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608B1 -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608B1
KR101043608B1 KR1020080021285A KR20080021285A KR101043608B1 KR 101043608 B1 KR101043608 B1 KR 101043608B1 KR 1020080021285 A KR1020080021285 A KR 1020080021285A KR 20080021285 A KR20080021285 A KR 20080021285A KR 101043608 B1 KR101043608 B1 KR 10104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coastal
wetland
restoration
wetl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393A (ko
Inventor
이승호
채진호
이지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Publication of KR2008008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복수개의 상하 관통홀로 형성된 씨앗 수납용 셀과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씨앗이 상기 씨앗 수납용 셀에 고정되도록 하는 씨앗 고정용 망을 포함하는 씨앗 수납부, 및 상기 씨앗 수납부에 수납된 1종 이상의 염생 식물 씨앗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해 염생 식물을 연안 습지(연안간석지)에 정착시키는 것에 의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안 습지, 복원, 생태계, 갯벌, 염생 식물

Description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A BLOCK KIT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AND METHOD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2007년 3월 23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30344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연안 습지(연안 간석지)의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조사만으로 연안 습지 복원이 가능하고, 대량 생산 및 대량 작업이 가능하며, 염생 식물의 정착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습지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의 해안 습지는 남극을 제외한 전 지구상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그 면적은 860 ㎢로 지구 표면에 약 7 %에 해당된다. 해안 습지는 하천 유속의 감소와 조석의 간만의 차이가 크고 해안경사가 완만한 곳에서 육지로부터 운반되어온 모래 진흙이 침전되어 생기는 곳을 말한다. 이러한 습지는 육지생태계와 바다에 위치한 추이대(ecotone)로서, 독특한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해안 습지에 는 내염성 식물인 염생식물(halophyte)이 분포하여, 그 생산량은 해양생태계에 부니질 먹이사슬(detritus food chain)로 이동된다. 이러한 염생식물의 생산량은 먹이연쇄를 이루는 해양종속영양생물의 최초 먹이원으로 해양종속영양생물의 생산성과 분포를 매개하는 인자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습지 생태계가 쓸모없는 땅으로 잘못 인식되고, 인간에 주는 편익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이들 지역은 대규모 매립사업을 통해서 농업, 산업 및 도시 용도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로 인하여 지구상의 습지가 25 %나 감소되었으며, 우리나라는 60년대 동진강지구 간척사업을 필두로 최근 새만금간척사업까지 계속적인 대규모 간척사업이 진행되어 현재까지 남한의 습지면적 2,393 ㎢ 중 35 %인 837.55 ㎢ 이상이 소실되어 해양생물다양성 감소뿐만 아니라,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 해양생물종 생육지를 고립시키는 서식처 분열(habitat fragmentation)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서식처 분열 현상은 해안자연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켜 각종 해산어류, 염생식물군락, 저서생물상, 어패류 등이 바뀌거나 멸종되어, 해양 간석지 생태계의 기능이 상실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와서 1992년 리우 지구환경정상회의에서 향후 세계적으로 보전 관리가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으로 습지생태계를 지적한 바 있으며 국제자연 및 자연자원 보전연맹(IUCN)에서는 간석지의 각종 개발보다는 간석지로서의 보전적 가치에 더 높은 효율성을 부가하였다.
습지의 보전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다양한 해양생물의 서식지 기능과 함께 지구 생태계 중에서 생산성(육지보다 3 ~ 15배 가량 높음)이 가장 높은 지역 이다. 1991년 미국 Fish and Wildlife Service 조사에 의하면 595종의 동식물이 감세추세종(threatened species) 또는 멸종위기종(endansered species)으로 기록되었는데 이중 60 %의 감세추세종과 40종의 멸종위기종이 간석지에 분포함을 밝힌바 있다. 둘째로, 습지는 육상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갯벌 토양에 침전시키거나 흡착하기도 하지만 간석지에 서식하는 동식물에 의하여 섭취 또는 흡수되고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셋째로, 습지는 태풍과 해일에 대한 완충역할을 함으로서 연안해역 생태계를 보존한다. 넷째로, 습지는 용수저장, 공급 및 담수보호 역할도 중요시된다.
습지의 경제 산업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다양한 해양생물의 서식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종다양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먹이 연쇄를 통한 수산물 생산량에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어류의 서식지 기능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는데, 미국 서부 플로리다 지역에서 상업적 어획의 95 %가 연안 습지에 의존하는 어류업으로 밝혀진 바 있다. 우리나라 해양 습지 생태계에서 잡히는 대표적인 어류로는 숭어, 전어, 밴댕이, 농어, 황복, 풀망둑 등이 있고, 연간 약 50,000~90,000 톤의 조개류가 갯벌 및 그 주변에서 직접 생산되며, 이밖에 낙지, 갯지렁이 등이 습지에서 생산되어 연간 각각 1,000톤과 500톤이 계통 출하되고 있다.
둘째로, 습지는 태풍을 보호하는 완충역할을 함으로서 방파제나 여러 시설물의 건설비용을 절감시킨다. 셋째로, 습지의 정화 기능으로 육상 오염 물질을 정화함으로써 폐수 처리에 의한 비용 절감 효과를 나타낸다. 넷째로, 습지는 용수공급 및 담수 보호 역할로 연안습지가 없으면 담수의 염기가 높아져 이를 담수화하기 위 한 많은 비용을 절감시킨다.
우리나라의 갯벌 면적은 1998년 현재 약 240,000 ha이며, 이는 농지확보, 항만 배후단지 및 임해공업단지 조성, 그리고 임해발전소와 최근의 인천신공항 건설 등 다양한 연안개발을 위한 간척 및 매립으로 인하여 1987년 12월에 비해 30~40 %가 감소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협소한 국토의 70 %가 산지이고 인구밀도가 높아 식량문제는 국가의 최우선 과제였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한 간척사업이 오래전부터 수행되었다. 식량자급과 경제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임해 산업인프라 확충을 위한 간척 및 매립이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로 인한 연안습지 훼손으로 연안 수질악화, 해양수산물감소가 개발에 수반되는 불가피한 악영향 정도로 간주되는 등 그동안 연안환경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도가 낮았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실천의지 또한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1992년 우리나라를 포함한 178개국이 참석한 리우데자네이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지구 환경보호를 위한 대헌장인 '리우선언'과, 그 실천계획으로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하는 'Agenda 21'이 채택됨으로써 우리 정부도 환경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지향하는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7년 우리나라가 습지보전을 위한 람사협약에 가입한 이후, 세계 5대 갯벌에 속한 서해안 갯벌의 대규모 상실을 초래한 시화방조제 축조와 인천신공항 건설 등이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안습지 중요성에 비추어 무분별한 개발이라는 국내 외의 지적이 본격화되었으며, 현재에도 새만금 간척사업을 비롯하여 장항갯벌 개발 등 국책사업들도 예외없이 찬반논리가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공 습지 조성 기술 개발은 연안 습지의 친환경적 확장과 가치 제고라는 일차적인 당위성 외에 개발에 의해 상실된 습지의 대체 습지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실정에서 시급히 수행하여야 할 과제이다.
종래에는 인공 습지 조성을 위하여, 사전 조사로서 습지의 특성과 지형, 지질특성을 파악한 후 해당 습지에 적합한 식물종을 선택하고, 인력을 동원하여 해당 습지 식물의 씨앗 또는 발아체를 직접 습지 바닥에 심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적합한 식물 종을 선택하기 위해 전문 인력이 동원되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씨앗 또는 발아체를 심기 위한 인건비도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 문제가 있어왔으며, 파도, 조석 등에 의한 높은 유속 때문에 씨앗 또는 발아체가 유실되어 정착률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안 습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습지 분포의 기초조사를 위하여 전국자연생태계조사를 수행한 바 있으며 서남해안과 동해안, 무인도서에 이르기까지 조사를 수행한 후, 이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대체습지개발을 위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결과물인 연안 습지 복원용 친환경적 블록 키트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경제성 및 정착률 개선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습지 복원 방식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유동, 파랑, 조석 등에 의한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유실을 최소화 하고 정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안 습지 복원용 친환경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복수 개의 상하 관통홀로 형성된 씨앗 수납용 셀과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씨앗이 상기 씨앗 수납용 셀에 고정되도록 하는 씨앗 고정용 망을 포함하는 씨앗 수납부, 및 상기 씨앗 수납부에 수납된 1종 이상의 염생 식물 씨앗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이 수납된 씨앗 고정용 망을 씨앗 수납용 셀에 부착한,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습지의 바닥에 장착하여, 염생 식물을 정착시키는 것에 의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이용한 연안 습지의 복원 방법은, 간단한 사전 조사만으로 다수의 대상 씨앗을 선정해 두고 이를 포함하는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대량 생산하여 복원이 필요한 습지에 대량으로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문제되었던 사전 조사비 및 인건비 측면에서의 경제성을 대폭 개선하였고, 염생 식물 씨앗을 씨앗 수납용 셀 내부에 고정하여 외부 유속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씨앗 또는 발아체의 유실을 최소화함에 따라 정착률을 향상시켰다.
또한, 1종 이상 다수의 씨앗을 상기 씨앗 고정용 망 및 씨앗 수납용 셀에 수납하게 되어 그 중 해당 습지 환경에 가장 적합한 식물이 발아되게 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염생 식물의 정착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의 추가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염생 식물들의 서식지 환경을 쉽게 파악하게 되어 해안 간석지 파괴에 따른 해안 생태계 복원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둘째로 파괴된 간석지 생태계의 빠른 회복을 유도하여 성공적인 간석지 생태계의 전반적인 복원 기술개발을 제시할 수 있고, 셋째로 각종 개발로 인한 간석지 생태계 파괴에 따른 대체 생 물자원을 추천할 수 있으며, 넷째로 간석지 토양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간석지 생태계 유지를 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습지의 정화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복수 개의 상하 관통홀로 형성된 씨앗 수납용 셀과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씨앗이 상기 씨앗 수납용 셀에 고정되도록 하는 씨앗 고정용 망을 포함하는 씨앗 수납부, 및 상기 씨앗 수납부에 수납된 1종 이상의 염생 식물 씨앗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이 수납된 씨앗 고정용 망을 씨앗 수납용 셀에 부착한,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습지의 바닥에 장착하여, 염생 식물을 정착시키는 것에 의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복수 개의 상하 관통홀로 형성된 씨앗 수납용 셀과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씨앗이 상기 씨앗 수납용 셀에 고정되도록 하는 씨앗 고정용 망을 포함하는 씨앗 수납부, 및 상기 씨앗 수납부에 수납된 1종 이상의 염생 식물 씨앗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형태, 크기 및 재료에 제한이 없으며, 해수유동, 조수와 같은 외부 유속에 의해 유실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 면적 및 무게가 있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씨앗 수납부는 씨앗 수납용 셀 및 씨앗 고정용 망을 포함한다.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은 상기 지지판의 두께 방향으로 뚫어진 관통홀을 의미하며, 형태의 제한은 없으나, 그 안에 수납된 씨앗 또는 그 발아체가 높은 유속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적정한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단면적(㎠)/깊이(㎝) 비는 0.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면적/깊이 비가 상기 범위일 때, 셀 내부의 유속이 충분히 낮아져서 씨앗 또는 발아체가 유실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씨앗의 발아 또는 발아체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한 햇빛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씨앗 고정용 망은 1종 이상의 염생 식물 씨앗을 상하로 둘러싸고,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양 개구부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씨앗 고정용 망의 구멍 크기는 상기 염생 식물 씨앗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생 식물 씨앗은, 예를 들어, 갈대, 갯잔디, 물억새, 모새달, 갯쇠보리, 천일사초, 하늘지기, 매자기, 부들, 취명아주, 갯능쟁이, 가는갯능쟁이, 칠면초, 나문재, 해홍나물, 개갓냉이, 갯개미자리, 갯완두, 갯질경, 갯메꽃, 순비기나무, 갯개미취, 갯쑥부쟁이, 사철쑥 및 큰비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 이상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는, 상기 씨앗 수납용 셀 사이에 발아된 상태의 염생 식물을 심기 위한 관통홀 형상의 발아체용 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아체용 셀은 상기 지지판의 두께 방향으로 뚫어진 관통홀을 의미하고, 형태의 제한은 없다.
상기 발아체용 셀은 발아체가 높은 유속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적정한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발아체용 셀의 단면적(㎠)/깊이(㎝) 비는 0.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면적/깊이 비가 상기 범위일 때, 셀 내부의 유속이 충분히 낮아져서 발아체가 유실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발아체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한 햇빛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는, 상기 지지판의 어느 일면에 상기 지지판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형태, 크기 및 재료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 지지판의 크기 및 상기 지지판이 설치되는 연안 습지의 유속이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고정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길이, 굵기 등이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에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고정체 중 하나 이상이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판과 상기 고정체 모두가 생분해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재료는 전분가루 1 내지 99 중량% 및 셀룰로오스 99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의 양이 99 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성형성이 저하되고, 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은,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이 수납된 씨앗 고정용 망을 상기 씨앗 수납용 셀에 부착한 상태의, 상기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연안 습지의 바닥에 장착하여, 그로부터 발아된 염생 식물을 연안 습지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 방법은, 상기 방법에 이미 발아된 염생 식물을 상기 발아체용 셀을 통해 습지 바닥에 직접 심는 것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3)가 더욱 포함된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체용 셀(5)이 더욱 포함된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의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수납용 셀(2)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씨앗 고정용 망(4)이 장착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는 몸체 역할을 하는 지지판(1), 상기 지지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상하 관통홀로 형성되어 외부 환경으로 씨앗의 유실을 방지하는 씨앗 수납용 셀(2),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씨앗이 상기 씨앗 수납용 셀에 고정되도록 하는 씨앗 고정용 망(4), 및 상기 씨앗 고정용 망 사이의 공간에 수납된 1종 이상의 염생 식물 씨앗으로 구성된다.
상기 씨앗 수납용 셀(2)에 설치된 씨앗 고정용 망(4)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씨앗 고정용 망(4)을 지지하는 지지대(6)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6)의 형태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4와 같이, 상기 씨앗 수납용 셀(2) 사이에 관통홀 형상의 발아체용 셀(5)을 마련할 경우 이미 발아된 상태의 염생 식물을 상기 발아체용 셀(5)을 통하여 직접 습지 바닥면에 식재할 수도 있으므로, 염생 식물의 정착률 향상에 더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지지판(1)의 어느 일면에 상기 지지판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하여 핀 형태의 고정체(3)를 부착하면 습지 주위의 유속이 매우 빠르거 나, 경사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간단한 사전 조사를 통하여, 복원 대상 습지에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을 선정하고, 이를 씨앗 고정용 망(4)에 수납하여 씨앗 수납용 셀(2)에 고정시킨 후, 준비된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복원 대상 습지의 바닥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발아체용 셀(5)이 더 구비된 키트를 사용하여 이미 발아된 상태의 염생 식물을 습지 바닥에 직접 심을 수도 있고, 습지 주변의 유속이 매우 빠르거나 경사가 심할 경우 상기 고정체(3)가 더 구비된 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의 씨앗 수납용 셀(2)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씨앗의 유실을 방지해주고, 상기 발아체용 셀(5)은 발아체의 유실을 방지해주게 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염생 식물의 정착률을 높일 수 있으며, 1종 이상 다수의 씨앗을 상기 씨앗 고정용 망 및 씨앗 수납용 셀에 수납하게 되어 그 중 해당 습지 환경에 가장 적합한 식물이 발아되게 되므로, 이 역시 종래의 방법보다 염생 식물의 정착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등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동검도의 남동측 평평한 습지(갯벌)에서 평가되었으며,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은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염생 식물의 개체수 밀도>
대상 습지에서 본 발명의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키트가 설치된 습지(실험구) 및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키트가 설치되지 않은 동일한 면적의 습지(대조구) 내에 생존해 있는 염생 식물의 개체수(최초 씨앗 또는 발아체 30개당 생존 수)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염생 식물의 성장 높이>
실험구와 대조구에 생존해 있는 염생 식물의 성장 높이를 줄자로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했다.
실시예 1
전분가루와 셀룰로오스를 중량비로 50:50으로 혼합한 재료로 제작된 직육면체 형태의 지지판(1)(가로 110 ㎝, 세로 80 ㎝, 높이 30 ㎝)에 단면이 지름(b) 12 ㎝의 원형인 관통 홀을 뚫어 씨앗 수납용 셀(2)을 총 35개 형성했다(도 2). 상기 씨앗 수납용 셀(2)의 하부 1/3 높이에 지지대(6)를 사용하여 씨앗 고정용 망(4)을 설치하고, 그 위에 칠면초 씨앗을 씨앗 수납용 셀(2) 당 17개씩(17개 × 35개 = 총 595개) 투입한 후, 상부 1/3 높이에 마찬가지로 씨앗 고정용 망(4)을 설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키트를 완성했다.
상기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키트를 연안습지 바닥에 설치한 후, 6개월이 경과한 시점부터 개체수 밀도 및 성장 높이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씨앗 수납용 셀(2) 사이에 도 3과 같이, 단면이 지름 8 ㎝의 원형인 발아체용 셀(5)을 총 24개 형성하고, 그 내부 습지 바닥에 5 ㎝ 이상 발아된 칠면초를 각각 5개씩 심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비교예 1
해안선에 대하여 실시예 1에 설치된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키트와 나란하게 위치한 동일한 면적의 연안습지 바닥에 35개의 가상의 구획(가로 7개씩, 세로 5개씩의 직사각형 총 35개)을 설정한 후, 각각의 구획에 칠면초 씨앗을 17개씩 살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표 1] 염생 식물의 개체수 밀도 및 성장 높이
경과시간
(개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개체수
밀도
성장 높이
(cm)
개체수
밀도
성장 높이
(cm)
개체수
밀도
성장 높이
(cm)
6 9.0 4.6 12.1 9.5 9.4 10.2
7 7.3 10.0 10.5 13.8 5.0 15.0
8 6.0 17.6 9.2 19.3 3.4 18.3
9 5.7 22.0 8.8 22.8 2.2 21.2
10 5.5 25.1 8.6 25.2 2.0 22.4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키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 실시예 2), 염생 식물이 습지에 정착하는 비율이 그렇지 않은 경우(비교예 1)에 비해 최종적으로 약 2.5배 내지 4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염생 식물의 성장 높이도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키트가 유속을 감소시켜서 파도나 조수에 의한 습지의 침식 또는 퇴적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염생 식물의 씨앗 유실을 최소화했고, 염생식물의 생육에도 외파의 감쇄효과가 염생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인자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3)가 더욱 포함된 연안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체용 셀(5)이 더욱 포함된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씨앗 수납용 셀(2)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씨앗 고정용 망(4)이 장착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판
2 : 씨앗 수납용 셀
3 : 고정체
4 : 씨앗 고정용 망
5 : 발아체용 셀
6 : 씨앗 고정용 망의 지지판
7: 씨앗 고정용 망과 씨앗 고정용 망의 지지판의 결합체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지지판(1),
    상기 지지판에 복수개의 상하 관통홀로 형성된 씨앗 수납용 셀(2)과 상기 씨앗 수납용 셀의 양 개구부에 설치되어 씨앗이 상기 씨앗 수납용 셀에 고정되도록 하는 씨앗 고정용 망(4)을 포함하는 씨앗 수납부, 및
    상기 씨앗 수납부에 수납된 1종 이상의 염생 식물의 씨앗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 고정용 망(4)의 구멍 크기는 상기 염생 식물의 씨앗의 크기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를
    습지의 바닥에 장착하여, 염생 식물을 정착시키는 것에 의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발아된 염생 식물을 발아체용 셀(5)을 통해 습지 바닥에 직접 심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연안 습지 복원 방법.
KR1020080021285A 2007-03-28 2008-03-07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KR101043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344 2007-03-28
KR20070030344 200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393A KR20080088393A (ko) 2008-10-02
KR101043608B1 true KR101043608B1 (ko) 2011-06-22

Family

ID=4015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285A KR101043608B1 (ko) 2007-03-28 2008-03-07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811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 펄스 폭 변조기에서의 채널별 온/오프제어장치
JP2005176829A (ja) * 2003-11-26 2005-07-07 Nippon Chiko Co Ltd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KR200413811Y1 (ko) 2006-01-18 2006-04-11 이선복 식생 호안용 부직포
KR100694828B1 (ko) 2006-01-02 2007-03-13 주식회사 시내 & 들 염생식물의 염해지 식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811A (ko)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 펄스 폭 변조기에서의 채널별 온/오프제어장치
JP2005176829A (ja) * 2003-11-26 2005-07-07 Nippon Chiko Co Ltd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KR100694828B1 (ko) 2006-01-02 2007-03-13 주식회사 시내 & 들 염생식물의 염해지 식재방법
KR200413811Y1 (ko) 2006-01-18 2006-04-11 이선복 식생 호안용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393A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ort et al. Natural and human-induced disturbance of seagrasses
Bornette et al. Response of aquatic plants to abiotic factors: a review
Orth et al. Eelgrass (Zostera marina L.) in the Chesapeake Bay region of mid-Atlantic coast of the USA: challenges i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bñez et al.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microtidal Mediterranean coastal marshes
Chakraborty Interactions of environmental variables determining the biodiversity of coastal-mangrove ecosystem of West Bengal, India
CN103141371A (zh) 一种马尾藻在礁石上的移植与栽培方法
Duarte et al. What may cause loss of seagrasses
Birks et al. Palaeolimnological responses of nine North African lakes in the CASSARINA Project to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impact detected by plant macrofossil, pollen, and faunal analyses
Tagliapietra et al. Protecting and restoring the salt marshes and seagrasses in the lagoon of Venice
Piñón-Gimate et al. Macroalgal blooms in coastal lagoons of the Gulf of California eco-region: a summary of current knowledge
KR101067702B1 (ko) 파이프형 구조물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
JP2007231543A (ja) 人工干潟の造成方法及び人工干潟
Birkeland et al. Different resiliencies in coral communities over ecological and geological time scales in American Samoa
KR101067701B1 (ko) 파이프형 구조물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
KR101043608B1 (ko)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Fo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ong Kong seagrasses
KR20180036450A (ko) 갯벌의 염생식물 생육유도 방법 및 생육 유도 키트
Muzaki et al. Scleractinian recruits on natural and artificial substrates in temporary sediment-challenged coastal water of Bangkalan, Madura Island, Indonesia
Athalye Biodiversity of Thane creek
KR101933958B1 (ko) 연안 복합생물 서식지, 및 이에 의한 생물 복원 방법
Laboy-Nieves Environmental profile and management issues in an estuarine ecosystem: A case study from Jobos Bay, Puerto Rico
Van et al. Landscapes and ecosystems of tropical limestone: case study of the Cat Ba Islands, Vietnam
KR20090069037A (ko)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KR100972332B1 (ko)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Kumar A Study of Mangrove Ecosystem of Sundarbans,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