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64A -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 Google Patents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764A
KR20170003764A KR1020150092793A KR20150092793A KR20170003764A KR 20170003764 A KR20170003764 A KR 20170003764A KR 1020150092793 A KR1020150092793 A KR 1020150092793A KR 20150092793 A KR20150092793 A KR 20150092793A KR 20170003764 A KR20170003764 A KR 2017000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wetland
biotope
permanent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길
심윤진
이동진
김덕호
Original Assignee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filed Critical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Priority to KR102015009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764A/ko
Publication of KR2017000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50Amphibians, e.g. Xenop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 400m, 주변 초지, 습지, 밭, 하천, 논과의 이격거리 150m 이내, 주변 도로와의 이격거리 150m이상, 오염원과의 이격거리 100m 이상의 조건으로 조성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에 있어서, 맹꽁이의 먹이원이 서식하는 영역으로서, 층상구조로 이루어지는 산림비오톱(100);과, 맹꽁이의 먹이활동, 은신, 동면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면적이 50㎡∼1500㎡로 형성되는 초지비오톱(200);과, 맹꽁이의 산란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면적이 500㎡로 형성되는 영구습지지역(310)과 면적이 50㎡로 형성되는 일시습지지역(320)을 포함하는 습지비오톱(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Narrow-mouth frog habitat restor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에 관한 것으로서, 고도 400m, 주변 습지, 초지, 밭, 하천, 논과의 이격거리 150m 이내, 주변 도로와의 이격거리 150m이상, 오염원과의 이격거리 100m 이상의 조건으로 조성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에 있어서, 맹꽁이의 먹이원이 서식하는 영역으로서, 층상구조로 이루어지는 산림비오톱(100);과, 맹꽁이의 먹이활동, 은신, 동면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면적이 50㎡∼1500㎡로 형성되는 초지비오톱(200);과, 맹꽁이의 산란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면적이 500㎡로 형성되는 영구습지지역(310)과 면적이 50㎡로 형성되는 일시습지지역(320)을 포함하는 습지비오톱(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 및 해양의 면적이 넓은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에 비해 비교적 많은 야생동물이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생각보다 많은 야생동물이 인간의 무차별한 포획 및 남획, 개발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무분별한 외래종 도입으로 인하여 생태계의 균형이 무너지고 빠른 속도로 야생동물들이 멸종하고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의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라 함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한 주된 서식지 및 도래지의 감소와 서식환경이 악화 등에 따라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들을 말한다.
이와 같이, 멸종위기에 처하여 보호가 시급한 경우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분류하는데 양서류 및 파충류 중에는 비바리뱀, 수원청개구리 등이 이에 해당하고,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경우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하며, 그 종에는 구렁이, 금개구리, 남생이, 맹꽁이, 표범장지뱀 등이 이에 속한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중 맹꽁이는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맹꽁이과의 양서류로서, 쟁기발개구리라고도 불리운다. 현재는 각종 개발과 농약의 사용으로 인해 전국의 개체군의 크기 및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맹꽁이를 멸종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자연생태계와 유사하게 조성한 인공증식 및 사육시설을 개발, 복원하는 연구사업이 환경부를 비롯한 야생동물보호단체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의 양식장 및 서식지 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양식장 및 서식지 복원 사업의 일실시예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남생이 친환경 대체 서식지(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755호)”은 남생이가 서식할 수 있는 가두리(3)와, 상기 가두리(3) 상단에 남생이가 가두리(3) 상단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가두리(3)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돌출편(3`)과, 상기 가두리(3) 내측에 남생이가 물에서 생활할 수 있는 수면부(4)와, 상기 수면부(4)로부터 남생이가 나와 일광욕을 즐길수 있는 육지부(5)와, 상기 수면부(4) 내지는 상기 육지부(5)에 남생이가 천적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대피처(10)를 형성하되, 상기 대피처(10)는 남생이가 수면 아래 내지는 지하통로(20)을 통해 상기 대피처(10) 내부로 드나들도록 상기 대피처(10) 저면에 형성되는 출입구(21)를 포함한 것으로서, 인공사육 후 자연방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남생이 친환경 대체 서식지”는 양서류인 남생이의 생활상 파악 및 환경교육장소 제공의 활용을 목적으로, 남생이 증식을 위한 서식지 복원과 관련된 서식처 적합성 지수(HSI), 현장조사, 생태환경조사 등을 통한 서식지 구축에 대해서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7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식처 적합성 지수(HSI), 기후, 기상, 지형, 수리, 토양, 식생물조사 등을 통하여 산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최적의 복원 위치에 맹꽁이 서식에 필요한 구성을 갖춘 산림비오톱, 초지비오톱, 습지비오톱을 형성함으로써, 맹꽁이의 개체증식을 도모할 수 있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은, 고도 400m, 주변 습지, 초지, 밭, 하천, 논과의 이격거리 150m 이내, 주변 도로와의 이격거리 150m이상, 오염원과의 이격거리 100m 이상의 조건으로 조성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에 있어서, 맹꽁이의 먹이원이 서식하는 영역으로서, 층상구조로 이루어지는 산림비오톱(100);과, 맹꽁이의 먹이활동, 은신, 동면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면적이 50㎡∼1500㎡로 형성되는 초지비오톱(200);과, 맹꽁이의 산란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면적이 500㎡로 형성되는 영구습지지역(310)과 면적이 50㎡로 형성되는 일시습지지역(320)을 포함하는 습지비오톱(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림비오톱(100) 및 초지비오톱(200)의 지형은, 원지형을 보존하여 주변지형과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맹꽁이의 생활사를 고려하여 완경사, 평지형태로 불규칙하게 형성하며, 상기 습지비오톱(300)의 주변 둘레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땅속에서 생활하는 맹꽁이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흙을 20㎝이상 성토한 제1 서식구간(330)을 조성하고, 맹꽁이가 외부에서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돌 또는 통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제2 서식구간(340)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습지비오톱(300)의 수질은 PH5.8∼7.5, DO 5.1∼7.5ppm을 유지하고,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의 수심(H)은 10㎝∼50㎝로 형성하고, 상기 일시습지지역(320)의 수심(h)은 20㎝∼3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에는 수원지으로부터 자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유입된 자연수가 상기 영구습지지역(310) 외부로 자연배출되도록 출수구(3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311)는 상기 습지비오톱(300) 주변 흙이 인입되거나 비점오염원이 유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그 길이를 50m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출수구(312)의 폭(d)은 상기 유입구(311)의 폭(D)보다 1/3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습생식물,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식물종을 이용하여 상기 영구습지지역(310) 개방수면의 비율을 3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림비오톱(100)은, 맹꽁이의 먹이원인 곤충 또는 절지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생물종이 서식되도록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 지치층의 층상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림비오톱(100)은, 식생의 안정적인 생육을 위해 잔디 조성구역은 30㎝, 지피류 조성구역은 30㎝, 소관목 조성구역은 45㎝, 천근성교목 조성구역은 90㎝, 심근성교목 조성구역은 150㎝의 토심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식처 적합성 지수(HSI), 기후, 기상, 지형, 수리, 토양, 식생물조사 등을 통하여 산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최적의 복원 위치에 맹꽁이 서식에 필요한 구성을 갖춘 산림비오톱, 초지비오톱, 습지비오톱을 형성함으로써, 맹꽁이의 개체증식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의 전체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의 평면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2, 3,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은 현지조사, 맹꽁이 습성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조건을 통한 맹꽁이 서식처 적합성 지수(HSI) 항목 및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고도 400m, 주변 습지, 초지, 밭, 하천, 논과의 이격거리 150m 이내, 주변 도로와의 이격거리 150m이상, 오염원과의 이격거리 100m 이상의 조건으로 조성된 것으로서, 크게 산림비오톱(100), 초지비오톱(200), 습지비오톱(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산림비오톱(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산림비오톱(100)은 맹꽁이의 먹이원에 해당하는 곤충 또는 절지류 등이 서식하고, 맹꽁이가 은신하는 장소로서, 나무, 숲, 식물의 군락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산림비오톱(100)은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 지치층의 층상구조을 이룸으로써, 주변 환경과의 연결성이 용이해지고, 곤충 도는 절지류 등의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으며, 생물, 경관의 다양성, 물질의 순환성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림비오톱(100)은 잔디, 나무, 풀 등의 다양한 식생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생의 안정적인 생육을 위해 잔디 조성구역은 30㎝, 지피류 조성구역은 30㎝, 소관목 조성구역은 45㎝, 천근성교목 조성구역은 90㎝, 심근성교목 조성구역은 150㎝의 토심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산림비오톱(100)의 공간을 형성하거나 구획할 경우에는 동선을 고려하여 계획하여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지형을 보존하여 주변지형과 조화롭게 연결되도록 조성하고, 맹꽁이의 생활사를 고려하여 완경사, 평지, 함몰부지 등 지표면을 불규칙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초지비오톱(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초지비오톱(200)은 맹꽁이의 먹이활동, 은신, 동면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그 면적은 50㎡∼1500㎡으로 광활하게 형성하고, 맹꽁이의 생활사를 고려하여 완경사, 평지, 함몰부지 등 지표면을 불규칙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초지비오톱(200)에는 맹꽁이 서식지를 위한 복원재료 또는 시설물 등이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한 것들은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자연석, 통나무, 나뭇가지 등의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맹꽁이의 먹이원인 곤충 및 절지류의 서식지를 고려하여 나무더미, 돌무더기 등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초지비오톱(200)은 맹꽁이가 먹이활동, 은신, 동면을 취하는 공간으로 이 공간에 심어지는 식물 또는 식생은 외래종이 아닌 자생종을 이용함으로써, 생태계 교란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습지비오톱(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습지비오톱(300)은 맹꽁이의 수중생활 또는 산란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영구습지지역(310)과 일시습지지역(320)으로 형성된다.
이때, 습지비오톱(300)의 수질은 맹꽁이의 원활한 산란 및 특성을 고려하여 PH5.8∼7.5, DO 5.1∼7.5ppm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의 수심(H)은 10㎝∼50㎝, 면적 500㎡으로, 상기 일시습지지역(320)의 수심(h)은 20㎝∼30㎝, 면적 50㎡으로 형성된 웅덩이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수확보가 용이하도록 배수성이 좋지 않은 점질성 토양을 이용하여 조성한다.
한편, 상기 습지비오톱(300)의 환경은 맹꽁이의 생태적 특성상 주요 산란처에 속하므로서, 자연상태와 유사한 형태의 물순환체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습지비오톱(300)의 수원은 빗물, 주변하천, 계곡수, 용출수, 지표수, 지하수, 상수, 하수의 재처리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집지를 조성하는 데 있어 단독 수원을 확보하는 것 보다는 다양한 수원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중 지표수를 포함한 수원을 이용할 경우,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에는 수원지로부터 자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11)와 자연수가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의 외부로 자연배출되도록 출수구(3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311)는 상기 습지비오톱(300) 주변 흙이 인입되거나 비점오염원이 유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그 길이를 50m이상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출수구(312)는 그 폭(d)을 상기 유입구(311)의 폭(D)보다 1/3 이하로 형성하여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출수구(312)를 조성하지 않는 방법을 통해 침전, 흡수, 영양물질을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습지비오톱(300)은 다양한 형태로 조성함으로써, 점이대를 다양한 유형으로 형성하게 해 주어 맹꽁이의 산란처, 은신처를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에는 버드나무, 갯버들, 키버들, 고마리, 괘이사초, 누운기장대풀, 돌피, 뚝새풀, 매듭풀, 벌사상자, 부처꽃, 배암차즈기, 뱀딸기, 산조풀, 수영, 여뀌자귀풀, 조개풀, 참새귀리, 큰개여뀌 등이 속하는 습생식물과 갈대, 골풀, 꼬마부들, 낙지다리, 눈여뀌바늘, 도루박이, 물달개비, 미나리, 부들, 송이고랭이, 애기부들, 젓가락나물, 줄, 질경이택사, 창포, 큰고랭이 등이 속하는 정수식물과, 가래, 노랑어리연꽃, 마름, 수련, 어리연꽃, 연꽃 등이 속하는 부엽식물,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등이 속하는 부유식물을 식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습생식물,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을 이용하여 상기 영구습지지역(310) 개방수면의 비율을 30%로 유지함으로써, 자연환경과 유사한 습지를 조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습지비오톱(300)의 주변 둘레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땅속에서 생활하는 맹꽁이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흙을 20㎝이상 성토한 제1 서식구간(330)을 형성하고, 맹꽁이가 외부에서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돌 또는 통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제2 서식구간(340)이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100: 산림비오톱 200: 초지비오톱
300: 습지비오톱
310: 영구습지지역 311: 유입구
312: 출수구
320: 일시습지지역
330: 제1 서식구간 340: 제2 서식구간
D: 유입구의 폭
d: 출수구의 폭
H: 영구습지지역의 수심
h: 일시습지지역의 수심

Claims (8)

  1. 고도 400m, 주변 습지, 초지, 밭, 하천, 논과의 이격거리 150m 이내, 주변 도로와의 이격거리 150m이상, 오염원과의 이격거리 100m 이상의 조건으로 조성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에 있어서,
    맹꽁이의 먹이원이 서식하는 영역으로서, 층상구조로 이루어지는 산림비오톱(100);
    맹꽁이의 먹이활동, 은신, 동면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면적이 50㎡∼1500㎡로 형성되는 초지비오톱(200);
    맹꽁이의 산란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면적이 500㎡로 형성되는 영구습지지역(310)과 면적이 50㎡로 형성되는 일시습지지역(320)을 포함하는 습지비오톱(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림비오톱(100) 및 초지비오톱(200)의 지형은,
    원지형을 보존하여 주변지형과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맹꽁이의 생활사를 고려하여 완경사, 평지형태로 불규칙하게 형성하며,
    상기 습지비오톱(300)의 주변 둘레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땅속에서 생활하는 맹꽁이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흙을 20㎝이상 성토한 제1 서식구간(330)을 조성하고,
    맹꽁이가 외부에서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돌 또는 통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제2 서식구간(340)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습지비오톱(300)의 수질은 PH5.8∼7.5, DO 5.1∼7.5ppm을 유지하고,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의 수심(H)은 10㎝∼50㎝로 형성하고,
    상기 일시습지지역(320)의 수심(h)은 20㎝∼3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영구습지지역(310)에는 수원지으로부터 자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유입된 자연수가 상기 영구습지지역(310) 외부로 자연배출되도록 출수구(3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11)는 상기 습지비오톱(300) 주변 흙이 인입되거나 비점오염원이 유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그 길이를 50m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출수구(312)의 폭(d)은 상기 유입구(311)의 폭(D)보다 1/3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6. 청구항 5에 있어서,
    습생식물,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식물종을 이용하여 상기 영구습지지역(310) 개방수면의 비율을 3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림비오톱(100)은,
    맹꽁이의 먹이원인 곤충 또는 절지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생물종이 서식되도록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 지치층의 층상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림비오톱(100)은,
    식생의 안정적인 생육을 위해 잔디 조성구역은 30㎝, 지피류 조성구역은 30㎝, 소관목 조성구역은 45㎝, 천근성교목 조성구역은 90㎝, 심근성교목 조성구역은 150㎝의 토심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1).
KR1020150092793A 2015-06-30 2015-06-30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KR20170003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93A KR20170003764A (ko) 2015-06-30 2015-06-30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93A KR20170003764A (ko) 2015-06-30 2015-06-30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64A true KR20170003764A (ko) 2017-01-10

Family

ID=5781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793A KR20170003764A (ko) 2015-06-30 2015-06-30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764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2566A (zh) * 2018-08-24 2019-01-04 吴善方 一种促使虎纹蛙集中产卵的高存活养殖方法及其养殖设备
CN110583570A (zh) * 2019-08-29 2019-12-20 华中农业大学 一种蛙稻共作池的建造方法
CN110835899A (zh) * 2019-11-22 2020-02-25 山东黄河三角洲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局 一种环状内凹型湿地水鸟栖息繁殖岛及其构建方法和应用
CN111034679A (zh) * 2019-12-31 2020-04-21 梅雁航 一种绿色生态种养蛙稻米的方法
CN111134081A (zh) * 2019-12-26 2020-05-12 南大(常熟)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雉栖息地近自然恢复方法
KR20200142865A (ko) 2019-06-13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07474A (ko) 2019-07-11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89462A (ko) 2020-01-08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89464A (ko) 2020-01-08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89461A (ko) 2020-01-08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113902A (ko) 2020-03-09 2021-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115656A (ko) * 2020-03-16 2021-09-27 박윤학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KR20230115158A (ko) 2022-01-26 202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30126868A (ko) 2022-02-24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KR20230134800A (ko) 2022-03-15 202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55B1 (ko) 2014-08-06 2014-10-23 국립공원관리공단 남생이 친환경 대체 서식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55B1 (ko) 2014-08-06 2014-10-23 국립공원관리공단 남생이 친환경 대체 서식지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2566A (zh) * 2018-08-24 2019-01-04 吴善方 一种促使虎纹蛙集中产卵的高存活养殖方法及其养殖设备
KR20200142865A (ko) 2019-06-13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07474A (ko) 2019-07-11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CN110583570A (zh) * 2019-08-29 2019-12-20 华中农业大学 一种蛙稻共作池的建造方法
CN110835899A (zh) * 2019-11-22 2020-02-25 山东黄河三角洲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局 一种环状内凹型湿地水鸟栖息繁殖岛及其构建方法和应用
CN110835899B (zh) * 2019-11-22 2021-11-02 山东黄河三角洲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局 一种环状内凹型湿地水鸟栖息繁殖岛及其构建方法和应用
CN111134081A (zh) * 2019-12-26 2020-05-12 南大(常熟)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雉栖息地近自然恢复方法
CN111034679A (zh) * 2019-12-31 2020-04-21 梅雁航 一种绿色生态种养蛙稻米的方法
KR20210089462A (ko) 2020-01-08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89464A (ko) 2020-01-08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089461A (ko) 2020-01-08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113902A (ko) 2020-03-09 2021-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10115656A (ko) * 2020-03-16 2021-09-27 박윤학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KR20230115158A (ko) 2022-01-26 202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20230126868A (ko) 2022-02-24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KR20230134800A (ko) 2022-03-15 202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764A (ko) 맹꽁이 서식지 복원시설
Lacher et al. Environmental degradation in the Pantanal ecosystem
Wace et al. Man and nature in the Tristan da Cunha Islands
Rannap et al. Geographic variation in habitat requirements of two coexisting newt species in Europe
Omondi et al. Lakes Baringo and Naivasha: endorheic freshwater lakes of the Rift Valley (Kenya)
KR100958933B1 (ko)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
Aspinall Environmental Development and Protection in the UAE
KR20170005923A (ko) 맹꽁이 인공사육시설
Langton et al. Amphibians and reptiles: conservation management of species and habitats
Raffaele et al. Birds of Puerto Rico and the Virgin Islands: Fully Revised and Updated Third Edition
Armstrong Human impact on the Falkland Islands environment
Ashkenazi Reconstruction of the habitats in the ecosystem of the Final Natufian site of Ain Mallaha (Eynan)
Warui Current status, utilization, succession and zonation of mangrove ecosystem along Mida creek, Coast province, Kenya
Shim et al. Development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habitat restoration of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KR101938162B1 (ko)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Fayvush et al. Biodiversity Conservation Problems
Junk et al. The Pantanal of Mato Grosso: Linking ecological research, actual use and manage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Jerrentrup The fauna of Lake Kerkini wetland
Ak Avian and wildlife diversity in the area of bauxite mining near lamba village, Dwarka in the state of Gujarat, India
Muhando Biophysical Features in the Northern Tanga Marine Reserves, Tanzania
Rožac49 et al. Importance of knowledge on habitat structure for wildlif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eastern Croatia
Dey A Study on Habitat Selection and Probable Anthropogenic Threats of Anurans in Barak Valley, Northeast India
ORBOCEA MANAGEMENT ELEMENTS FOR THE WILD BEACH CORBU (BLACK SEA COAST) WITH SPECIAL EMPHASIS ON HERPETOFAUNA
Brett Touring South Africa's National Parks
Ghira THE HERPETOFAUNA OF THE SIGHISOARA AREA (TRANSYLVANIA, ROM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