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218B1 -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218B1
KR102179218B1 KR1020200067219A KR20200067219A KR102179218B1 KR 102179218 B1 KR102179218 B1 KR 102179218B1 KR 1020200067219 A KR1020200067219 A KR 1020200067219A KR 20200067219 A KR20200067219 A KR 20200067219A KR 102179218 B1 KR102179218 B1 KR 10217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e
pipe
fixing
magnetic body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이수현
이준수
Original Assignee
이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헌 filed Critical 이상헌
Priority to KR102020006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0Sleeveless joints between two pipes, one being introduced into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27Joints for pip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흄관을 연결하면서 지중에 시공할 때 사후 점검 및 유지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장치는 내경이 확장되는 일측 단부의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에 끼움되는 타측 단부의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끼움정도를 설정하는 멈춤턱부로 이루어진 흄관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개부와 멈춤턱부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는 고정밴드; 상기 고정밴드의 내면에 설치되어 확개부와 멈춤턱부 사이의 이음부를 밀폐시키는 수팽창성 차수패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을 일체화시키는 고정채널; 및 상기 고정채널에 설치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CONNECTING DEVICE OF UNDERGROND PIPELIN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하수관 등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관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 개의 흄관을 연결하면서 지중에 시공할 때 사후 점검 및 유지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싱크홀의 발생 등 지반침하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반침하의 가장 주된 원인은 하수관의 손상에 기인한다. 특히 하수관 등 관로의 이음부 손상은 누수현상을 일으키면서 그 주변의 흙을 유실시켜 공동화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설치된 하수관로 등의 침하 내지 손상 등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 예로 CCTV로 관로의 상태를 조사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CCTV장비를 관로 내부로 삽입시켜 관로의 처짐이나 파손 등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장비가 고가일 뿐 아니라, 이를 다루기 위한 전문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별한 정밀조사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유지관리 차원에서 실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GPR(Ground Penetration Radar)탐사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R탐사방법은 고주파수의 전자기파를 지중으로 투과시켜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측정함으로써 지중물체의 이상유무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지중 토질이 매우 다양하거나 관로의 재질에 따라 반사율이 달라질 수 있어 전혀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더욱이 관로의 유지관리는 처음 시공된 상태를 기준으로 그 변화의 추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나 GPR탐사방법은 처음의 시공상태를 무시하고 탐사일의 현시점만을 기준으로 조사하는 것이어서 유지관리에 효율성을 기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 외에도 등록특허공보 10-1212615호에 게시된 것으로서 장력계의 수치변화에 의해 관로의 침하상태를 확인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장력계는 하나의 관거를 통해 연결되는 맨홀과 인접한 맨홀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그의 적용 대상에 한계가 있다.
KR 10-121615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중관로의 시공단계에서부터 사후의 유지관리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의 제작오차 내지 현장의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경이 확장되는 일측 단부의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에 끼움되는 타측 단부의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끼움정도를 설정하는 멈춤턱부로 이루어진 흄관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개부와 멈춤턱부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는 고정밴드; 상기 고정밴드의 내면에 설치되어 확개부와 멈춤턱부 사이의 이음부를 밀폐시키는 수팽창성 차수패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을 일체화시키는 고정채널; 및 상기 고정채널에 설치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고정채널의 양측에 삽입리브를 형성시키고, 고정레일에 한 쌍의 레일홈을 형성시켜, 상기 삽입리브를 레일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한 한쌍의 고정레일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고정레일과 삽입리브에는 하나의 체결봉이 연속하여 관통하는 통과홀을 각각 구비시킬 수 있다.
고정채널에 대한 자성체의 설치는, 고정채널에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의 양측에 가이드홈이 구비된 수용부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자성체를 삽입시킴으로써, 자성체가 가이드홈의 안내에 따라 좌우측으로 이동하여 필요한 위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자성체의 상면 중앙에는 지중관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확인부를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기초지반 구축단계, 흄관 배치단계, 흄관 연결단계, 되메우기 단계 및, 확인단계가 순차로 이루어지되, 상기 흄관 연결단계는, ⅰ) 일측 흄관의 끼움부를 타측 흄관의 확개부에 끼움하는 삽입단계; ⅱ) 일측 흄관의 멈춤턱부 외면와 타측 흄관의 확개부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면서 한 쌍의 고정레일을 흄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밴드를 조정한 후, 고정채널로 한 쌍의 고정레일을 고정시키는 단계; ⅲ) 광파기로 지중관로의 중심선을 표시한 후, 각 흄관 이음부에 설치된 자성체의 중앙을 상기 중심선에 일치시키는 단계; ⅳ) 상기 자성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 흄관과 흄관 사이의 각 이음부에 자성체를 설치해 놓음으로써, 자력탐지기에 의한 각 이음부에서의 흄관 매립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기적인 탐지에 의해 이음부에 변위가 발생되는 추이를 확인 및 예측할 수 있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성체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각 이음부에 설치되는 자성체들이 일관된 정확한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탐지가 이루어지므로, 되메우기를 완료한 즉시 그 지중의 시공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기준지표로 삼을 수 있어 향후 유지관리단계에서 탐지된 결과에 대한 판단이 정확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 쌍의 레일홈을 형성함으로써 흄관의 제작오차 내지 시공오차 등을 쉽게 보정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이음부가 3차에 걸쳐 차수보강되므로 이음부가 완전히 파손되지 않는 한 누수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관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관로에 사용된 흄관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흄관들의 이음부에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B-B 및 C-C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채널에 자성체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자성체의 위치조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흄관의 연결단계에 과한 각 작업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시공이 완료된 후 시공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지중관로의 유지관리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지중관로(1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지중관로(100)에 사용된 흄관(200)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상기한 흄관(200)들이 본 발명의 연결장치(3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각 부분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상기 연결장치(300)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300)가 적용되는 지중관로(100)의 흄관(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확개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 상기 확개부(210)에 삽입되는 끼움부(220)가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확개부(210)의 내경은, 도 2의 (b)에 도시된 단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지중관로(100)의 내경보다 끼움부(220)의 두께만큼 단턱진 확장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호 연결된 흄관(200)들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구간이 동일한 내경을 가지게 된다.
끼움부(220)의 후방에는 상기 확개부(210)에 대한 끼움부(220)의 끼움정도를 설정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확개부(210)에 끼움된 인접 흄관의 끼움부(22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턱부(230)가 돌출 구비된다. 따라서 상호 연결된 2개의 흄관(200) 사이는 확개부(210)의 단부와 멈춤턱부(230)의 단부가 서로 맞접하면서 하나의 이음부(1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확개부(210)의 돌출정도와 멈춤턱부(230)의 돌출정도는 각각의 외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300)는 상기한 확개부(210)와 멈춤턱부(230)의 각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어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음부(110)가 쉽게 벌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이음부(110)를 통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연결장치(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개부(210)와 멈춤턱부(230)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는 고정밴드(310)와, 고정밴드(310)의 내면에 부착 설치되는 수팽창성 차수패드(321)와, 이음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2차수링(322,323) 및, 상기 고정밴드(310)의 양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수패드(321)와 제1,2차수링(322,323)은 이음부(110)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중 제1차수링(322)은 확개부(210)의 내면과 이에 삽입되는 끼움부(220)의 외면 사이에서 1차 차수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끼움부(220)의 외면에는 상기 제1차수링(322)의 설치를 위한 링홈(32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차수링은 인접한 흄관(200)의 확개부(210) 단부와 멈춤턱부(230) 단부가 서로 만나는 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어 이음부(110) 내부 자체를 밀폐시킴으로써 이음부(110)를 통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2차 차수기능을 한다.
이에 반하여 차수패드(321)는 이음부(110) 내부 자체가 밀폐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전제로 하여 이음부(110)에 대한 3차적의 차수기능을 한다. 예컨대, 지중관로(100)가 완만한 곡선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로서 직선관의 흄관(200)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이음부(110)에서 꺽음이 이루어져야 하는바, 이 경우 이음부(110) 일측이 벌어져 차수링(322)에 의한 차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중관로(100)의 부등침하에 의해 이음부(110) 일측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차수패드(321)는 이음부(110)의 외면에 설치되면서 직선관형 흄관(200)을 이용하더라도 높은 차수성을 가지는 지중관로(100)의 곡선배치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지중관로(100)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그 부등침하가 허용되는 범위까지는 이음부(110)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중에 싱크홀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고정밴드(310)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한 차수패드(321)와 차수링(322)을 감싸주어 고정시키면서 양측 흄관(200)의 확개부(210)와 멈춤턱부(230)를 가압하여 일체화시킨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밴드(310)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330)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330)을 일체화시키는 고정채널(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레일(330)에는 레일홈(331)이 구비되고, 고정채널(340)은 상기 레일홈(331)에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리브(341)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여 ㄷ자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레일홈(331)과 삽입리브(341)의 각 형상을 ㄴ자 단면의 형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고정레일(330)에 체결된 고정채널(34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레일(330)에 구비되는 레일홈(331)의 형성과 관련하여, 고정채널(340)의 양측 삽입리브(341)에 대응하는 한 쌍의 레일홈(331)이 적어도 2곳 이상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복수 쌍의 레일홈(331)은 고정채널(340)의 삽입리브(341)가 끼워지는 레일홈(331)을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게 하여, 흄관(200)의 제작오차 또는 시공과정 중에 흄관(200)의 외면과 고정밴드(310)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시공오차를 쉽게 보정할 수 있게 하거나, 흄관(200)의 이음부(110)에 완만한 경사를 가지게 할 경우 이들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ㄴ자 단면의 형상을 가진 레일홈(331)과 삽입리브(341)의 끼움 결합은 전후방에서 상호 슬라이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레일(330)과 삽입리브(341)에 서로 연통할 수 있는 통과홀(355)을 각각 구비시키고, 하나의 체결봉(356)을 연속하여 상기 고정레일(330)과 삽입리브(341)의 각 통과홀(355)을 관통시킨 후, 상기 체결봉(356)의 양단 또는 일단을 체결너트(357)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보조수단을 더 부가시킨다.
이러한 고정보조수단은, 레일홈(331)에 대한 삽입리브(341)의 끼움구조가 역슬라이딩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정레일(330)과 고정채널(340)의 결합력을 보다 강하게 확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장치(300)는 향후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함께 고려되는 것인바, 이를 위하여 고정채널(340)에는 자성체(400)가 더 설치된다. 지중관로(100)의 각 이음부(110)에는 고정채널(340)을 매개로 자성체(400)가 모두 설치되는바, 되메우기가 완료된 후의 표층에서 자력탐지기(600)를 이용하여 각 자성체(400)들의 심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지중관로(100)의 처짐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 7은 상기 자성체(400)가 설치된 고정채널(340)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자성체(400)의 위치조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6, 7에 의한 실시예의 고정채널(340)에는 자성체(400)가 놓여져 삽입되는 수용부(342)가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342)에 삽입된 자성체(400)는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인바, 수용부(342) 내부의 양측에는 자성체(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43)이 구비된다. 자성체(400)의 좌우 이동은 시공과정중 각 고정밴드(310)의 설치상태가 일관성 있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 즉 지중관로(100)의 각 이음부(110)에 위치하는 고정레일(330) 또는 고정채널(340)이 흄관(200)의 동일한 위치에 놓여지게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지중관로(100)의 시공방법과 관련하여 다시 설명한다.
고정채널(340)에는 수용부(342) 내의 자성체(400)를 필요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예의 하나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채널(340) 좌우의 양측면에 나사체결 정도에 따라 돌출길이가 설정되는 조정볼트(344)를 각 설치함으로써 자성체(400)를 필요한 위치에 놓여져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400)의 상면 중앙에는 전후방향, 즉 지중관로(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확인부(4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인부(410)는 지중관로(100)의 각 이음부(110)에 놓여진 자성체(400)들이 지중관로(100)의 하나의 기준선(K)을 따라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성체(400) 설치의 정확성을 도모하게 한다.
상기 확인부(410)를 자성체(4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 또는 파여진 오목홈으로 구성시킴으로써, 상술한 확인작업에 더하여, 이를 자성체(400)의 위치이동수단으로 활용하여 자성체(400)의 위치 조정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도 8 내지 11은 지금까지 설명한 지중관로(100)의 연결장치(300)를 이용하여 지중관로(100)를 시공하는 방법에 따른 여러 단계중 흄관(200) 연결단계의 각 작업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로(100)의 시공은, 굴토 및 기초지반을 구축하는 단계, 각 흄관(200)을 배치하는 단계, 각 흄관(200)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 매립하는 단계가 순차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종래의 지중관로 시공방법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흄관(200)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에는 향후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작업공정이 함께 이루어지며, 흄관(200)의 연결단계와 되메우기 단계가 완료되면, 확인단계를 통해 유지관리를 위한 기준지표(S)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지중관로 시공방법과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흄관(200) 연결단계는, ⅰ) 일측 흄관(200)의 끼움부(220)를 타측 흄관(200)의 확개부(210)에 끼움하는 삽입단계(도 8); ⅱ) 일측 흄관(200)의 멈춤턱부(230) 외면와 타측 흄관(200)의 확개부(210)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면서 한 쌍의 고정레일(330)을 흄관(20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밴드(310)를 조정한 후, 고정채널(340)로 한 쌍의 고정레일(330)을 고정시키는 단계(도 9); ⅲ) 위치를 나타내주는 광파기(500)를 이용하여 지중관로(100) 상에 기준선(K)을 표출시킨 후, 각 흄관(200) 이음부(110)에 설치된 자성체(400)의 중앙을 상기 기준선(K)에 일치시키는 단계(도 10); ⅳ) 상기 자성체(4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도 11);가 순차로 이루어진다.
자성체(400)의 중앙을 기준선(K)에 일치시키는 작업은 상기 자성체(400)에 상술한 확인부(41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확인부(410)의 라인을 기준선(K)에 일치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흄관(200) 연결단계에서는, 자성체(400)의 위치를 지중관로(100)의 기준선(K)에 일치시킴으로써, 시공상태의 점검과 더불어 향후 유지관리를 위한 기준지표(S)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흄관(200)의 매설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한 자성체(400)들의 심도 비교는, 각 자성체(400)들이 일률적으로 흄관(200)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예컨대 지중관로(100)가 처짐없이 정확하게 시공되어 있고, 각 자성체(400)가 흄관(200)의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면, 자력탐지기(600)에 의한 탐지결과는 각 자성체(400)의 위치가 동일한 높이의 일직선으로 나타난다. 즉 지중관로의 각 이음부 높낮이 변위가 자성체의 위치에 의해 판단되는 것이므로, 설령 지중관로(100)가 처짐없이 정확히 시공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각 자성체(400)가 설치된 위치에 일관성이 없다면 자력탐지기(600)에 의한 탐지결과는 마치 지중관로의 일부에 처짐이 있는 것처럼 부정확하게 나타나 실제의 상황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하여 흄관(200)은 통상적으로 원형단면을 가지는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있어, 고중량의 흄관(200)을 작업과정중에 회전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흄관(200) 자체에 자성체(400)를 미리 설치한 경우에는 각 자성체(400)의 위치를 서로 맞추는 것이 쉽지 않을 뿐더러, 콘크리트 재질의 흄관(200)에 자성체(400)를 설치하여 제작하는 것 자체도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한 연결장치(300)에 자성체(400)를 설치하여 대략적인 자성체(400)의 위치를 맞춘 후, 광파기(500)에 의해 표시된 기준선(K)에 맞추어 자성체(400) 자체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각 자성체(400)가 흄관(200)의 동일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흄관(200) 연결단계에서는, 이음부(110)에서의 3단계에 의한 완벽한 차수를 위한 수단들이 설치된다. 확개부(210)의 내면과 이에 삽입되는 끼움부(220)의 외면 사이에서 1차 차수기능을 하게 되는 제1차수링(322)을 링홈(324)에 끼우는 등 끼움부(220)의 외면에 설치하고, 확개부(210)의 단부와 멈춤턱부(230)의 단부 사이에서 2차 차수기능을 하는 제2차수링(323)을 멈춤턱부(230)의 전면에 위치시킨 후, 이와 같이 제1,2차수링(322,323)이 설치된 흄관(200)의 끼움부(220)를 인접한 흄관(200)의 확개부(210)에 삽입시키면 1,2차 차수수단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한 1,2차 차수수단의 설치는 일측 흄관(200)의 끼움부(220)를 타측 흄관(200)의 확개부(210)에 끼움하는 삽입단계에서 이루어지나, 3차 차수수단인 차수패드(321)는 고정밴드(3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치는, 고정채널(340)과 고정레일(330)을 이용하여 이음부(110) 둘레를 고정밴드(310)로 감싸 고정시키는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도 12는 지중관로의 매립작업이 완료된 후 시공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되메우기가 완료되면 자력탐지기(600)를 이용하여 지중관로(100)의 시공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지중관로(100)가 정확하게 시공되었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성체(400)가 상호간에 일직선을 이루는 것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탐지결과는 향후 유지관리의 기준지표(S)가 된다.
도 13은 지중관로(100)에 처짐 등 변위가 발생된 경우의 탐지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준지표(S)와 대비됨으로써 보다 명확한 지중관로(100)의 매설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유지관리중의 주기적인 탐지결과에 의한 탐지지표(P)들을 기준지표(S)와 대비하여 이들 사이에 발생된 갭(△)의 변화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바, 지중관로(100)의 장기적인 보수계획의 수립 등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지중관로 110; 이음부
200; 흄관 210; 확개부
220; 끼움부 230; 멈춤턱부
300; 연결장치 310; 고정밴드
321; 차수패드 322; 제1차수링
323; 제2차수링 324; 링홈
330; 고정레일 331; 레일홈
340; 고정채널 341; 삽입리브
342; 수용부 343; 가이드홈
344; 조정볼트 355; 통과홀
356; 체결봉 357; 체결너트
400; 자성체 410; 확인부
500; 광파기 600; 자력탐지기
K; 기준선 S; 표준지표
P; 탐지지표

Claims (10)

  1. 내경이 확장되는 일측 단부의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에 끼움되는 타측 단부의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끼움정도를 설정하는 멈춤턱부로 이루어진 흄관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개부와 멈춤턱부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는 고정밴드;
    상기 고정밴드의 내면에 설치되어 확개부와 멈춤턱부 사이의 이음부를 밀폐시키는 수팽창성 차수패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을 일체화시키는 고정채널; 및
    상기 고정채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에 지중관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확인부가 구비되어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채널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의 양측에 가이드홈이 구비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는 가이드홈의 안내에 따라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채널에는 자성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채널에는 양측에 삽입리브가 형성되고,
    고정레일에는 상기의 삽입리브가 끼워지는 한 쌍의 레일홈이 적어도 2곳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레일과 삽입리브에는 하나의 체결봉이 연속하여 관통하는 통과홀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과 삽입리브는 ㄴ자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자성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이거나 파여진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확개부의 내면과 끼움부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차수링과, 확개부의 단부와 멈춤턱부의 단부가 서로 만나는 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는 제2차수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기초지반 구축단계, 흄관 배치단계, 흄관 연결단계, 되메우기 단계 및, 확인단계가 순차로 이루어지되,
    상기 흄관 연결단계는,
    ⅰ) 일측 흄관의 끼움부를 타측 흄관의 확개부에 끼움하는 삽입단계;
    ⅱ) 일측 흄관의 멈춤턱부 외면와 타측 흄관의 확개부 외면을 동시에 감싸주면서 한 쌍의 고정레일을 흄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밴드를 조정한 후, 고정채널로 한 쌍의 고정레일을 고정시키는 단계;
    ⅲ) 광파기로 지중관로의 중심선을 표시한 후, 각 흄관 이음부에 설치된 자성체의 중앙을 상기 중심선에 일치시키는 단계;
    ⅳ) 상기 자성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KR1020200067219A 2020-06-03 2020-06-03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KR102179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19A KR102179218B1 (ko) 2020-06-03 2020-06-03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19A KR102179218B1 (ko) 2020-06-03 2020-06-03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218B1 true KR102179218B1 (ko) 2020-11-16

Family

ID=7368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19A KR102179218B1 (ko) 2020-06-03 2020-06-03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2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3681A (zh) * 2021-03-10 2021-06-11 浦江奈德丽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带有多连接体的水泵
CN117685416A (zh) * 2024-01-25 2024-03-12 安徽水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矩形顶管膜袋堵水结构及堵水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53Y1 (ko) * 2003-11-05 2004-02-11 (주)해인코퍼레이션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101137895B1 (ko) * 2011-06-10 2012-05-02 유옥수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216150B1 (ko) 2011-03-21 2012-12-27 심종석 충격력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
KR101370956B1 (ko) * 2012-08-28 2014-03-25 김진한 지중관로의 위치정보 획득 방법
KR20190116789A (ko) * 2018-04-05 2019-10-15 김승용 걸림턱 관 체결용 후크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53Y1 (ko) * 2003-11-05 2004-02-11 (주)해인코퍼레이션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101216150B1 (ko) 2011-03-21 2012-12-27 심종석 충격력 변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
KR101137895B1 (ko) * 2011-06-10 2012-05-02 유옥수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370956B1 (ko) * 2012-08-28 2014-03-25 김진한 지중관로의 위치정보 획득 방법
KR20190116789A (ko) * 2018-04-05 2019-10-15 김승용 걸림턱 관 체결용 후크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3681A (zh) * 2021-03-10 2021-06-11 浦江奈德丽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带有多连接体的水泵
CN117685416A (zh) * 2024-01-25 2024-03-12 安徽水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矩形顶管膜袋堵水结构及堵水方法
CN117685416B (zh) * 2024-01-25 2024-04-23 安徽水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矩形顶管膜袋堵水结构及堵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218B1 (ko) 지중관로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의 시공방법
Wang et al. Monitoring the behavior of segment joints in a shield tunnel using distributed fiber optic sensors
EP3156711B1 (en) Method for pipe insertion in a pipeline
US44809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ying pipe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Zhang et al. Deformation monitoring and performance analysis on the shield tunnel influenced by adjacent deep excavations
CN112103852A (zh) 一种利用水平定向钻技术穿越河道并敷设电缆的方法
Moore et al. Ultimate strength testing of two deteriorated metal culverts repaired with spray-on cementitious liners
Vorster et al. The use of fibre optic sensors to monitor pipeline response to tunnelling
KR20090093355A (ko) 도통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도통 측정 방법
KR100456485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지중변형 계측방법 및 그 장치
CN111576504B (zh) 基于光纤应变的phc桩身内力测试方法及光纤布设方法
DE19725431C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Lage einer unterirdisch verlegten Rohrleitung
Becerril García Investigation of culvert joints employing large scale tests and numerical simulations
KR102643338B1 (ko) 스마트센서링을 적용하는 경량형 광경화 방식의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CN113585426A (zh) 一种室外排水管道施工工艺
CN217483662U (zh) 一种地下管道扰动监测系统
WO2007069832A1 (en) System for sensing short-circuit of strip-lining pipeline
CN112281819B (zh) 一种公路软土地基预制摩擦型桩及方法
KR20200039968A (ko) 지중 선로 보호장치
JP200416329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使用の構造物変位・変状検知装置
JP4572285B2 (ja) 光ファイバーを埋設した既製杭
CN114543679B (zh) 一种公路路基位移和应变的分布式光纤在线监测系统
CN108756439B (zh) 一种信号调度车站的通信工程施工方法
Dewynter et al. Tunne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with Brillouin optical fiber distributed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