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363B1 -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 Google Patents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363B1
KR101315363B1 KR1020110085388A KR20110085388A KR101315363B1 KR 101315363 B1 KR101315363 B1 KR 101315363B1 KR 1020110085388 A KR1020110085388 A KR 1020110085388A KR 20110085388 A KR20110085388 A KR 20110085388A KR 101315363 B1 KR101315363 B1 KR 101315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land
estuary
water
mun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648A (ko
Inventor
신정섭
전숙례
문병렬
현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
Priority to KR102011008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구 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무논 및 갯골을 조성한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는 기수의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갯골과, 갯골과 연결되어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무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wetland made in estuary for living thing inhabitation and method of making wetland in estuary for living thing inhabitation}
본 발명은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구 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무논 및 갯골을 조성한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수역 습지의 농경지가 분포하는 지역은 겨울철새가 먹이터와 휴식터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일 예로, 11월이 되면 오리류의 새들이 무리를 지어 찾아오는 것이 목격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 개발과 인구 증가로 인해 조류의 서식지 및 조류 취식지로 활용되는 면적은 급감하고 있으며, 교통량 증가에 따른 도로의 증설은 조류의 서식지 및 조류 취식지를 단절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에 철새들이 이용하던 서식지 및 취식지의 용도 변경과 주변 환경의 변화는 먹이 자원 부족 및 철새들의 경계심을 유발하여 철새들의 재도래를 저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철새들이 서식 및 취식하기에 적합한 조류 서식지 및 조류 취식지의 조성은 반드시 필요한데, 특히, 겨울철새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생물 서식을 위한 습지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겨울철새를 위한 조류 서식 습지의 토양을 부드럽게 해 이곳에 있는 먹이가 되는 식물을 새들이 캐먹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생물들도 함께 서식하게 하여 조류의 먹이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새의 도래지 및 생태관광지로써 조류 서식 습지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구 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무논 및 갯골을 조성한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수의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갯골; 그리고 상기 갯골과 연결되어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무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갯골은 간조 시에 50~100cm의 수심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갯골의 통로 벽에는 지름이 10~20cm의 통나무로 이루어지는 제1목책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갯골에서 수로의 연결부분에는 물의 흐름방향으로 양단부가 벌어지는 형상의 제2목책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갯골에는 수생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수생식물은 갈대, 모새달,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선버들, 개수양버들, 산조풀 및 물억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논에는 습지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습지 식물은 새섬매자기, 매화마름, 민매화마름 및 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갯골의 물이 상기 무논에 공급되도록 제방에는 상기 갯골과 상기 무논을 연결하는 용수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갯골의 물을 상기 무논으로 공급하는 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논에는 미꾸라지 및 우렁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서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수의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는 갯골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갯골과 연결되도록 하고, 만조 시에 상기 갯골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무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갯골이 각망이 설치된 어장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갯골은 미리 조성된 수로에 준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갯골은 간조 시에 50~100cm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갯골의 통로 벽에 지름이 10~20cm의 통나무로 이루어지는 제1목책이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갯골에서 수로의 연결부분에 물의 흐름방향으로 양단부가 벌어지는 형상의 제2목책이 더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갯골에 갈대, 모새달,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선버들, 개수양버들, 산조풀, 물억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논에 새섬매자기, 매화마름, 민매화마름 및 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습지 식물이 식재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갯골의 물이 상기 무논에 공급되도록 제방에는 상기 갯골과 상기 무논을 연결하는 용수로가 더 설치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갯골의 물을 상기 무논으로 공급하는 펌프가 더 구비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논에 미꾸라지 및 우렁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물이 서식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리 조성된 수로를 대상으로 목책을 설치하고, 물길을 깊게 하는 보강 준설을 통해 갯골을 만듦으로써 갯골의 복원이 용이하고, 각망을 설치한 어장 조성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수로망이 발달해 있는 습지의 농경지를 갯골과 연결함으로써 하구의 만조 시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간조 시에도 물이 남아 있도록 하여 무논을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셋째, 하구의 갯골을 조성함으로써 건조화 된 하구의 사주 및 둔치를 살려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다.
넷째, 갯골에 갈대, 모새달,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선버들, 개수양버들, 산조풀 및 물억새와 같은 수생식물이 식재되고, 무논에는 미꾸라지, 우렁이 같은 생물과 함께 새섬매자기 등과 같은 습지 식물이 식재됨으로써 겨울철 철새의 먹이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의 수로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에 설치되는 제2목책과 물의 흐름을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는 갯골(10)과 무논(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갯골(10)은 기수의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어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논(20)은 상기 갯골(10)과 연결되어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하구의 만조시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무논(20)에 공급하여 간조 시에도 물이 남아 있도록 함으로써 겨울철새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갯골(10)은 기수의 간조와 만조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곳으로, 특히, 만조 시에 물어 들어올 수 있고, 유입된 물의 양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 쉽게 증발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갯골'은 '물골'이라는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갯골(10)과 물골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갯골'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복원이 가능하고, 효과가 뛰어날 곳으로 예상되는 공간이 상기 갯골(10)의 복원대상지로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갯골(10)은 미리 조성된 수로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갯골(10)은 각망이 설치된 어장으로 조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조성된 수로가 기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곳인 경우에는, 파 놓은 물길이 더 깊어지도록 준설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만조 때 물이 수로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갯골(10)은 간조 때에 50~100cm의 수심을 유지하도록 표고를 맞추어 준설될 수 있다.
또한, 조성된 상기 갯골(10)에서 물이 이동하는 통로의 벽에는 제1목책(30)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목책(30)은 지름 10~20cm의 통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갯골(10)이 점토나 미사질의 흙으로 되어 있더라도, 쉽게 무너져 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상기 갯골(10)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후, 상기 갯골(10)에는 물이 들어찼다가 빠지는 조수간만의 차가 매일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갯골(10)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물의 흐름에 따른 일정한 형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목책(30)은 생목(生木)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시간이 흐르면서 나무가 자라게 되어 상기 갯골(10)의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갯골(10)은 물이 들고 빠지는 수로부와, 물이 어느 정도 고이고 고인 물이 넘쳐 주변의 습지를 유기적으로 이어주는 습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목책(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갯골(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내측 제1목책(31)와 외측 제1목책(32)의 다중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수기 때에는 상기 내측 제1목책(31)에 물이 저수되어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간조 시에는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 제1목책(32)에 의해 물이 저수되어 일정범위의 수심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갯골(10)에는 수생식물이 식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생식물은 자연천이를 통해 유입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생식물은 어류의 피난처나 산란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생식물은 갈대, 모새달,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선버들, 개수양버들, 산조풀 및 물억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생식물은 상기 갯골(10)에서 건조한 육지로 갈수록, 갈대, 모새달,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선버들, 개수양버들, 산조풀 및 물억새의 순으로 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갯골(10)의 조성을 통해, 습지의 건조화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화 된 하구의 사주 및 둔치를 살릴 수 있다.
즉, 이렇게 조성된 갯골(10)은 하구의 물길뿐만이 아니라, 수생이나 수변식물의 분포지가 조성되도록 하고, 어류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여 치어의 서식지 및 어류의 산란지로 제공되며, 말똥게나 펄콩게 등과 같은 갑각류의 서식도 가능하여 철새의 먹이터로 조성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습지의 기능이 회복되도록 하여 습지의 복원이 가능해져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논(20)은 항상 물이 고여 있거나 언제든 쉽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무논(20)은 상기 갯골(10)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갯골(10)에서 갈라지는 수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논(20)은 갯골(10)에 인접하여 물공급이 용이한 지역에 선정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농경지를 중심으로 수로망이 발달해 있는 습지에서는 수로망과 인접한 농경지가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겨울철에도 상기 갯골(10)과 같이 수로가 발달한 지역으로 하구의 만조 시에 물이 유입되고, 간조 시에도 물이 남아 있어 상기 무논(20)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논(20)과 상기 갯골(1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방(40)에는 용수로(4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만조 시에는 상기 용수로(45)를 통해 상기 갯골(10)의 물이 상기 무논(20)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간조 시에도 상기 무논(20)에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논(20)에는 습지 식물이 식재될 수 있으며, 상기 습지 식물은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매화마름, 민매화마름 및 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무논(20)은 철새의 먹이터 역할을 하는 식물서식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게 된다.
이중, 상기 매화마름은, 상기 매화마름이 성장하는 봄철에 물속에 떠있는 개체를 채취해 이식지로 옮기는 방법과, 종자를 따서 파종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이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벼는 겨울철 낙곡을 발생시켜 철새들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활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무논(20)에는 새들의 먹이원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미꾸라지 및 우렁이 등이 서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무논(20)에는 재두루미 등과 같은 겨울철새들의 먹이터로서의 기능과 함께 취침장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의 수로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에 설치되는 제2목책과 물의 흐름을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갯골(10)에서 물길이 갈라지는 부분 또는 안쪽의 수심이 깊이 유지되어야 할 곳의 주변에는 제2목책(35)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목책(35)은 물의 흐름방향으로 양단부가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목책(35)은 전방을 중심으로 물의 흐름방향으로 양단부가 벌어지는 두 개의 직선부(36)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c), (d) 및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목책(35)은 전방을 중심으로 물의 흐름방향으로 양단부가 벌어지는 곡선부(37)를 가지는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의 변화는 밀물의 양이나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2목책(35)은 상기 직선부(36) 또는 상기 곡선부(37)에 연결되어 상기 갯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연장부(3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갯골(10)의 안쪽에 수로 형태가 유지되는 곳의 수심이 깊은 곳에 항상 물이 들어차 있더라도 수심이 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단시간에 조수가 밀려들어 오더라도 상기 제2목책(35)의 상기 직선부(36) 및 곡선부(37)를 지나면서 그 흐름(도 4의 화살표 참조)의 속도가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이 분산되어 수심이 깊은 부분의 토사의 붕괴가 방지되고 퇴적율도 낮아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갯골(10)의 제방쪽 사면부(12)는 도 3의 (a)~(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 3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자형식(15)으로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사면 붕괴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의 갯골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에서는 갯골의 물을 무논으로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갯골(10)과 무논(20) 사이의 제방(40)에는 펌프(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110)는 전술한 용수로(도 1의 45)가 제방에 설치되기 어려운 경우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갯골(10)의 물은 상기 펌프(110)에 의해 상기 무논(20)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갯골 12: 사면부
20: 무논 31: 내측 제1목책
32: 외측 제1목책 35: 제2목책
40: 제방 45: 용수로
110: 펌프

Claims (19)

  1. 기수의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갯골(10); 그리고
    상기 갯골(10)과 연결되어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무논(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은 간조 시에 50~100cm의 수심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의 통로 벽에는 지름이 10~20cm의 통나무로 이루어지는 제1목책(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에서 수로의 연결부분에는 물의 흐름방향으로 양단부가 벌어지는 형상의 제2목책(3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에는 수생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수생식물은 갈대, 모새달,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선버들, 개수양버들, 산조풀 및 물억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논(20)에는 습지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습지 식물은 새섬매자기, 매화마름, 민매화마름 및 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의 물이 상기 무논(20)에 공급되도록 제방에는 상기 갯골(10)과 상기 무논(20)을 연결하는 용수로(4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의 물을 상기 무논(20)으로 공급하는 펌프(1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논(20)에는 미꾸라지 및 우렁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서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10. 기수의 만조 시에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는 갯골(10)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갯골(10)과 연결되도록 하고, 만조 시에 상기 갯골(10)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간조 시에도 일정범위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무논(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이 각망이 설치된 어장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갯골(10)은 미리 조성된 수로에 준설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은 간조 시에 50~100cm의 수심이 유지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의 통로 벽에 지름이 10~20cm의 통나무로 이루어지는 제1목책(30)이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에서 수로의 연결부분에 물의 흐름방향으로 양단부가 벌어지는 형상의 제2목책(35)이 더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에 갈대, 모새달, 새섬매자기, 세모고랭이, 선버들, 개수양버들, 산조풀, 물억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논(20)에 새섬매자기, 매화마름, 민매화마름 및 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습지 식물이 식재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의 물이 상기 무논(20)에 공급되도록 제방(40)에는 상기 갯골(10)과 상기 무논(20)을 연결하는 용수로(45)가 더 설치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갯골(10)의 물을 상기 무논(20)으로 공급하는 펌프(110)가 더 구비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논(20)에 미꾸라지 및 우렁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물이 서식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KR1020110085388A 2011-08-25 2011-08-25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KR101315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88A KR101315363B1 (ko) 2011-08-25 2011-08-25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88A KR101315363B1 (ko) 2011-08-25 2011-08-25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648A KR20130022648A (ko) 2013-03-07
KR101315363B1 true KR101315363B1 (ko) 2013-10-08

Family

ID=4817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388A KR101315363B1 (ko) 2011-08-25 2011-08-25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162A (zh) * 2016-04-07 2016-06-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利用钵盘育苗机械栽植的快速规模化恢复湿地芦苇植被的方法
CN105660159A (zh) * 2016-03-25 2016-06-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退化湿地中芦苇植被的快速恢复与构建的方法
CN108633797A (zh) * 2018-05-11 2018-10-12 柳州市柳南区动物疫病预防控制中心 稻田养殖田螺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1031B (zh) * 2013-12-18 2015-04-22 李德军 一种在芦苇荡里种植水稻的方法
CN111328657A (zh) * 2020-03-19 2020-06-26 魏学同 一种盐碱地水稻种植技术
CN116002897B (zh) * 2022-12-23 2024-09-20 国家林业和草原局华东调查规划院 一种农林湿复合生态净化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7030A (ja) * 1987-06-19 1988-12-26 Kenzo Ofuku 深層水栽培池
JPH07170879A (ja) * 1993-12-17 1995-07-11 Kubota Corp 養殖池の水交換装置および水交換方法
KR960006724B1 (ko) * 1993-08-16 1996-05-23 유양원 연해안의 조수를 이용한 양어장 구조물
US20040206516A1 (en) 2002-05-31 2004-10-21 Benedict Charles E. Permanent and semi-permanent groyne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7030A (ja) * 1987-06-19 1988-12-26 Kenzo Ofuku 深層水栽培池
KR960006724B1 (ko) * 1993-08-16 1996-05-23 유양원 연해안의 조수를 이용한 양어장 구조물
JPH07170879A (ja) * 1993-12-17 1995-07-11 Kubota Corp 養殖池の水交換装置および水交換方法
US20040206516A1 (en) 2002-05-31 2004-10-21 Benedict Charles E. Permanent and semi-permanent groyne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159A (zh) * 2016-03-25 2016-06-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退化湿地中芦苇植被的快速恢复与构建的方法
CN105660162A (zh) * 2016-04-07 2016-06-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利用钵盘育苗机械栽植的快速规模化恢复湿地芦苇植被的方法
CN105660162B (zh) * 2016-04-07 2019-03-26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利用钵盘育苗机械栽植恢复湿地芦苇植被的方法
CN108633797A (zh) * 2018-05-11 2018-10-12 柳州市柳南区动物疫病预防控制中心 稻田养殖田螺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648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363B1 (ko)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조성 습지 및 생물 서식을 위한 하구 습지 조성 방법
Winterwerp et al. Pilot study on the erosion and rehabilitation of a mangrove mud coast
Welcomme Floodplain fisheries management
KR101816075B1 (ko) 바이오폴리머를 이용한 투수성 식생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어소 시공방법
CN105519397A (zh) 一种河流侵蚀岸河柳护岸-生物栖息地的构建方法
JP4566145B2 (ja) 人工干潟及び人工干潟における生物生息環境の形成方法
CN100507154C (zh) 多孔栖息单元式生态护岸块体
CN108104079A (zh) 一种新型生态农田排水沟系统
Caskenette et al. Review of information to guide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habitat in the riparian zone for listed freshwater fishes and mussels
US9629341B2 (en) Method for inhibiting shore erosion
Mikołajczyk et al. Forest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occurrence of suspended solids in rivers and streams and their influence on ichthyofauna and river ecosystems
CN209941601U (zh) 一种补水型河道的生态修复系统
JP3081169B2 (ja) 水生生物用の人工水路
TWI605751B (zh) Wetland restoration methods and wetlands
Dalton Managing our river red gums
Smith Reserving Water: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Relationships with Colonial South Carolina Inland Rice Plantations
JP3165866U (ja) 水生植物植栽用容器
JP2779927B2 (ja) 水生生物の保護用水路
Rafikov et al. Environmental Substantiation of the Creation of Artificially Regulated Water Bodies on the Drained Bottom of the Aral Sea And in the Amudarya Delta
KR20160117104A (ko) 하천 제방 친환경(자연제방) 마므리 시공기술
KR100972332B1 (ko)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Kipshakbaev et al. Ecosystem restoration in the Syrdarya delta and Northern part of the Aral Sea
KR20090069037A (ko)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Betgeri Eco Restoration of Magadi Bird Sanctuary
Sharma et al. Saline Wetland Eco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