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332B1 -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332B1
KR100972332B1 KR1020070136879A KR20070136879A KR100972332B1 KR 100972332 B1 KR100972332 B1 KR 100972332B1 KR 1020070136879 A KR1020070136879 A KR 1020070136879A KR 20070136879 A KR20070136879 A KR 20070136879A KR 100972332 B1 KR100972332 B1 KR 10097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astal
artificial
wetland
wetl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040A (ko
Inventor
이승호
채진호
이지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Priority to KR102007013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3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유식물)를 연안 습지에 파종, 식재 또는 이식하는 것, 및 b) 바다 방향으로 후퇴하는 해수와 함께 이동하는 염생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포획하기 위한 펜스형 인공 둑으로서, 상기 습지의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1 m 내지 10 m이고 두께 및 폭이 있는 하나의 펜스 또는 서로 맞닿아 연결된 2 이상의 펜스로 이루어진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위치와 간조(干潮)시 해수의 위치 사이의 습지 바닥에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하부가 밀착되도록 세워서 설치하는 것을 통해 해수에 의한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된 염생 식물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염생 식물을 습지에 정착시키는 것에 의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안 습지, 복원, 생태계, 갯벌, 염생 식물, 인공 둑

Description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AN ARTIFICIAL BANK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AND METHOD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a)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연안 습지에 파종, 식재 또는 이식하는 것, 및 b) 바다 방향으로 후퇴하는 해수와 함께 이동하는 염생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포획하기 위한 펜스형 인공 둑으로서, 상기 습지의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1 m 내지 10 m이고 두께 및 폭이 있는 하나의 펜스 또는 서로 맞닿아 연결된 2 이상의 펜스로 이루어진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위치와 간조(干潮)시 해수의 위치 사이의 습지 바닥에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하부가 밀착되도록 세워서 설치하는 것을 통해, 해수에 의한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된 염생 식물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염생 식물을 습지에 정착시키는 것에 의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의 해안(연안) 습지는 남극을 제외한 전 지구상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그 면적은 860 ㎢로 지구 표면에 약 7 %에 해당된다. 해안 습지는 하천 유속의 감소와 조석의 간만의 차이가 크고 해안경사가 완만한 곳에서 육지로부터 운반 되어온 모래 진흙이 침전되어 생기는 곳을 말한다. 이러한 습지는 육지생태계와 바다에 위치한 추이대(ecotone)로서, 독특한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해안 습지에는 내염성 식물인 염생식물(halophyte)이 분포하여, 그 생산량은 해양생태계에 부니질 먹이사슬(detritus food chain)로 이동된다. 이러한 염생식물의 생산량은 먹이연쇄를 이루는 해양종속영양생물의 최초 먹이원으로 해양종속영양생물의 생산성과 분포를 매개하는 인자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습지 생태계가 쓸모없는 땅으로 잘못 인식되고, 인간에 주는 편익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이들 지역은 대규모 매립사업을 통해서 농업, 산업 및 도시 용도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로 인하여 지구상의 습지가 25 %나 감소되었으며, 우리나라는 60년대 동진강지구 간척사업을 필두로 최근 새만금간척사업까지 계속적인 대규모 간척사업이 진행되어 현재까지 남한의 습지면적 2,393 ㎢ 중 35 %인 837.55 ㎢ 이상이 소실되어 해양생물다양성 감소뿐만 아니라,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 해양생물종 생육지를 고립시키는 서식처 분열(habitat fragmentation)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서식처 분열 현상은 해안자연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켜 각종 해산어류, 염생식물군락, 저서생물상, 어패류 등이 바뀌거나 멸종되어, 해양 간석지 생태계의 기능이 상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와서 1992년 리우 지구환경정상회의에서 향후 세계적으로 보전 관리가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으로 습지생태계를 지적한 바 있으며 국제자연 및 자연자원 보전연맹(IUCN)에서는 간석지의 각종 개발보다는 간석지로서의 보전적 가치에 더 높은 효율성을 부가하였다.
습지의 보전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다양한 해양생물의 서식지 기능과 함께 지구 생태계 중에서 생산성(육지보다 3 ~ 15배 가량 높음)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1991년 미국 Fish and Wildlife Service 조사에 의하면 595종의 동식물이 감세추세종(threatened species) 또는 멸종위기종(endansered species)으로 기록되었는데 이중 60 %의 감세추세종과 40종의 멸종위기종이 간석지에 분포함을 밝힌바 있다. 둘째로, 습지는 육상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갯벌 토양에 침전시키거나 흡착하기도 하지만 간석지에 서식하는 동식물에 의하여 섭취 또는 흡수되고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셋째로, 습지는 태풍과 해일에 대한 완충역활을 함으로서 연안해역 생태계를 보존한다. 넷째로, 습지는 용수저장, 공급 및 담수보호 역할도 중요시된다.
습지의 경제 산업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다양한 해양생물의 서식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종다양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먹이 연쇄를 통한 수산물 생산량에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어류의 서식지 기능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는데, 미국 서부 플로리다 지역에서 상업적 어획의 95 %가 연안 습지에 의존하는 어류업으로 밝혀진 바 있다. 우리나라 해양 습지 생태계에서 잡히는 대표적인 어류로는 숭어, 전어, 밴댕이, 농어, 황복, 풀망둑 등이 있고, 연간 약 50,000~90,000원 톤의 조개류가 갯벌 및 그 주변에서 직접 생산되며, 이밖에 낙지, 갯지렁이 등이 습지에서 생산되어 연간 각각 1,000톤과 500톤이 계통 출하되고 있다.
둘째로, 습지는 태풍을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함으로서 방파제나 여러 시설물의 건설비용을 절감시킨다. 셋째로, 습지의 정화 기능으로 육상 오염 물질을 정 화함으로써 폐수 처리에 의한 비용 절감 효과를 나타낸다. 넷째로, 습지는 용수공급 및 담수 보호 역할로 연안습지가 없으면 담수의 염기가 높아져 이를 담수화하기 위한 많은 비용을 절감시킨다.
우리나라의 갯벌 면적은 1998년 현재 약 240,000 ha이며, 이는 농지확보, 항만 배후단지 및 임해공업단지 조성, 그리고 임해발전소와 최근의 인천신공항 건설 등 다양한 연안개발을 위한 간척 및 매립으로 인하여 1987년 12월에 비해 30~40 %가 감소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협소한 국토의 70 %가 산지이고 인구밀도가 높아 식량문제는 국가의 최우선 과제였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한 간척사업이 오래 전부터 수행되었다. 식량자급과 경제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임해 산업인프라 확충을 위한 간척 및 매립이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로 인한 연안습지 훼손으로 연안 수질악화, 해양수산물감소가 개발에 수반되는 불가피한 악영향 정도로 간주되는 등 그동안 연안환경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도가 낮았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실천의지 또한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1992년 우리나라를 포함한 178개국이 참석한 리우데자네이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지구 환경보호를 위한 대헌장인 '리우선언'과, 그 실천계획으로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하는 'Agenda 21'이 채택됨으로써 우리 정부도 환경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지향하는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7년 우리나라가 습지보전을 위한 람사협약에 가입한 이후, 세계 5대 갯벌에 속한 서해안 갯벌의 대규모 상실을 초래한 시화방조제 축조와 인천신공항 건설 등이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안습지 중요성에 비추어 무분별한 개발이라는 국내외의 지적이 본격화되었으며, 현재에도 새만금 간척사업을 비롯하여 장항갯벌 개발 등 국책사업들도 예외없이 찬반논리가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공 습지 조성 기술 개발은 연안 습지의 친환경적 확장과 가치 제고라는 일차적인 당위성 외에 개발에 의해 상실된 습지의 대체 습지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실정에서 시급히 수행하여야 할 과제이다.
종래에는 인공 습지 조성을 위하여, 사전 조사로서 습지의 특성과 지형, 지질특성을 파악한 후 해당 습지에 적합한 식물종을 선택하고, 인력을 동원하여 해당 습지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직접 습지 바닥에 심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적합한 식물 종을 선택하기 위해 전문 인력이 동원되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씨앗 또는 발아체를 심기 위한 인건비도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 문제가 있어왔으며, 파도, 조석 등에 의한 높은 유속 때문에 씨앗 또는 발아체가 유실되어 정착률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안 습지 복원에 있어서 파도, 조석 등에 의한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정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펜스형 인공 둑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연안 습지에 파종, 식재 또는 이식하는 것, 및 b) 바다 방향으로 후퇴하는 해수와 함께 이동하는 염생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포획하기 위한 펜스형 인공 둑으로서, 상기 습지의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1 m 내지 10 m이고 두께 및 면적이 있는 하나의 펜스 또는 서로 맞닿아 연결된 2 이상의 펜스로 이루어진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위치와 간조(干潮)시 해수의 위치 사이의 습지 바닥에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하부가 밀착되도록 세워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을 이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0.5 m 내지 5.0 m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은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습지 바닥에 세워서 설치했을 때의 평단면이 직선형, 곡선형, 각형, 지그재그형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펜스의 상단은 상기 펜스의 면에 대해 육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펜스형 인공 둑을 이용한 연안 습지의 복원 방법은, 종래의 인공 습지 조성을 통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의 성공률이 낮았던 원인을 파도, 조석 등에 의한 높은 유속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인공 둑을 설치함으로써 외부 유속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둑 안쪽에 있는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유실을 최소화함에 따라 정착률을 대폭 향상시켰다.
또한, 복수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사용할 경우 중 해당 습지 환경에 가장 적합한 염생 식물이 정착되게 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성공률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펜스형 인공 둑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의 추가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염생 식물들의 서식지 환경을 쉽게 파악하게 되어 해안 간석지 파괴에 따른 해안 생태계 복원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둘째로 파괴된 간석지 생태계의 빠른 회복을 유도하여 성공적인 간석지 생태계의 전반적인 복원 기술개발을 제시할 수 있고, 셋째로 각종 개발로 인한 간 석지 생태계 파괴에 따른 대체 생물자원을 추천할 수 있으며, 넷째로 간석지 토양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간석지 생태계 유지를 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습지의 정화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연안 습지에 파종, 식재 또는 이식하는 것, 및
b) 바다 방향으로 후퇴하는 해수와 함께 이동하는 염생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포획하기 위한 펜스형 인공 둑으로서, 상기 습지의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1 m 내지 10 m이고 두께 및 폭이 있는 하나의 펜스 또는 서로 맞닿아 연결된 2 이상의 펜스로 이루어진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위치와 간조(干潮)시 해수의 위치 사이의 습지 바닥에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하부가 밀착되도록 세워서 설치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연안 습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모래 또는 연안습지의 퇴적물에 포함되는 염생 식물은 예를 들어, 갈대, 갯잔디, 물억새, 모새달, 갯쇠보리, 천일사초, 하늘지기, 매자기, 부들, 취명아주, 갯는쟁이, 가는갯는쟁이, 칠면초, 나문재, 해홍나물, 개갓냉이, 갯개미자리, 갯완두, 갯질경, 갯메꽃, 순비기나무, 갯개미취, 갯쑥부쟁이, 사 철쑥 및 큰비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 이상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펜스는 대지를 구획하여 둘러막는 울타리 또는 담을 의미하며, 형태에 제한이 없으나 일정한 높이, 두께, 폭을 가진 것으로서, 파도, 조석 등에 의해 단기간에 유실되지 않을 정도이면 된다. 바람직한 펜스의 높이는 0.1 m 내지 10 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5.0 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2.0 m이다. 펜스의 높이가 상기 범위일 때 염생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가 파도나 조석에 의해 씻겨 내려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이 편리하고 경제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펜스의 재료는 제한이 없으며, 콘크리트, 돌, 시멘트, 금속, 플라스틱 및 나무 등 일정한 강도를 가진 재료가 바람직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나무가 환경 보호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안 습지 복원용 펜스형 인공 둑은 상기 펜스를 한 개 이상 설치한 것을 의미하며, 펜스의 설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작은 펜스를 여러 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큰 펜스를 소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펜스의 크기 및 개수는 복원하고자 하는 연안습지의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한 펜스의 높이는 0.1 m 내지 10 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5.0 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2.0 m이다. 펜스형 인공 둑의 높이가 상기 범위일 때 염생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가 파도나 조석에 의해 씻겨 내려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이 편리하고 경제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2 이상의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을 이격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이상의 펜스형 인공 둑을 이격하여 설치할 때의 배치 상태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2개의 펜스를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 2개의 펜스를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한 후 이격 공간이 가려지도록 1개의 펜스를 추가로 배치하는 경우, 2개의 펜스를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한 후 이격 공간이 가려지도록 육지 방향으로 오목부를 갖는 펜스를 추가로 배치하는 경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은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펜스형 인공 둑에 구멍이 없으면 물, 바람 등이 통과할 수 없어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이 파도, 조석 또는 바람에 의해 유실되기 쉽고, 펜스형 인공 둑의 구멍이 염생 식물의 씨앗 크기보다 크면 염생 식물의 씨앗이 쉽게 유실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설치 모양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습지 바닥에 세워서 설치했을 때의 평단면이 직선형, 곡선형, 각형, 지그재그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특히 곡선형, 각형, 지그재그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경우 바람직하다.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습지 바닥에 세워서 설치했을 때의 평단면이 곡선형, 각형, 지그재그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경우,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이 육지 방향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이 생겨서 파도나 조석에 의한 염생 식물의 씨앗 및 발아체의 유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정착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설치 형태는 펜스형 인공 둑의 횡 방향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을 연결한 선이 해안선과 0도 내지 7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도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인공 둑을 보았을 때, 가장 왼쪽에 있는 점을 "한쪽 끝", 가장 오른쪽에 있는 점을 "반대쪽 끝"으로 정의한다.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횡 방향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을 연결한 선이 해안선과 상기 각도를 이루는 경우, 파도나 조석 등에 의한 염생 식물의 씨앗 및 발아체의 유실을 충분히 방지하고 정착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펜스의 상단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펜스의 상단이 상기 펜스의 면에 대해 육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스의 면에 대해 각을 형성하면서 기울어지거나(도 5(b)), 곡면을 이루면서 기울어지거나(도 5(c)) 관계없다. 펜스의 상단이 상기와 같이 육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염생 식물의 씨앗 및 발아체가 파도나 조석 등에 의해 부유된 상태로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연안 습지 복원 방법에서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는 상기 펜스형 인공 둑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파종, 식재 또는 이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횡 방향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을 연결한 선의 길이를 "둑의 폭"으로 정의했을 때, 둑의 폭의 5배가 되는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며, 둑의 폭의 2배가 되는 거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가 상기 펜스형 인공 둑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상기 거리 범위에 있을 때 파도나 조석에 의한 유실을 충분히 방지하고 정착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등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동검도의 남동측 평평한 습지(갯벌)에서 평가되었으며,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은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염생 식물의 개체수 밀도>
대상 습지에서 5개의 방형구(50 x 50 ㎝)를 이용하여 각 방형구 면적 내에 생존해 있는 염생 식물의 개체수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염생 식물의 성장 높이>
방형구 면적 내에 생존해 있는 염생 식물의 성장 높이를 줄자로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실시예 1
지름 약 0.5~1.0 ㎝이고 길이 약 1 m인 가늘고 긴 나무 봉(1)을 세로로 밀착시켜 나란히 늘어놓은 후 실(2)로 연결하여 총 길이 20 m가 되도록 울타리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울타리를 도 3과 같이 해안선에 나란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 여 펜스형 인공 둑을 형성하고, 인공 둑 바로 뒤 40 m 이내 범위(A)에 육지 방향으로 칠면초 씨앗을 방형구 면적(50 x 50 ㎝) 당 30개씩 총 150개 파종한 후, 6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개체수 밀도 및 성장 높이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칠면초 씨앗을 인공 둑 뒤 40 m 내지 100 m 범위(A')에 파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비교예 1
칠면초 씨앗을 인공 둑의 영향이 없는 지역(B)에 파종 또는 식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표 1] 염생 식물의 개체수 밀도 및 성장 높이
경과시간
(개월)
실시예 1 (A) 실시예 2 (A') 비교예 1 (B)
개체수 밀도 성장 높이 개체수 밀도 성장 높이 개체수 밀도 성장 높이
6 6.4 8.2 5.0 8.0 2.1 6.0
7 5.4 17.0 5.1 16.1 2.0 13.0
8 6.7 26.0 5.1 21.5 1.9 19.0
9 6.9 26.0 5.2 22.0 2.0 21.7
10 6.9 26.0 5.3 22.0 1.9 20.7
11 7.4 25.2 5.3 22.3 2.1 21.0
12 6.8 26.0 5.2 23.2 2.0 22.5
13 5.2 25.8 4.0 23.5 1.8 21.5
14 5.3 25.8 4.0 23.7 2.1 23.0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펜스형 인공 둑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 실시예 2), 염생 식물이 습지에 정착하는 비율이 그렇지 않은 경우(비교예 1)에 비해 최종적으로 약 2 내지 2.5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염생 식물의 성장 높이도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염생 식물의 씨앗이 인공 둑 뒤로 40 m 이내(인공 둑의 폭의 2배 거리 이내 범위)에 식재되는 경우와 인공 둑 뒤로 40 m ~ 100 m 범위(인공 둑의 폭의 2배 내지 5배 범위)에 식재되는 경우 모두 인공 둑에 의한 씨앗 유실 방지 효과가 나타났지만 그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펜스형 인공 둑이 유속을 감소시켜서 파도나 조수에 의한 습지의 침식 또는 퇴적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유실을 최소화했기 때문이다. 즉, 해수 표면에 부유하여 외해 쪽으로 빠져나가는 씨앗 및 발아체가 인공 둑에 의해 차단되는 확률은 작지만, 저층 바닥을 통해서 외해 쪽으로 빠져 나가는 씨앗 및 발아체는 인공 둑에 의해서 차단되어 더 이상 외해 쪽으로 빠져 나가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펜스형 인공 둑 모양의 예로서, 일정 굵기 및 길이를 가지는 나무를 밀착 고정하여 제작한 울타리 형태의 펜스형 인공 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을 사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워져 설치된 1개 이상의 펜스형 인공 둑의 각종 배치 모습을 예시한 횡단면도이다. (a)는 1개의 펜스를 배치한 인공 둑, (b)는 2개의 펜스를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한 인공 둑, (c) 및 (d)는 2개의 펜스를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한 후 이격 공간이 가려지도록 1개의 펜스를 추가로 배치한 인공 둑, (e)는 2개의 펜스를이격하여 나란히 배치한 후 이격 공간이 가려지도록 육지 방향으로 오목부를 갖는 펜스를 추가로 배치한 인공 둑을 나타낸다.
도 4는 세워져 설치된 펜스형 인공 둑의 설치 모양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a)는 직선형, (b)는 지그재그형, (c)는 곡선형, (d)는 각형을 나타낸다.
도 5는 펜스형 인공 둑의 종단면도이다. (a)는 곧은 형태, (b)는 펜스 상단이 육지 방향으로 각을 이루며 기울어진 형태, (c)는 펜스 상단이 육지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며 기울어진 형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일정 굵기 및 길이를 갖는 나무봉
2 : 고정용 실
A : 인공 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습지(인공 둑 뒤로, 인공 둑의 폭의 2배 거리 이내 범위)
A' : 인공 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습지(인공 둑 뒤로, 인공 둑의 폭의 2배 내지 5배 거리 범위)
B : 인공 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습지
C : 육지
D : 바다

Claims (6)

  1. a)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연안 습지에 파종, 식재 또는 이식하는 것, 및
    b) 바다 방향으로 후퇴하는 해수와 함께 이동하는 염생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포획하기 위한 펜스형 인공둑으로서,
    상기 습지의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1m 내지 10m이고 두께 및 면적이 있는 하나의 펜스 또는 서로 맞닿아 연결된 2 이상의 펜스로 이루어진 펜스형 인공 둑을,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위치와 간조(干潮)시 해수의 위치 사이의 습지 바닥에 상기 펜스형 인공둑의 하부가 밀착되도록 세워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은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펜스의 상단이 상기 펜스의 면에 대해 육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2 이상의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을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의 높이는 상기 습지의 지면으로부터 0.5 m 내지 5.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펜스형 인공 둑은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70136879A 2007-12-24 2007-12-24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KR10097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79A KR100972332B1 (ko) 2007-12-24 2007-12-24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79A KR100972332B1 (ko) 2007-12-24 2007-12-24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040A KR20090069040A (ko) 2009-06-29
KR100972332B1 true KR100972332B1 (ko) 2010-07-26

Family

ID=4099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879A KR100972332B1 (ko) 2007-12-24 2007-12-24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997B1 (ko) 2023-05-15 2024-06-25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침식 갯벌에서의 지반 승고식 종자 공급 개체군 서식지 복원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8A (ja) * 1994-06-16 1996-01-09 Shimizu Corp ヨシを利用する汚染水浄化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汚水又はヘドロ処理装置
KR20000074822A (ko) * 1999-05-26 2000-12-15 허태학 해안의 생물공학적 침식방지공법
KR20030075051A (ko) * 2002-03-15 2003-09-22 김이도 성소부의 괄약근을 단련하기 위한 맛사지장치
KR200375051Y1 (ko) * 2004-10-04 2005-02-05 송제연 신죽방염 그물장치
KR20060082111A (ko) * 2005-01-11 2006-07-14 최원영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8A (ja) * 1994-06-16 1996-01-09 Shimizu Corp ヨシを利用する汚染水浄化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汚水又はヘドロ処理装置
KR20000074822A (ko) * 1999-05-26 2000-12-15 허태학 해안의 생물공학적 침식방지공법
KR20030075051A (ko) * 2002-03-15 2003-09-22 김이도 성소부의 괄약근을 단련하기 위한 맛사지장치
KR200375051Y1 (ko) * 2004-10-04 2005-02-05 송제연 신죽방염 그물장치
KR20060082111A (ko) * 2005-01-11 2006-07-14 최원영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997B1 (ko) 2023-05-15 2024-06-25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침식 갯벌에서의 지반 승고식 종자 공급 개체군 서식지 복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040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sch et al. Rivers of the Central European highlands and plains
Olson et al. Polders, dikes, canals, rice, and aquaculture in the Mekong Delta
Balwan et al. Wetland-an ecological boon for the environment
Abraham The relevance of wetland conservation in Kerala
Arya et al. Wetlands: The living waters-A review
KR101067702B1 (ko) 파이프형 구조물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
Prasetya Protection from coastal erosion
JP4566145B2 (ja) 人工干潟及び人工干潟における生物生息環境の形成方法
Rashid Coastal biodiversity-a review
Chabreck Creation, restoration and enhancement of marshes of the northcentral Gulf coast
KR100972332B1 (ko)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CN109252487B (zh) 一种用于生态恢复和防护的工字坝及其生态工法
KR101067701B1 (ko) 파이프형 구조물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
Bakker et al. Restoration of intertidal flats and tidal salt marshes
Brinkman Impact of climatic change on coastal agriculture
Scheren et al. The Western Indian Ocean: A wealth of life-supporting ecosystem goods and services
KR20090069037A (ko)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Athalye Biodiversity of Thane creek
Chithambaran Restoration of mangrove vegetation at Red Sea coast, Saudi Arabia
KR101043608B1 (ko)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Radulescu et al. Environmental friendly solution to combat massive developed vegetation in natural or hydropower lakes
Kumar et al. Spatiotemporal Evaluation of Causes and Consequences of Wetland Degradation
Sen Coastal ecosystems: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and threats due to climate change
Pohler The sabellariid worm colonies of Suva Lagoon, Fiji
Sen Coastal Ecosystem-Features, Constraints and Future Suggestions: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