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79B1 -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 Google Patents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179B1
KR102181179B1 KR1020200060484A KR20200060484A KR102181179B1 KR 102181179 B1 KR102181179 B1 KR 102181179B1 KR 1020200060484 A KR1020200060484 A KR 1020200060484A KR 20200060484 A KR20200060484 A KR 20200060484A KR 102181179 B1 KR102181179 B1 KR 10218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t
water
installation
distributor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원준
고상호
Original Assignee
(주)우암건설
(주)우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암건설, (주)우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암건설
Priority to KR102020006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에 관한 것으로, 차단하고자 하는 구간의 전방향 맨홀 전단의 차집관거와 후방향 맨홀 후단의 차집관거에 물막이 패커를 배치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와, 상기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에서의 전방향 맨홀의 바로 전의 맨홀에 펌핑기를 설치하고, 펌핑기에 관로의 일측을 결합한 후, 지상에 배치되는 유입구와 챔버 및 배출구로 이루어진 분배기의 유입구에 관로의 타측을 결합하는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와,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에서의 분배기의 배출구에 펠트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은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후방향 맨홀 후단의 차집관거에 펠트의 일측을 배치하는 펠트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져 있어,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및 이동수단을 통해 펠트의 설치 및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Water diverting method of intercepting sewer}
본 발명은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 및 지하수 수질오염 방지를 위하여 정부에서는 수질개선사업의 일환으로 한강 및 팔당 수계와 4대강 수계 등에 도심지 생활하수 등 오폐수가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생활하수 발생지역에서부터 하천 하류지역의 하수처리장까지 하수관로(차집관로)를 설치하여 생활하수를 하수처리장에 직접 운반한 후 정화하여 하천에 방류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관로의 노후로 하수관 및 맨홀의 파손, 단차 등이 발생하여 지하수위가 높은 곳이나 우기시 외부 불명수가 과다 유입(하천구간)되어 하수처리장 유입수 BOD 농도가 설계기준에 미달되게 유입되어 생물학적 효율이 저하되고 처리수량의 증가로 하수처리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하수처리장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기존 하수관로는 매설깊이가 깊거나, 유속이 빠르거나, 유량이 많고 교체 또는 보수를 위하여는 물돌리기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나, 종래 하수관로의 물돌리기 방식인 하수 맨홀에 펌프를 설치하여 유입수량 전체를 맨홀 밖으로 펌핑한 후 유도수로를 이용하여 물돌리기 구간 하류측 맨홀에 방류하는 물돌리기 공법을 수행하게 된다.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23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자연유하 방식의 물돌리기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상류측 맨홀과 하류측 맨홀을 사이에 두고 지상에서 물돌리기 호스와 파형관을 연결하고, 상류측 맨홀 입구를 막으면서 상류측 맨홀 내부에 차오르는 하수를 지상으로 유출하는 장치와 중간관로의 상류측 입구를 차단하는 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양수기 없이도 상류측과 하류측의 수위 차만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물돌리기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463232 B1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은 필수적으로 상류와 하류의 수위차가 발생하여야만 이용 가능하여 사용이 제한된다.
더욱이, 상류측 맨홀과 하류측 맨홀을 연결하는 관의 경우 작업자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동시켜야만 하며, 특히, 사용 후 관을 수거하는함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일일히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은 물돌리기 공법을 위한 펠트의 설치시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및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펠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펠트의 설치시 펠트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및 이동수단을 이용해 펠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에 의한 펠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장애물이 있더라도 쉽게 펠트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펠트 설치단계에서의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및 이동수단을 이용한 펠트 설치시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처짐방지용 롤러에 형성된 청소용 솔에 의해 펠트 수거시 지면과 접촉에 의해 펠트에 묻어있던 이물질을 털어내면서 펠트의 수거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수단에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수단이 이동과 동시에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제1, 2 펠트 이동롤러의 구동에 의해 펠트가 말리면서 수거가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제1, 2 펠트 이동롤러의 구동에 의해 펠트 내부의 물이 배출되면서 적재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펠트 내의 물빼기 작업 및 펠트 정리를 위한 후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물돌리기 공법을 위한 펠트의 설치시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및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펠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펠트의 설치시 펠트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및 이동수단을 이용해 펠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에 의한 펠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장애물이 있더라도 쉽게 펠트의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펠트 설치단계에서의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및 이동수단을 이용한 펠트 설치시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처짐방지용 롤러에 형성된 청소용 솔에 의해 펠트 수거시 지면과 접촉에 의해 펠트에 묻어있던 이물질을 털어내면서 펠트의 수거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에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수단이 이동과 동시에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제1, 2 펠트 이동롤러의 구동에 의해 펠트가 말리면서 수거가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제1, 2 펠트 이동롤러의 구동에 의해 펠트 내부의 물이 배출되면서 적재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펠트 내의 물빼기 작업 및 펠트 정리를 위한 후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집관거의 물돌기 공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패커 설치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에서의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분배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우선, 본 발명은 차단하고자 하는 구간의 전방향 맨홀 전단의 차집관거와 후방향 맨홀 후단의 차집관거에 물막이 패커를 배치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와, 상기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에서의 전방향 맨홀에 펌핑기를 설치하고, 펌핑기에 관로의 일측을 결합한 후, 지상에 배치되는 유입구와 챔버 및 배출구로 이루어진 분배기의 유입구에 관로의 타측을 결합하는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와,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에서의 분배기의 배출구에 펠트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은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후방향 맨홀 후단의 차집관거에 펠트의 일측을 배치하는 펠트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에,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에서의 분배기의 유입구는 하나 이상의 제1 유입구 또는 다른 크기의 하나 이상의 제1, 2 유입구 이루어져 차집관거의 직경에 따라 관로의 직경 및 관로의 개수를 확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에서의 분배기의 유입구를 구성하는 제1, 2 유입구 중 사용하지 않은 유입구에는 캡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펠트 설치단계에서의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는 펠트를 수납하기 위한 적재공간과, 상기 적재공간 내의 펠트를 설치 및 수거하기 위한 제1, 2 펠트 이동롤러와, 상기 제1, 2 펠트 이동롤러 선단에 형성되는 처짐방지용 롤러와, 상기 제1, 2 펠트 이동롤러를 작동하기 위한 롤러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처짐방지용 롤러에는 청소용 솔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적재공간 내에는 적재되는 펠트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렬봉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
본 단계는 도 2에서와 같이 다수의 맨홀(전방향 맨홀(MP) 및 후방향 맨홀(BM)포함)이 형성된 차집관거(P)에 물막이 패커(10)를 설치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보수가 필요한 차단하고자 하는 구간의 전방향 맨홀(MP) 전단의 차집관거(P)와 후방향 맨홀(BM) 후단의 차집관거(P)에 물막이 패커(10)를 배치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물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단계이다.
2.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
본 단계는 도 3에서와 같이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를 통해 차집관거(P)를 차단한 구간을 대체하여 물을 돌리기 위해 펌핑기(20)와 분배기(30)를 설치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펌핑기(20)는 물을 펌핑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에서의 전방향 맨홀(FM) 또는 전방향 맨홀(FM)의 바로 전의 맨홀(M1)에 설치하도록 하고, 분배기(30)는 지상에 설치하여 상기 펌핑기(20)를 통해 펌핑되는 물을 관로(L)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분배기(30)는 도 4의 (a), (b)에서와 같이 유입구(31)와 배출구(32) 및 챔버(33)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구(31)와 관로(L)를 연결하여 펌핑기(20)를 통해 펌핑되는 물이 챔버(33)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기(30)는 유입구(31)는 도 4의 (a)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1 유입구(31a) 또는 도 4의 (b)와 같이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제1, 2 유입구(31a, 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차집관거(P)의 직경 및 맨홀(M1, M2)의 직경에 따라 제1, 2 유입구(31a 31b)의 크기 및 개수를 선택하여 물돌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차집관거(P)의 직경이 크고 맨홀(M1, M2)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제1, 2 유입구(31a, 31b) 중 맨홀(M1, M2)에 삽입될 수 있는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에, 차집관거(P)를 통과하는 물의 양이 많아 1, 2 유입구(31a, 31b)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안될 시에는 여러개를 연결하여 분배기(30)의 챔버(33)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31)는 사용하는 제1, 2 유입구(31a, 31b)를 제외한 나머지는 캡(34)을 이용하여 막음처리하여 내부의 압력에 의해 물돌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펠트 설치단계
본 단계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 이후에 분배기(30)의 배출구(32) 및 후방향 맨홀(BM) 후단의 차집관거(P)에 설치할 펠트(40)를 설치하기 위한 단계이다.
본 단계의 실시는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 및 이동수단(60)을 이용하여 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는 일측으로 펠트(40)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가(51)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공간(51) 내의 펠트(40)를 공급하기 위해 펠트(40)의 상, 하측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1, 2 펠트 이동롤러(52, 53)와 상기 제1, 2 펠트 이동롤러(52, 53)를 기준으로 적재공간(51)이 형성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처짐방지용 롤러(54) 및 상기 제1, 2 펠트 이동롤러(52, 53)를 구동시켜 펠트(40)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롤러 구동수단(55)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단계는 상술한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를 차량 또는 포크레인 등의 이동수단(60)에 싣은 후 이동하면서 펠트(40)를 풀면서 이동시켜 일단은 분배기(30)의 배출구(32)에 연결하고 타단은 후방향 맨홀(BM) 후단의 차집관거(P)에 설치함으로써 본 단계를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펠트(40)의 설치시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 및 이동수단(60)을 이용하여 펠트(40)를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펠트(40)의 설치시 펠트(4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 및 이동수단(60)을 이용해 펠트(40)를 설치하기 때문에 지면과 접촉에 의한 펠트(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장애물이 있더라도 쉽게 펠트(4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의 처짐방지용 롤러(54)에는 청소용 솔(54a)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적재공간(51) 내에는 적재되는 펠트(40)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렬봉(5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펠트(40)는 차단하고자 하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펠트(4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J)를 포함하여 다수의 펠트(40)를 이어서 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연결부재(J)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펠트(4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펠트(40)와 연결부재(J) 결합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펠트 설치단계 및 물돌리기 실시 이후 펠트 수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앞선 펠트 설치단계에서의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 및 이동수단(60)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의 처짐방지용 롤러(54)에는 청소용 솔(54a)이 형성되어 있어 펠트(40) 수거시 지면과 접촉에 의해 펠트(40)에 묻어있던 이물질을 털어내면서 펠트(40)의 수거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물돌리기를 실시한 후의 펠트(40)의 내부에는 물이 남아 있어 작업자가 이를 들어서 펠트(40)를 정리하기가 매우 힘들지만 본 발명의 펠트 수거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동수단(60)에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수단(60)이 이동과 동시에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50)의 롤러 구동수단(55)의 작동에 의헤 회전하는 제1, 2 펠트 이동롤러(52, 53)의 구동에 의해 펠트(40)가 말리면서 수거가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1, 2 펠트 이동롤러(52, 53)의 구동에 의해 펠트(40)가 압착되면서 적재공간(51)에 적재가 되기 때문에 펠트(40) 내부의 물을 밖으로 배출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펠트(40) 내의 물을 빼내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 펠트(40)의 수거와 동시에 적재가 이루어져 펠트(40) 정리를 위한 후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P : 차집관거 MP : 전방향 맨홀 BM : 후방향 맨홀
10 : 물막이 패커
20 : 펌핑기
30 : 분배기
31 : 유입구 31a : 제1 유입구 31b : 제2 유입구
32 : 배출구 33 : 챔버 34 : 캡
40 : 펠트
50 :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
51 : 적재공간 52 : 제1 펠트 이동롤러 53 : 제2 펠트 이동롤러
54 : 처짐방지용 롤러 54a : 청소용 솔
55 : 롤러 구동수단 56 : 정렬봉

Claims (8)

  1. 차단하고자 하는 구간의 전방향 맨홀 전단의 차집관거와 후방향 맨홀 후단의 차집관거에 물막이 패커를 배치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
    상기 물막이 패커 설치단계에서의 전방향 맨홀에 펌핑기를 설치하고, 펌핑기에 관로의 일측을 결합한 후, 지상에 배치되는 유입구와 챔버 및 배출구로 이루어진 분배기의 유입구에 관로의 타측을 결합하는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에서의 분배기의 배출구에 펠트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은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후방향 맨홀 후단의 차집관거에 펠트의 일측을 배치하는 펠트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펠트 설치단계에서의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는
    펠트를 수납하기 위한 적재공간과,
    상기 적재공간 내의 펠트를 설치 및 수거하기 위한 제1, 2 펠트 이동롤러와,
    상기 제1, 2 펠트 이동롤러 선단에 형성되는 처짐방지용 롤러와,
    상기 제1, 2 펠트 이동롤러를 작동하기 위한 롤러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에서의 분배기의 유입구는 하나 이상의 제1 유입구 또는 다른 크기의 하나 이상의 제1, 2 유입구 이루어져 차집관거의 직경에 따라 관로의 직경 및 관로의 개수를 확장하여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기 및 분배기 설치단계에서의 분배기의 유입구를 구성하는 제1, 2 유입구 중 사용하지 않은 유입구에는 캡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 설치단계에서 펠트는 차단하고자 하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펠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다수의 펠트를 이어서 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의 처짐방지용 롤러에는 청소용 솔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 설치단계에서의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공간 내에는 수납되는 펠트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렬봉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 설치단계 이후 물돌리기를 실시한 후 펠트 설치 및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물이 포함되어 있는 펠트를 수거하는 펠트 수거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KR1020200060484A 2020-05-20 2020-05-20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KR10218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84A KR102181179B1 (ko) 2020-05-20 2020-05-20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84A KR102181179B1 (ko) 2020-05-20 2020-05-20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179B1 true KR102181179B1 (ko) 2020-11-23

Family

ID=7368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84A KR102181179B1 (ko) 2020-05-20 2020-05-20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652A (ko) * 1995-09-27 1999-06-25 안자키 사토루 하수관 작업용 순환 배수 장치
KR101463232B1 (ko) * 2014-04-25 2014-11-27 주식회사 테드텍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1743476B1 (ko) * 2015-12-18 2017-06-05 주식회사 우림특장 낙차를 이용한 하수 바이패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652A (ko) * 1995-09-27 1999-06-25 안자키 사토루 하수관 작업용 순환 배수 장치
KR101463232B1 (ko) * 2014-04-25 2014-11-27 주식회사 테드텍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1743476B1 (ko) * 2015-12-18 2017-06-05 주식회사 우림특장 낙차를 이용한 하수 바이패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645B1 (ko)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KR102181179B1 (ko) 차집관거의 물돌리기 공법
KR101305591B1 (ko) 오우수 분리 및 초기우수 배제 장치
CN111456057B (zh) 一种大型管廊沟槽施工降水系统
CN105735085A (zh) 一种路缘石
JP3406554B2 (ja) 地下水位低下方法とその装置
CN112962753B (zh) 雨污分流系统
US11685682B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wate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reducing aquatic ecosystem destruction
KR20110056600A (ko) 빗물 정수 시스템
CN214696501U (zh) 一种园林建筑物屋面雨水收集再利用装置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CN210342083U (zh) 一种雨水收集利用装置
KR20021115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1995494B1 (ko) 여재층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우수처리장치
RU193335U1 (ru) Струйный насос для забор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ловых отложений
KR20100122310A (ko) 준설매립지반의 표층수 처리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표층수 처리공법
JPH0613890Y2 (ja) 下水管工事用循環排水装置
CN214571410U (zh) 沿河道布置的截污及污水处理系统
KR10169684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용 반전튜브 반전장치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100690372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US20220331721A1 (en) Fluid filter and method of use of same
CN210975853U (zh) 一种地基基础施工用排水装置
US20240159036A1 (en) French drain drain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