방개, 잠자리애벌래, 물자라, 게아재비, 소금쟁이, 물매암이, 물땡땡이, 송장헤엄치개, 장구애비 등의 다양한 수생곤충이 방사되고, 각시붕어, 미꾸라지, 송사리, 버들붕어, 납자루, 참붕어, 붕어 등 다양한 어류 및 청개구리, 참개구리, 도롱뇽 등 다양한 양서류가 방사된다.
기타 말조개, 우렁이, 생이새우, 새뱅이 등 다양한 수생동물도 방사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못의 바닥부 및 사면부를 조성하는데 있어서, 적재된 기반흙주머니 중 식재 장소 및 자연석 등이 배치될 장소에 놓여 있는 기반흙주머니를 들어내고, 이 기반흙주머니를 들어낸 자리에 수생식물 및 자연석 등을 식재 혹은 배치하여 자유자재의 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수생생태계와 육상생태계 사이에서 추이대(趨移帶, Ecotone) 역할을 하게 되는 습지생태계에는 정수성(emergent hydrophytes) 식물이 식재되며, 이 정수성 식물로는 부들, 애기부들, 꼬마부들, 흑삼릉, 질경이택사, 보풀, 벗풀, 소귀나물, 나도겨풀, 줄, 갈대, 달뿌리풀, 올방개, 물꼬챙이골, 매자기, 송이고랭이, 큰고랭이, 창포, 사마귀풀, 물옥잠, 물달개비, 골풀, 나도미꾸리낚시, 미나리, 개고추풀, 뚜껑덩굴, 수염가래 등이 있다.
특히, 생태연못의 호안은 야생초화류, 다양한 수초, 관목류, 교목류, 모래, 자갈, 나뭇가지 및 견고한 재료 등을 이용하여 조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조성된 호안은 각기 아래 표 3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Figure 112009080193509-PAT00003
본 발명의 생태정원에서 외각에 조성되고 건물과 인접하게 되는 육상생태계(혹은 육지생육기반)에는, 식재되는 육상식물의 성장 높이에 따라 식재면으로부터 다층구조로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육상식물을 성장 높이에 따라 구분하면 소교목, 상록관목, 낙엽관목 및 초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소교목으로는 용버들, 자귀나무, 자엽자귀나무 등이 있고, 상록관목으로는 눈향나무, 돈나무, 백정화, 천리향, 치자나무, 팔손이, 피라칸사스 등이 있으며, 낙엽관목으로는 까마귀밥여름나무, 덜꿩나무, 무늬버드나무, 미스김라일락, 병꽃나무, 보리수나무, 붓들레아, 산수국, 산초나무, 생각나무, 일본조팝나무, 좀작살나무, 탱자나무, 홍사매, 화살나무 등이 있고, 마지막으로 초화는 구절초, 기린초, 도깨비고비, 돌단풍, 땅나리, 무늬둥굴레, 백리향, 범부채, 붓꽃, 비비추, 상록패랭이, 수호초, 옥잠화, 우산나물, 원추리, 털머위 등이 있다.
또한, 상록수와 낙엽수 등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조성함으로써 자연생태계와 유사한 조성을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계절감을 연출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기술한 동식물의 방사 및 식재에 있어서 자체순환을 하는 생태환경조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 표 4 및 표 5와 같은 공생(동물과 식물의 공생, 동물과 동물의 공생 등), 기생, 유인 관계 및 동물 유치수종관계가 이루어지도록 동식물을 도입하여 방사 및 식재한다.
Figure 112009080193509-PAT00004
Figure 112009080193509-PAT00005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은 이러한 자연 생태계에 가까운 자체순환계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자체적으로 연못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질오염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육상생태계의 최외각에는 자체순환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가장자리에 그물망이 설치된다.
참고로 표 4에 유인 관계는 녹지환경학(안영희 저) 중 523 페이지에 야생조류의 먹이가 되는 수목의 열매를 인용한 것이다.
이렇게 조성된 본 발명의 생태정원은 어류, 양서류, 식물(수상·습지·육상식물), 곤충(수생·육상곤충) 및 기타 수생동물(말조개, 우렁이, 생이새우, 새뱅이 등) 등이 공존하는 실제 생태계와 흡사한 비오톱(Biotope)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은 수생생태계, 습지생태계, 육상생태계 등이 동시에 조성되면서 각 생태환경에 적합한 동물과 식물의 서식지로서 이용되므로 단순한 인공 생태연못을 넘어 조성된 그대로 자연생태계에 가까운 자체순환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 및 관찰을 위한 시설을 각 설치장소에 맞게 적절히 도입 적용하여 생태학습의 장으로 활용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에 설치되는 데크 구조체 및 생태 관찰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3은 데크 구조체 및 생태 관찰로에 설치되는 생태 해설판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에 생태계 단면 관찰벽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은 건물 등에 근접하게 조성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학교 등의 좁은 공간 내에 조성되어 생태학습장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학습 과정상 초등학교의 과학 과목에 포함되는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학습장으로 활용 가능하고, 현장체험을 위한 별도의 이동없이 학교 내에서 생태계 체험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은 통상 20~30평 규모의 부지에 조성가능하고 건물과 인접한 모퉁이 부분에도 조성이 용이하므로 학교용지 내에 부지를 쉽게 확보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다목적의 생태학습원 조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생태정원에는 필요에 따라 연못 주변으로 생태 관찰로 혹은 생태계 단면 관찰벽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생태정원의 관찰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2와 같이 생태 관찰로를 형성하여 관찰통로를 확보하고, 관찰로에 도 1과 같이 생태 해설판 등을 설치하여 생태정원의 관찰을 통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생태 관찰로는 연못 주변 혹은 연못 상부에 데크 구조체를 설치하여 조성할 수 있다.
이 데크 구조체에는 어린이나 노약자가 관찰할 시 안전을 위하여 안전난간이 설치되며, 관찰 통로 주변의 벽면에는 도 13과 같은 생태연못에 대한 안내판을 부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치할 벽면이 없는 공간에는 별도로 해설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데크 구조체는 친환경 소재인 목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와 같이, 생태계 단면 관찰벽은 연못 바닥부의 토층에서부터 연못의 수면 위까지의 단면을 모두 관찰할 수 있도록 유리벽으로 구성되고, 연못 관찰을 위한 생태 관찰로 측에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생태계 단면 관찰벽에 발생하는 이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설치하여 생태정원의 관찰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연못 주변에 단면구조를 실제 자연 지하수의 단면구조와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은 실제 자연 지하수와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생태정원의 구현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연못 예정지에서 굴토한 현장토로 기반흙주머니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녹화마대 및 기반흙주머니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기반흙주머니를 배열 및 적층하여 연못의 사면부 및 바닥부를 조성한 현장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연못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7과 도 8은 식물을 식재한 현장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방수 생태연못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연못 주변에 단면구조를 실제 자연의 단면구조와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수심에 따라 식재되는 수생식물을 종 별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식재되는 수생식물에 따른 수심 분포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에 설치되는 데크 구조체 및 생태 관찰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데크 구조체 및 생태 관찰로에 설치되는 생태 해설판을 보여주는 사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정원에 생태계 단면 관찰벽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연못 주변에 단면구조를 실제 자연의 단면구조와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기존 인공 연못을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8)

  1. 일정 깊이로 굴토하고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방수층의 안쪽으로 인공 연못의 기반을 형성하여 수생생육기반과 습지생육기반을 조성하는 제2단계;
    상기 방수층의 바깥쪽으로 식재조림 토양층을 형성하여 육지생육기반을 조성하는 제3단계;
    상기 수생생육기반과 습지생육기반 및 육지생육기반에 식물과 동물을 식재 혹은 방사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수생생태계, 습지생태계, 육상생태계를 모두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조성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굴토한 현장토를 녹화마대에 담아서 기반흙주머니를 마련한 다음, 상기 방수층 위에 기반흙주머니를 조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조성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는,
    굴토한 현장토를 식재 기반토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조성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 연못의 사면부 혹은 바닥부에서 수생식물을 식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기반흙주머니를 들어내고 그 자리에 수생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정원 조성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 연못의 주변에 생태 관찰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조성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 연못의 상부에 데크 구조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조성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 연못의 바닥부의 토층에서부터 수면 위까지의 단면을 관찰할 수 있는 생태계 단면 관찰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조성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선택된 어느 한 한의 생태정원 조성방법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KR1020090130824A 2009-12-24 2009-12-24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KR20110073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24A KR20110073997A (ko) 2009-12-24 2009-12-24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24A KR20110073997A (ko) 2009-12-24 2009-12-24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997A true KR20110073997A (ko) 2011-06-30

Family

ID=4440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824A KR20110073997A (ko) 2009-12-24 2009-12-24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39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4628A (zh) * 2014-09-03 2015-01-07 江苏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生态保健型固土护坡及其构建方法
KR20210115656A (ko) * 2020-03-16 2021-09-27 박윤학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4628A (zh) * 2014-09-03 2015-01-07 江苏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生态保健型固土护坡及其构建方法
CN104264628B (zh) * 2014-09-03 2016-04-06 江苏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生态保健型固土护坡及其构建方法
KR20210115656A (ko) * 2020-03-16 2021-09-27 박윤학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26351B (zh) 一种基于生态袋的河湖边坡生态三段治理方法
CN106614203B (zh) 组合式人工鱼礁
US20190150382A1 (en) Farming Sargasso
JP2005065562A (ja) ドジョウの養殖方法
CN106900197A (zh) 一种滨海盐土生态循环可持续综合改良方法
CN202809563U (zh) 一种墙式生态石笼构件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Erickson The domesticated landscapes of the Andes
KR100958933B1 (ko)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Chakraborty et al. Diversity and Classification of Wetlands in International and National Perspectives
KR20110073997A (ko) 현장토를 활용한 생태정원 및 그 조성방법
KR101582443B1 (ko) 어소가 구비된 친환경 게비온
CN107836271A (zh) 鱼、虾、鹅、林、藕生态养殖方法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KR20190083290A (ko) 에너지 저감형 생태방틀
KR100938668B1 (ko)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102375671B1 (ko)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Coche et al. Pond construction for freshwater fish culture: building earthen ponds
Pamardhi-Utomo A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arst area in Wonogiri
CN102493394A (zh) 一种用于河岸防护的生态护岸及其施工方法
Romanowski Planting wetlands and dams: A practical guide to wetland design, construction and propagation
KR20160024568A (ko) 사면 녹화용 블록 매트 조립체
CN103109777A (zh) 一种黄缘幼龟生态龟池
Verma et al. Farm Design and Layout for Aquaculture Operations in the Temperate Himalayas
Masser Water gard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