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123B1 -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 Google Patents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123B1
KR102182123B1 KR1020190065432A KR20190065432A KR102182123B1 KR 102182123 B1 KR102182123 B1 KR 102182123B1 KR 1020190065432 A KR1020190065432 A KR 1020190065432A KR 20190065432 A KR20190065432 A KR 20190065432A KR 102182123 B1 KR102182123 B1 KR 10218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at
bars
furniture
elastic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숙희
Original Assignee
박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숙희 filed Critical 박숙희
Priority to KR102019006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8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holders for position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6Treadmill combined with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 비치해두고 피지컬 피트니스(physical fitness) 운동기구로 사용함은 물론 물품 수납보관의 용도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층이 분리되는 적층구조로 된 박스형의 기구본체; 상기 기구본체의 다수 위치에 노출상태로 구비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에 기반한 근력운동 수행을 위한 복수의 랫바; 및, 상기 기구본체 내부에서 승강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랫바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랫바를 잡아당길 때 운동부하를 발생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FURNITURE TYPE MULTIPURPOSE HOME TRAINING MACHINE}
본 발명은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 비치해두고 피지컬 피트니스(physical fitness) 운동기구로 사용함은 물론 물품 수납보관의 용도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健康, health)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을 찾아 스스로 하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좌업생활(坐業生活, sedentary life)의 증가와 반복되는 스트레스 및 그로 인한 성인병(成人病, adult disease) 증가에 대한 경각심 등으로 사람들은 체력단련과 건강유지를 위해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활동을 하고 있다.
통계청이 실시한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에 따르면, 주 1회 이상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율은 62.2%로 나타났으며, 전년(2017)년 59.2% 대비 3.0% 가량 증가하였고, 2013년(45.5%) 이후 참여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나, 여성의 생활체육 참여율(62.8%)이 남성(61.6%)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40-50대 여성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전년(2017년) 대비 각각 7.2%, 8.6% 상승하여 동연령대 남성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또한, 70대 여성의 생활체육 참여율도 전년대비 7.4% 상승했다. 이렇듯, 여성 전반의 생활체육 참여율 증가는 '운동을 통한 건강 증진'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증대와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회활동과 육아의 병행 그리고 집안일로 항상 시간이 부족한 30-50대 여성들은 자신을 가꾸고 싶어도 피트니스센터 등을 찾아 1-2시간 운동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현실이어서, 그 대안으로 여성들은 홈트레이닝을 선택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와 같이, 바쁜 일상 속에서 운동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려는 노력으로 집에서 혼자 운동하는 사람들을 '홈트레이닝족' 또는 '홈트족'이라 부르며, 앞서 언급한 홈트레이닝(home training)은 타인의 시선과 운동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기후변화의 영향없이 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홈트레이닝은 둔근(臀筋, gluteal muscles) 및 하지근(下肢筋, muscles of lower limb) 강화를 위한 스쿼트(Squat)운동과 뱃살을 빼기 위한 복근운동이 주류를 이룬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5686호(웨이트 트레이닝용 운동 기구)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781호(상체운동기구) 등의 선행기술을 통해, 가정용으로 설치사용이 가능한 운동기구들이 다수 개시되었는바, 종래의 상기 운동기구들을 이용한 웨이트트레이닝은 프리웨이트운동(free weight exercise / 덤벨, 바벨 등을 이용한 근력운동)에 비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약한 근육강화를 목표로 한 경우에 해당 근육군을 고립시켜 단련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하지만, 종래의 상기 운동기구들은 피트니스센터 등 전문시설내에서 설치사용하는 기존 트레이닝머신과 구조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아, 대체로 아늑한 실내분위기 연출을 선호하는 여성들의 취향과 거리가 멀고, 이러한 이유로 일반 가정네(거실 등)에 설치사용하기엔 적합치 못하다.
또한, 운동부하 발생의 중량체와 그 중량체 지지/동작의 프레임 등이 조합된 구조적 특성상 부피가 상당하여, 실내공간 활용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어 왔다.
결국, 다양한 목적의 홈트레이닝을 위하되 가구와 같이 집안 실내인테리어와 어우러질 수 있으며, 트레이닝머신 본연의 기능 외 다른 기능, 예컨대 물품수납 등의 부가적 기능까지 더불어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5686호(2005.09.09.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781호(2013.08.23. 등록) (문헌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3-0021105호(1993.10.15. 공개) (문헌 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02773호(1994.02.15. 공개) (문헌 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5405호(2000.12.20. 등록) (문헌 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9023호(2007.03.1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본체 다수 위치에 노출된 랫바(lat bar)들을 특정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만으로도, 로잉머신, 바벨로우머신, 필라테스 동작 등 다양한 방식과 방법의 근력운동 실시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기기본체를 각 층이 분리되는 적층구조로 만들고 원목가구 등의 심미감이 연출되도록 하며 물품의 수납보관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 운동기구 자체를 일반가구와 마찬가지로 인테리어품목으로 활용할 수 있고, 물품 수납보관의 다른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홈트레이닝을 목적하는 이들이 가정에 비치해두고 사용키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층이 분리되는 적층구조로 된 박스형의 기구본체; 상기 기구본체의 다수 위치에 노출상태로 구비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에 기반한 근력운동 수행을 위한 복수의 랫바; 및, 상기 기구본체 내부에서 승강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랫바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랫바를 잡아당길 때 운동부하를 발생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구본체는, 목재로 제작하거나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후 그 표면에 우드필름을 입혀서 제작하는 한편, 상기 적층구조를 달성하도록,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박스, 상기 베이스박스 상에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박스, 상기 레이어박스 상에 적재되어 상부를 마감하는 탑박스로 조합된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박스에는, 물품을 수납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출입식 서랍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이어박스와 상기 탑박스 내측의 정해진 위치에는, 상기 랫바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탄력케이블의 진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풀리와, 상기 탄력케이블이 아래로 처지더라도 상기 가이드풀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지션풀리로 조합된다.
더하여, 상기 탑박스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가 상단에 일체로 더 구비되고, 상기 레이어박스 양측에 위치한 상기 랫바들을 위에서 잡아당길 때 상기 랫바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의 진행방향을 잡아주는 디렉션가이더가 양측부 각각의 중앙에 세로로 길게 부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는, 박스형의 기구본체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랫바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를 기반으로 다양한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존 웨이트트레이닝머신과 동일한 근력강화의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중량체와 바디프레임의 연계구성으로 부피가 상당한 기존 웨이트트레이닝머신과 달리, 상기 랫바 외 다른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부피가 작고 공간활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이에 실내(가정의 거실 등) 어디에든 비치해두고 사용할 수 있어 홈트레이닝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의 꾸준한 운동을 유도하고 이로써 보다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인 운동결과의 도출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기구본체의 구성 중 베이스박스에 구비된 서랍과 탑박스 상단 트레이를 이용한 물품의 수납보관이 가능하여 일반 수납장처럼 활용할 수 있고, 목재로 제작하거나 우드필름을 입힌 기구본체가 원목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연출하므로 운동기구 자체를 다른 가구와 마찬가지로 인테리어품목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등의 문제로 체력증진과 건강관리를 고려하는 모든 현대인들은 물론 바쁜 일과와 육아로 시간이 부족하여 홈트레이닝을 선택하려는 여성의 욕구충족에 따른 제품판매 경쟁력 확보로, 기업의 이익창출과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A)는, 각 층이 분리되는 적층구조(積層構造, layer structure)로 된 박스형의 기구본체(1)와, 상기 기구본체(1)의 다수 위치에 노출상태로 구비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에 기반한 근력운동 수행을 위한 복수의 랫바(2-1)(2-2)와, 상기 기구본체(1) 내부에서 승강(昇降, up and down)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랫바(2-1)(2-2)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과 연결되며 랫바(2-1)(2-2)를 잡아당길 때 운동부하(運動負荷, motion load)를 발생하는 중량체(3)를 포함한다.
기구본체(1)는, 장치(운동기구) 구성의 단일화와 아울러 서랍장과 같이 물품의 수납과 보관의 부가기능 발휘를 위한 것으로, 목재로 제작하거나 아니면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후 그 표면에 우드필름을 입혀 외관의 미려함을 연출함이 바람직한 한편,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박스(11), 상기 베이스박스(11) 상에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박스(12), 상기 레이어박스(12) 상에 적재되어 상부를 마감하는 탑박스(13)로 조합됨에 따라, 앞서 언급한 적층구조를 달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박스(11) 또는/및 레이어박스(12)의 개수(個數)를 더하여 상기 중량체(3)의 동작범위를 넓히는 내부공간 확장 또는 수납공간의 추가마련을 위해 차후 설명할 서랍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어박스(12)와 탑박스(13) 내측의 정해진 위치에는, 상기 랫바(2-1)(2-2)들의 탄력케이블(20) 출입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14-1) 및 제2가이드부재(14-2)가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박스(11)에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출입식 서랍(11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이어박스(12)에는, 상기 랫바(2-1)가 내재되는 제1수용홀(120)이 측면에 내향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홀(120)의 중앙에는 랫바(2-1)의 탄력케이블(20)이 통과하는 통공(120a)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탑박스(13)에는, 상기 랫바(2-2)가 내재되는 제2수용홀(130)이 상면에 내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용홀(130)의 중앙에는 랫바(2-2)의 탄력케이블(20)이 통과하는 통공(130a)이 관통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탑박스(13)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131)가 상단에 일체로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이어박스(12) 양측에 위치한 상기 랫바(2-1)들을 위에서 잡아당길 때 그 랫바(2-1)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20)의 진행방향을 잡아주는 디렉션가이더(132)가 양측부 각각의 중앙에 세로로 길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14-1) 및 제2가이드부재(14-2)는, 상기 랫바(2-1)(2-2)들의 탄력케이블(20) 진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풀리(14-11)(14-21)와, 상기 탄력케이블(20)이 아래로 처지더라도 상기 가이드풀리(1l4-11)(14-2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지션풀리(14-12)(14-22)로 조합된다.
복수의 랫바(2-1)(2-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에 기반한 근력운동 수행도구(손잡이)인 것으로, 상기 레이어박스(12)의 측부와 상기 탑박스(13)의 상부에 각각 노출배치되고, 탄력케이블(20)에 의해 중량체(3)와 연결됨으로써, 손으로 잡아당길 경우 중량체(3) 하중에 따라 사용자 신체에 운동부하가 전해지도록 한다(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
중량체(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랫바(2-1)(2-2)들을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에 기반한 근력운동시의 운동부하 발생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하중조절이 가능토록 다수를 적층시킨 웨이트블럭(weight block)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쁜 일상으로 피트니스센터 등을 찾아 운동하기 어렵고 또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려는 이들이 가정의 실내(거실 등)에 본 발명의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A)를 비치해두고 다양한 신체부위의 근력강화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일 예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본체(1)의 레이어박스(12) 양측에 노출된 랫바(2-1)들 중 어느 하나를 양 손으로 파지하고 양 발을 상기 베이스박스(1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리를 곧게 펴고 몸을 뒤로 젖히는 동시에 양 손으로 상기 랫바(2-1)를 잡아당기는 행위의 반복을 통해, 도 4a에서와 같은 기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로잉머신(rowing machine)으로 실시할 수 있는 트레이닝 동작수행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관련근육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박스(13)에 걸터앉아 상기 레이어박스(12) 양측에 노출된 랫바(2-1)들을 각각의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양 손을 위로 올리는 행위의 반복을 통해, 도 4b에서와 같은 기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라테스(pilates) 동작수행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관련근육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박스(13) 위에 올라서고 상기 탑박스(13) 상측에 노출된 랫바(2-2)를 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양 손으로 상기 랫바(2-2)를 잡아당기는 행위의 반복을 통해, 도 4c에서와 같은 기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벨로우머신(barbell row machine)으로 실시할 수 있는 트레이닝 동작수행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관련근육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구본체(1)의 베이스박스(11)에 구성된 서랍(110)에 물품을 수납하고 상기 탑박스(13) 위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어, 물품의 수납보관을 위한 수납장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A)에 의하면, 박스형의 상기 기구본체(1)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랫바(2-1)(2-2)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를 기반으로 다양한 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존 웨이트트레이닝머신과 동일한 근력강화의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랫바(2-1)(2-2)들 외 다른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부피가 작고 공간활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이에 실내(가정의 거실 등) 어디에든 비치해두고 사용할 수 있어 홈트레이닝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의 꾸준한 운동을 유도하고 이로써 보다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인 운동결과의 도출이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구본체(1)의 베이스박스(11)에 구비된 서랍(110)과 탑박스(13) 상단 트레이(131)를 이용한 물품의 수납보관이 가능하여 일반 수납장처럼 활용할 수 있고, 목재로 제작하거나 우드필름을 입힌 기구본체(1)가 원목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연출하므로 운동기구 자체를 다른 가구와 마찬가지로 인테리어품목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홈트레이닝 기구, 1 : 기구본체
2-1, 2-2 : 랫바, 3 : 중량체
11 : 베이스박스, 12 : 레이어박스
13 : 탑박스, 14-1 : 제1가이드부재
14-2 : 제2가이드부재, 14-11, 14-21 : 가이드폴리
14-12, 14-22 : 포지션폴리, 20 : 탄력케이블
110 : 서랍, 120 : 제1수용홀
120a, 130a : 통공, 130 : 제2수용홀
131 : 트레이, 132 : 디렉션가이더

Claims (5)

  1. 각 층이 분리되는 적층구조로 된 박스형의 기구본체; 상기 기구본체의 다수 위치에 노출상태로 구비되며, 손으로 잡아당기는 행위에 기반한 근력운동 수행을 위한 복수의 랫바; 상기 기구본체 내부에서 승강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랫바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랫바를 잡아당길 때 운동부하를 발생하는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본체는, 상기 적층구조를 달성하도록,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박스, 상기 베이스박스 상에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박스, 상기 레이어박스 상에 적재되어 상부를 마감하는 탑박스로 조합되되, 상기 베이스박스와 상기 레이어박스의 개수를 더해 상기 중량체의 동작범위를 넓히는 내부공간의 추가확장 및 수납공간의 추가마련이 가능하며,
    상기 레이어박스의 측면에는, 상기 랫바가 내재되는 제1수용홀이 내향형성되고,
    상기 탑박스에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가 상단에 일체로 더 구비되며, 상기 레이어박스 양측에 위치한 상기 랫바들을 위에서 잡아당길 때 상기 랫바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의 진행방향을 잡아주는 디렉션가이더가 양측부 각각의 중앙에 세로로 길게 부착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는, 상기 랫바가 내재되는 제2수용홀이 내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박스에는, 물품을 수납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출입식 서랍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박스와 상기 탑박스 내측의 정해진 위치에는, 상기 랫바들로부터 이어진 탄력케이블의 출입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탄력케이블의 진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풀리와, 상기 탄력케이블이 아래로 처지더라도 상기 가이드풀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지션풀리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5. 삭제
KR1020190065432A 2019-06-03 2019-06-03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KR102182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2A KR102182123B1 (ko) 2019-06-03 2019-06-03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2A KR102182123B1 (ko) 2019-06-03 2019-06-03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123B1 true KR102182123B1 (ko) 2020-11-23

Family

ID=7368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32A KR102182123B1 (ko) 2019-06-03 2019-06-03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078A (ko) 2022-10-21 2024-04-30 김세호 헬스 퍼니쳐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105U (ko) 1992-03-25 1993-10-15 박순학 뜀틀 운동기구
KR940002773Y1 (ko) 1990-11-13 1994-04-23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다이접착에 적합한 리드프레임 구조
KR200215405Y1 (ko) 2000-07-18 2001-03-15 최규수 다용도 운동 기구
US6306067B1 (en) * 1999-06-10 2001-10-23 Chris Gizas Exercise furniture
KR20030011521A (ko) * 2002-05-13 2003-02-11 정철종 운동장비
KR100515686B1 (ko) 2003-03-25 2005-09-16 노홍빈 웨이트 트레이닝용 운동기구
KR100699023B1 (ko) 2000-07-18 2007-03-23 최규수 다용도 운동 기구
KR101301781B1 (ko) 2012-06-26 2013-08-29 이석종 상체운동기구
KR20140090840A (ko) * 2013-01-10 2014-07-18 근로복지공단 재활훈련용 견인장치
CN109432717A (zh) * 2018-12-21 2019-03-08 重庆医科大学附属第医院 糖尿病治疗用多功能餐桌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773Y1 (ko) 1990-11-13 1994-04-23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다이접착에 적합한 리드프레임 구조
KR930021105U (ko) 1992-03-25 1993-10-15 박순학 뜀틀 운동기구
US6306067B1 (en) * 1999-06-10 2001-10-23 Chris Gizas Exercise furniture
KR200215405Y1 (ko) 2000-07-18 2001-03-15 최규수 다용도 운동 기구
KR100699023B1 (ko) 2000-07-18 2007-03-23 최규수 다용도 운동 기구
KR20030011521A (ko) * 2002-05-13 2003-02-11 정철종 운동장비
KR100515686B1 (ko) 2003-03-25 2005-09-16 노홍빈 웨이트 트레이닝용 운동기구
KR101301781B1 (ko) 2012-06-26 2013-08-29 이석종 상체운동기구
KR20140090840A (ko) * 2013-01-10 2014-07-18 근로복지공단 재활훈련용 견인장치
CN109432717A (zh) * 2018-12-21 2019-03-08 重庆医科大学附属第医院 糖尿病治疗用多功能餐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078A (ko) 2022-10-21 2024-04-30 김세호 헬스 퍼니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1833A1 (en) Freestanding exercise apparatus
US6454683B1 (en) Convertible workout bench-coffee table
US9675510B2 (en) Exercise and massage treatment table system
US7601101B2 (en) Exercise apparatus
US3893667A (en) Exercise device with combined spring tension and frictional resistance
US20160074693A1 (en) Diamond Cutter Push-up Bar and Accompanying Workout Methods
US20050164855A1 (en) Transformable exercise system
US7803094B1 (en) Seating device having exercise functionality
KR102182123B1 (ko) 가구형 다목적 홈트레이닝 기구
DE202019001100U1 (de) Stationäres, multifunktionales Ganzkörper-Trainingsgerät in Schrankform
US11045683B2 (en) Weight lifting apparatus and system
US20020177509A1 (en) Aerobic step cube
US9937372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RU2734180C1 (ru) Шкаф с встроенным тренажером
TW202009035A (zh) 水平側拉式防塵收納櫃形態之運動器材
RU176589U1 (ru) Атлетическая скамья для жима штанги
US223668A (en) Odilon duplessis
KR20190013055A (ko) 바벨운동 보조장치가 구비된 복합 헬스 기구
Haas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mentally and nervously ill
JP2021037162A (ja) フィットネスグッズ用収納家具及び住宅
CN206641565U (zh) 一种具备卧推功能的茶几
KR100983293B1 (ko) 상체운동기구
CN214485469U (zh) 一体化多功能训练哑铃凳
CN219539351U (zh) 一种普拉提训练器
Hunsicker Physical fitness t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