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136B1 - 액체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136B1
KR102178136B1 KR1020180137417A KR20180137417A KR102178136B1 KR 102178136 B1 KR102178136 B1 KR 102178136B1 KR 1020180137417 A KR1020180137417 A KR 1020180137417A KR 20180137417 A KR20180137417 A KR 20180137417A KR 102178136 B1 KR102178136 B1 KR 10217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omposition
liquid cleaning
weight
points
lauryl et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917A (ko
Inventor
김대송
김덕영
김호영
Original Assignee
김대송
김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송, 김덕영 filed Critical 김대송
Priority to KR102018013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1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1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체 세정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트리 소듐 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 프로파노 및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Acrylic acid polymer sodium sal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정 조성물은, 세제의 점성안정성 및 생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세제에 의한 세척력이 향상되고,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세정 조성물{LIQUID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체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제는 흡착, 습윤, 계면장력 저하, 유화, 가용화, 분산 등의 복잡한 물리,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물체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합물질을 의미하고, 국내외에서 세제의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세제는 꾸준히 발전하여 현재 다양한 성능을 가진 제품으로 개발 판매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액체 세제는 세탁수 내에서 용해성이 높고 세탁 후에 잔유물이 없어 인기상품으로 팔리고 있다.
또한, 액체 세제는 다양한 기후 조건하에서 보관 안정성 및 점도 안정성이 있어야 상분리가 되는 등의 변질 현상 없이 장시간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며, 분말 세제에 비하여 세척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알킬술폰산나트륨, 알파올레핀술폰나트륨, 소듐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텔설페이트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요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여, 세척력 및 보관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그 유효 성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9580호에 잘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성된 술폰산염 형태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라우릴알콜에테르 형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제의 경우, 부영양화 등의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며, 세탁 후 세탁물에 잔류물이 남아 피부에 자극 및 손상을 주거나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수 있어서, 연약한 피부를 가진 성인이나 유아용 세탁물의 세탁 세제로 사용이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자극성 계면활성제를 개발하여 종래의 계면활성제를 대체한 세제를 제조하거나, 또는 가능한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제품 개발노력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세제에 천연추출물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부여한 환경 친화적인 액체 세제도 개발하고 있으나, 술폰산염 형태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라우릴알콜에테르 형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제에 비해, 세척력이 부족하며, 피부자극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의 생분해성 및 점도안정성을 향상시켜 세탁력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성이 적은 액체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트리 소듐 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 프로파노 및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Acrylic acid polymer sodium sal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반드시 포함하는 액체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액체 세정 조성물은 정제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15 내지 30 중량부, 상기 트리 소듐 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 프로파노 0.07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 0.003 내지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 내지 14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세정 조성물은 알킬에틸옥사이드설페이트(alkyl-EO-sulfate),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akylpolyglycoside) 및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체 세정 조성물은 유화제, 소포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존제, 착향제, 산도조절제, 증점제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세제의 점성안정성 및 생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세제에 의한 세척력이 향상되고,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는 액체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도 1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와 라우릴 알코올-7mole 에톡시레이트와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및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정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트리 소듐 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 프로파노 및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Acrylic acid polymer sodium sal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반드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액체 세정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용매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알코올류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류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중 하나의 비휘발성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ENA-LA7)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oxid, ED)의 부가몰수가 1 내지 14인 화합물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이때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에 따른 화합물양의 분포도는 도 1의 그래프와 같으며,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8인 화합물이 20중량%이상인 것으로 분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8인 화합물이 20중량%이상인 분포를 가짐으로써, 미반응 알코올 성분이 적어지며, 저분자량과 고분자량의 에틸렌옥사이드가 일정한 분포를 가지게 되어 점도안정성 및 피부 자극성이 우수해 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0 내지 18인 라우릴 알코올-7mole 에톡시레이트(lauryl alcohol-7mole ethoxylate, LA7)에 비해 우수한 점도안정성을 발현하면서, 세척력 및 피부자극성에서도 현저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부로 액체 세정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점도안정성, 세척력 및 피부 자극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트리 소듐 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 프로파노 및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은 금속이온 봉쇄제로서,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제형 및 상언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트리 소듐 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 프로파노 및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은 통상적인 금속이온 봉쇄제로 사용되는 EDTA, EDTA-2Na, EDTA-4Na, DTA, NTPA, 인산염류, 글루콘산, 소르베이트류, 중조보다 점도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특히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현한다. 이 때, 상기 트리 소듐 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 프로파노 및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Acrylic acid polymer sodium salt)은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7 내지 1.5 중량부 및 0.003 내지 0.15 중량부로 액체 세정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점도안정성 및 세척력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 조성물은 알킬에틸옥사이드설페이트(alkyl-EO-sulfate),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akylpolyglycoside) 및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체 세정 조성물은 유화제, 소포제, 보존제, 착향제, 산도조절제, 증점제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함량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및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에멀젼의 조제를 용이하게 하고 생성된 에멀젼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슈가에스터(Sugar ester),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세균류의 성질을 억제하여 식품의 부패나 변질을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 에탄올, 페녹시 에탄올, 벤즈이소치아졸리논,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틸이소치아졸리논, 펜틴디올류, 파라벤류, 소듐벤조에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향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성 화합물이 가능하며,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천연 재료로부터 추출된 물질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도조절제는 유지얼룩을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중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저분자량의 유기 또는 임의의 유기화합물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의 액상의 알칼리제 및 구연산, 사과산, 살리실산, 주석산, 젖산, 아세트산, 소르브산, 벤조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콜로이드 용액, 고분자 용액등을 가하여 상기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한다. 상기 증점제는 폴리퀴터늄7, 폴리쿼터늄1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PEG-120 메틸글루코스 디올레에이트(PEG-120 Methyl Glucose Dioleate), 카보머(Carbomer),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아미드 수지, 카라기난, 알긴산, 한천, 젤란검, curdlan, 펙틴, 젤라틴, 잔탄검, 소듐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액체 세정 조성물은,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 또는 석유계 계면활성제를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사용하면서, 에테르 알코올형 계면활성제를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 세정 조성물의 세척력과 유사한 세척력을 나타내며, 피부 자극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액체 세정 조성물은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 또는 석유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 또는 석유계 계면활성제는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벤젠설폰산, 알킬황산, 알케닐황산, 알파설폰지방산에스테르, 알파올레핀설폰산, 알킬에테르설폰산, 알킬에테르카르복시산, 알칸설폰산, 설포호박산알킬에스테르, 아실아미노알칸설폰산, 알킬에스테르설폰산, 알케닐에스테르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액체 세정 조성물은 에테르 알코올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테르 알코올형 계면활성제는 에틸렌 옥사이드가 1 내지 25 몰 함유되어 있는 탄소수 8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일차 또는 이차 알코올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에테르 알코올형 게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 알킬에테르를 예로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액체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100 100 100 100 100 100
LA-7mole* 0 25.31 25.31 0 0 25.31
ENA-LA7mole** 25.31 0 0 25.31 25.31 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1.84 11.84 11.84 11.84 11.84 11.84
코코글루코사이드 8.13 8.13 8.13 8.13 8.13 8.13
프로필렌글라이콜 0.84 0.84 0.84 0.84 0.84 0.84
에탄올 6.89 6.89 6.89 6.89 6.89 6.89
소듐클로라이드 1.01 1.01 1.01 1.01 1.01 1.0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소듐
아세테이트
0.08 0 0 0 0 0.08
구연산 0.001 이하
소듐벤조에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잔탄검 0 0 0 0 0 0
소포제 0 0 0 0 0 0
0.23 0.23 0.23 0.23 0.23 0.23
트리소듐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프로파노 0 0.08 0 0.08 0 0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 0 0 0.08 0 0.08 0
* LA-7mole: 도 1의 LA7의 EO의 부가몰수 분포도를 갖는 조성물
**ENA-LA7mole: 도 1의 ENA-LA7의 부가몰수 분포도를 갖는 조성물
성분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2
100 100 100
쟁탄검 0.12 0.12 0.12
에탄올 5.18 5.18 5.18
코코글루코사이드 2.44 2.44 2.44
프로필렌글라이콜 2.44 2.44 2.44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9.76 9.76 9.76
과탄산소다 0.12 0.12 0.12
베이킹소다 0.001 이하
구연산 0.001 이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소듐 아세테이트 0.06 0 0
안식향산 0.04 0.04 0.04
소포제 0 0 0
향료 0.12 0.12 0.12
트리소듐2-[비스(카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프로파노 0.06 0 0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 0 0.06 0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액체 세정 조성물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점도안정성, 세척력 테스트, 피부 자극성, 생분해성을 측정하였다.
(1) 점도안정성
액체 세정 조성물을 25℃에서 보관하여, 점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회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1일차  41cps 65cps  62cps 61cps  44cps  63cps  63cps  73cps 64cps 
2일차  65cps 60cps 59cps 49cps 43cps 62cps  62cps  78cps 80cps
3일차  56cps 69cps 62cps 55cps 43cps 70cps  61cps  62cps 82cps 
4일차  45cps 62cps 55cps 51cps 38cps 86cps  98cps  56cps 83cps 
5일차  44cps 61cps 47cps 47cps 43cps 77cps  69cps  52cps 80cps 
6일차  44cps 58cps 67cps 53cps 49cps 76cps  84cps  58cps 71cps 
평균점도 49.1cps 62.5cps 58.6cps 52.6cps 43.3cps  71.8cps 72.8cps 63.1cps 76cps
(2) 세척력 테스트
국가공인 시험인 세탁 기능사 시험에 실시되고 있는 오염물의 세척방법에 인용하여 실험법을 설계하였다. 구리스, 수용성매직, 볼펜, 립스틱, 인주, 래커 페인트, 커피, 포도주스를 오염군으로 설정하고, 면포사이즈 가로 세로 5cmX5cm에 동전크기의 원 또는 스탬프로 도장을 찍어서 세척정도를 [표 4] 및 [표 5]와 같이 2회에 걸쳐 측정하여 평균값을 [표 6]에 도시하고, [표 7]에 의해 점수화하였다.
오염
종류
1회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페인트마커 ㅿ  ㅿ  o ㅿ 
수용성매직 o  o o ㅿ  ㅿ  ㅿ  ㅿ 
볼펜 o  o o o  o  o o  o o
커피 o  o o
기름 o o  o o o ㅿ  o
음료수 o o o o o  o o o o
립스틱 o o o o o o o o o
총점 6점  6점  6.5점  5.5점  5.5점  5.5점 5.5점 5.5점 5.5점
오염
종류
2회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페인트마커 ㅿ  ㅿ 
수용성매직 ㅿ  ㅿ  ㅿ  ㅿ 
볼펜 o o o o  o  o o  ㅿ  o 
커피 o ㅿ  ㅿ  o o  o o  o o 
기름 o o o o o  o o  o ㅿ 
음료수 o o o o o  o o o o 
립스틱 o o o o  o  o  o o o 
총점 6점  5.5점 5.5점  6점 6점  6점 6점 5.5점 5.5점
회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평점 6점 5.75점 6점 5.75점 5.75점 5.75점 5.75점 5.5점 5.5점
평가기준 표식 점수
오점원 완전 제거 o 1
오점원 불완전 제거 0.5
오점원 미제거 x 0
(3) 피부 자극성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피부에 대한 첩포시험(Patch Test)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가한 패치를 12개를 부착하고, 24시간 후에 피시험자의 피부에서 부착시킨 패치를 제거하고, 2시간 후의 피부 상태를 전문가 2인이 판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평가기준은 하기에 따라 실시하였고, 하기 식 3에 따라 수치로 환산하고, 그 결과를 [표 8] 및 [표 9]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피부에 홍반이 전혀 없음: (-)
피부에 홍반이 있는 것 같음: (±)
피부에 약한 홍반이 있음: (+)
피부에 중간정도의 홍반이 있음: (++)
피부에 강한 홍반이 있음(+++)
[식 1]
자극도 = [(-)인 피시험자 수x0 + (±)인 피시험자 수x1 + (+)인 피시험자 수x2 + (++)인 피시험자 수x3 + (+++)인 피시험자 수x4] / 총 피시험자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피부에홍반이전혀없음:(-) 7 7 7 8 8 8 8 7 7
피부에홍반이있는것같음:
(±)
9 8 9 9 9 9 8 7 9
피부에약한홍반이있음:(+) 3 3 2 2 2 2 3 3 2
피부에중간정도의홍반이있음:(++) 1 1 1 1 1 1 1 2 1
피부에강한홍반이있음:
(+++)
0 1 0 0 0 0 0 1 1
자극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0.9 1.05 1 0.8 0.8 0.8 0.85 1.15 1
(4) 생분해성
용존산소의 양을 측정한 방법으로서 계면활성제가 미생물에 의해 섭취, 분해되면서 수중에 용존하는 산소의 소비량을 측정한 것으로, 공업규격(KS-2714)에서 제시한 세제의 생분해도 측정을 참고하였으며, 생분해성 평가는 25℃ 농도 15ppm/ 활성오니 5ml 로 BOD병에 담아서 측정하였고, DO의 각 시료별 DO의 측정은 DO 측정기를 통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회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0일차 9.4 8.8 8.3 8.5 8.6 8.7 8.7 8.7 8.7
1일차 8.1 7.7 7.2 7.8 7.8 7.7 8.1 8.3 7.8
2일차 6.6 6.5 7.6 6.9 6.7 6.6 6.7 7.1 7.2
3일차 4.9 3.7 4.1 4.15 5.8 3.85 6.15 6.7 6.05
4일차 3.9 2.8 3.1 2.7 3.5 2 2.4 5.6 3.4
5일차 2.4 1.9 2.1 2.1 2 1.6 1.8 2 3
6일차 1.7 1.6 1.4 1.5 1.6 1.1 0.7 1.8 1.6
상기 표 3, 표 6, 표 9 및 표 10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정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생분해성 및 세척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저자극적이며 점도안정성이 향상되어 세제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하여, 점도, 세척력, 피부 자극력이 저조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생분해성이 저조해 환경친화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는 실시예 6 및 실시예 7과 비교하여, 점도, 세척력, 피부 자극력에 있어서 저조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5일 이후부터는 생분해성이 저조해져 환경에 유해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Acrylic acid polymer sodium salt);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는 15 내지 30 중량부, 상기 아크릴산 중합체 나트륨 염은 0.003 내지 0.15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1 내지 14인 화합물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8인 화합물이 20중량%이상의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세정 조성물은 알킬에틸옥사이드설페이트(alkyl-EO-sulfate),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alkylpolyglycoside) 및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유화제, 소포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존제, 착향제, 산도조절제, 증점제 중 적어도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정 조성물.
KR1020180137417A 2018-11-09 2018-11-09 액체 세정 조성물 Active KR10217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17A KR102178136B1 (ko) 2018-11-09 2018-11-09 액체 세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17A KR102178136B1 (ko) 2018-11-09 2018-11-09 액체 세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917A KR20200053917A (ko) 2020-05-19
KR102178136B1 true KR102178136B1 (ko) 2020-11-12

Family

ID=7091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17A Active KR102178136B1 (ko) 2018-11-09 2018-11-09 액체 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1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299A (ja) * 1999-08-16 2001-02-20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1116932A (ja) 2009-10-30 2011-06-16 Kao Corp 繊維製品用洗浄剤組成物
JP2013177512A (ja) * 2012-02-28 2013-09-09 Lion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5079A1 (en) * 1999-09-20 2001-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eatment compositions for fabrics
KR101379127B1 (ko) * 2011-06-30 2014-04-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효과를 갖는 액체 세제의 잔향성 증가를 위한 향료 프리믹스 조성물
KR102161485B1 (ko) * 2013-11-22 2020-10-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체 세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체 세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299A (ja) * 1999-08-16 2001-02-20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1116932A (ja) 2009-10-30 2011-06-16 Kao Corp 繊維製品用洗浄剤組成物
JP2013177512A (ja) * 2012-02-28 2013-09-09 Lion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917A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747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TWI695884B (zh) 液體洗淨劑
JP497618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5512970A (ja) 中性の床用洗浄剤
DE60306987T2 (de) Flüssigwaschmittel
CN106010807B (zh) 一种针对医疗器械上顽固污渍的多酶清洗剂
KR102073817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JPH0524198B2 (ko)
KR102178136B1 (ko) 액체 세정 조성물
KR20110019118A (ko) 액체 세제 조성물
KR101952912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JP6957208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US20040048756A1 (en) Stabilized topical composition
JP2010185063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US20150299617A1 (en) Solvent-free oil dispersant
KR100860602B1 (ko) 주방용 액체 세제 조성물
KR20000067301A (ko) 야채 및 과일 세정용 액체세제 조성물
US4077898A (en) Iodine/phosphate est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m
CH629846A5 (de) Klarspuelmittel fuer die maschinelle geschirreinigung.
KR100328267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20220061626A (ko) 액상 세제 조성물
JP5844223B2 (ja) 界面活性剤混合物
KR950003428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CN111534384A (zh) 含茶皂素柠檬酸酯改性表面活性剂的多用途清洗剂及其制备方法
AU6006994A (en)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