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496B1 - 차량용 가이드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이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496B1
KR102181496B1 KR1020180171604A KR20180171604A KR102181496B1 KR 102181496 B1 KR102181496 B1 KR 102181496B1 KR 1020180171604 A KR1020180171604 A KR 1020180171604A KR 20180171604 A KR20180171604 A KR 20180171604A KR 102181496 B1 KR102181496 B1 KR 10218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lens unit
guide lamp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758A (ko
Inventor
정병화
한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4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차량용 가이드 램프에 관한것으로, 적어도 하나의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광원부의 일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발광 소자 대응되게 형성되며, 광원부에서 노면에 표시되는 광원부의 패턴의 크기를 결정하는 제1 렌즈부, 제1 렌즈부의 일면에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부에서 관통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패턴이 표시되는 상기 노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제2 렌즈부 및 광원부와 제1 렌즈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패턴의 상, 하 방향으로 글래어를 제한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가이드 램프{Guide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가이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 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가이드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가이드램프는 크게 턴 시그널 가이드 램프와 후진 가이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턴 시그널 가이드 램프는 차량 주행시 운전자의 멀티펑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차선 변경 또는 교차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다른 차량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램프이다.
후진 가이드 램프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후진(R)단으로 조작시 후방을 밝혀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측후방의 다른 차량에게 후진 의도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램프이다.
그런데, 종래의 가이드램프는 광원의 빛을 렌즈를 통해 단순히 외부로 조사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선행 차량의 가이드램프를 측후방에 있는 타 차량의 운전자가 직접 눈으로 볼 수 없는 사각지대에 위치한 경우 가이드램프의 작동여부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심한 경우 선행 차량의 차선변경 또는 후진 의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없어서 사고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교통 사각지대에 위치하지 않은 다른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교통 사각지대에 위치한 다른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특정 차량의 주행을 주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한 다른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도 특정 차량의 주행 방향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며, 특정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보편적으로 각 차량마다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55767호(공개일: 2008.06.1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다른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경우, 차량의 진행 방향을 노면 상에 광학 빔의 형태로 나타내는 빔 패턴을 하나의 광원으로 생성함으로써 근처 다른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차량 진입 가능성이나, 차량의 진행방향을 명확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성을 향상시켜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일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노면에 표시되는 상기 광원의 패턴의 크기를 결정하는 제1 렌즈부; 상기 제1 렌즈부의 일면에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부에서 관통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패턴이 표시되는 상기 노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제2 렌즈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렌즈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패턴의 상, 하 방향으로 글래어를 제한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부의 상, 하면은 상기 제1 렌즈부의 전면 및 후면의 연장 방향에 비연속적인 커팅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몸체; 상기 광원의 배열방향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광을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렌즈부로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 관통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관통개구의 상, 하면은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렌즈부의 상, 하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커팅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2 차폐둘레면을 형성하고, 상기 광 관통개구의 좌, 우측면은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광원의 인접한 광과 간섭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3, 4 차폐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 관통개구와 인접한 광 관통개구 사이에는 차폐 벽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관통개구는 상기 패턴의 크기 및 상기 패턴에 형성되는 광원의 밝기에 따라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서 제1 방향에서 경사진 제2 방향으로 실장되어 상기 제1 렌즈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실장될 때, 상기 광원부의 광원은 차량용 램프에서 제1 방향으로 실장되고, 상기 광 관통개구는 상기 제1 렌즈부와 동일한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종축을 기준으로 노면 방향으로 제1 각도로 틸팅되어 차량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는 15-20도로 틸팅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에서 출광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의 상기 노면으로 상기 패턴을 가지도록 출사하는 출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하나는 종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제1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다른 하나는 종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제2 경사면은 상기 광원에 각각 대응되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져 서로 다른 위치의 노면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경사면은 상기 종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렌즈부에서 출력된 광은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의 노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입사면 또는 상기 출사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경사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입사면 또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의 패턴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차량용 램프의 턴 시그널 램프 또는 후진 램프에 이웃하게 실장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어둡거나 다른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방향을 노면에 지시선의 형태로 투영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도로에서 차량의 진행 및 주행 방향이나 주차 방향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제1 렌즈 측으로 해 광원에서 발광된 광을 최대한 제1 렌즈로 집광될 수 있도록 커팅부를 갖는 차폐부를 구비하여 외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안개나 비가 오는 환경에서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가 명확하게 확인하거나, 또는 다른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가 실장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의 다른 방향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에서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에서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다른 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에서 기구적 틸팅 및 노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광의 출광 각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분리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의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가이드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실장된 차량(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10)의 다른 방향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10)에서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실장된 차량용 램프(10)에서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다른 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차량(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실장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차량(1)의 진행방향으로 노면에 광학 빔의 형태를 개시하도록 차량(1)의 전, 후면으로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 형태와 같이 상기 차량(1)의 전면 양 사이드 측에서 진행 방향으로 노면에 광학 빔 형태로 패턴(P)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형태와 같이 상기 차량(1)의 전면 중앙 측에서 진행 방향으로 노면에 광학 빔 형태로 패턴(P)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나 ⓑ와는 다른 형태 예컨대 ⓒ형태와 같이 차량(1)의 후면 양 사이드 측에서 진행 방향으로 노면에 광학 빔 형태의 패턴(P)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의 형태와 같이 차량(1)의 후면 중앙 측에서 진행 방향으로 노면에 광학 빔 형태로 패턴(P)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다른 차량(1)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예측할 수 있을 정도로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1)의 진행 방향이라 함은 좌측 턴 방향, 우측 턴 방향 및 후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교통 사각지대에 위치한 다른 차량(1)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안내해 줄 차량(1)의 진행 예정방향과 대응된다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차량(1)의 진행 방향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좌측 턴 방향 및 우측 턴 방향보다는 교통 사각지대를 생성하는 영역이 될 가능성이 크지는 않지만, 다양한 수단으로 차량(1)의 진입 방향을 안내해주는 것이 교통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므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도 상기 차량(1)의 진행 방향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기존의 보조등 점멸방식을 통해 차량(1)의 좌측방향 진입 또는 우측방향 진입을 다른 차량(1)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안내하는 구성에 포함되거나, 기존의 보조등 점멸방식의 차량(1)방향 안내 구성과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차량(1)의 진행 방향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1이나 ⓐ-2 와 같이 차량(1)의 진행 방향 중 전진 시 좌측 턴 방향 및 우측 턴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 ⓑ 와 같이 차량(1)의 진행 방향 중 직진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 차량(1)의 후진 방향 중 ⓒ-1이나 ⓒ-2와 같이 차량(1)의 후진 시 좌측 턴 방향 및 우측 턴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 ⓓ와 같이 차량(1)의 진행 방향 중 후진 방향의 직진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이나 ⓐ-2 또는 ⓒ-1이나 ⓒ-2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차량(1)의 앞 또는 뒤 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진행 방향의 안내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차량(1)의 앞 또는 뒤 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차량용 램프(10) 예컨대 턴 시그널 램프에 이웃하여 복수의 구성으로 함께 실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 ⓓ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앞 또는 뒤 부분 중 전진 또는 후진의 진행 방향 안내를 위한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차량(1)의 앞 또는 뒤 부분에 위치한 진행 방향 안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의 진행 방향이 좌측 턴 방향으로 주행 될 예정인 것으로 특정된 경우, 특정된 차량(1)의 진행 방향인 좌측 턴 방향과 대응되는 ⓐ-1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동작을 통해 다른 차량(1)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차량(1)이 좌측 턴 방향으로 진입될 예정인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렇듯, 차량(1)에는 다수의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를 포함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은 차량(1)의 진행 방향 설정에 따라 특정된 진행 방향과 대응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를 선택한 후 선택된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1)의 진행 방향을 다른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경우 차량(1)의 진행 방향을 노면 상에 광학 빔의 형태로 나타내는 가이드 빔을 하나의 발광소자(111)를 이용한 다중패턴(P)의 가이드 빔으로 생성함으로써 근처 다른 차량(1)의 운전자 또는 도로 보행자에게 차량(1) 진입 가능성을 안내하기 위한 차량(1)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에서 기구적 틸팅 및 노면에 패턴(P)을 형성하기 위해 광의 출광 각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차량의 일측에 배치되는 예컨대 턴 시그널 램프 또는 후진 램프에 함께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실장된 턴 시그널 램프나 후진 램프는 차량의 종축 방향으로 실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종축을 기준으로 노면 방향으로 제1 각도를 가지며 기구적으로 틸팅되도록 차량(1)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차량(1)의 전면이나 후면에 장착되면서 노면과 소정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노면으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소정 각도로 굴절되어야 한다.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상기 노면에서 높이가 높게 장착될수록 상기 가이드 램프(100)가 상기 노면으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굴절 각도가 커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가이드 램프(100)의 상기 굴절률을 높게 하면 할수록 광의 왜곡 현상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형상이 왜곡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램프(100)를 차량의 종축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기구적으로 틸팅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램프(10)의 굴절률을 작게 할 수 있고, 상기의 굴절 각도가 커짐에 따라 발생되는 광의 왜곡 현상이나 이에 따른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왜곡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 램프(100)가 상기 차량(1)에서 기구적으로 틸팅되는 상기 제1 각도는 15-20도로 틸팅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9도 정도로 기구적으로 차량(1)에 틸팅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상기와 같이 기구적으로 19도 정도 틸팅된 상태에서 노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예컨대 세개의 패턴(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에서 세개의 발광소자(111)가 종축을 기준으로 약 15도, 21도 및 29도의 출광 각도를 가지며 출광되어 노면 상에 패턴(P)을 형성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가 차량(1)에 19도로 틸팅되면서 차량(1)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출광되어 노면에 패턴(P)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개략적인 다른 방향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분리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의 후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광원부(110), 제1 렌즈부(120), 제2 렌즈부(130) 및 차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10)는 제1 렌즈부(120) 및 제2 렌즈부(130)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11)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나 벌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판부에 세 개의 발광소자(111)가 실장되어, 노면으로 세개의 패턴(P)의 진행 방향 지시선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광소자(111)의 광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면에 형성하기 위한 패턴(P)의 개수나 지시선의 개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 렌즈부(120)는 상기 광원부(110)의 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1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세 개의 발광소자(111)를 구비하는 경우, 세 개의 발광소자(111)에 대응되도록 제1 렌즈부(120)는 제1 내지 제3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부(120)는 상기 발광소자(111)에서 발산각을 가지며 조사된 광의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입사면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출사면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입사면은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출사면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렌즈부(120)의 입사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출사면이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렌즈부(12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을 평행한 광이 되도록, 상기 제1 렌즈부(120)는 TIR 렌즈, 프레넬 렌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렌즈부(120)는 상기 광원부(110)에서 노면에 표시되는 상기 발광소자(111)의 패턴(P)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렌즈부(120)와 상기 광원부(110)의 거리에 따라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P)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렌즈부(120)가 상기 광원부(110)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P)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제1 렌즈부(120)가 상기 광원부(110)에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P)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상, 하면은 수평, 즉 횡축으로 커팅된 커팅면(1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렌즈부(120)는 상기 종축 및 횡축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개, 예컨대 발광소자(111)의 개수에 대응되는 세개의 렌즈가 형성될 수 있는데, 횡축의 상, 하면은 커팅된 수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 렌즈부(130)는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일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렌즈부(120)에서 관통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패턴(P)이 표시되는 상기 노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부(130)는 상기 제1 렌즈부(120)로부터 출사된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행광을 수용하며,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입사면(131)의 각도에 따라 입사된 평행광을 굴절시켜 굴절된 각도에 따라 패턴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부(130)는 후술하나 복수의 입사면(131)을 가지되, 상기 복수의 입사면(131)들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부(130)의 복수의 입사면(131)들의 각도 차이에 따라 복수의 입사면(131)들로 유입된 평행광들은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되며, 각 입사면(131)에서 굴절된 각도에 따라 노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면의 서로 다른 위치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입사면들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상기 입사면(131)은 평행광을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출사면(132)을 복수개의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입사면(131)으로 수용된 평행광은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출사면(132)의 각도에 따라 굴절되어 노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제2 렌즈부(130)는 입사면(131)과 출사면(1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사면(131)은 상기 제1 렌즈부(120)와 대면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렌즈부(120)에서 출광된 광이 입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131)은 종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일면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111)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입사면(131)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소자(111)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 상기 제2 렌즈부(130)에는 세 개의 입사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131)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은 후술할 수 있다.
상기 출사면(132)은 상기 입사면(131)으로 유입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차량(1)의 진향방향의 노면으로 출광되어, 상기 노면 상에 패턴(P)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사면(132)은 종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제1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은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입사면(131)은 종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 및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경사면(132a, 132b, 132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132a, 132b, 132c)은 상기 종축을 기준을 제2 각도로 상기 차량(1)의 진행방향의 노면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경사면(132a, 132b, 132c)은 서로 다른 위치의 노면에 패턴(P)을 형성하도록 상기 발광소자(111)에 각각 대응되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2 경사면(132a, 132b, 132c)은 상기 발광소자(111)의 개수에 맞게 세개의 입사면(131)에 각각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사면(131)은 상기 발광소자(111)의 개수에 맞게 제1 입사면(131)과, 제2 입사면(131) 및 제3 입사면(1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사면(131)은 횡축과 종축 각각 소정의 각도인 제2 각도를 가지는 제2 경사면(132a)(이하 '제2a 경사면(132a)'이라 함.)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입사면(131)은 횡축과 종축 각각 소정의 각도로 상기의 제1 입사면(131)의 제2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가지는 제2 경사면(132b)(이하 '제2b 경사면(132b)' 이라고 함.)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입사면(131)은 횡축과 종축 각각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 입사면(131) 및 상기 제2 입사면(131)과 다른 제2 각도를 가지는 제2 경사면(132c)(이하 제2c 경사면(132c)' 이라고 함.)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경사면(132a, 132b, 132c)은 상기 입사면(13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서로 다른 제2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사면(131)에서 서로 다른 제2 경사면(132a, 132b, 132c) 사이에는 단차진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a 경사면과 상기 제2b 경사면 사이에는 서로 단차진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b 경사면과 상기 제2c 경사면 사에으는 서로 단차진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132a, 132b, 132c)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서로 다른 세개의 제2 각도를 가져, 상기 입사면(131)에서 형성되는 패턴(P)은 상기 광원부(110)에서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입사면(131)은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발광소자(111)에서 유입된 광을 집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입사면(131)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진 복수, 예컨대 세개의 입사면(131)을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출사면(132)은 서로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앞서 설명하였다. 즉,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상기 입사면(131)은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렌즈부(130)의 상기 출사면(132)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진 복수의 출사면(132 )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폐부(140)는, 상기 광원부(110)와 상기 제1 렌즈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40)는 상기 발광소자(111)에서 인접한 위치의 발광소자(111)의 광의 간섭을 제한하면서 상기 패턴(P)의 상, 하 방향으로 글래어를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40)는 몸체(141)와 광 관통개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1)는 상기 광원부(110)와 상기 제1 렌즈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발광소자(111)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발광소자(111)에 대응되는 상기 관통개구 이외로 유입되거나 간섭되거나 글래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관통개구(142)는 상기 발광소자(111)에 대응되는 위치로 각각 상기 몸체(141)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소자(111)은 세 개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광 관통개구(142)는 상기 세개의 상기 발광소자(111)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몸체(141)에 세 개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관통개구(142)의 상, 하면은 상기 발광소자(111)이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상, 하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커팅면(12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 차폐둘레면(142a) 및 제2 차폐둘레면(142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폐둘레면(142a) 및 상기 제2 차폐둘레면(142b)은 수평한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발광소자(111)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상, 하면에서 퍼지도록 발광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폐둘레면(142a) 및 상기 제2 차폐둘레면(142b)은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출사면(132)의 상, 하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차폐하여, 상기 제1 렌즈부(120)의 상, 하면에서 반사되어 차량(1)의 진행 방향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P)의 상하에 발생되는 글래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광 관통개구(142)의 좌, 우측면은 상기 발광소자(111)의 광이 상기 발광소자(111)의 인접한 광의 좌, 우측에 형성된 제1 렌즈부(120)로 유입되거나 서로 인접한 상기 발광소자(111) 간의 좌, 우측으로 발광되는 광 사이에 간섭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3 차폐둘레면(142c) 및 제4 차폐둘레면(142d)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차폐둘레면(142c) 및 상기 제4 차폐둘레면(142d)은 상기 제1 차폐둘레면(142a)과 상기 제2 차폐둘레면(142b)과 함께 차량(1)의 진행 방향의 노면에 표시되는 패턴(P)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관통개구(142)와 인접한 광 관통개구(142) 사이에는 차폐벽부(1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11)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이웃하게 배치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발광소자(111)의 광이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3 차폐둘레면(142c) 및 제4 차폐둘레면(142d)과 상기 차폐벽부(145)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발광소자(111)의 광이 상기 발광소자(111)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렌즈부(120) 이외의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서로의 광이 간섭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세 개의 발광소자(111)에서 양측면에 배치된 발광소자(111)에서 출광된 광이 중간에 배치된 상기 발광소자(111)의 좌, 우측의 광과 간섭이 발생되면, 상기 차량(1)의 진행방향의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P)의 좌, 우측부분에는 글래어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통 개구의 크기는 상기 차량(1)의 진행 방향의 노면에 형성되어야 하는 상기 패턴(P)의 크기 및 상기 패턴(P)에 형성되는 상기 발광소자(111)의 밝기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에서, 상기 제1 렌즈부(120), 상기 제2 렌즈부(130) 및 상기 광 관통개구(142), 상기 차폐부(140)는 상기 발광소자(111)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서로 어셈블링될 수 있다. 즉, 제1 렌즈부(120)와 상기 제2 렌즈부(130)는 차량(1)에 실장될 때, 수평하게 배치되지 않고 디자인 적으로 수평방향에서, 즉 종축에서 소정각도(제1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140)의 상기 광 관통개구(142)도 상기 제1 렌즈부(120)와 상기 제2 렌즈부(130)의 경사 방향으로 동일한 경사각으로, 즉 제1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광소자(111)는 수평하게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램프(10)가 차량(1)에서 제1 방향에서 경사진 제2 방향으로 제1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실장되기 위해, 상기 제1 렌즈부(120)와 상기 제2 렌즈부(130)는 제2 방향으로 제1 방향에서 제1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어셈블링되는데, 이때, 상기 차폐부(140)의 광 관통개구(142)도 상기 제1 렌즈부(120) 및 상기 제2 렌즈부(130)와 동일하게 상기 제2 방향으로 제1 방향에서 제1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에 어셈블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11)의 어셈블링 방향과 상기 제1 렌즈부(120), 제2 렌즈부(130) 및 상기 광 관통개구(142)의 어셈블링 방향은 서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진행 방향에 대한 변경이 감지된 경우 변경된 차량(1)의 진행방향과 대응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턴 시그널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턴 시그널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반복함으로써, 다른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차량(1)의 진행방향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턴 시그널 신호란,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으로 소방차, 앰뷸런스 등 긴급 차량(1)에 설치하여 회전하는 경광등을 말하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100)는 기구적으로 틸팅되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 하면이 수평한 커팅면(122)을 가진 제1 렌즈부(120)와, 상기 광원부(110)와 상기 제1 렌즈부(120) 사이로 상기 발광소자(111)의 광을 차폐하거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차페부를 구비하여, 노면에 형성된 패턴(P)이 명확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차량
10: 차량용 램프
100: 차량용 가이드 램프
110: 광원부
111: 발광 소자
120: 제1 렌즈부
122: 커팅면
130: 제2 렌즈부
131: 출사면
132: 입사면
140: 차폐부
141: 몸체
142: 광 관통개구
145: 차폐 벽부

Claims (13)

  1.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차량용 가이드 램프에 있어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일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노면에 표시되는 상기 광원부의 패턴의 크기를 결정하는 제1 렌즈부;
    상기 제1 렌즈부의 일면에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부에서 관통된 광을 전달받아 상기 패턴이 표시되는 상기 노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제2 렌즈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렌즈부 사이에서 상기 광원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여 상기 패턴의 상, 하 방향으로 글래어를 제한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상기 발광소자들 간의 광의 간섭을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들의 배열방향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광을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렌즈부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광 관통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의 상, 하면은 상기 제1 렌즈부의 전면 및 후면의 연장 방향에 비연속적인 커팅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관통개구의 상, 하면은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렌즈부의 상, 하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커팅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2 차폐둘레면을 형성하고,
    상기 광 관통개구의 좌, 우측면은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광원의 인접한 광과 간섭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3, 4 차폐 둘레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관통개구와 인접한 광 관통개구 사이에는 차폐 벽부가 돌출 형성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관통개구는 상기 패턴의 크기 및 상기 패턴에 형성되는 광원의 밝기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를 실장한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서 제1 방향에서 경사진 제2 방향으로 실장되어 상기 제1 렌즈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실장될 때, 상기 광원부의 광원은 차량용 램프에서 제1 방향으로 실장되고, 상기 광 관통개구는 상기 제1 렌즈부와 동일한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게 구비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상기 차량의 종축을 기준으로 노면 방향으로 제1 각도로 틸팅되어 차량에 실장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15-20도로 틸팅각도를 형성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에서 출광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의 상기 노면으로 상기 패턴을 가지도록 출사하는 출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입사면 및 출사면 중 하나는 상기 차량의 종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제1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입사면 및 출사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차량의 종축을 기준으로 상, 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제2 경사면은 상기 광원에 각각 대응되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져 서로 다른 위치의 노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경사면은 상기 차량의 종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렌즈부에서 출력된 광은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의 노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조사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입사면 또는 상기 출사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경사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입사면 또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된 광의패턴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가이드 램프는 차량용 램프의 턴 시그널 램프 또는 후진 램프에 이웃하게 실장되는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1020180171604A 2018-12-28 2018-12-28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10218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04A KR102181496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용 가이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04A KR102181496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용 가이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58A KR20200081758A (ko) 2020-07-08
KR102181496B1 true KR102181496B1 (ko) 2020-11-23

Family

ID=7160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04A KR102181496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용 가이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087A (ko) 2021-10-28 2023-05-08 (주)에스제이웍스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KR20230061127A (ko) 2021-10-28 2023-05-08 (주)에스제이웍스 차량용 램프 패턴 전환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5198A (ja) * 2008-12-05 2010-06-1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3186979A (ja) * 2012-03-06 2013-09-19 Honda Access Corp 照明装置
KR101458048B1 (ko) * 2013-07-16 2014-11-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767A (ja) 2006-12-22 2008-07-10 Tatsuzo Atsugi 車両用転向方向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5198A (ja) * 2008-12-05 2010-06-1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3186979A (ja) * 2012-03-06 2013-09-19 Honda Access Corp 照明装置
KR101458048B1 (ko) * 2013-07-16 2014-11-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087A (ko) 2021-10-28 2023-05-08 (주)에스제이웍스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KR20230061127A (ko) 2021-10-28 2023-05-08 (주)에스제이웍스 차량용 램프 패턴 전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58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3580A (ko) 차량용 가이드 램프
CN107327777B (zh) 车辆用灯具控制系统以及具备车辆用灯具控制系统的车辆
KR101410878B1 (ko) 자동차용 전조등
JP2019182275A (ja) 光学装置および進行方向表示装置
KR102181496B1 (ko)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20220026310A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6708A (ko) 차량용 램프
JP3738633B2 (ja) 光照射装置
KR20150072578A (ko)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102405441B1 (ko) 차량용 램프
JPH1143908A (ja) 視線誘導灯
JP7490514B2 (ja) 車両用灯具
KR102118139B1 (ko) 차량용 램프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KR102529889B1 (ko) 차량용 램프
KR102470453B1 (ko) 차량용 램프
CN214405915U (zh) 用于车辆的灯装置
JP7495539B2 (ja) 光学装置及び進行方向表示装置
KR102348896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2310284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EP4328089A1 (en) Light-emitting unit and vehicular lamp
WO2022030387A1 (ja) 路面描画機能を備えた車両用灯具
US20230160551A1 (en) Lamp for vehicle
KR101356684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2021138211A (ja) エリアマーカー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