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584B1 -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584B1
KR102181584B1 KR1020190143511A KR20190143511A KR102181584B1 KR 102181584 B1 KR102181584 B1 KR 102181584B1 KR 1020190143511 A KR1020190143511 A KR 1020190143511A KR 20190143511 A KR20190143511 A KR 20190143511A KR 102181584 B1 KR102181584 B1 KR 10218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mart terminal
view
design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실
최동규
Original Assignee
(주)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4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선체 의장 검사 수행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 액세스(access)에 따라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제공하고,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관제서버(400) 상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작업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고, 리스트 중 선택 연결 요청에 따라 홀로 렌즈(200)를 통해 필드 뷰(Field View)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및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자체적으로 저장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작업 선박 전체 모델링 데이터(FBX 파일)을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로드(load)하고, 선택 연결 요청된 필드를 위한 3D 컨트롤 뷰(Control View) 및 컨트롤을 위한 리스트 뷰(List View)를 홀로 렌즈(200)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계도면 데이터의 공존현실 재생을 위한 특징 이벤트 처리 알고리즘 및 그래픽 시뮬레이션 설계, 그리고 현실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의장작업 통합 관제 모니터링 기술 등 선박건조 설계 생산 기술과 융합된 증강공존현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Ship Design Inspection System Using Coexistence Reality Based 3D Design Draw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계도면 데이터의 공존현실 재생을 위한 특징 이벤트 처리 알고리즘 및 그래픽 시뮬레이션 설계, 그리고 현실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의장작업 통합 관제 모니터링 기술 등 선박건조 설계 생산 기술과 융합된 증강공존현실 화면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조선 산업은 3D 조선 CAD 시스템으로 설계 자동화, 직관적인 3D 가시화, 간섭 체크 등의 설계 검증 기능을 제공하여 선박건조 설계 및 생산 과정에서의 선체 블록 의장작업에 품질 및 생산효율성 제고 실현을 위한 통합관제 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대상 기술로는 3D 설계도면 데이터의 기술 설계와 현실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의장작업 통합 관제 모니터링 기술 등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선박 선체 블록 제조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의장작업 공간배치 검사를 통한 생산품질 향상 및 오작업 방지에 따른 생산효율성 제고 등을 활용 목표로 하는 통합 관제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3D 조선 CAD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또는 선체 의장 검사 기술에 관한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선박의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정보 및 휴대용 장치(Handheld Device)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센서 및 입력 정보와 기설정된 선박검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상태를 검사하는 선박검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검사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고, 특허문헌 2는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장품의 설치 시점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의장품 설치 시점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오프라인으로 검사했던 선박검사를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고, 특허문헌 2는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장품의 설치 시점을 용이하게 결정하는 기술로서, 선체 설계를 3D로 가시화하여 설계 시에 오류를 판단하는 방식에 관한 발명으로, 선체의장의 설치 상태를 검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19832호(2015년 02월 25일 공개) 선박검사 자동화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536호(2015년 09월 03일 공고) 의장품 설치 시점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계도면 데이터의 공존현실 재생을 위한 특징 이벤트 처리 알고리즘 및 그래픽 시뮬레이션 설계, 그리고 현실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의장작업 통합 관제 모니터링 기술 등 선박건조 설계 생산 기술과 융합된 증강공존현실 화면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제센터와 작업자 간 화상 및 음성,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상호 간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며, 설비 검사에 필요한 설치방법, 도면정보, 부품정보들을 작업자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 구간을 3D로 선택한 해당 구간의 3D 의장정보를 작업자에게 전송하고 작업자의 현장상황 이미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3D 뷰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가상 설계 공간과 현장을 1:1 매핑하여 디스플레이하고, AR 정보를 통한 검사를 진행하고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이미지 드로잉 툴 기능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선체 의장 설계 공정에서 제작되어지는 3D 도면을 전체선박 블록별 의장의 부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방법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선체 의장 검사 수행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 액세스(access)에 따라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제공하고,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관제서버(400) 상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작업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고, 리스트 중 선택 연결 요청에 따라 홀로 렌즈(200)를 통해 필드 뷰(Field View)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및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자체적으로 저장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작업 선박 전체 모델링 데이터(FBX 파일)을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로드(load)하고, 선택 연결 요청된 필드를 위한 3D 컨트롤 뷰(Control View) 및 컨트롤을 위한 리스트 뷰(List View)를 홀로 렌즈(200)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로딩된 작업 선박 전체 모델에서 홀로 렌즈(200) 또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의 미리 설정된 방향키 및 선택 버튼의 조합에 의해 작업 구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 구간에 대한 확정에 따라 가상 뷰(Virtual View)를 홀로 렌즈(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에 대해서 음성 및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관제서버(400)로부터 실제의 음성 안내 및 통화 음성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홀로 렌즈(200) 및 관제서버(400)를 포함하며,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과 관제서버(400) 간에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의장 검사 수행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 액세스(access)에 따라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제공하고,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관제서버(400) 상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작업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고, 리스트 중 선택 연결 요청에 따라 홀로 렌즈(200)를 통해 필드 뷰(Field View)를 출력하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및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 선박 전체 모델링 데이터(FBX 파일)을 전송하여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로드(load)하도록 하는 관제서버(400); 를 포함하며,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택 연결 요청된 필드를 위한 3D 컨트롤 뷰(Control View) 및 컨트롤을 위한 리스트 뷰(List View)를 관제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여 홀로 렌즈(20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로딩된 작업 선박 전체 모델에서 홀로 렌즈(200) 또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의 미리 설정된 방향키 및 선택 버튼의 조합에 의해 작업 구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 구간에 대한 확정에 따라 가상 뷰(Virtual View)를 홀로 렌즈(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설계도면 데이터의 공존현실 재생을 위한 특징 이벤트 처리 알고리즘 및 그래픽 시뮬레이션 설계, 그리고 현실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의장작업 통합 관제 모니터링 기술 등 선박건조 설계 생산 기술과 융합된 증강공존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관제센터와 작업자 간 화상 및 음성,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상호 간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며, 설비 검사에 필요한 설치방법, 도면정보, 부품정보들을 작업자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선체 구간을 3D로 선택한 해당 구간의 3D 의장정보를 작업자에게 전송하고 작업자의 현장상황 이미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3D 뷰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가상 설계 공간과 현장을 1:1 매핑하여 디스플레이하고, AR 정보를 통한 검사를 진행하고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이미지 드로잉 툴 기능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선체 의장 설계 공정에서 제작되어지는 3D 도면을 전체선박 블록별 의장의 부품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 중 관제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에서 관제서버(400)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에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에서 관제 모듈(422)에 의한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 중 관제서버(400)의 제어부(4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이루어진 작업자 스마트 단말 집합(100g), 각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홀로 렌즈(200)로 이루어진 홀로 렌즈 집합(200g), 네트워크(300), 관제서버(400) 및 빅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함으로써, 선체 의장 검사를 위한 공존현실 기술을 이용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관제서버(400)는 각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간의 네트워크(300)를 통한 데이터 세션 연결을 통해 선박의 선체의 제작 후의 공정에서 선체 제작이 설계 수치와 동일하게 제작되었는가를 3D 설계 모델링 오브젝트를 실제 공간과 물체에 1:1로 가시화하여 오차정보를 계산하고, 허용 공차범위에 수렴되는지 판단하며, 실제 설비에 누락되거나 잘못 설치된 장치를 판별하여 각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홀로 렌즈(200)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관제서버(400)와 각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과 연결된 홀로 렌즈(200) 간에는 공존현실 기술을 이용한 화상 외에 음성 정보,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관제서버(400)와 각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호 간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며, 설비 검사에 필요한 설치방법, 도면정보, 부품정보들을 작업자가 운영하는 각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의한 네트워크(300)를 통한 관제서버(400) 상으로의 요청에 따라 관제서버(400)가 각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과 연결된 홀로 렌즈(200)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네트워크(3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복수의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이루어진 작업자 스마트 단말 집합(100g), 관제서버(400) 및 빅데이터 서버(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빅데이터 서버(500)는 관제서버(400)로부터 작업종료에 따른 시뮬레이션 및 작업파일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여 각 선체의 종류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서버(500)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각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저장 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서버(500)의 분석/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서버(500)는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템플릿화된 작업종료에 따른 시뮬레이션 및 작업파일의 특징 정보(구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각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선체의 부품 정보 등)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카테고리별 저장 관리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서버(500)는 카테고리별 저장 관리 명령의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 중 관제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에서 관제서버(400)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에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에서 관제 모듈(422)에 의한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1) 중 관제서버(400)의 제어부(4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관제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하며, 제어부(420)는 3D 선체 의장 정보화 모듈(421), 관제 모듈(422) 및 디바이스 제공 모듈(423)을 포함함으로써, 마이크로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3D 선체 의장 정보화 모듈(421)은 도 7과 같이 3D 선체 의장 정보화, 3D 선체 의장 모델링, 3D 선체 의장 데이터 변환, 마이크로 서비스 서버 등록, 부품 정보 분류, 부품 정보 스크립트 생성(도면정보, 부품정보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 모듈(422)은 도 7과 같이 관제 프로그램을 통한 3D 선체 의장 파일 로드, 작업 구역 설정, 작업자 네트워크 접속 확인, 작업 구역 3D 정보 전송, 오차 정보 계산 및 보정, 작업 순서 편집, 드로잉 툴 활용 의사전달 및 작업 정보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공 모듈(423)은 도 7과 같이 AR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홀로 렌즈(200) 및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작업 일정 확인, 데이터 요청, 마커인식을 통한 공간 맵핑, 이동간 위치 좌표 보정, 부가정보 요청(NUI/음성), 작업 상황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제공 모듈(423)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에 액세스시 사용자 인증 이후, 금일 작업 일정 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하여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관제 모듈(422)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에서 선체 의장 검사 수행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액세스를 허여한 뒤,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수신하고,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작업자 리스트를 추출하여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또는 이와 통신 세션이 연결된 홀로 렌즈(200)로 작업자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모듈(422)은 작업자가 확인한 뒤 리스트 중 선택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필드 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필드 뷰(Field View) 영상을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또는 홀로 렌즈(200)에 필드 뷰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모듈(422)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작업 선박 전체 모델링 데이터(FBX 파일)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로드(load)하도록 하고, 작업자에 의해 선택 연결 요청된 필드를 위한 3D 컨트롤 뷰(Control View) 및 컨트롤을 위한 리스트 뷰(List View)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및/또는 홀로 렌즈(200) 상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모듈(422)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에서 로딩된 작업 선박 전체 모델에서 홀로 렌즈(200) 또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의 미리 설정된 방향키 및 선택 버튼의 조합에 의해 작업 구간 선택에 따라,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작업 구간에 대한 확정에 따라 가상 뷰(Virtual View)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뒤,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및/또는 홀로 렌즈(200) 상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에 대해서 음성 및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관제서버(400)로부터 실제의 음성 안내 및 통화 음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관제 모듈(422)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지정 초기화 위치에서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제공받으며,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활용하여 3D 컨트롤 뷰(Control View)에 제공하는 카메라의 지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관제 모듈(422)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위치 기반의 추적을 통해 선택된 작업 공간으로 이동하여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 및 초기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 및 초기화에 따른 오차 정보를 계산하여 Data analysis View를 생성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및/또는 홀로 렌즈(200) 상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관제 모듈(422)에 의한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에 대해서 살펴보면, 마커인식과 기저벡터를 이용한 공간맵핑 방법에 있어서, Init Zone(I1)은 실제 블록 내부에서 기준 벽면으로부터 거리를 계산하여 지정한 위치점에 해당하며, Init Zone Marker recognition에 있어서 실제공간에서 홀로 랜즈를 착용한 작업자가 지정위치(Init zone(I1)-정의된 좌표)한 곳에서 (2D 또는 3D) 마커를 주시, 지정된 (2D or 3D) 마커 이미지 인식을 통해 선체 내부 3지점의 리얼 좌표(M1, M2, M3)를 인식하고, 가상의 공간 좌표를 1:1로 매칭하기 위한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기저벡터를 이용한 좌표 생성에 있어서 마커 인식을 통해 획득되어진 3개의 실제 점으로 기준 좌표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준 좌표계를 가상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기준좌표계와 일치시키기 위한 기저벡터 좌표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Init Zone Data Load 과정에 있어서, 선체의 3D 정보를 관제서버(400)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에 표출하며, Virtual Camera Setting에 있어서, 가상의 카메라와 실제의 카메라를 동기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Marker Tracking에 있어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가상의 카메라 이동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기에 인식된 마커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좌표를 계산하여 오차 보정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모듈(422)은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의해 홀로 렌즈(200)로 출력되는 3D 컨트롤 뷰를 관찰 뷰로, 가상 뷰는 작업자 뷰로 홀로 렌즈(200) 상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전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선체 의장 검사 결과 정보를 수신하되, 선체 의장 검사 결과는 드로잉 툴을 이용한 의사전달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인 드로잉 툴은 홀로 렌즈(200) 또는 헬멧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의사 전달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관제 모듈(422)은 선체 관련정보에 해당하는 선체 설계 도면 정보, 설치작업순서, 부품정보 등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전송함으로써,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및/또는 홀로 렌즈(200) 상에서 출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업종료에 따른 시뮬레이션 및 작업파일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체 구간을 3D로 선택한 해당 구간의 3D 의장정보를 작업자에게 전송하고 작업자의 현장상황 이미지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3D 뷰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가상 설계 공간과 현장을 1:1 매핑하여 디스플레이하고, AR 정보를 통한 검사를 진행하고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이미지 드로잉 툴 기능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선체 의장 설계 공정에서 제작되어지는 3D 도면을 전체선박 블록별 의장의 부품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관제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List Tree View"로 블록 단위로 그룹핑, 블록 단위 부품리스트 작업 구간별 그룹핑, 부품 리스트 정렬 순위 조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part Info 제공 요청에 따라 3D part Info로 "3D Control View"를 제공하되, 3D Control View 제공시 전체 FBX 파일 디스플레이, 블록의 구간 선택 전송, 회전/ 확대/ 라벨링, 작업자 동선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3D part Info로 "Field Image View"를 제공하되, Field Image View 제공시 작업자 홀로랜즈 카메라 영상 보기, 음성 통화 가능, 2D 드로잉 작업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3D part Info로 "Virtual Image View"를 제공하되, Virtual Image View 제공시 작업 블록 구간 3D 정보 제공, 자동 설치 애니메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Virtual Image View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에러 연산 요청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Error Data 제공을 위해 "Data Analysis View"를 제공하되, 설계수치와 계측수치 오차 분석, 부품 이름, 상태 정보, 오차, 충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400)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Connect Info 기능으로 "Communication View"를 제공하되, Communication View를 제공시 작업자 네트워크 접속 상태, 요청사항 표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관제서버(400)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Control Center Interface 기능으로 "Player Camera Image"를 제공하되, 홀로 렌즈(200) 착용 작업자 카메라 전송 영상 표시, 그리기 표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서는 홀로 렌즈(200) 상으로 "Easy Pop-up Menu"로 펜그리기, 원그리기, 사각형그리기, 다각형 그리기, 지우기 기능을 제공하거나, "Drawing Menu"로 펜그리기 옵션 설정, 영상처리 옵션 설정, 이미지 크기조절, 이미지 회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공된 기능에 대해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에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홀로 렌즈(200)의 카메라에 의해 각 제공된 기능에 대한 미리 설정된 동작 인식 이벤트에 대한 인식 방식으로 각 메뉴 및 드로잉에 대한 선택적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관제서버(400)에 대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Device Interface 기능으로, 3D Menu, 설계도면 요청, 부품정보 요청, 설치순서 요청, 수치 측정에 대한 메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메뉴를 홀로 렌즈(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에 미리 설정된 시간에 액세스하여 금일 작업 일정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S11).
단계(S11)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체 의장 검사 수행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 액세스(access)에 따라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제공하고,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관제서버(400) 상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작업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고, 리스트 중 선택 연결 요청에 따라 홀로 렌즈(200)를 통해 필드 뷰(Field View)를 출력할 수 있다(S12).
단계(S12)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자체적으로 저장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작업 선박 전체 모델링 데이터(FBX 파일)을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로드(load)하고, 단계(S12)에서 선택 연결 요청된 필드를 위한 3D 컨트롤 뷰(Control View) 및 컨트롤을 위한 리스트 뷰(List View)를 홀로 렌즈(200)로 출력할 수 있다(S13).
단계(S13)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로딩된 작업 선박 전체 모델에서 홀로 렌즈(200) 또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의 미리 설정된 방향키 및 선택 버튼의 조합에 의해 작업 구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 구간에 대한 확정에 따라 가상 뷰(Virtual View)를 홀로 렌즈(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S14). 한편, 단계(S14)에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에 대해서 음성 및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관제서버(400)로부터 실제의 음성 안내 및 통화 음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S14)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5). 이에 따라 단계(S15)에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지정 초기화 위치에서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제공받으며,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활용하여 3D 컨트롤 뷰(Control View)에 제공하는 카메라의 지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S15)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택된 작업 공간으로 이동하여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 및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16).
단계(S16)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단계(S16)에서의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 및 초기화에 따른 오차 정보를 계산하여 Data analysis View를 출력할 수 있다(S17).
단계(S17)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3D 컨트롤 뷰를 관찰 뷰로, 가상 뷰는 작업자 뷰로 홀로 렌즈(200) 상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S18).
단계(S18)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체 의장 검사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 전송하여 알리되, 선체 의장 검사 결과는 드로잉 툴을 이용한 의사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S19). 보다 구체적으로, 드로잉 툴은 홀로 렌즈(200) 또는 헬멧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의사 전달을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S19)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체 관련정보에 해당하는 선체 설계 도면 정보, 설치작업순서, 부품정보 등을 자체적인 저장부에서 추출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뒤, 입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S20).
단계(S20) 이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작업종료에 따른 시뮬레이션 및 작업파일을 자체적인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에 저장할 수 있다(S21).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100 : 작업자 스마트 단말
100g : 작업자 스마트 단말 집합
200 : 홀로 렌즈
300 : 네트워크
400 : 관제서버
410 :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21 : 3D 선체 의장 정보화 모듈
422 : 관제 모듈
423 : 디바이스 제공 모듈
4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복수의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이루어진 작업자 스마트 단말 집합(100g) 중에서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선체 의장 검사 수행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 액세스(access)에 따라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제공하고,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관제서버(400) 상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작업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고, 리스트 중 선택 연결 요청에 따라 홀로 렌즈(200)를 통해 선체 구간을 3D로 선택한 해당 구간의 3D 의장정보의 현장상황 이미지인 필드 뷰(Field View)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자체적으로 저장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작업 선박 전체 모델링 데이터(FBX 파일)을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로드(load)하고, 선택 연결 요청된 필드를 위한 3D 컨트롤 뷰(Control View) 및 컨트롤을 위한 리스트 뷰(List View)를 홀로 렌즈(200)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로딩된 작업 선박 전체 모델에서 홀로 렌즈(200) 또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의 미리 설정된 방향키 및 선택 버튼의 조합에 의해 작업 구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 구간에 대한 확정에 따라 가상 뷰(Virtual View)를 홀로 렌즈(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에 대해서 음성 및 통화 연결을 수행하여, 관제서버(400)로부터 실제의 음성 안내 및 통화 음성 정보를 제공받는 제 3 단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하되, 지정 초기화 위치에서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제공받으며, 선택 작업 구간 블럭정보를 활용하여 3D 컨트롤 뷰(Control View)에 제공하는 카메라의 지정 위치로 이동하는 4 단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택된 작업 공간으로 이동하여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 및 초기화를 수행하고 작업자 공간정보 맵핑 및 초기화에 따른 오차 정보를 계산하여 데이터 분석 뷰(Data analysis View)를 출력하는 5 단계;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3개의 마커를 이용하여 공간기저벡터를 생성시켜 가상 설계 공간과 현장을 1:1 매핑되게 디스플레이하여 3D 컨트롤 뷰를 관찰 뷰로, 가상 뷰는 작업자 뷰로 홀로 렌즈(200) 상에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전환을 수행하고,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선체 의장 검사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 전송하여 알리되, 상기 드로잉 툴은 홀로 렌즈(200) 또는 헬멧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의사 전달을 수행하는 6 단계; 및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체 관련정보에 해당하는 선체 설계 도면 정보, 설치작업순서, 부품정보 등을 자체적인 저장부에서 추출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뒤, 입출력부로 출력하고, 작업종료에 따른 시뮬레이션 및 작업파일을 자체적인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에 저장하는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방법.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로 이루어진 작업자 스마트 단말 집합(100g), 복수의 홀로 렌즈(200)로 이루어진 홀로 렌즈 집합(200g) 및 관제서버(400)를 포함하며,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과 관제서버(400) 간에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선체 의장 검사 수행 요청을 입출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제서버(400) 액세스(access)에 따라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제공하고,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관제서버(400) 상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작업자 리스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고, 리스트 중 선택 연결 요청에 따라 홀로 렌즈(200)를 통해 선체 구간을 3D로 선택한 해당 구간의 3D 의장정보의 현장상황 이미지인 필드 뷰(Field View)를 출력하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3개의 마커를 이용하여 공간기저벡터를 생성시켜 가상 설계 공간과 현장을 1:1 매핑되게 디스플레이하여 3D 컨트롤 뷰를 관찰 뷰로, 가상 뷰는 작업자 뷰로 필드 뷰 영상이 출력되는 홀로 렌즈(200);
    작업자 스마트 단말 집합(100g) 중에서 선택되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선체 구간을 3D로 선택한 해당 구간의 3D 의장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의 시스템 메모리 상에서 로드(load)하도록 하는 관제서버(400);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은, 선택 연결 요청된 필드를 위한 3D 컨트롤 뷰(Control View) 및 컨트롤을 위한 리스트 뷰(List View)를 관제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여 홀로 렌즈(200)로 출력하되, 로딩된 작업 선박 전체 모델에서 홀로 렌즈(200) 또는 작업자 스마트 단말(100) 상의 미리 설정된 방향키 및 선택 버튼의 조합에 의해 작업 구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작업 구간에 대한 확정에 따라 가상 뷰(Virtual View)를 홀로 렌즈(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5. 삭제
KR1020190143511A 2019-11-11 2019-11-11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1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11A KR102181584B1 (ko) 2019-11-11 2019-11-11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11A KR102181584B1 (ko) 2019-11-11 2019-11-11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584B1 true KR102181584B1 (ko) 2020-11-20

Family

ID=7369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11A KR102181584B1 (ko) 2019-11-11 2019-11-11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777A (ko) * 2020-11-23 2022-05-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마커를 이용한 확장 된 3d 데이터 기반의 공간기저벡터 정밀도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간기저벡터 정밀도 보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832A (ko) 2013-08-16 2015-02-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검사 자동화 시스템
KR101549536B1 (ko) 2013-10-16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의장품 설치 시점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
KR20170021689A (ko) *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 설계/생산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832A (ko) 2013-08-16 2015-02-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검사 자동화 시스템
KR101549536B1 (ko) 2013-10-16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의장품 설치 시점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
KR20170021689A (ko) *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 설계/생산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777A (ko) * 2020-11-23 2022-05-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마커를 이용한 확장 된 3d 데이터 기반의 공간기저벡터 정밀도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간기저벡터 정밀도 보정 방법
KR102528353B1 (ko) * 2020-11-23 2023-05-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마커를 이용한 확장 된 3d 데이터 기반의 공간기저벡터 정밀도 보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간기저벡터 정밀도 보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0703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device, storage medium, processor, and terminal
CN112950785B (zh) 点云标注方法、装置及系统
US2021027435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ree dimensional radio model construction
JP201912113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471852B1 (ko) 스마트장치, 로봇정보 제공장치, 로봇 궤적 생성 방법 및 로봇 작업교시 방법
CN113189989B (zh) 车辆意图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103489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8876857A (zh) 无人驾驶车辆的定位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1524086B (zh) 运动物体检测装置、运动物体检测方法、存储介质
KR102181584B1 (ko) 공존현실 기반의 3d 설계도면을 이용한 선체 의장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608521B (zh) 单目测距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881740A (zh) 人脸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1770450A (zh) 一种车间生产监控服务器、移动终端及应用
AU20184500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ning sample points for surveying and mapping, control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19186800A (ja) 情報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220085150A (ko)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20021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s in virtual space based on common coordinate system
KR102299902B1 (ko)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13940B1 (ko) 연속된 3d 데이터에서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09828A (ko) 증강 현실 시스템
US20200379425A1 (en) Systems,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A Building Automation Environment
CN114245333A (zh) 室内基站部署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402364A (zh) 使用随机森林的3d对象检测
US202200124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easure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25305B1 (ko) 선박 유지 보수를 위한 통합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