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339B1 -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 Google Patents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339B1
KR102180339B1 KR1020200055699A KR20200055699A KR102180339B1 KR 102180339 B1 KR102180339 B1 KR 102180339B1 KR 1020200055699 A KR1020200055699 A KR 1020200055699A KR 20200055699 A KR20200055699 A KR 20200055699A KR 102180339 B1 KR102180339 B1 KR 10218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ridge
accelerometer
fixing bolt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균
전봉규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5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교량의 여러 기능을 측정하여 교량의 실용성, 안전성을 평가하는 교량의 내하력 평가 시에 사용하는 가속도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동적재하시험 시에 사용되는 가속도계를 콘크리트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속도계 보호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시 가속도계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 시에도 제기능을 오래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기간을 증가시켜 경제적이며, 강우 및 강설 시에도 설치되어 있는 가속도계를 보호할 수 있는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ACCELEROMETER FOR DYNAMIC LOADING TEST FOR SAFETY CHECK UP AND INSPECTION OF BRIDGE}
본 발명은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교량의 여러 기능을 측정하여 교량의 실용성, 안전성을 평가하는 교량의 내하력 평가 시에 사용하는 가속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사회간접시설물의 핵심이 되는 도로의 주요 시설물이므로 공용기간 동안 안정성과 사용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건설된다.
이러한 교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현재 상태에서 건전성을 평가하는 것은 유지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과제이며,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위해 차량재하시험을 통하여 횡분배율을 측정함으로써, 교량의 중첩거동 및 대칭거동을 확인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교량의 거동은 교량의 지간 및 노면조도, 주행차량의 중량, 주행속도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해 달라지므로 교량의 동적거동을 정확히 예측하여 반영하기는 매우 어렵다.
우리나라 표준 시방 기준은 이러한 동적효과를 충격계수로 정의하고, 활하중에 충격계수를 곱하여 설계하중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동적효과를 고려하고 있다.
보통 교량의 동적재하시험 시 사용하는 가속도계는 교량의 안전진단 과정에서 바닥판 하면의 처짐 및 변형률, 교량의 정적 및 동적 거동 평가, 충격하중에 대한 교량의 동적 특성 파악 등과 같은 교량의 안전성을 측정할 때 적용한다.
이러한 가속도계는 교량의 콘트리트면에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가속도계는 정밀한 데이터 측정을 위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가속도계를 콘크리트면에 직접 고정시킬 경우 가속도계의 표면이 불량해지고, 회수 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센서의 고장이 쉽게 발생하여 정확한 데이터 취득에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258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611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972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0704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0124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할 것으로서, 교량 안전점검을 위한 교량의 동적재하시험 시에 사용되는 가속도계를 콘크리트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속도계 보호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시 가속도계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 시에도 제기능을 오래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기간을 증가시켜 경제적이며, 강우 및 강설 시에도 설치되어 있는 가속도계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교량의 콘트리트면에 설치되어 교량 동적재하시험 시에 사용되는 가속도계로서, 상기 가속도계는 플레이트 고정볼트의 체결구조를 통해 콘크리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센서 장착홈과 절개부를 가지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는 센서 보호캡과, 상기 센서 보호캡의 센서 장착홈에 장착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상단부에서 절개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센서 장착홈 내의 센서를 고정시켜주는 센서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 보호캡은 센서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을 센서 보호캡으로부터 빼내기 위해 보호캡 한쪽 측면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보호캡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 결합됨과 더불어 이러한 센서 보호캡에 형성되는 센서 장착홈은 전면이 뚫려 있고 후면과 양측면, 그리고 상하면이 막혀 있는 형태로 홈으로 이루어져 센서를 전면의 뚫려 있는 곳으로 집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고정볼트의 고정을 위하여 플레이트 고정볼트를 삽입하기 위해 뚫은 구멍에 주입되는 케미컬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설치 및 해체 시 가속도계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고, 교량 안전점검 시 정확하게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등 교량 안전성 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반복적으로 오래 사용해도 센서가 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등 제품에 대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센서의 고장이나 손상없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어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넷째, 강우 및 강설 시 등과 같은 악천후 속에서도 가속도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간편하여 비숙련자도 손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등 작업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교량의 콘트리트면(10)에 설치하여 교량 동적재하시험에 사용하는 가속도계로서, 설치 및 해체 시 가속도계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를 보호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가속도계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판체 형태로서,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2)는 플레이트 고정볼트(11)를 이용한 체결구조를 통해 콘크리트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가면서 다수 개의 고정볼트 관통홀(21), 바람직하게는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고정볼트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고정볼트 관통홀(21)을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면서 플레이트 고정볼트(11)가 콘크리트면(10)에 체결되므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2)는 플레이트 고정볼트(11)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플레이트 고정볼트(11)를 콘크리트면(10)에서 풀어서 빼내게 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2)를 콘크리트면(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형성되는 고정볼트 관통홀(21)은 장공(Slit)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설치 시에 플레이트 고정볼트(11)의 체결 위치를 잡는데 유리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센서(16)의 설치 및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센서 보호캡(15)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 보호캡(15)은 사각 블록 형태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 중앙 영역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센서 보호캡(15)은 베이스 플레이트(12)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12) 상에 일체식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기계가공, 프레스 성형 등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보호캡(15)에는 센서(16)의 장착을 위해 센서(16)를 수용하는 센서 장착홈(13)이 형성되며, 이때의 센서 장착홈(13)은 전면이 뚫려 있고 후면과 양측면, 그리고 상하면이 막혀 있는 형태(실질적으로 상면은 절개부와 연통되어 있다)의 사각의 홈, 예를 들면 사각의 센서 크기 대비 상대적으로 약간 큰 크기를 갖는 사각의 홈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16)를 센서 장착홈(13) 내에 장착할 때, 센서(16)를 센서 장착홈(13)의 전면의 뚫려 있는 곳으로 집어 넣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센서(16)를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보호캡(15)에는 센서 장착홈(13)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터(16)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절개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4)는 센서 보호캡(15)의 좌우 폭 중간의 상단부에서부터 센서 장착홈(13)과 연통되는 지점까지(또는 센서 장착홈을 지나 하단부까지) 블록을 수직으로 절개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절개부(14)에는 블록을 수평으로 관통함과 더불어 절개부(14)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고정볼트 체결홀(22)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고정볼트 체결홀(22) 중에서 절개부(14)에 의해 구분되는 한쪽 블록 상의 고정볼트 체결홀(22)은 관통 구멍의 형태로, 다른 한쪽 블록의 고정볼트 체결홀(22)은 나사 구멍의 형태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 보호캡(22)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 장착홈(13)의 내부에 센서(16)가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블록 체결홀(22)에 센서 고정볼트(17)를 체결하게 되면, 이때의 볼트 체결력에 의해 절개부(14)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양편의 블록이 조여지게 되고, 결국 이러한 조임력에 의해 센서 장착홈(13) 내의 센서(16)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 고정볼트(17)는 센서(16)의 상단부에서 절개부(14)를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센서 장착홈(13) 내의 센서(16)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볼트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센서 보호캡(22)의 한쪽 측면부에는 전면에서부터 뒷쪽으로 일정부분 따낸 형태의 케이블 인출홈(19)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센서(16)에서 인출되는 케이블(18)을 케이블 인출홈(19)을 통해 센서 보호캡(15)의 바깥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의 진동이나 충격을 실질적으로 계측하는 수단으로 센서(16)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16)는 구조물, 예를 들면 교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전자 계측장비(미도시)로 신호를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가속도계 센서로서, 센서 보호캡(15)의 센서 장착홈(13)에 장착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속도계 센서는 공지의 가속도계 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는 콘크리트면(10)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설치상태를 좀더 견고하게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 케미컬 앵커(20)를 포함한다.
상기 케미컬 앵커(20)는 콘크리트면(10) 상에 플레이트 고정볼트(11)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면(10)에 뚫어놓은 구멍에 설치되는 공지의 케미컬 앵커로서, 튜브식이나 주입식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면(10)에 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고 구멍 내에 먼지을 제거한 후에 튜브식의 케미컬 앵커(예컨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제진, 경화제, 규사 및 유리 등)를 구멍 내에 설치하고, 계속해서 케미컬 앵커(20)가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면(10)의 구멍 속에 플레이트 고정볼트(11)를 체결하게 되면, 케미컬 앵커(20)에 의해 구멍 속에서 플레이트 고정볼트(1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케미컬 앵커(20)로부터 플레이트 고정볼트(11)를 풀면 베이스 플레이트(12)를 콘크리트면(10)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때의 케미컬 앵커(20)는 콘크리트 구멍 속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에 대한 동정재하시험 시 교량(100)의 콘크리트면(10)에 가속도계(120)를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교량(100)의 콘크리트면(10)에 구멍을 뚫고 플레이트 고정볼트(11) 및 케미컬 앵커(20)를 이용하여 일체식의 센서 보호캡(15) 및 베이스 플레이트(12)를 설치한다.
다음, 상기 가속도계(120)의 센서 보호캡(15)에 있는 센서 장착홈(13)의 내부에 센서(16)를 삽입하고 센서 고정볼트(17)를 조여서 센서(16)를 안정적으로 장착한 다음, 센서(16)에서 인출되는 케이블(18)을 전자 계측장비(미도시)에 연결하면 교량 동적재하시험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110)이 교량(100)을 통과하여 진동이 유발됨과 더불어 차량(110)의 중량으로 인하여 차량(110)이 교량(100)을 지나가는 동안 교량(100)의 처짐도 유발된다.
이때의 진동 등을 가속도계(120)가 측정하고 이를 전자 계측장비로 입력되게 하면, 전자 계측장비에서는 입력된 가속도를 이중적분하는 등의 방식으로 교량의 변위를 구하게 되고, 결국 차량 통행에 따른 교량(100)의 동적 변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속도계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교량 동적재하시험 데이터 등을 획득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한편, 교량에 대한 동적재하시험 후, 가속도계(120)의 센서 보호캡(15)에 체결되어 있던 센서 고정볼트(17)를 풀기만 하면 센서 보호캡(15)의 센서 장착홈(13)에 들어 있던 센서(16)를 쉽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교량에 설치되어 있는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반응에 민감한 센서를 손쉽게 장착하고 탈거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센서를 직접 붙혔다 떼었다 하는 방법에 비해 센서에 가해지는 충격, 표면 불량 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며, 결국 센서 보호는 물론 정확한 데이터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여러 기능을 측정하여 교량의 실용성, 안전성을 평가하는 교량의 내하력 평가 시, 교량 콘크리트면에 설치되는 가속도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가속도계 보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시 가속도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 시에도 제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 매우 경제적이며, 강우 및 강설 시와 같은 악조건에서도 가속도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10 : 콘크리트면
11 : 플레이트 고정볼트
12 : 베이스 플레이트
13 : 센서 장착홈
14 : 절개부
15 : 센서 보호캡
16 : 센서
17 : 센서 고정볼트
18 : 케이블
19 : 케이블 인출홈
20 : 케미컬 앵커
21 : 고정볼트 관통홀
22 : 고정볼트 체결홀

Claims (4)

  1. 교량의 콘트리트면(10)에 설치되어 교량 동적재하시험 시에 사용되는 가속도계로서,
    상기 가속도계는 플레이트 고정볼트(11)의 체결구조를 통해 콘크리트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
    센서 장착홈(13)과 절개부(14)를 가지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2) 상에 결합되는 사각 블록 형태의 센서 보호캡(15);
    상기 센서 보호캡(15)의 센서 장착홈(13)에 장착되는 센서(16);
    상기 센서(16)의 상단부에서 절개부(14)를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센서 장착홈(13) 내의 센서(16)를 고정시켜주는 센서 고정볼트(17);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6)의 장착을 위해 센서(16)를 수용하는 센서 장착홈(13)은 전면이 뚫려 있고 후면과 양측면, 하면이 막혀 있으며 상면은 막혀 있는 동시에 절개부(14)와 연통되어 있는 사각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사각의 센서 크기 대비 상대적으로 약간 큰 크기를 갖는 사각의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16)를 센서 장착홈(13)의 전면의 뚤려 있는 곳으로 집어 넣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센서(16)를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보호캡(15)의 한쪽 측면부에는 전면에서부터 뒷쪽으로 일정부분 따낸 형태의 케이블 인출홈(19)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센서(16)에서 인출되는 케이블(18)을 케이블 인출홈(19)을 통해 센서 보호캡(15)의 바깥으로 빼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플레이트 고정볼트(11)의 고정을 위하여 플레이트 고정볼트(11)를 삽입하기 위해 뚫은 구멍에 주입되는 케미컬 앵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KR1020200055699A 2020-05-11 2020-05-11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KR10218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99A KR102180339B1 (ko) 2020-05-11 2020-05-11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99A KR102180339B1 (ko) 2020-05-11 2020-05-11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339B1 true KR102180339B1 (ko) 2020-11-19

Family

ID=7367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699A KR102180339B1 (ko) 2020-05-11 2020-05-11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6529A (zh) * 2022-07-26 2022-09-23 大连理工大学 一种桥梁动挠度分布式测量装置及测量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81A (ko) 2005-03-24 2006-09-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교량 및 노반의 상태평가를 위한 하중재하/측정 자동화시스템
KR20080016116A (ko) 2006-08-17 2008-02-21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내하력 산정 기법
KR20120009729A (ko) 2010-07-19 2012-02-02 (주) 철도안전연구소 철도교의 재하실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내하력 산출방법 및 철도교의 처짐 측정방법
KR20120035961A (ko) * 2010-10-07 2012-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파이프 지지장치
KR20120050704A (ko) 2010-11-11 2012-05-21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내하력 산정방법
KR101201244B1 (ko) 2011-07-11 2012-11-14 (주)카이센 광섬유센서 기반의 교량 내하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1930B1 (ko) * 2013-01-08 2014-02-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형면 설치용 가속도계 취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81A (ko) 2005-03-24 2006-09-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교량 및 노반의 상태평가를 위한 하중재하/측정 자동화시스템
KR20080016116A (ko) 2006-08-17 2008-02-21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내하력 산정 기법
KR20120009729A (ko) 2010-07-19 2012-02-02 (주) 철도안전연구소 철도교의 재하실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내하력 산출방법 및 철도교의 처짐 측정방법
KR20120035961A (ko) * 2010-10-07 2012-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파이프 지지장치
KR20120050704A (ko) 2010-11-11 2012-05-21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내하력 산정방법
KR101201244B1 (ko) 2011-07-11 2012-11-14 (주)카이센 광섬유센서 기반의 교량 내하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1930B1 (ko) * 2013-01-08 2014-02-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형면 설치용 가속도계 취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6529A (zh) * 2022-07-26 2022-09-23 大连理工大学 一种桥梁动挠度分布式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5096529B (zh) * 2022-07-26 2023-08-04 大连理工大学 一种桥梁动挠度分布式测量装置及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2411B2 (ja) 地盤に埋設された基礎構造物の状態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WO2009136768A1 (ko) 지반구조물의 파괴 예측방법
KR102180339B1 (ko)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동적재하시험용 가속도계
JP6717995B2 (ja) 車道に無停止計量センサを装備する方法
CN1900650B (zh) 一种带有高度监测装置的浮置道床
US6257064B1 (en) Wave speed bridge damage detection method
KR102029339B1 (ko) 조위계 설치 프레임
Klug et al. Monitoring of railway deformations using distributed fiber optic sensors
KR100890459B1 (ko) 교량 세굴 건전성 평가방법
CN113818435A (zh) 一种护筒定位检查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98610B1 (ko) 교량 재하시험용 가속도계 부착장치
JP2001074706A (ja) グランドアンカー診断方法
KR102411389B1 (ko) 교량의 상부거더 이동량 및 방향 측정장치
CN113152538B (zh) 一种钢管板桩完整性检测方法
CN115046663A (zh) 锚杆应力监测方法和锚杆应力数据分析方法
CN214583292U (zh) 一种建筑安全检测用多功能垂直度检测装置
Grellet et al. Effect of tire type on strains occurring in asphalt concrete layers
KR200326703Y1 (ko) 도로의 깊이별 처짐 측정장치
KR100625193B1 (ko) 도로포장체의 변형률 계측기
KR20110108537A (ko) 휴대용 등표구조물 안전진단장비 및 방법
KR20090099283A (ko)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상부에서의 처짐측정방법
KR19980072258A (ko) 타이어의 수막 시험장치
KR100520889B1 (ko) 성토부 법면 안전점검 점검 방법
KR20060025908A (ko) 광섬유격자센서 패키지
Yamada Some new approaches to fatigue evaluation of steel b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