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273B1 -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273B1
KR102182273B1 KR1020170132303A KR20170132303A KR102182273B1 KR 102182273 B1 KR102182273 B1 KR 102182273B1 KR 1020170132303 A KR1020170132303 A KR 1020170132303A KR 20170132303 A KR20170132303 A KR 20170132303A KR 102182273 B1 KR102182273 B1 KR 10218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gas valve
mobile terminal
circuit breaker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017A (ko
Inventor
강현욱
오승석
원신희
정지희
김규헌
홍순일
공번흔
조중혁
정창용
박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3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27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밸브의 원격 차단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가스 밸브와 결합한 차단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차단기와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METHOD FOR CLOSING A GAS VALVE REMOTELY, AND REMOTE CONTROLLING SERVER AND MOBIL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원격으로 가스 밸브를 잠그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달로, 개인은 스마트 폰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정보를 획득한다는 통신의 기초적 사상에 한발짝 더 나아가,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 집안의 가전 제품들을 원격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까지 구축되고 있는 상태이다.
홈 네트워크가 구축되면, 스마트 폰의 사용자는 집 밖에서도, 가정 내 가전 제품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텔레비전을 켜 놓고 외출하였다면, 원격으로 TV를 끌 수 있고, 집 안에 들어가기에 앞서 미리 보일러를 동작시켜 집안을 따뜻하게 만들수도 있다.
다만, 홈 네트워크에 권한 없는 자가 무단 접속하게 된다면, 오히려, 보안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권한 없는 제 3 자가, 가정 내 설치된 CCTV에 접근할 수 있다면, 집안 상황이 제 3 자에게 노출되게 되어, 보안 위협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권한없는 제 3 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스 밸브의 개폐를 원격으로 조절할 때, 권한없는 제 3 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용 권한을 획득한 이동 단말기만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가스 밸브의 원격 차단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가스 밸브와 결합한 차단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 권한이 존재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차단기와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서버는, 상기 가스 밸브와 결합한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동글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을 행하는 장치 인증부; 상기 차단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말 인증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차단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권한 관리부; 및 상기 이용 권한을 부여 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차단기가 상기 가스 밸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차단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가스 밸브와 결합한 차단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용 권한을 획득한 뒤, 상기 가스 밸브를 차단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원격 제어 서버로 상기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용 권한을 획득한 이동 단말기만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여, 권한 없는 제 3 자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가스 밸브 원격 차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단기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차단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원격 제어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이용 권한 획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마스터 권한의 획득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슬레이브 권한의 획득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가스 밸브 원격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요청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미납 요금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원격 제어 페이지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타이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가스 밸브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댁내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가스 밸브 원격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댁내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가스 밸브 원격 차단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가스 밸브 원격 차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밸브 원격 차단 시스템은, 차단기(50), AP(Access Point, 30), 동글(40), 이동 단말기(10) 및 원격 제어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50)는 댁내 가스 밸브에 장착되어, 가스 밸브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단기(50)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가스 밸브와 결합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는 차단기(50)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차단기(5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단기(50)에는 가스 밸브를 삽입하기 위한 가스 밸브 인입부(210) 및 가스 밸브를 개폐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다이얼 스위치(220)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스 밸브 인입부(210)에 가스 밸브를 끼워 넣음으로써, 가스 밸브 위 차단기(50)를 설치할 수 있다.
가스 밸브가 가스 밸브 인입부(210)에 인입된 상태에서, 다이얼 스위치(220)를 조작하게 되면, 가스 밸브가 개방되거나 잠길 수 있다.
차단기(50)에는 차단기(50)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 및 잠금 대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절 버튼 등(230)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 버튼을 통해 차단기(50)를 턴온/턴오프 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조절 버튼을 통해 잠금 대기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잠금 대기 시간이 설정되면,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가스 밸브가 차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차단기(50)가, 가스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다이얼 스위치(220)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만, 가스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의 형태가 반드시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은 다이얼 스위치(220)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예와 달리, 버튼식 스위치, 터치형 스위치, 토글형 스위치 등에 의해 가스 밸브가 개폐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기(50)는 무선 통신부(310), 온도 측정 센서(320), 개폐 감지 센서(330), 가스 누출 감지 센서(340), 디스플레이부(350), 메모리(360), 사용자 입력부(370), 음향 출력부(380) 및 제어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AP(30)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310)는 Wi-Fi, Bluetooth, Zigbee 또는 Z-wave를 통해 AP(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온도 측정 센서(320)는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 밸브 주변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가스 밸브가 고온에 노출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개폐 감지 센서(330)는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 감지 센서(330)를 통해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가스 누출 감지 센서(340)는 가스 밸브 주변 가스 누출을 감지한다. 가스 누출 감지 센서(340)를 통해 가스 누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80)는, 가스 누출이 감지되거나,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배터리 잔류 전원 용량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경보음 또는 안내 멘트 등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가스 누출이 감지된 경우,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또는 배터리 잔류량이 작은 경우 출력되는 경보음 또는 안내 멘트 등은 각기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음향 출력부(380)의 볼륨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원격을 조절될 수도 있다. 일예로, 음향 출력부(380)의 볼륨을 상, 중, 하로 설정 가능하다고 하였을 때, 사용자는 차단기(50)또는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함으로써, 음향 출력부(38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음향 출력부(380)가 기본적으로 '중' 볼륨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차단기(50) 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음향 출력부(380)의 볼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차단기(50)는 볼륨을 '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반대로, 음향 출력부(380)가 '중' 볼륨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차단기(50) 또는 이동 단말기9100)를 통해, 음향 출력부(380)의 볼륨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차단기(50)는 볼륨을 '하'로 낮출 수 있다.
이때, 차단기(50)는 안내 멘트와 경보음을 구분하여, 안내 멘트의 출력 볼륨은 조절 가능하도록 설정하되, 경보음의 출력 볼륨은 조절할 수 없는 항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경보음은 차단기(50) 주변 위험 요소가 존재할 때 출력되는 것이므로, 어느 경우에나 큰 소리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부(350)는 가스 밸브 주변의 온도,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 배터리 잔류량 및 설정된 타이머 등의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360)는 가스 밸브 개폐된 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가스 밸브 개폐된 기록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다이얼 스위치를 조작하여 가스 밸브를 개폐한 사항과, 제어부(390)에 의해 자동으로 가스 밸브가 개폐된 사항이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도 2에 도시된 다이얼 스위치, 전원 버튼 및 조절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가스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 타이머가 설정되면, 제어부(390)는 타이머 만료후 자동으로 가스 밸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밸브 주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또는 AP(30)로부터 가스 밸브 원격 차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부(390)는 자동으로 가스 밸브를 차단할 수도 있다.
AP(30)는 차단기(50) 및 원격 제어 서버(20)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AP(30)는 차단기(50)와는 제 1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원격 제어 서버(20)와는 제 2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통신 방식은 Wi-Fi, Bluetooth, Zigbee 또는 Z-wav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 2 무선 통신 방식은 WAN(Wide Area Netrowk)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P(30)가 IEEE801.11 통식 방식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때, AP(30)가 차단기(50)와 Wi-Fi 이외의 방식(예컨대, Bluetooth, Zigbee 또는 Z-wave)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AP(30)에 동글(40)이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AP(30)에 Z-wave 동글(40)이 연결될 경우, AP(30) 및 차단기(50)는 Z-wave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동글(40)은, AP(30)가 차단기(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동글(40)은 USB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글(40)은 AP(30)를 통해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동글(40)의 MAC 주소)를 원격 제어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서버(20)는 AP(30) 및 이동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서버(20)는 AP(30)로부터 획득한 가스 밸브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로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원격 차단 명령을 AP(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는 원격 제어 서버(2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단말 인증부(410), 장치 인증부(420), 권한 관리부(430) 및 차단기 관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인증부(41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접속하는 이동 단말기(10)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인증부(41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접속하는 이동 단말기(10)로 보안키를 발급하여, 이동 단말기(10)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 인증부(420)는, AP(30), 동글(40) 및 차단기(5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장치 인증부(420)는, AP(30)로부터 AP(30) 정보, 동글(40) 정보 및 차단기(5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권한 관리부(430)는 각 사용자 계정에 마스터 권한 또는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사용자 계정을 통해 특정 차단기(50)에 대한 등록을 요청받은 경우, 권한 관리부(430)는 해당 차단기(50)에 대해 기 부여된 마스터 권한이 없다면, 해당 사용자 계정에게 마스터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차단기(50)에 대한 마스터 권한을 갖는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한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다른 사용자 계정에게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할 것을 요청받은 경우, 권한 관리부(430)는 요청 받은 사용자 계정에게 해당 차단기(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차단기(50) 별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수는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수의 슬레이브 권한이 부여된 상태라면, 마스터 권한을 갖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다른 사용자 계정에게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할 것을 요청받은 경우, 권한 관리부(430)는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차단기 관리부(440)는 이동 단말기(10)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차단기(50)를 원격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가 차단기(50)의 상태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차단기 관리부(440)는 이동 단말기(10)로 AP(30)로부터 수신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이동 단말기(10)로부터 가스 밸브를 차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차단기 관리부(440)는 해당 차단기(50)와 통신할 수 있는 AP(30)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AP(30)는 원격 제어 명령을 차단기(50)로 전송함으로써, 차단기(50)는 가스 밸브를 잠글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가스 밸브 정보를 출력하고,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기 위한 원격 차단 명령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 도 5는 이동 단말기(1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510), 디스플레이부(520), 메모리(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10)는 원격 제어 서버(20)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510)를 통해 원격 제어 서버(20)로부터 가스 밸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원격 제어 서버(20)로 원격 차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0)는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거나,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기 위한 UI(User Interfact)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520)는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520)가 터치스크린일 경우, 디스플레이부(520)는 출력 장치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입력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메모리(530)에는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540)는 이동 단말기(10)의 전반 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4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20)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원격 차단 명령을 생성하며, 생성된 원격 차단 명령이 무선 통신부(510)를 통해 원격 제어 서버(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할 원격 차단 서비스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의 일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에서 원격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격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권한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용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는 원격 차단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10)가 원격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 권한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이용 권한 획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용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가스 밸브 원격 차단 시스템에는 아이디 인증 서버 및 고객 관리 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객 관리 서버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와 AP(30)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ISP의 가입자라면, 고객의 식별 정보(예컨대, 이동 단말기(10)의 CTN(Caller Telephone Number) 또는 ISP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고객의 ID(Identifier))와 AP(30)의 정보(예컨대, AP(3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10)는 ISP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ID를 발급 받은 상태라 가정한다.
댁내, AP(30), 동글(40) 및 차단기(50)의 설치가 완료되면, AP(3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AP(30)의 정보, 동글(40)의 정보 및 차단기(50)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01). 여기서, AP(30)의 정보는 AP(30)에 할당된 IP 주소, AP(30)의 MAC 주소 및 AP(30)의 식별 정보(즉, SS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동글(40)의 정보는 동글(40)에 할당된 MAC 주소 및 동글(40)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기(50)의 정보는 차단기(50)에 할당된 주소 정보 및 차단기(50)의 식별 정보(예컨대, 차단기(50)에 할당된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P(30)로부터 AP(30)의 정보, 동글(40)의 정보 및 차단기(50)의 정보가 수신되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AP(30)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S602).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서버(20)는 사전에 등록된 정보(예컨대, AP(30), 동글(40) 및 가스 차단기(50)가 댁내 설치되기 전 대리점에서 원격 제어 서버(20)로 등록한 AP(30), 동글(40) 및 가스 차단기(50)의 정보)와 AP(3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신된 정보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ISP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S603). 아이디 서버는 고객의 이동 단말기(10)의 로그인 요청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604).
고객 인증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원격 차단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계정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605). 이동 단말기(10)로부터 계정 생성 요청을 수신되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단말기(10)에게 보안키를 전송할 수 있다(S606). 여기서, 보안 키는 문자 메시지(예컨대, SMS)의 형태로 전송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사용자가 원격 제어 서버(20)를 통해 수신한 보안키를 입력하면, 이동 단말기(10)는 수신된 보안키를 원격 제어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607).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보안키를 인증하고,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을 승인함을 응답할 수 있다(S609).
이로서, 원격 차단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가입 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원격 차단 서비스에 대한 가입 처리가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10)근 원격 제어 서버(20)를 통해 AP(30)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서버(20)는 고객 관리 서버로부터 고객의 식별 정보와 매핑되는 AP(30)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AP(30) 정보가 지시하는 AP(30)로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차단기(50)는 복수의 사용자 계정을 통한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이동 단말기(10)가 각기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상태라면, 복수의 이동 단말기(10)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 계정을 통해 로그인 된 상태일 수 있고, 나머지는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 계정을 통해 로그인된 상태일 수 있다.
받고 나머지는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마스터 권한은 최초 차단기(50)를 등록한 사용자 계정에 부여되고, 슬레이브 권한은 마스터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획득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도 7은 마스터 권한의 획득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원격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이 완료되고, 이동 단말기(10)의 Wi-Fi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의 제어부는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AP(30)와의 접속을 위해, Wi-Fi 모듈을 활성화 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요청 페이지의 일부는 Wi-Fi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버튼 영역(710)으로 할당될 수 있다. 버튼 영역(71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Wi-Fi 모듈을 활성화 할 수 있다.
Wi-Fi 모듈이 활성화되면, 제어부는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Wi-Fi 연결하고자 하는 AP(30)를 선택하기 위한 AP(30) 선택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P(30) 선택 페이지에서 특정 AP(30)가 선택되고, 특정 AP(30)로 접속하기 위한 암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해당 AP(30)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AP(30) 선택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AP(30)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도 7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AP(30)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원격 차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7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스 밸브 차단은 댁내 안전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권한 없는 사람의 차단기(50)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AP(30)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AP(30)에 누구라도 접속할 수 있는 상태라면, 원격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AP(30)에 접속하였다 하더라도, AP(30)에 동글(40)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 AP(30)가 가스 밸브와 통신할 수 없는 상태라면, 제어부는 도 7의 (d)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AP(30)에 동글(40)을 부착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P(30)에 동글(40)이 부착되어 있다면, 이동 단말기(10)는 AP(30)를 통해 차단기(5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단기(50)의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는 도 7의 (e)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차단기(50)의 식별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등록하고자 하는 차단기(5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등록하고자 하는 차단기(50)의 식별 정보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되어 있다면, 제어부는 도 7의 (f)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해당 차단기(50)를 등록할 수 없음을 지시하는 메시지(73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등록하고자 하는 차단기(50)의 식별 정보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해당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 및 차단기(50)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차단기(50)를 등록한 사용자의 계정에는 마스터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도 8은 슬레이브 권한의 획득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마스터 권한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도 8이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자신이 마스터 권한을 갖고 있는 차단기(50)들의 목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의 (a)에서는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이, '차단기(50) 1' 및 '차단기(50) 2'에 대해 마스터 계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 혹은 삭제하고자 하는 차단기(50)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도 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차단기(50)에 대해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을 추가 또는 삭제하기 위한 변경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경 페이지를 통해 슬레이브 계정을 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 및 차단기(50)에 대한 정보(예컨대, 차단기(5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차단기(50)에 대해 슬레이브 권한을 갖고 있는 이동 단말기(10)의 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라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해당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 및 차단기(50)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8의 (d)에서는, 'uplusmaster' 계정이 마스터 권한을 부여 받은 계정이고, 'homeboy' 계정이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 받은 계정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원격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마스터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 계정 또는 슬레이브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서버(20)에 접속하여, 차단기(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차단기(50)를 원격 제어하는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가스 밸브 원격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원격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901), 이동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02).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최신 버전인지를 확인하고(S903), 그 결과를 이동 단말기(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904).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최신 버전인 경우(S905),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는 아이디 인증 서버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로그인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S907, S908).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S905), 이동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0은 요청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한 이후(S906), 비로소, 로그인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S907, S908), 이동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909).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이 수신되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접속된 계정이 원격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권한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한 뒤(즉, 마스터 권한 또는 슬레이브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계정인지 여부를 확인), 권한을 갖고 있으면,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AP(30)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S910).
추가로, 원격 제어 서버(20)는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가 ISP가 제공하는 서비스(예컨대, 유선(또는 무선)인터넷 서비스 또는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하면서, 미납 요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가 고려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이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가 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미납 요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AP(30)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접속된 계정이 원격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권한을 갖고 있지 않거나, 접속된 계정의 사용자가 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수납하지 않은 요금이 존재하는 경우,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을 거절하고, AP(30)로 접속할 수 없음을 알리는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1은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미납 요금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원격 제어 서버(20)는 수납 관리 서버(도면 미도시)로부터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 미납한 요금이 있는지 조회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가 마스터 권한을 갖는다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해당 사용자의 명의로 미납한 요금이 있는지를 조회하고, 로그인된 계정의 사용자가 슬레이브 권한을 갖는다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마스터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명의로 미납한 요금이 있는지를 조회할 수도 있다.
이후, AP(30)는 차단기(50)에게 상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차단기(50)로부터,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11, S912). 차단기(50)로부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AP(30)는 수신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원격 제어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913). 원격 제어 서버(20)는 수신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914).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는, 차단기(50)의 배터리 정보, 차단기(50) 주변 온도 정보 및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차단기(5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가스 밸브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원격 제어 페이지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원격 제어 페이지에는 차단기(50)의 식별 정보, 차단기(50)와 이동 단말기(10) 사이의 연결 상태, 차단기(50)의 배터리 정보, 차단기(50) 주변 온도 정보 및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2의 (a)에서는 차단기(50)의 식별 정보(1210)가 '가스 밸브 1'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차단기(50)의 식별 정보가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가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차단기(50)의 목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스 밸브 1'이 터치되면, 이동 단말기(10)의 제어부는 도 1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원격 제어될 수 있는 차단기 목록(1215)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단기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차단기(50)를 선택할 수 있다. 차단기 목록(1215)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는 선택된 차단기(5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을 원격 제어 서버(2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이동 단말기(10) 차단기(50) 사이의 연결 상태 정보(122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a)에서는 이동 단말기(10) 및 차단기(50) 사이의 연결 상태가 '정상 연결' 상태임이 지시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10)와 차단기(50) 사이의 연결이 끊긴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이동 단말기(10) 및 차단기(50) 사이의 연결이 끊겼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페이지에는 차단기(50)의 배터리 정보(1230)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건전지 모양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차단기(5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차단기(50)의 배터리 잔류 용량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차단기(50) 배터리의 잔류 전원 용량이 충분치 않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예컨대, SMS)의 형태를 띌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 메시지의 형태를 띌 수도 있다.
원격 제어 페이지에는 차단기(50) 주변의 온도 정보(1240)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단기(50) 주변의 온도에 따른, 차단기(50) 주변의 안전 등급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일예로, 45도 이하는 정상 등급, 45도 초과 ~ 65도 이하는 경고 등급, 65도 초과는 위험 등급이라 하였을 때, 제어부는 차단기(50) 주변의 온도에 매핑되는 안전 등급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의 (a)에서는 차단기(50) 주변의 온도가 안전 등급인 것으로 예시되었다.
차단기(50)는 주변의 온도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가스 밸브를 차단할 수도 있으며, 이동 단말기(10)로 차단기(50)가 위험 상태에 있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예로, 가스 밸브 주위의 온도가 50도가 되는 경우, 또는 55도가 가는 경우, 차단기(50)는 경보음 및 안내 멘트(예컨대, 주변 온도가 50도 또는 55도가 넘었음을 알리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단기(50)는 이동 단말기(100)로 차단기(50)의 온도가 50도, 또는 55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가스 밸브 주위의 온도가 65도가 되었을 경우, 차단기(50)는 경보음 및 안내 멘트(예컨대, 주변 온도가 65도가 넘었음을 알리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가스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기(50)는 이동 단말기(100)로 차단기(50)의 온도가 65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가스 밸브 주변 온도가 65도 이상이 되는 경우, 차단기(50)는 이전보다 더 짧은 주기로, 가스 밸브 주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가스 밸브 주변 온도가 65도 이상이되기 전, 차단기(50)가 5분 단위로 주변 온도를 감지했다면, 가스 밸브 주변 온도가 65도 이상이 된 이후, 차단기(50)는 1분 단위로 주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차단기(50) 주변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함에 따라, 차단기 주변의 온도가 소정 수치 이하(예컨대, 50도 이하)가 되면, 차단기(5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차단기 주변의 온도가 50도 이하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0)로 차단기(50)의 온도가 50도 이하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예컨대, SMS)의 형태를 띌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 메시지의 형태를 띌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원격 제어 서버(20) 사이의 메시지는 원격 제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예시된 온도 수치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원격 제어 페이지에는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1250)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2의 (a)에서는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가스 밸브 이미지 및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텍스트가 동시에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상술한 예에서,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요청을 받은 경우에 있어서, AP(30)로부터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시된 예와 달리, 원격 제어 서버(20)는 주기적(또는 비주기적)으로 AP(30)로부터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가장 최근 업데이트 된 차단기(50)의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가스 밸브가 오픈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915), 이동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916). 일예로, 가스 밸브가 오픈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가스 밸브 이미지 또는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텍스트가 터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원격 제어 서버(20)로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서버(20)는 AP(30)로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917). AP(30)가 차단기(50)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S918), 차단기(50)는 가스 밸브를 잠글 수 있다(S919).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1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가스 밸브를 차단할 것을 지시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예로, 가스 밸브가 오픈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가스 밸브 이미지 또는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텍스트가 롱 터치되면, 제어부는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잠금 대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131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타이머(1310)를 통해 잠금 대기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부는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뒤 비로소 원격 제어 서버(20)로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기(50)는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뒤 비로소 가스 밸브를 잠글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원격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원격 제어 서버(20)는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비로소 차단기(50)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기(50)는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뒤 가스 밸브를 잠그게 될 것이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곧바로 차단기(50)로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차단기(50)는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비로소 가스 밸브를 잠글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뒤에야 비로소 가스 밸브가 잠기게 될 것이다. 차단기(5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가스 밸브가 잠길 때까지의 잔여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가스 밸브를 잠그는 경우뿐만 아니라, 잠긴 가스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가스 밸브가 잠긴 상태에서,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가스 밸브 이미지 또는 가스 밸브의 개폐 상태를 지시하는 텍스트가 터치되면, 원격 제어 서버(20)로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댁내 안전을 고려하여, 가스 밸브를 개방하는 것은 원격 제어 대상에서 제외하고, 가스 밸브를 차단하는 것 만을 원격 제어 대상으로 삼을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차단기(50)는, 가스 밸브의 개폐 히스토리를 기록한 대한 로그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기(50)는 이동 단말기(10)의 원격 제어에 의해 가스 밸브가 개폐된 기록, 차단기(50)의 조작(예컨대, 다이얼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가스 밸브가 개폐된 기록, 타이머에 의해 가스 밸브가 닫힌 기록 등을 기록한 로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로, 로그 파일에는, 배터리 교체 기록, 화재 발생 기록, 가스 누출 발생 히스토리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단기(50)는 소정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가스 밸브를 잠글 수도 있다. 일예로, 가스 밸브 주변의 온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배터리 잔류 전원 용량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또는 가스 밸브 주변 소정 시간 동안 가스 누출이 감지되는 경우에 있어서, 차단기(50)는 자동으로 가스 밸브를 잠글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 차단기(50)에 의해 자동으로 가스 밸브가 잠금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의 형태를 띌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 메시지의 형태를 띌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의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나, 원격 제어 서버(20)의 구동을 위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차단기(50), 원격 제어 서버(20) 및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이동 단말기
20 : 원격 제어 서버
30 : AP
40 : 동글
50 : 차단기

Claims (8)

  1.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밸브와 결합한 차단기와 인증을 행하는 장치 인증부;
    이동 단말기로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차단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권한 관리부; 및
    상기 이용 권한을 부여 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차단기가 상기 가스 밸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차단기 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계정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CTN (Caller Telephone Number)에 상기 차단기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차단기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원격 제어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관리부는,
    마스터 이용 권한을 갖는 마스터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한 이동 단말기가 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슬레이브 이용 권한을 부여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권한 관리부는 상기 타 사용자 계정에 상기 슬레이브 이용 권한을 부여 가능한, 원격 제어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명령과 함께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단기 관리부는 상기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명령과 함께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차단기 관리부는 상기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버.
  5.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서버의 장치 인증부에서 상기 가스 밸브와 결합한 차단기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서버의 권한 관리부에서 이동 단말기로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상기 차단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 서버의 차단기 관리부에서 상기 이용 권한을 부여 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스 밸브의 차단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차단기가 상기 가스 밸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계정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CTN (Caller Telephone Number)에 상기 차단기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차단기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마스터 이용 권한을 갖는 마스터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한 이동 단말기가 타 사용자 계정에 대해 슬레이브 이용 권한을 부여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권한 관리부가 상기 타 사용자 계정에 상기 슬레이브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명령과 함께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 관리부는 상기 잠금 대기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명령과 함께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 관리부가 상기 잠금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밸브를 원격 차단하는 방법.
KR1020170132303A 2017-10-12 2017-10-12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KR10218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03A KR102182273B1 (ko) 2017-10-12 2017-10-12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03A KR102182273B1 (ko) 2017-10-12 2017-10-12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153A Division KR101810579B1 (ko) 2016-01-13 2016-01-13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017A KR20170118017A (ko) 2017-10-24
KR102182273B1 true KR102182273B1 (ko) 2020-11-24

Family

ID=6029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303A KR102182273B1 (ko) 2017-10-12 2017-10-12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57B1 (ko) * 2020-12-16 2021-10-12 경원조경주식회사 수경시설물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0711A (ja) * 2012-09-06 2014-03-20 Lg Electronics Inc 家電製品及びこれを含むオンライ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164A (ko) * 2006-08-21 2008-02-26 조충호 홈게이트웨이를 통한 정보기기 접근제어 서비스 시스템과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0711A (ja) * 2012-09-06 2014-03-20 Lg Electronics Inc 家電製品及びこれを含むオンライ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017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447B2 (en)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smart nodes with limited user interfaces
US11977623B2 (en) Automatic password reset using a security system
KR100790173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KR102070341B1 (ko) 모바일 통신 장치에서의 사용자별 기능 및 데이터
EP3355521B1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543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US20150180880A1 (en) Device control method, device control system, and server device
KR101675999B1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WO2016169424A1 (zh) 社区联网门禁系统及基于该系统的社区进入方法
CN105981352A (zh) 用于在控制器和附件之间通信的统一通信协议
WO2017058001A1 (en) A type of smart home management method based on instant messasing (im)
CA3003571A1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0557307B (zh) 用于附件控制的计算设备、方法和介质
WO2010090225A1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182273B1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JP5999594B2 (ja) メータ
CN116325844A (zh) 用于管理智能家庭配置的技术
CN104891283A (zh) 一种卡密结合的电梯控制系统
KR200489318Y1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KR101810579B1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49486A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JP5957756B2 (ja) メータ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102604709B1 (ko) 공동 주택 관리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604713B1 (ko) 모듈에 기반한 공동 주택 관리를 위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6192803A (ja) メータシステム、移動体端末、移動体端末用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