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111A -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111A
KR20060082111A KR1020050002555A KR20050002555A KR20060082111A KR 20060082111 A KR20060082111 A KR 20060082111A KR 1020050002555 A KR1020050002555 A KR 1020050002555A KR 20050002555 A KR20050002555 A KR 20050002555A KR 20060082111 A KR20060082111 A KR 2006008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area
front frame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152B1 (ko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영 filed Critical 최원영
Priority to KR102005000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1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현장 등 침식지역에서 강우에 의하여 발생하는 침식 토사의 유출을 차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목섬유와 강제 파이프로 만든 입체골조 구조물을 이용하여 토사포획공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자립식 연속 3면 차단벽을 만들어서 강우시 토사 유출이 예상되는 침식지역과 근접한 하류부에 설치하여 강우와 함께 유출하는 토사 및 크고 작은 토사 덩어리를 토사 포획 공간에 억류시키고 물은 여과 방류하게한 것에 관한 것이다.
지지대, 토사 유출, 차단벽, 전도 저항대, 토목섬유, 누름대, 전면골조

Description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arth and sand interception from erosion area}
도 1은 종래 토사 차단벽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3면 토사 차단벽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토목섬유를 제외시킨 차단벽의 골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앞 방향으로 경사진 지역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옆 방향으로 경사진 지역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절토지역에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 - A'선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성토지역에 설치한 실시예를 나탄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B - B'선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고냉지 밭과 같은 경사진 나지(裸地)지역에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C - C'의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D - D'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급경사 침식지역에 설치한 실시예를 나탄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수직기둥 2 : 수평지지대
3 : 중간지지대 4 : 4a : 구멍
10 : 전면골조 20 : 측면골조
21 : 수직기둥 22 : 누름기둥
23 : 지지대 24 : 중간지지대
25 : 구멍 30 : 전도 저항대
40 : 40a : 토목섬유 50 : 50a :누름대
51 : 구멍 60 : 볼트
70 : 너트 80 : 3면 토사 차단벽
81 : 개구부 82 : 포획공간
본 발명은 공사현장 등 침식지역에서 강우에 의하여 발생하는 침식 토사의 유출을 차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목섬유와 강제 파이프로 만든 입체골조 구조물을 이용하여 토사포획공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자립식 연속3면 차단벽을 만들어서 강우시 토사 유출이 예상되는 침식지역과 근접한 하류부에 설치하여 강우와 함께 유출하는 토사 및 크고 작은 토사 덩어리를 토사 포획 공간에 억류시키고 물은 여과 방류하게한 것에 관한 것이다.
강우시 침식 토사가 유출하는 도로 건설, 단지 개발 등의 토목공사, 경사지에서의 벌목작업, 고랭지 채소 경작작업, 토석 채취, 골프장 건설 등의 산지 개발사업 등으로 토지 표면이 파헤쳐지고 절토 지역과 성토 지역이 발생하고 굴착된 토사들이 방치된 지역에서는 비가 오면 파헤쳐진 부분, 쌓아둔 토사, 절/성토면이 빗물로 침식되고 세굴되어서 강우 유출수와 함께 토사가 유출하게 된다.
특히 경사가 있는 지역으로서 지표면이 파헤쳐지고 교란되어 토지 표면이 안정되지 않은 상태의 지역은 침식되고 세굴되어서 크고 작은 흙덩어리가 무너져 내려 이들 토사가 낮은 곳으로 몰리며, 또한, 유량 및 유속에 따라서 이들이 덩어리, 곤죽 상태 또는 부유 상태로 하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침식 발생지역 바로 밑에서는 집수면적이 적어서 빗물의 양이 적고 유하거리가 짧아서 흙덩어리들이 미처 다 부셔지지 않은 상태로 흘러내리게 되며 이 덩어리들은 밑으로 흘러 갈수록 집수 면적이 넓어지므로 빗물의 양이 많아지고 유속이 빨라지고 에너지가 커져서 흙덩어리들이 깨져서 개별 토사 입자로 흩어져 물속에서 부유 상태로 흐르게 된다.
이들 개별입자는 입경크기에 따라서 2.0 ~ 75㎜의 자갈, 0.075 ~ 2.0㎜의 모래, 0.005 ~ 0.075㎜의 실트, 0.005㎜ 이하의 점토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이들 개별 입자는 유수의 유체력에 의하여 하류로 운반되며 유속이 입자의 침전속도보다 느려지면 바닥에 침전된다.
토사 입자의 침전속도는 주로 입경 크기에 따라서 결정되어서 입경이 0.08㎜ 인 모래의 침전속도는 1초에 약 4.8㎜로 빠른 편이나 0.006㎜ 크기의 실트는 이보다 192배 느린 1초에 약0.025㎜로서 수역에 유입한 실트입자는 장기간 수중에 떠있으면서 먼 거리를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토사의 공공수역 유입은 다음과 같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①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 및 수서생물의 서식처를 파괴하여 수중생태계에 악
영향을 미친다.
② 수질이 오염되어 용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한다.
③ 작은 하천, 배수로가 퇴적토로 매워져서 홍수시 범람의 원인이 된다.
④ 저수지 등에 퇴적토가 쌓여서 저수 용량을 잠식한다.
⑤ 수로, 하수도, 저수지 등에 퇴적한 토사를 제거하여야 한다.
⑥ 고랭지 채소 경작지역의 토양 침식으로 토양중의 잔류비료 및 농약성분에
하천에 유입하여 하천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침식지역에서의 토사 유출수로 인한 하류수역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침식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서 교란된 표면의 안정화 및 작업자의 경사도 완화와 같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침식이 발생할 때에는 침식된 토사의 수역유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현재 선진국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식지역에서의 토사유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침식 발생현장 근처에 일직선 형태로 토목 섬유벽(100)을 만들어 설치하고 있다.
토목섬유는 공극이 있어서 여과기능이 있는 직포, 부직포, 지오그리드, 복합 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로서 역학적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며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재료로서 토목공사 현장에 널리 쓰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토목공사, 벌목작업 등으로 토지면적이 노출되고 교란되어 강우시 침식되어 토사유출이 예상되는 지역 하류부 평탄지에 등고선을 따라서 일직선 형태로 1m내외 높이의 토목섬유벽(Silt Fence)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토목섬유벽의 설치방법은 설치선을 따라서 인력이나 장비를 사용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기둥을 땅에 박고 이 기둥에 토목섬유를 고정하거나 토목섬유의 하단부를 땅에 묻어서 토목 섬유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한 토목섬유벽은 다음과 같은 토사차단 효과를 갖는다.
① 토목섬유 공극에 토사입자가 직접 여과되어 차단된다.
② 토사 차단벽을 침식발생 현장에 가까이 설치함으로서 빗물에 충분히 풀어
지지 않은 덩어리 상태의 토사를 차단하므로 덩어리 속에 포함된 크고 작
은 모든 입자를 억류하여 토사유출을 차단한다.
③ 상기 ①,②와 같은 작용으로 토목섬유의 공극이 막혀서 작아지며 또한 차
단벽 앞에 퇴적된 토사로 언덕이 새로 형성되므로 이들로 인하여 배후지
역이 낮아지고 이곳에 토사가 퇴적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토목섬유벽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① 고정 시설로서 설치 규모가 크고 침식 발생 현장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어려워서 침식 현장에서 떨어진 평탄한 곳에 설치하므로 침식토사가 많은
빗물에 섞여서 부유상태로 유출하므로 토사 차단 효과가 적다.
② 벽이 일직선 형태로 설치되어서 벽체에 가해지는 토류압을 기둥이 전량
지지해야 하므로 기둥의 설치 간격을 좁게 하고 땅속 매설 길이가 깊어야
한다.
③ 각 기둥은 독립기둥이므로 외력에 의하여 쉽게 영향을 받으며 외력의 작
용점이 올라 갈수록 모멘트가 커져서 토압류, 풍압, 인위적 힘 등 다소
큰 외력이 작용하면 수직 상태 유지가 어려워서 벽체의 견고성이 떨어져
쉽게 파손되므로 토사 차단 효과가 적어 진다.
④ 토류압을 받는 토목섬유는 오직 수직기둥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기둥 사이
공간의 토류압 지지를 위해서는 토목섬유가 튼튼해야 한다.
⑤ 설치 지점의 지형이 등고선 지역이 아니고 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곳에
설치하면 토사가 경사진 쪽으로 흘러서 토사 차단 효과가 없으며, 또한,
토사 유출방향으로 지표 경사도가 크면 앞 방향 토류압이 커지므로 차단
벽이 쉽게 파손된다.
⑥ 벽 설치 후 이동 및 변경 설치가 어려워 단계별 시공 및 공사위치 변동
등에 대응이 어렵다.
⑦ 차단벽의 재사용이 어려워서 폐기둥이 발생한다.
⑧ 암반지역, 연약지반 등에는 설치가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 장치는 강우시 공사현장 등 침식지역에서 발생하는 토사를 확 실하고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설치가 쉽고 재사용이 가능한 차단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 장치의 구조는, 하단부가 뾰쪽하고 소정간격으로 구멍(4a)이 천공된 관형의 수직기둥(1) 다수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수직기둥(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구멍(4)이 형성된 수평지지대(2)를 각각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상,하 수평지지대(2)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중간지지대(3)를 설치하여 형성된 전면골조(10)와;
상기 전면골조(10)의 각 수직기둥(1)에 볼트(60)로 결합하여 측면벽으로 이룰 수 있게 하단부가 뾰쪽하고 소정 간격으로 구멍(25)을 천공한 관형의 수직기둥(21)과 반쪽관형의 누름기둥(22)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세운 다음 상기 수직기둥(21)과 누름기둥(22)의 상,하단부에 구멍(4)이 천공된 지지대(23)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지지대(23)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중간 지지대(24)를 설치하여서 형성된 측면골조(20)와;
상기 전면골조(10)의 각 수직기둥(1) 하단부에 측면골조(20)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전도저항대(30)와;
상기 전면골조(10)와 측면골조(20)의 벽면 전체에 설치되는 토목섬유(40)와;
상기 토목섬유(40)(40a)를 전면골조(10) 및 측면골조(20)의 수평지지대(2)와 지지대(23) 및 수직기둥(1)(21)에 압지하여 고정되게 볼트(60)와 너트(70)로 체결 되는 반원관형의 누름대(50)(50a)로 이루어지는 3면 토사 차단벽(80)을 제공하므로서 그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3면 토사 차단벽(80)은 설치지역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침식이 발생하는 지역과 인접한 하류부는 평탄지보다는 앞 방향이나 옆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곳이 많다.
이렇게 경사진 곳에서 토사덩어리를 쉽고 효과적으로 포획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목섬유로 토사포획 공간이 연속적으로 있는 자립식 연속 3면 토사 차단벽을 만들어 침식지역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의 3면 토사 차단벽을 절토지역, 성토지역, 침식지역, 고냉지 밭과 같은 경사진 나지(裸地)지역에서 토사유출이 우려되는 가까운 장소에 토사 유입부가 토사유출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강우시 유출토사가 'ㄷ'자형의 토사 포획 공간으로 밀려 들어왔을 때 물은 토목섬유(40)의 공극을 통하여 배수되고 토사는 앞 방향이나 옆 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고 'ㄷ'자형의 토사 포획 공간에 포획되게 하는 한편, 공사 단계별로 이 차단벽을 이동설치하거나 공사완료 후 차단벽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서 그 목적이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3면 토사 차단벽(80)은 일정크기의 전면골조(10)와 다수개의 측면골조(20)로 분리 제작하고 각 골조에 토목섬유(40)를 부착하여 전면벽과 측면벽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결합하여 'ㄷ'자 형태의 포획공간(82)이 2 ~ 3개 형성되게 한 구조이다.
상기 전면골조(10)는 수직기둥(1)과 수평지지대(2)를 이용하여 만든 직4각형 형태로서 높이는 1m내외로 하고 길이는 포획공간의 수와 취급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전면골조(10)에는 양단과 포획 공간 분활 위치에 기둥(1)이 있으며 이 기둥(1)들은 1.5m 내외의 길이가 적당하며 한쪽 끝을 뾰쪽하게 가공하며 이 기둥(1)들과 수평지지대(2)들을 직4각형이 되도록 배치하고 각 접합부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입체화된 골조체를 만들되 기둥의 뾰쪽한 부분이 땅이 박을 수 있도록 아래 부분 기둥이 돌출되게 제작한다.
벽체설치 지점이 앞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지역에서 포획공간(82)내 퇴적 토사가 높이 쌓이면 힘의 작용점이 올라가 회전 모멘트가 커져서 벽체가 넘어갈 수 있으므로 각 기둥의 뒤쪽에 수평방향으로 전도저항대(30)를 부착하여 전도모멘트를 상쇄시킨다.
위, 아래 수평지지대(2) 사이에 토압을 받는 토목섬유(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격자망, 기둥 등의 중간지지대(3)를 설치한다.
각 수직기둥(1)과 수평지지대(2)에 적당한 간격으로 토목섬유(40)를 고정시키는 누름대 조립용 구멍(4)(4a)을 뚫는다.
수평지지대(2)에 부착되는 누름대(50)는 원형 수평지지대(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지지대(2) 보다 큰 입경의 파이프를 반으로 쪼갠 반쪽 파이프를 만들어 수평지지대(2)와 같은 간격으로 구멍(51)을 뚫어서 사용하며, 상기 전면골조(10)의 수직기둥(1)에 부착되는 측면골조(20)의 누름기둥(22)은 누름대 역할을 하므로 별도 제작하지 않는다.
전면골조(10)에 토목섬유(40) 부착은 전면골조(10)보다 크게 제작된 토목섬유(40)를 골조 크기보다 여유 있는 크기로 자른 후 하단부 기둥쪽으로 여유 있게 골조에 펼쳐 놓고 철사 등으로 묶거나 수평지지대(2)에 누름대(50)를 올려놓고 수평지지대(2)의 구멍(4)과 누름대(50)의 구멍(51)을 맞춘 후 송곳 등으로 토목섬유(40)를 뚫은 후 볼트(60)와 너트(70)를 체결한다.
한편, 측면골조(20)는 4각형 형태로서 전면골조(10)와 같은 높이 또는 다소 낮은 높이로 하며 길이는 취급성,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되 위쪽 지지대(23)는 설치 후 현장에서의 활동이 용이하도록 한쪽을 낮게 만든다.
측면골조(20)는 전면골조(10)의 수직기둥(1)에 직각으로 결속되나 벽체 해체 또는 훼손된 토목섬유(40) 교체시에는 수직기둥(1)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볼트(60)를 사용하여 결속하는 구조로 제작한다.
전면골조(10)에 결속되는 측면골조(20)의 누름기둥(22)은 토목섬유(40)를 압지하는 누름대 역할을 하므로 원형 전면골조(10)의 수직기둥(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면골조(10)의 수직기둥(1)보다 큰 관경의 파이프를 반으로 쪼갠 반쪽 파이프를 사용하며 전면골조(10)의 수직기둥(1)과 같은 간격으로 구멍(25)을 뚫어 볼트(60)를 사용하여 결속한다.
한편, 측면골조(20)에는 전면골조(10)와 같은 토목섬유(40)를 부착하거나 경제성과 견고성을 고려하여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23)와 낮은 쪽 기둥(21)에 누름대(50a)를 사용하여 골조 크기보다 크게 제작된 토목섬유(40a)를 부착한 후 현장에 설치되어있는 전면골조(10)의 수직기둥(1)에 측면골조(20)를 결합한다.
이때 전면골조(10)의 양단 수직기둥(1)과 측면골조(20)의 누름기둥(22) 쪽에 고정되어있지 않은 토목섬유(40)(40a)는 양 수직기둥(1)과 누름기둥(22) 사이에 끼워서 함께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3면 토사 차단벽(80)은 토류압에 견디고, 설치 및 이동 작업시 쉽게 부셔지지 않도록 3면벽의 골조는 강도가 크고 부식이 잘 안되는 철재, 플라스틱, 목재 등의 재질로 형성된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의 파이프, 봉 등을 사용하여 견고한 골조체가 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만든다.
3면벽의 입체골조는 전면골조(10)와 측면골조(20)를 분리하여 제작하거나 규모가 작으면 일체화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제작된 3면 토사 차단벽(80)의 설치 방법은 다수의 3면 토사 차단벽(80)을 침식발생 현장에 근접한 지역에 현장여건에 맞도록 선형을 구성하여 배치하되 전면벽을 먼저 설치하고 여기서 맞추어 측면벽을 설치한다.
설치지점 바닥을 어느 정도 평탄하게 정지하고 각 개구부(81)가 토사유출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기둥(1)(21) 하부의 땅을 파거나 수직기둥(1)(21) 상부를 눌러서 수직기둥(1)(21) 하부가 땅에 묻히도록 하며 하부에 늘어진 토목섬유(40)(40a)는 묻거나 흙 등으로 덮어서 땅과 벽체 사이가 뜨지 않도록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차단벽(80)에 강우시 침식토사가 포획공간(82)에 들어오면 물 은 빠지나 토사는 차단벽에 막혀서 억류되며 이때 측면벽 부근에 퇴적된 토사들이 측면벽과 마찰력을 일으켜서 전면벽의 전도 대항력을 증대시키므로 벽체의 전도 안정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설치되는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단벽(80)은 앞 방향이나 옆 방향으로 경사진 장소에 설치하여 토사를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인 3면 토사 차단벽(80)의 전면골조(10)도 자립식 구조로서 설치지점이 옆 방향으로 평탄하고 앞 방향 경사가 적은 지역에서는 전면골조로 된 벽만 설치하여도 토사 차단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차단벽(80)은 이동설치가 용이한 시설로서 공사현장의 작업위치 변동에 따라서 이동하면서 설치가 가능하므로 도로건설과 같은 선형공사현장에서는 공사구간별로 이동하면서 차단벽을 설치하며, 경사지의 부지조성 공사현장에서는 먼저 절토공사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 현장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이후 부지성토 공사시에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로 물러나 성토지역 하류부에 이동 설치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단벽(80)을 고랭지 채소밭 등 경사진 나지(裸地)상태 지역에 설치하면 표면토사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데 우선 고랭지 밭의 경사도, 규모, 배수체계 등을 고려하여 고랭지 밭을 적당한 범위로 구획하고 각 구획의 하류부에 3면 차단벽을 설치하고 그 뒤에 차단벽을 통과한 물이 흐를 수 있는 배수로를 설치하면 된다.
한편, 3면 토사 차단벽(80)을 포장지역에 설치할 경우에는 돌출한 기둥부분을 제거하여 사용하면 되고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이 있는 지역에서는 3면 토사 차단벽(80)을 안전시설로 겸용할 수도 있다.
본 차단벽의 유지관리방법은 차단벽 설치 후 비가와서 침식된 토사들로 포획공간이 차면 이들 토사를 준설 제거하여 다음 강우로 인한 침식에 대비하여야 하며 토목섬유가 훼손되면 그 위에 토목섬유를 덫 입히도록 한다.
공사가 완료된 현장에서는 차단벽을 회수하여 재사용 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동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경사지에서도 토사차단 효과를 가지므로 경사된 침식발생현장에 근접설치할 수 있으며, 둘째, 침식지역에 근접하여 설치 가능하므로 침식토사를 덩어리째로 차단함으로서 토사차단 효과가 크고 부유토사 발생을 억제하며, 셋째, 철제 골조로 구성된 시설로서 견고하며 자립식이며 안정된 구조를 갖고 있어서 차단벽이 토류압이나 외부충격으로 쉽게 파손되지 않아서 토사차단 효과가 확실하며, 넷째, 소규모로 분활 제작된 자립식 시설로서 현장설치가 용이하며 공사단계별 작업위치 변동에 따라서 이동설치가 용이하며, 다섯째, 벽체골조를 재사용하므로 경제적이며, 여섯째, 폐기둥이 발생하지 않는 환경친화적 기술로서 본 발명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효과적이고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하단부가 뾰쪽하고 소정간격으로 구멍(4a)이 천공된 관형의 수직기둥(1) 다수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수직기둥(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구멍(4)이 형성된 수평지지대(2)를 각각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상,하 수평지지대(2)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중간지지대(3)를 설치하여 형성된 전면골조(10)와;
    상기 전면골조(10)의 각 수직기둥(1)에 볼트(60)로 결합하여 측면벽으로 이룰 수 있게 하단부가 뾰쪽하고 소정 간격으로 구멍(25)을 천공한 관형의 수직기둥(21)과 반쪽관형의 누름기둥(22)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세운 다음 상기 수직기둥(21)과 누름기둥(22)의 상,하단부에 구멍(4)이 천공된 지지대(23)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지지대(23)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중간 지지대(24)를 설치하여서 형성된 측면골조(20)와;
    상기 전면골조(10)의 각 수직기둥(1) 하단부에 측면골조(20)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설치되는 전도저항대(30)와;
    상기 전면골조(10)와 측면골조(20)의 벽면 전체에 설치되는 토목섬유(40)와;
    상기 토목섬유(40)를 전면골조(10) 및 측면골조(20)의 수평지지대(2)와 지지대(23) 및 수직기둥(1)(21)에 압지하여 고정되게 볼트(60)와 너트(70)로 체결되는 반원관형의 누름대(50)(50a)를 구비한 3면 토사 차단벽(80)을 설치지역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하는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 단 장치
  2. 절토지역, 성토지역, 침식지역, 고냉지 밭과 같은 경사진 나지(裸地)지역에서 토사유출이 우려되는 가까운 장소에 토사 유입부가 토사유출방향으로 향하도록 제1항에 의거하여 제작된 3면 토사 차단벽(80)을 연이어 설치하여 강우시 유출토사가 'ㄷ'자형의 토사 포획 공간으로 밀려 들어왔을 때 물은 토목 섬유(40)(40a)의 공극을 통하여 배수되고 토사는 앞 방향이나 옆 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고 'ㄷ'자형의 토사 포획 공간(82)에 포획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지역에서의 유출토사 차단 방법
KR1020050002555A 2005-01-11 2005-01-11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KR100629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55A KR100629152B1 (ko) 2005-01-11 2005-01-11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555A KR100629152B1 (ko) 2005-01-11 2005-01-11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111A true KR20060082111A (ko) 2006-07-14
KR100629152B1 KR100629152B1 (ko) 2006-09-27

Family

ID=3717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555A KR100629152B1 (ko) 2005-01-11 2005-01-11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32B1 (ko) * 2007-12-24 2010-07-26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KR101238571B1 (ko) * 2010-08-20 2013-02-28 최원영 오염하천의 바닥청소에 의한 수질환경개선 방법 및 그 장치
US11466413B2 (en) * 2016-06-14 2022-10-11 Mkb Company Silt fence configured for capturing polluta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32B1 (ko) * 2007-12-24 2010-07-26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연안 습지 복원용 인공 둑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방법
KR101238571B1 (ko) * 2010-08-20 2013-02-28 최원영 오염하천의 바닥청소에 의한 수질환경개선 방법 및 그 장치
US11466413B2 (en) * 2016-06-14 2022-10-11 Mkb Company Silt fence configured for capturing pollut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152B1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2665B (zh) 小流域综合治理—再造良田的方法
CN106087953B (zh) 一种防治山区大型弃土场泥石流的排水施工方法
JP6335569B2 (ja) 地盤造成工法および地盤構造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0629152B1 (ko) 침식지에서의 유출토사 차단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39448A (ko)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CN215057564U (zh) 一种可视可维护型公路隧道防淤堵排水系统
KR20140108476A (ko) 사방댐
CN213681555U (zh) 一种城市道路
CN210507515U (zh) 一种绿化型重力式挡土墙
CN110424328B (zh) 生态板桩护岸及其施工方法
CN112922670B (zh) 一种可视可维护型公路隧道防淤堵排水系统
KR102295428B1 (ko) 산사태 방지 수로관
CN220013546U (zh) 土石坝下游坝坡混凝土框格护坡
CN220202881U (zh) 渗井
CN219992261U (zh) 一种山区冲沟拦挡机构
CN218933167U (zh) 一种盐渍土地区路基边坡防护结构
CN214784155U (zh) 带有排水功能的挡墙与边沟组合体
KR100965522B1 (ko) 경사면 측구를 위한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측구 구조
CN107905263B (zh) 一种检查井自排水结构
CN216640132U (zh) 一种城市道路设计生态边沟
CN220335612U (zh) 一种砂砾换填软基竖向排水结构
CN215976658U (zh) 一种路基防水结构
CN220746773U (zh) 航道护岸结构
CN110714479B (zh) 内嵌碎石柱的透水型重力式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