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087A -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087A
KR20230061087A KR1020210145975A KR20210145975A KR20230061087A KR 20230061087 A KR20230061087 A KR 20230061087A KR 1020210145975 A KR1020210145975 A KR 1020210145975A KR 20210145975 A KR20210145975 A KR 20210145975A KR 20230061087 A KR20230061087 A KR 2023006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ens
light source
source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149B1 (ko
Inventor
서성지
Original Assignee
(주)에스제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제이웍스 filed Critical (주)에스제이웍스
Priority to KR102021014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1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7Direct command from other road users, i.e. the command for switching or changing the beam is sent by other vehicles or roa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노면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노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광원부 간의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VEHICLE EXTERIOR GUIDE LAMP}
본 발명은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 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 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가이드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를 목적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모두 하게 된다.
가이드 램프를 차량에 부착하는 경우, 차량의 종류 및 부착 위치에 따라 노면에서 가이드 램프까지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광원과 렌즈 간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으면 가이드 램프 장착 높이에 따라 노면에 조사되는 빛 패턴의 폭, 길이 밝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램프의 광원과 렌즈 간의 거리는 조절될 필요가 있다.
다만, 광원과 렌즈 간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경우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램프가 한 차량에 부착되었을 경우에 복수 개의 가이드 램프의 광원과 렌즈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149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8048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과 렌즈 간의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가능한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빛이 조사되는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노면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노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광원부 간의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및 상기 높이 조절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노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빔의 패턴 및 크기를 결정하는 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에이밍 스크루 및 상기 렌즈에 결합되고, 상기 에이밍 스크루가 삽입되어 상기 에이밍 스크루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슬라이딩홀, 상기 이동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홀을 관통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조절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상기 슬라이딩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 레버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은,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된 제1 연결축 및 상기 조절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축의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제2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축의 단부와 상기 제2 연결축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노면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노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축이 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고정 통공이 형성된 각도 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크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통공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 통공은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에는 내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내부 홈에 삽입되는 돌기 축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와 상기 돌기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돌기 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는 광원과 렌즈 간의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빛이 조사되는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가 부착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가 부착된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돌기가 결합홀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결합돌기가 결합홀에서 빠져나온 경우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결합돌기가 결합홀에 결합된 경우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돌기가 고정 통공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돌기가 고정 통공에서 빠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각도 조절부가 구동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가 부착된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가 부착된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돌기가 결합홀에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결합돌기가 결합홀에서 빠져나온 경우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결합돌기가 결합홀에 결합된 경우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는, 몸체(100), 광원부(200), 렌즈(300), 높이 조절부(400), 쉴드부(600) 및 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는 광원부(200)에서 노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차량 외곽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 빔(20)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는 차량의 외곽에 복수 개 결합하여 차량의 외곽을 노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도 1, 도 2 참조).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는 차량(1)의 외곽을 둘러싼 가이드 빔(20)을 형성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잘 확보되지 않는 밤이나 안개가 낀 경우 차량(1)의 외곽을 미리 경고하여 운행 중인 차량(1)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운행 중인 차량(1)이 차선 변경하는 경우 보다 쉽게 옆 차량(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버스나 화물차량과 같이 차량(1)의 폭이 넓은 경우, 이러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몸체(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광원부(200), 렌즈(300) 및 높이 조절부(400)와 같은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몸체(100)는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제1 홀(110)이 하부에 형성된 속이 빈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광원부(200)와 렌즈(300) 간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에이밍 스크루(41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며, 에이밍 스크루(410)의 일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2 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차량(1)의 외곽에 위치하므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도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 및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몸체(10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원부(200)는 고정판(210) 및 램프(2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00)는 몸체(100)에 결합되어, 노면상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고정판(210)은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어, 램프(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판(210)은 노면에 평행한 판 형상일 수 있다. 고정판(210)은 차량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위치에 램프(220)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몸체(100)의 내부에 단단하게 결합되고 충분한 강성을 지닌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다만, 고정판(21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램프(220)는 고정판(210)에 결합되어, 노면상에 가이드 빔(20)을 형성하기 위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램프(220)는 노면상에 운전자가 식별 가능할 정도의 가이드 빔(20)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220)에는 할로겐(Halogen) 램프, 제논(Xenon) 램프, LED램프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렌즈(300)는 광원부(200)와 노면 사이에 위치하여,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된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렌즈(300)는 광원부(200)로부터 소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 형성되어, 광원부(200)로부터 발산각을 가지며 조사된 빛의 일부를 전달받아 렌즈(300)의 입사면에서 수용하고, 출사면에서 발산각이 줄어든 빛이 출사될 수 있다.
렌즈(300)의 입사면은 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평평하거나 상방으로 볼록할 수 있다. 렌즈(300)의 출사면은 하방으로 볼록할 수 있다. 렌즈(300)는 제1 렌즈(310) 및 제2 렌즈(320)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렌즈(300)는 노면에 조사되는 가이드 빔(20)의 패턴의 크기를 결정하거나 패턴이 표시되는 노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렌즈(300)의 형상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400)는 에이밍 스크루(410), 이동 부재(420), 슬라이딩홀(430a), 결합홀(430b), 연결축(440), 조절 레버(450), 결합 돌기(460) 및 제1 스프링(47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400)는 렌즈(300)에 결합되어, 렌즈(300)와 광원부(200) 간의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에이밍 스크루(410)는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시 렌즈(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에이밍 스크루(410)는 몸체(100)에 형성된 제2 홀(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에이밍 스크루(410)는 노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사산(41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밍 스크루(410)는 후술하는 이동 부재(420)의 이동경로가 될 수 있는 바, 휘거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이밍 스크루(410)에는 나사산(411)을 따라 이동하는 후술하는 이동 부재(420)가 나사산(411)을 벗어나 에이밍 스크루(4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제한턱(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420)는 렌즈(300)에 결합되고, 에이밍 스크루(410)가 삽입되어 에이밍 스크루(4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부재(420)는 내부에 에이밍 스크루(410)의 나사산(411)에 대응되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420)는 에이밍 스크루(410)를 회전시킬 경우 나사산(411)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으로 힘을 받고, 에이밍 스크루(4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부재(420)가 이동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렌즈(3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300)와 광원부(200)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홀(430a)은 몸체(100)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절 레버(450)의 이동경로가 될 수 있다. 슬라이딩홀(430a)은 이동 부재(4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일변이 타변보다 긴 형태의 홀(Hole)일 수 있다.
결합홀(430b)은 몸체(100)에 슬라이딩홀(43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절 레버(450)의 결합 돌기(460)와 결합하여 조절 레버(450)를 고정할 수 있다. 결합홀(430b)은 조절 레버(450)의 결합 돌기(4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홀일 수 있다.
연결축(440)은 제1 연결축(440a) 및 제2 연결축(440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440)은 이동 부재(42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홀(430a)을 관통하고, 후술하는 조절 레버(450)와 연결되어 이동 부재(420)와 조절 레버(4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축(440a)은 이동 부재(420)에 고정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축(440a)은 내부에 빈 공간이 있으며 일단부가 이동 부재(4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축(440a)의 내경은 제2 연결축(440b)의 구경보다 커 제2 연결축(440b)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축(440a)의 개방된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1 스프링(470)의 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축(440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제2 연결축(440b)은 조절 레버(450)에 결합되어, 제1 연결축(440a)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축(440b)은 일단부가 조절 레버(450)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후술하는 제1 스프링(470)의 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일부가 돌출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연결축(440b)은 제1 연결축(440a) 내부에서 후술하는 제1 스프링(470)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다만 제2 연결축(440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조절 레버(450)는 연결축(44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홀(430a)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렌즈(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레버(450)는 결합홀(430b)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460)를 포함하는 블록 형상일 수 있다. 조절 레버(450)는 차량의 외부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연결축(440)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 및 플라스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조절 레버(45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결합 돌기(460)는 조절 레버(450) 로부터 돌출되어 결합홀(430b) 과의 결합을 통해 조절 레버(450)를 고정할 수 있다. 결합 돌기(460)는 결합홀(430b)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홀(430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470)은 제1 연결축(440a)의 단부와 제2 연결축(440b)의 단부 사이에 끼워져, 탄성력에 의해 제2 연결축(440b) 및 이에 결합된 조절 레버(4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도 5 참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절 레버(450)를 수동으로 당겨 조절 레버(450)의 결합 돌기(460)가 결합홀(430b) 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에서 조절 레버(450)의 상하 조작이 가능하다(도 6 참조). 즉, 조절 레버(450)를 당겨 결합 돌기(460)가 결합홀(430b) 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 후, 에이밍 스크루(410)를 회전 조작하여 조절 레버(450)가 에이밍 스크루(4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절 레버(450)는 슬라이딩홀(430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조절 레버(450)에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제1 스프링(47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 레버(450)에 연결된 제2 연결축(440b)이 제1 연결축(440a)의 홀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조절 레버(450)의 결합 돌기(460)가 결합홀(430b)에 결합된 경우, 상기 결합에 의해 조절 레버(450)의 에이밍 스크루(410)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때, 결합홀(430b)이 슬라이딩홀(43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바, 에이밍 스크루(410)에 의한 이동 부재(420)의 연속적인 이동이 단계별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420)는 결합홀(430b)이 형성된 위치에 결합 돌기(460) 및 결합홀(430b)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쉴드부(600)는 쉴드 플레이트(610) 및 패턴 홀(62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부(600)는 광원부(200)와 렌즈(300) 사이에 위치하여, 노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빔(20)의 패턴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쉴드부(6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쉴드 플레이트(610)는 광원부(200)와 렌즈(300) 사이에 위치하여, 광원부(200)로부터 나오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쉴드 플레이트(610)는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쉴드 플레이트(610)는 차량의 이동에 의한 충격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해야 하는 바, 충분한 강성을 지니고 빛이 투과되지 않는 강철 및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쉴드 플레이트(610)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패턴 홀(620)은 쉴드 플레이트(610) 상에 홀(Hole)로 형성되어, 빛이 투과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패턴 홀(620)은 필요한 가이드 빔(20)의 패턴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700)는 몸체(100)에 형성되어, 몸체(100)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700)는 브라켓, 클램프 등 몸체(100)를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B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돌기가 고정 통공에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돌기가 고정 통공에서 빠진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각도 조절부가 구동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는 각도 조절부(500)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각도 조절부(500)는 고정 브라켓(510),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 고정축(540a), 연결 프레임(540b), 디스크(550), 돌기(560), 제2 스프링(570) 및 결합 부재(58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500)는 몸체(100)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10)은 차량(1)과 각도 조절부(5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10)에는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가 후술하는 고정축(540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결합홈(521)과 결합하는 돌출 부재(5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10)은 차량(1)과 각도 조절부(500)를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는 후술하는 고정축(540a)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고정 통공(523)이 형성되어, 몸체(100)의 각도를 단계별로 고정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형판 형상일 수 있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고정축(540a)에 삽입되기 위한 중심 통공(522)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 통공(523)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의 중심 통공(522)에 고정축(540a)을 삽입하고 결합 부재(580)를 결합하여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결합 부재(580)는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에는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가 고정축(540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결합홈(521)을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의 결합홈(521)에 고정 브라켓(510)의 돌출 부재(511)가 결합되어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는 고정축(540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의 고정 통공(523)에 후술하는 디스크(550)의 돌기(560)가 결합되어 몸체(100)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는 차량(1)이나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몸체(100)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낸 재료로 제작되어야 한다. 다만,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고정축(540a)은 후술하는 디스크(55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디스크(55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고정축(540a)은 길이가 긴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고정축(540a)은 디스크(550)의 회전축이 되는 동시에, 몸체(100)를 지탱해야 하는 바,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 및 강화 플라스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고정축(540a)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540b)은 디스크(550)에 결합되어 몸체(100)와 디스크(55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540b)에 의해 디스크(550)와 몸체(100)가 연결되어, 디스크(550)의 회전에 따라 몸체(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540b)은 디스크(550)에서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연결 프레임(540b)은 몸체(100)의 무게를 지탱하고 일정한 각도를 유지해야 하는 바, 충분한 강성을 지닌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연결 프레임(540b)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디스크(550)는 연결 프레임(540b)을 통해 몸체(100)와 연결되어, 고정축(540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몸체(100)의 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디스크(550)는 중앙에 고정축이 삽입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된 원형 판 형상일 수 있다. 디스크(550)에는 후술하는 돌기(560)가 고정축(540a)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디스크 홈(551)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돌기(560)의 내부 홈(562)에 삽입되는 돌기 축(561)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560)는 디스크(550)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결합되며, 고정 통공(523)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각도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기(560)는 고정 통공(523)에 삽입될 수 있는 기둥 형상이며 말단에 돌기(56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디스크(550)에 걸리는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560)에는 돌기 축(561)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홈(562)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560)의 내부 홈(562)은 돌기 축(56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 축(561)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돌기(560)는 돌기 축(56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돌기(56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스프링(570)은 디스크(550)와 돌기(560)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돌기(560)를 돌기 축(561)에 나란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2 스프링(570)은 돌기 축(56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스프링(570)의 내경이 돌기 축(561)의 외경보다 커야 한다. 제2 스프링(570)은 수동으로 돌기(5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절한 스프링 상수를 지닌 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제2 스프링(570)의 형상 및 종류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각도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크(550) 로부터 제2 스프링(570)에 의해 밀려난 돌기(560)가 고정 통공(523)에 삽입되는 바, 디스크(550)의 회전이 제한되어 몸체(100)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돌기(560)를 고정 통공(523) 으로부터 이탈시켜 디스크(550)가 고정축(540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몸체(100)의 각도는 고정 통공(523)이 형성된 위치에만 고정될 수 있고, 고정 통공(523)이 각도 조절 플레이트(5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바, 몸체(100)의 각도는 연속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단계별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는 높이 조절부(400) 및 렌즈(300)가 복수 개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10)는 복수 개의 렌즈(300)가 필요한 경우 복수 개의 높이 조절부(400)에 각각 렌즈(3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높이 조절부(400)에 각각 제1 렌즈(310) 및 제2 렌즈(320)가 결합하여 개별적인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310)는 가이드 빔(20)의 패턴이 선명하도록 빛을 굴절시키고 제2 렌즈(320)는 광원부(200) 로부터 조사된 빛의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310) 및 제2 렌즈(320)의 역할 및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호 간에 바뀌거나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차량
10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20 가이드 빔
100 몸체
200 광원부
300 렌즈
400 높이 조절부
500 각도 조절부
600 쉴드부
700 고정부

Claims (10)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노면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노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광원부 간의 거리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높이 조절부는 복수 개 형성된,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노면에 표시되는 가이드 빔의 패턴 및 크기를 결정하는 쉴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에이밍 스크루 및
    상기 렌즈에 결합되고, 상기 에이밍 스크루가 삽입되어 상기 에이밍 스크루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슬라이딩홀;
    상기 이동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홀을 관통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조절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상기 슬라이딩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 레버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된 제1 연결축 및
    상기 조절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축의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제2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축의 단부와 상기 제2 연결축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8.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노면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노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회전축이 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삽입되고, 복수 개의 고정 통공이 형성된 각도 조절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크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통공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 통공은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내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내부 홈에 삽입되는 돌기 축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와 상기 돌기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돌기 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KR1020210145975A 2021-10-28 2021-10-28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KR10261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75A KR102615149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75A KR102615149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87A true KR20230061087A (ko) 2023-05-08
KR102615149B1 KR102615149B1 (ko) 2023-12-19

Family

ID=8638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975A KR102615149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1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011U (ja) * 1983-11-14 1985-06-10 松下電工株式会社 病室用ベツドライト
KR101458048B1 (ko) 2013-07-16 2014-11-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20160105138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휴닉스 탈부착형 조명장치
KR20180039776A (ko) * 2016-10-10 2018-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KR20180086119A (ko) * 2017-10-24 2018-07-30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자연대류형 방열구조를 갖는 led조명기구
KR102181496B1 (ko) 2018-12-28 2020-11-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20210083580A (ko) * 2019-12-27 2021-07-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011U (ja) * 1983-11-14 1985-06-10 松下電工株式会社 病室用ベツドライト
KR101458048B1 (ko) 2013-07-16 2014-11-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20160105138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휴닉스 탈부착형 조명장치
KR20180039776A (ko) * 2016-10-10 2018-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KR20180086119A (ko) * 2017-10-24 2018-07-30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자연대류형 방열구조를 갖는 led조명기구
KR102181496B1 (ko) 2018-12-28 2020-11-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20210083580A (ko) * 2019-12-27 2021-07-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가이드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149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0145B (zh) 车辆用灯具以及具有该车辆用灯具的车辆
US10107469B2 (en) Vehicular lamp, vehicular lamp control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6364506B1 (en) Adjustable up-angle led lantern utilizing a minimal number of light emitting diodes
US7677777B2 (en) LED apparatus for world homologation
JP4565646B2 (ja) Led光源車両用灯具
US10711970B2 (en) Lamp and vehicle having same
US10928029B1 (en) Guide lamp for vehicle
US8622598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uminaire
US20080239707A1 (en) Iluminating headlamp providing substantially uniform illumination
US7815351B2 (en) Light guide array
US8454216B2 (en) Lamp assembly
EP1811225B1 (en) Lens for LED lamps
US20080192473A1 (en) Fooldlight With Variable Beam
US20160137122A1 (en) Headlight unit and headlight
EP2470828B1 (en) A portable lighting device
US20180066823A1 (en) Vehicle lamp
US20090122546A1 (en) Movable Lighting System Providing Adjustable Illumination Zone
KR101963731B1 (ko)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KR20230061087A (ko) 차량 외곽 가이드 램프
KR100815116B1 (ko) 지향각 및 배광분포 조정이 가능한 led용 조명시스템
US10641441B2 (en) Luminaire system with light distribution modifier
DE202006004481U1 (de) LED-Scheinwerfer und Beleuchtungssystem mit einem solchen Scheinwerfer
US10845010B2 (en) Light source device
KR102256846B1 (ko) 조명용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50137402A (ko) 배광 조정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