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809B1 -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09B1
KR102182809B1 KR1020200015496A KR20200015496A KR102182809B1 KR 102182809 B1 KR102182809 B1 KR 102182809B1 KR 1020200015496 A KR1020200015496 A KR 1020200015496A KR 20200015496 A KR20200015496 A KR 20200015496A KR 102182809 B1 KR102182809 B1 KR 10218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water
washing water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우
Original Assignee
한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우 filed Critical 한상우
Priority to KR102020001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세탁부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회전하여 세탁수 및 대상물을 교반하는 원통 형상의 교반부 및 몸체부 및 교반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교반부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교반부의 제1 회전 시 촬영부는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세탁 과정을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만 대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세탁기가 갖는 사전세탁 및 세탁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 및 생략할 수 있어 전기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DUEL WATER SUPPLYING AND LAUNDRY SYSTEM}
본 발명은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대상물의 세탁 과정에서 전기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절약하고, 세탁 중인 대상물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세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신발, 옷 등의 의류에 묻은 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세하게, 세탁기는 상기 의류를 수용하고 세척제 및 세탁수와 교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추가적으로는 착향제가 투입되어 의류를 입는 사람에게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세탁기는 상측 방향에서 투입된 의류를 원심분리 원리를 통해 세탁하는 통돌이형 세탁기, 드럼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내부에 의류를 투입하여 세탁하는 드럼 세탁기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세탁기의 형상이 소형화되고 세탁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2948호)와 같이 세탁물과 관련된 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하여 효율 및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세탁기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세탁 과정에서 본격적인 세탁을 시작하지 전에 사전세탁을 수행하기 때문에 세탁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수를 받는 시간이 별도로 요구되기 때문에, 급하게 세탁된 옷을 입어야 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 사용량 또한 급격히 증가하여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세탁 시간 및 전기 사용량을 줄여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2948호 (2011.03.08.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 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세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세탁기와는 차별화된 세탁 공정을 갖는 세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세탁 과정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부를 통해 대상물을 세탁하는 시스템으로서, 세탁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세탁수를 가열하여 세탁부로 공급하는 가열부, 물탱크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가열부 및 세탁부로 공급하는 급수펌프 및 세탁부와 연결되고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에 따라 대상물의 세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세탁수를 세탁부로 투입하는 배출 단계 및 대상물을 세척하는 세탁 단계를 포함하며, 배출 단계는 급수펌프를 통해 제1 세탁수를 세탁부로 공급하는 제1 공급 단계 및 가열부를 통해 제2 세탁수를 세탁부로 투입하는 제2 공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세탁 과정을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만 대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기가 갖는 사전세탁 및 세탁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 및 생략할 수 있어 전기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히 세탁된 옷을 입어야 하는 사용자에게 신속히 세탁된 옷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신속히 안겨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교반부 및 바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부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 및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단계를 세부화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단계를 세부화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대상물”은 옷, 신발 등의 의류로서, 세탁부에 투입되어 세탁될 수 있는 주체를 지칭한다. 하지만 대상물은 의류에 한정되지 않고 이불 등의 침구류에도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가 지면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는 수원(水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탱크(100), 물탱크(100)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가열부(300) 및 세탁부(400)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200),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부(300), 세탁수를 공급받아 대상물(a)을 세탁하는 세탁부(400) 및 상기 세탁부(400)의 세탁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급수펌프(200)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는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로 구분된다. 상세하게, 제1 세탁수(w1)는 급수펌프(200)에서 세탁부(400)로 즉시 투입되는 세탁수로서, 후술할 제2 세탁수(w2)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낮은 온도로 구비된다. 즉, 제1 세탁수(w1)는 제1 온도(t1)를 갖고, 이는 제2 세탁수(w2)의 제2 온도(t2)보다 낮은 온도로 구비된다. 또한, 제2 세탁수(w2)는 급수펌프(200)에서 가열부(300)로 이동한 세탁수가 가열되어 세탁부(400)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세탁수(w1)의 제1 온도(t1)보다 높은 제2 온도(t2)를 갖는다. 즉, 제1 세탁수(w1)는 냉수이고, 제2 세탁수(w2)는 온수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세탁수(w2)의 제2 온도(t2)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춰 가변할 수 있지만, 보다 용이한 대상물(a)의 세탁을 위해 섭씨 30 내지 40도이록 구비될 수 있다.
물탱크(100)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물탱크(100)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탁수로 저장한다. 이를 위해, 물탱크(100)는 급수 탱크 등의 저장수단으로 구비되고 후술할 급수펌프(200)와 연결된다.
급수펌프(200)는 세탁수를 후술할 가열부(300) 및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급수펌프(200)는 물탱크(100)와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가열부(300) 및 세탁부(400)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급수펌프(200)는 별도의 제어 수단을 통해 세탁수를 공급하는 펌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별도의 제어 수단은 후술할 제어부 또는 세탁부(400) 내 제어 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급수펌프(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급수펌프(200)는 후술할 가열부(300) 및 세탁부(400)를 향해 각각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공급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한 쌍의 급수펌프(200) 중 어느 하나의 급수펌프(200)는 세탁부(400)와 바로 연결됨으로써 제1 온도(t1)를 갖는 제1 세탁수(w1)를 공급하고, 나머지 급수펌프(200)는 가열부(300)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한 후, 상기 가열부(300)에서 제2 온도(t2)로 가열되어 형성된 제2 세탁수(w2)가 세탁부(400)에 공급되도록 한다.
가열부(3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세탁부(400)에 제2 온도(t2)를 갖는 제2 세탁수(w2)를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해 가열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300)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급수펌프(200)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다. 이후 세탁수를 가열하여 제2 세탁수(w2)로 형성한 후 이를 세탁부(400)로 공급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가열부(300)는 가스, 전기 등으로 구동되는 전기 온수기, 가스 온수기 등으로 귑될 수 있고, 이외에도 별도의 히팅 수단을 사용하여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세탁부(400)는 대상물(a)을 수용한 후 세탁수를 공급받아 세탁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세탁부(400)는 물탱크(100) 및 가열부(300)와 연결되어 각각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공급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400)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410), 교반부(420) 및 바퀴부(43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세탁부(400)는 대상물(a)을 세탁하는 구성으로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몸체부(410) 및 회전함으로써 대상물(a) 및 세탁수를 교반하는 교반부(420)를 포함한다.
몸체부(410)는 교반부(420)가 회전 과정에서 과도하게 큰 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할 촬영부(430)가 용이하게 교반부(42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4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교반부(420)가 위치한다. 여기서, 몸체부(410) 및 교반부(420)는 서로 동일한 제1 중심축(z1)을 공유하고, 몸체부(410)의 내주면은 교반부(42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길이(d1)의 반경을 갖는다.
교반부(420)는 세탁수 및 대상물(a)을 교반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교반부(42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개폐수단을 통해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교반부(420)는 제2 길이(d2)의 반경을 갖고,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회전(s1)(도 2 및 도 3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하여 세탁수 및 대상물(a)을 서로 교반함으로써 세탁을 실시한다. 또한, 교반부(420)는 하측 방향에 위치한 동력부(460)와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제1 회전(s1)을 실시한다.
촬영부(430)는 교반부(420)의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대상물(a)의 세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촬영부(430)는 몸체부(410) 및 교반부(4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에 위치한 카메라부(434)를 통해 교반부(420)의 내부를 촬영한다. 또한, 촬영부(430)는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몸체부(410)의 내주면을 따라 제1 회전(s1)함으로써 촬영을 실시한다. 보다 용이하고 명확한 대상물(a)의 촬영을 위해, 촬영부(430)는 축부(431), 접촉부(432) 및 바퀴부(433)를 포함한다.
축부(431)는 촬영부(430)의 제1 회전(s1) 및 카메라부(434)의 지속적인 대상물(a) 측정을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축부(431)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몸체부(410) 및 교반부(4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축부(431)는 후술할 바퀴부(43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하측 방향에는 후술할 접촉부(432)가 구비되며, 상측 방향에는 선술한 카메라부(434)가 구비된다. 축부(431)의 제1 회전(s1)을 통한 공전을 통해, 카메라부(434)는 제1 회전(s1)하는 교반부(420)에 대응하여 대상물(a)을 지속적으로 촬영함으로써, 고속 회전하는 대상물(a)의 형태를 보다 용이하고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접촉부(432)는 축부(431)가 제1 회전(s1)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접촉부(432)는 축부(43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호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접촉부(432)의 하면은 몸체부(410)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접촉부(432)가 지속적으로 몸체부(410)와 면접촉을 이룸에 따라, 축부(431)가 제1 회전(s1) 과정에서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게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몸체부(410)는 레일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411)는 접촉부(432)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레일부(411)는 접촉부(432)가 미리 지정된 경로만을 따라 제1 중심축(z1)을 중심축으로 제1 회전(s1) 및 공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레일부(411)는 몸체부(4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원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부(432)의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접촉부(432)의 공전 경로 상에 형성된다. 즉, 접촉부(432)는 한 쌍의 레일부(4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접촉부(432)는 한 쌍의 레일부(41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레일부(411)를 따라 공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축부(431)의 의도치 않은 떨림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대상물(a)의 보다 명확한 촬영이 가능하다.
바퀴부(433)는 회전 운동을 통해 축부(431)를 공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바퀴부(433)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2 회전(s2)을 통해 축부(431)를 제1 회전(s1)시킨다. 이를 위해, 바퀴부(433)는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축부(431)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외주면이 몸체부(410)의 내주면 및 교반부(420)의 외주면과 동시에 접하도록 상기 소정의 간격(d3)만큼의 직경을 갖는다. 이를 통해, 바퀴부(433)는 교반부(420)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교반부(420)의 제1 회전(s1)에 대응하여 축부(431)의 중심축인 제2 중심축(z2)을 중심으로 제2 회전(s2)(도 3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한다. 여기서, 축부(431)는 한 쌍의 레일부(411)에 삽입된 접촉부(432)와 연결되기 때문에, 바퀴부(433)와 일체로 제2 회전(s2)하지 않고 제1 중심축(z1)을 지속적으로 바라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퀴부(433)가 구비됨으로써, 카메라부(434)를 교반부(420)의 회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바퀴부(433)는 교반부(4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교반부(420)의 속도와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선명한 대상물(a)의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부(434)는 교반부(420)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a)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부(434)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추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대상물(a)의 세탁 공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세탁부(400)와 연결되고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에 따라 대상물(a)을 세탁하며, 상기 세탁 공정은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 공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0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부(433)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바퀴부(433)는 원통형의 주행부(4331), 상기 주행부(4331)의 내주면에 접하고 축부(431)의 외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베어링볼(43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부(433)의 회전이 용이해지고, 진동으로 인한 대상물(a)의 촬영 장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카메라부(434)의 이동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행부(4331)의 외주면은 탄성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퀴부(433)의 몸체부(410) 및 교반부(420)와의 마찰이 증가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부(4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수신부(440)는 외부에 별도 구비되는 전력 공급수단을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카메라부(434)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440)는 축부(43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축부(431)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송수신부(440)는 후술할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의 접촉 시에만 카메라부(434)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1 단자부(441)는 후술할 제2 단자부(451)와의 접촉을 통해 통전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카메라부(434)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단자부(441)는 송수신부(4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일단이 몸체부(410)의 내주면을 향하고 타단이 축부(431)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단자부(44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양 단자 및 음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단자부(441)는 후술할 제2 단자부(451)와 접함으로써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카메라부(434)는 이를 통해 교반부(4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대상물(a)을 지속적으로 관찰 및 촬영할 수 있다.
제2 단자부(451)는 선술한 제1 단자부(441)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단자부(451)는 몸체부(41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제2 단자부(451)는 몸체부(4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되, 제1 단자부(441)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단자부(451)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4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통해, 축부(431)가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과정에서, 제1 단자부(441)는 제2 단자부(451)와 지속적인 면접촉을 이루면서 지속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카메라부(434)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절연부(442)는 한 쌍의 제1 단자부(441)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절연부(442)는 송수신부(440)의 외주면으로부터 몸체부(410)의 내주면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절연부(442)는 통전되지 않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절연부(442)가 구비됨으로써, 제1 단자부(441)가 외력에 의해 서로 접근하더라도 상기 절연부(442)에 가로막혀 접촉이 방지될 수 있어 누전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자부(44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단자부(441)는 탄성체(443)를 통해 송수신부(440)와 연결된다. 탄성체(443)는 후술할 회전부(450)에 의해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의 접촉이 해제될 때 제1 단자부(441)가 과도하게 송수신부(44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탄성체(443)는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등으로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442) 및 회전부(4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회전부(450)의 회전에 따른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회전부(450)는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의 접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의 지속적인 접촉 시, 대상물(a)의 관측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도 카메라부(434)에는 외부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회전부(450) 구성을 개시한다.
회전부(450)는 몸체부(410) 및 제2 단자부(45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회전부(450)는 제3 중심축(z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450)의 내측 방향에는 선술한 제2 단자부(451)가 구비되되, 상기 제2 단자부(451)는 제1 단자부(441)와 동일하거나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회전부(450)가 제3 중심축(z3)을 중심으로 제3 회전(s3)함으로써 제2 단자부(451)는 상기 회전부(450)와 일체로 제3 회전(s3)하고, 이로 인해 제1 단자부(441)는 제2 단자부(451)와 접촉이 해제되며 카메라부(434)로 향하는 외부 전력의 공급이 해제된다.
회전부(45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는 음각홈(452)이 더 구비된다. 음각홈(452)은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의 접촉 해제 시, 제1 단자부(441)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단자부(441)는 탄성체(443)에 의해 몸체부(410)의 내주면을 향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음각홈(452)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단자부(441)가 무분별하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절연부(442)의 둘레면은 제3 회전(s3)하는 제2 단자부(451)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단자부(451)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자부(451)의 보다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제2 단자부(451) 간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a는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로서, 외부 전력이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를 통과하여 카메라부(434)로 공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는 서로 접촉되며, 한 쌍의 제1 단자부(441) 및 한 쌍의 제2 단자부(451) 각각은 절연부(442)에 의해 접촉이 방지된다.
도 9b는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카메라부(434)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경우이다. 상세하게, 회전부(450)가 제3 중심축(z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단자부(451)는 상기 회전부(450)와 일체로 제3 회전(s3)한다. 여기서, 회전부(450) 및 제2 단자부(451)가 90도만큼 제3 회전(s3)할 경우, 제1 단자부(441) 및 제2 단자부(451) 간의 접촉이 해제되고 제1 단자부(441)는 탄성체(443)의 복원력에 의해 음각홈(452)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단자부(441), 제2 단자부(451), 절연부(442), 및 회전부(450)를 통해, 사용자가 대상물(a)을 보지 않을 경우 회전부(450)를 제3 회전(s3)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각홈(452)이 구비됨으로써 제1 단자부(441)가 회전부(450) 및 제2 단자부(451)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게 위치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세척 공정은 제1 모드(m1), 제2 모드(m2) 및 제3 모드(m3)를 포함하며, 제1 모드(m1), 제2 모드(m2) 및 제3 모드(m3)는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제1 모드(m1)는 대상물(a)에 세척제를 투입하고 삶는 모드를 뜻한다. 상세하게, 제1 모드(m1)에서는 세탁부(400)에 투입된 대상물(a)에 대해 세척제를 투입시킨 후 세탁수를 이용하여 삶는다. 여기서, 세탁수는 대상물(a)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용이하게 대상물(a)을 삶기 위하여 세탁수는 제2 세탁수(w2)로 설정되어 투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세척제의 투입 이후 제2 세탁수(w2)는 세탁부(400)의 내부로 투입되고, 세탁부(400)는 대상물(a)을 삶아 세탁을 실시한다. 여기서, 제2 세탁수(w2)는 선술한 바와 같이 섭씨 30 내지 40도로 구비되거나, 보다 높은 제2 온도(t2)를 가져 스팀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제2 모드(m2)는 제1 모드(m1) 이후 실시되고, 대상물(a)을 일부 탈수하고 세탁수를 투입하여 세척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해, 세탁부(400)는 제어부의 통제에 따라 세척제와 섞인 세탁수를 제거하여 탈수하고, 또다른 세탁수를 공급받아 대상물(a)을 헹구는 과정을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모드(m2)에서는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세탁부(400)에 투입하여 세척제를 제거하고, 또다른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재투입하여 대상물(a)을 세척한다. 상기와 같은 제2 모드(m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제3 모드(m3)는 대상물(a)로부터 세탁수를 완전 제거하는 모드로서 제2 모드(m2) 이후에 수행된다. 이를 위해, 제3 모드(m3)에서는 대상물(a)을 가열하거나 원심 분리 원리를 통해 대상물(a)을 탈수하여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완전히 제거한다.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를 통해,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세탁부(400)에 즉시 공급할 수 있어 세탁 시간 및 전기사용량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기와 비교했을 때 세탁수를 받는 시간을 단축하고, 제2 세탁수(w2)를 공급할 때 소모되는 전기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세탁기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사전세탁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세탁수 및 전기사용량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본 발명 및 종래의 세탁기의 세탁 과정에 대한 비교 및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사용량 및 세탁시간에 대한 표가 하기 표 1 및 표 2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개시됨에 따라, 세탁부(400)를 이용하여 대상물(a)을 세탁하는 일을 하는 세탁소나 세탁 시설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종래의 세탁기
세척제 투입 및 삶기 세척제 투입 및 사전 세탁
대상물(a)의 일부 탈수 대상물(a)의 일부 탈수
대상물(a)의 헹굼 대상물(a)의 삶기
대상물(a)의 일부 탈수 대상물(a)의 일부 탈수
대상물(a)의 헹굼 대상물(a)의 헹굼
대상물(a)의 완전 탈수 대상물(a)의 일부 탈수
대상물(a)의 헹굼
대상물(a)의 완전 탈수
실제 세탁 시간: 38분 실제 세탁 시간: 56분
세탁수 온도
(섭씨 온도)
전기사용량
(Kwh)
세탁시간
(분)
4 11 84
65 5 42
4 6 74
65 4 38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세탁 방법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s100), 세탁수를 세탁부(400)로 투입하는 배출 단계(s200) 및 대상물(a)을 세척하는 세탁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저장 단계(s100)는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물탱크(100)는 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수용한다.
배출 단계(s200)는 세탁수를 배출하여 세탁부(400) 및 가열부(300)로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배출 단계(s200)에서는 물탱크(100)와 연결된 급수펌프(200)를 통해 세탁수를 전달한다. 여기서, 급수펌프(200)는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급수펌프(200)는 세탁부(400) 및 가열부(300)를 향해 각각 세탁수를 공급한다. 또한, 배출 단계(s200)는 제1 공급 단계(s210) 및 제2 공급 단계(s220)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세탁 단계(s300)는 제어부를 통해 통제되는 세탁부(400)를 이용하여 대상물(a)을 세탁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세탁 단계(s300)에서는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세탁 공정에 기반하여 대상물(a)의 세탁이 실시된다. 상세하게, 세탁 단계(s300)에서는 집중 세정 단계(s310), 헹굼 단계(s320) 및 마무리 단계(s330)를 포함하고,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단계(s200)를 세부화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배출 단계(s200)는 제1 공급 단계(s210) 및 제2 공급 단계(s220)를 통해 세척수를 세탁부(400)에 공급한다.
제1 공급 단계(s210)는 제1 세탁수(w1)를 세탁부(400)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단계로서, 통상적인 냉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뜻한다. 이를 위해, 제1 공급 단계(s210)에서 물탱크(100)에 수용된 제1 세탁수(w1)는 급수펌프(200)를 통해 세탁부(400)에 직접 공급된다.
제2 공급 단계(s220)는 제2 세탁수(w2)를 세탁부(400)에 공급하여 후술할 집중 세정 단계(s310)에서 적용하기 위한 단계로서, 통상적인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2 공급 단계(s220)에서 급수펌프(200)와 연결된 가열부(300)를 세탁수를 공급받아 가열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가열된 세탁수는 제2 세탁수(w2)로 형성되어 세탁부(400)로 투입된다. 여기서, 제2 세탁수(w2)는 제2 온도(t2)를 갖고, 제1 세탁수(w1)의 제1 온도(t1)보다 높은 온도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1 공급 단계(s210) 및 제2 공급 단계(s220)를 통해, 세탁부(400)는 온도가 상이한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즉시 공급받을 수 있어 세탁 시간 및 전기사용량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단계(s300)를 세부화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세탁 단계(s300)는 집중 세정 단계(s310), 헹굼 단계(s320) 및 마무리 단계(s330)를 포함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대상물(a)의 세탁을 실시한다.
집중 세정 단계(s310)는 선술한 제1 모드(m1)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대상물(a)을 보다 집중적으로 세탁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집중 세정 단계(s310)에서는 대상물(a)에 세척제를 투입하고 제2 세탁수(w2)를 통해 대상물(a)을 삶는 제1 모드(m1)를 실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집중 세정 단계(s310)에서 세탁부(400) 내 수용된 대상물(a)에는 세척제 및 제2 세탁수(w2)가 공급되고, 세탁부(400)가 구동하여 대상물(a)을 삶는 과정을 실시한다. 집중 세정 단계(s310)가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세탁기가 갖는 사전 세탁을 생략하고, 대상물(a)에 대한 세탁을 즉시 실시할 수 있어 전기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헹굼 단계(s320)는 선술한 제2 모드(m2)를 실시함으로써 삶아진 대상물(a)에 묻은 세척제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헹굼 단계(s320)에서는 세탁부(400)의 구동에 따라 세척제 및 세탁수를 제거하여 대상물(a)을 일부 탈수하고, 가열부(300) 및 물탱크(100)에 수용된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가 세탁부(400)에 투입되어 대상물(a)을 세척함으로써, 대상물(a)에 함유된 세척제를 완전히 제거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헹굼 단계(s320)는 상기와 같은 제2 모드(m2)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헹굼 단계(s320)에서 대상물(a)의 일부 탈수 및 헹굼 과정이 1차례 완료된 이후, 대상물(a)을 재차 일부 탈수하고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재차 공급받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a)에 묻은 세척제 또는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마무리 단계(s330)는 헹굼 단계(s320)가 완료된 대상물(a)에 대하여 선술한 제3 모드(m3)를 실시하여 세탁을 완료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마무리 단계(s330)에서 세탁부(400)는 대상물(a)을 가열하거나 원심 분리 원리를 통해 대상물(a)을 완전 탈수하여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완전히 제거한다. 이를 통해, 대상물(a)을 보다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통해, 세탁 시간 및 세탁에 드는 전기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어, 비용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세탁부(400)를 통해 상기 대상물(a)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a)를 세탁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물탱크(100);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여 상기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가열부(300);
    상기 물탱크(100)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를 상기 가열부(300) 및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급수펌프(200); 및
    상기 세탁부(400)와 연결되고,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에 따라 상기 대상물(a)의 세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은,
    상기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s100); 및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탁부(400)로 투입하는 배출 단계(s20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단계(s200)는,
    상기 급수펌프(200)를 통해 제1 세탁수(w1)를 상기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제1 공급 단계(s210); 및
    상기 가열부(300)를 통해 제2 세탁수(w2)를 상기 세탁부(400)로 투입하는 제2 공급 단계(s220);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부(40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410);
    상기 몸체부(4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회전(s1)하여 세탁수 및 대상물(a)을 교반하는 원통 형상의 교반부(420); 및
    상기 몸체부(410) 및 교반부(4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교반부(420)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420)의 상기 제1 회전(s1) 시, 상기 촬영부(430)는 상기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상기 촬영부(43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 중심축(z2)을 갖는 봉 형상의 축부(431);
    상기 교반부(420)의 외주면 및 상기 몸체부(410)의 내주면과 동시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축부(431)에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바퀴부(433); 및
    상기 축부(431)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카메라부(4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부(431)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바퀴부(433)는 상기 제2 중심축(z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434)는 상기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상기 축부(43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410)의 하면과 접하는 접촉부(4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432)는 상기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10)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432)의 공전 경로 상에 형성되는 레일부(4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432)는 상기 레일부(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는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를 갖는 제1 세탁수 및 상기 가열부(300)를 통해 가열되어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를 갖는 제2 세탁수로 구분되고,
    상기 급수펌프(200)는 한 쌍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1 세탁수를 상기 가열부(300) 및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15496A 2020-02-10 2020-02-10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KR10218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96A KR102182809B1 (ko) 2020-02-10 2020-02-10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96A KR102182809B1 (ko) 2020-02-10 2020-02-10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415A Division KR102086841B1 (ko) 2019-06-18 2019-11-05 고효율 세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809B1 true KR102182809B1 (ko) 2020-11-25

Family

ID=7364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496A KR102182809B1 (ko) 2020-02-10 2020-02-10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8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948A (ko)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시스템
JP2014113185A (ja) * 2012-12-06 2014-06-26 Panasonic Corp 洗濯機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680662B1 (ko) * 2010-03-15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1483A (ko) * 2015-10-07 201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7079861A (ja) * 2015-10-23 2017-05-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948A (ko)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101680662B1 (ko) * 2010-03-15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13185A (ja) * 2012-12-06 2014-06-26 Panasonic Corp 洗濯機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70041483A (ko) * 2015-10-07 201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7079861A (ja) * 2015-10-23 2017-05-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5340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269870B2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US860162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suds in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suitable therefor
US20080189875A1 (en) Wetting Process for the Laundry Inside a Program-Controlled Washing Machine
JP2005177440A (ja)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05283597B (zh) 用于操作实现洗涤物的残留水分含量改进的洗衣机的方法以及适用于该方法的洗衣机
US9080273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hing and program-controlled washing machine suitable therefor
JP2006198149A (ja) 乾燥機能付洗濯機
JP2007098114A (ja)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01165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235999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laundry and washing machine suitable for this purpose
JP200706868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182809B1 (ko)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EP1327018B9 (en) Laundry appliance
JP200621795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10054433A (ko) 고효율 세탁 시스템
KR102086841B1 (ko) 고효율 세탁 시스템
JP481134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121380B1 (ko) 세탁코스 제어 방법
US20090165219A1 (en) Method of washing shoes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546610B1 (ko) 탑 로드 방식 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101375711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167064A (ja) 洗濯機
JP7335841B2 (ja) 洗濯物処理装置
JP4591285B2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