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849B1 - 전동 가위 - Google Patents

전동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849B1
KR102177849B1 KR1020200018000A KR20200018000A KR102177849B1 KR 102177849 B1 KR102177849 B1 KR 102177849B1 KR 1020200018000 A KR1020200018000 A KR 1020200018000A KR 20200018000 A KR20200018000 A KR 20200018000A KR 102177849 B1 KR102177849 B1 KR 10217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re
electric scissors
center
cut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복
Original Assignee
박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복 filed Critical 박태복
Priority to KR102020001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종래의 모터의 동력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되는 전동 가위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기어부 또는 작동롤러와 확동캠 작동홈 기어부 또는 확동캠을 통해서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어야 하므로 그로 인해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및 생산성의 저하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공된 전동 가위로 구동부가 리니어 구동방식과 같이 직선 운동을 하기 위해서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는 고정 단자(121)와 결합하여 칼날 절단체(100)를 구성하고 영구자석(111) 대응면에 위치한 코아(211)와 코아(211)를 감싸고 있는 코일(212)로 구성된 전자기력부(210)은 코일(2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220)가 결합되어진 고정체(200)를 구성하고 칼날 절단체(100)와 고정체(200)가 결합되어지고 제어부(220)를 통해서 코일(212)에 교번하는 전기가 인가 되면 인가된 전기에 의해서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전자기력은 코아(211)에 집중되어지고 그 대응면에 위치한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서 교번하는 전원주기에 맞추어 상하(좌우)로 동작하게 되고 칼날부(110)와 고정 단자(121) 사이에 위치한 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의 동력을 기반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기어부 또는 작동롤러와 확동캠 작동홈 기어부 또는 확동캠을 통해서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 직선 운동을 함으로써 기어부 또는 작동롤러와 확동캠에 따른 오동작 및 고장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마찰 동작에 따른 동력 전달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동 가위(300)를 제공한다.
또한, 칼날 절단체(100)와 고정체(200)를 분리 결합이 가능함으로 인해 여러 용도에 따른 다양한 칼날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동 가위(300)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전동 가위{Electric Scissors}
본 발명은 자동 전동 가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전동가위를 통해 종이, 가죽, 옷, 과일 등 다양한 절단물을 힘들이지 않고 절단물을 잘라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작업능률을 향상하여 경제적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고정체와 칼날 절단체가 분리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여러 종류의 칼날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동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가위는 동력을 이용하여 절단물을 절단하도록 된 것으로, 주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과수나무의 가지를 절단할 때 자동으로 가지를 절단시키는 장치로 이용된다.
통상의 전동 가위는 단순히 작업자의 인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능력도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모터의 동력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되는 전동 가위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가위들 중 하나로는 한국특허제 10-1174640(명칭: 자동전지가위)가 있으며, 상기 자동전지가위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동전지가위는 일측에 손잡이(22)가 구비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타측에 고정되는 고정날(30)과 고정날(30)에 대해 왕복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날(40)과 케이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50)와 일측이 구동모터(50)와 접속되고, 타측이 가동날(40)과 접속되어 구동모터(50)의 구동에 의해 가동날(40)을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부(60)와 구동모터(5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다.
즉, 모터의 회전 운동을 기어부를 통해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가동날을 가동함으로써, 전단물을 절단하도록 된 것이다.
그와 유사한 것으로 한국공개실용특허 제 20-2011-0004713(과일적과장치)가 있으며, 상기 과일적과장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과바디(102)에 구비되는 스위치(101)를 손으로 눌러주면 이와 연결된 구동수단(118)이 회전하면서 출력축(119)을 회전시키고, 상기 출력축(119)에 구비되는 확동캠(120)도 함께 회전한다.
그러면, 로어 및 어퍼바디(103,104)에 형성된 슬라이딩레일(115)에 결합된 슬라이더(116)에 구비되는 작동롤러(121)가 확동캠(120)의 작동홈(122)에 삽입되어 확동캠(120)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슬라이더(116)가 왕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116)가 왕복하게 되면, 슬라이더(116)와 후단부가 힌지(117) 연결되고 후미가 로어바디(103)와 힌지(114) 연결된 가동커터(109)가 힌지(114)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왕복운동을 하게 되므로 적과 하고자 하는 열매를 적과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작동롤러(121)가 확동캠(120)의 작동홈(122)을 통해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가동날을 가동함으로써, 절단물을 절단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가위는 구동수단으로 모터를 사용하며 모터의 회전운동을 기어부 또는 작동롤러와 확동캠, 작동홈 등을 통해서 직선 운동으로 바꾸어 주어야 하므로 인해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및 생산성의 저하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구조적으로 기어부 또는 작동 롤러와 확동캠, 작동홈과의 접점부위가 약하여 오동작 직접구동방식이 아닌 기계적 마찰에 의해 소음 및 고장의 잦은 문제점이 있으며 비 안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가 기어부 또는 작동 롤러와 확동캠, 작동홈 등을 통해서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 직선 운동을 함으로써 캠과의 접점 부위에 따른 오동작 및 고장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마찰 동작에 따른 동력 전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전동 가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날을 포함한 칼날 절단체와 고정체를 분리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여러 용도에 따른 다양한 칼날을 필요할 경우에 그에 따른 칼날을 포함한 칼날 절단체를 교체하여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전동 가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물을 절단하는 칼날 절단체; 및 상기 칼날 절단체와 결합되며, 교번하는 전기를 순차 인가하여 상기 칼날 절단체를 상하 회전동작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되, 상기 칼날 절단체는, 영구자석, 플레이트 및 칼날을 포함하되, 상기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를 통해 자기력선을 발생시키는 칼날부; 및 상기 칼날 절단체의 상하 회전동작 중심축을 형성하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고정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코아와 상기 코아를 감싸고 있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아 및 코일에 인가되는 상기 교번하는 전기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전자기력을 통해 상기 상하 회전동작을 위한 상기 자기력선과의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력부; 및 동작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부에 상기 교번하는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 가위는, 상기 칼날 절단체를 보호 및 고정하는 제1동작 하우징과 제2동작 하우징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체를 보호 및 고정하는 제1고정 하우징과 제2고정 하우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 가위는, 상기 칼날 절단체와 상기 고정체를 보호 및 고정하기 위해 일체화된 제1하우징과 일체화된 제2하우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커넥터를 통해서 밧데리에 전기를 충전하며, 상기 충전된 전기는 마이콤에 의해서 교번하는 주파수를 갖춘 사인파 또는 구형파에 대응하는 상기 교번하는 전기를 상기 동작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코일에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코아는, 중심 코아, 코아 기둥, 상측 코아 및 하측 코아를 포함하는 E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자성재료로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자기력선의 통로가 되며, 상기 칼날과의 결합이 수월하도록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 가위는, 상기 칼날에 구비되는 중심홀과 상기 고정 단자에 구비되는 중심 결합홀을 통해 상기 상하 회전동작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동작 하우징은, 상기 고정 단자와 결합하기 위해 결합 돌기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칼날에 구비되는 중심홀과 상기 고정 단자에 구비되는 중심 결합홀을 통해 상기 상하 회전동작 중심축을 형성하되, 상기 중심 결합홀과 상기 제1동작 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위치 결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동 가위(300)는 구조적으로 기어부 또는 작동 롤러와 확동캠과 작동홈 등을 통해서 회전운동을 수직 운동으로 바꾸어 기계적 마찰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코아(211)와 코일(212)과 보빈(213)으로 구성된 전자기력부(210)와 대항하면서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가 직접 구동하는 방식으로 마찰동작에 따른 오동작 및 고장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가위(300)는 구조적으로 기어부 또는 작동 롤러와 확동캠과 작동홈 등을 통해서 회전운동을 수직 운동으로 바꾸어 기계적 마찰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코아(211)와 코일(212)과 보빈(213)으로 구성된 전자기력부(210)와 대항하면서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가 직접 구동하는 방식으로 마찰동작에 따른 동력 전달 손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날(113)과 영구 자석(111)을 포함한 칼날 절단체(100)와 코일(212)과 코아(211)를 포함한 고정체(200)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여러 절단물에 따른 다양한 칼날(113)을 필요하게 되고 그에 따른 칼날(113)을 포함한 칼날 절단체(100)를 교체하여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절단 작업을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외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제2동작 하우징과 제2고정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전자기력부의 코일에 인가된 전원의 방향에 따른 영구 자석과 플레이트 칼날로 구성된 칼날부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또 다른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또 다른 실시의 예로 제2동작 하우징과 제 2고정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또 다른 실시의 예로 전자기력부의 코일에 인가된 전원의 방향에 따른 영구 자석과 플레이트 칼날로 구성된 칼날부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의 예로 2개의 영구 자석을 사용한 칼날부와 전자기력부에 대한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의 예로 2개의 영구 자석을 사용한 칼날부와 전자기력부의 코일에 인가된 전원의 방향에 따른 영구 자석과 플레이트 칼날로 구성된 칼날부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의 제1동작 하우징과 제1고정 하우징이 일체화되고 제2동작 하우징과 제2동작 하우징이 일체화된 전동 가위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가위(300)는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와 고정 단자부(120)와 결합되어지는 칼날 절단체(100)를 구성하고 영구 자석(111)과 대응면에 위치한 코아(211)와 코아(211)를 감싸고 있는 코일(212)로 구성된 전자기력부(210)를 구성하면서 코일(2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한 제어부(220)와 결합하여 고정체(200)를 형성하고 칼날 절단체(100)와 고정체(200)가 결합하게 된다.
칼날 절단체(100)는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고정하기 위하여 제1동작 하우징(122)과 제2동작 하우징(123)으로 포함하여 결합하고 고정체(200)는 전자기력부(210)와 제어부(220)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제1고정 하우징(231)과 제 2고정 하우징(232)을 포함하여 결합하게 된다.
제어부(220)는 PCB(221)와 밧데리(222)와 충전 커넥터(223)와 동작 스위치(225)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며 마이콤(224)이 내장되어 충전 커넥터(223)를 통해서 밧데리(222)에 충전하며 충전된 전기는 마이콤(224)에 의해서 교번하는 주파수를 갖춘 사인파 또는 구형파를 동작 스위치에 의해서 코일(212)에 인가하게 된다.
한편, 코아(211)는 중심 코아(211a)와 코아 기둥(211d)과 상측 코아(211b)와 하측 코아(211c)로 나누어 E자 형태로 형성하여 보빈에 감겨진 코일(212)과 중심 코아(211a)에 결합하게 되고 코일(212)에 인가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전자기력이 코일(212)에 발생되며 코일(212)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은 중심 코아(211a)에 집중되고 집중된 전자기력은 코아 기둥(211d)을 통해서 상측 코아(211b)와 하측 코아(211c)로 나누어 발산되어 중심 코아(211a)로 돌아오는 전자기력선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112)는 영구 자석(111)의 자기력선의 통로가 되도록 자성재료이면서 칼날(113)과 결합이 수월하도록 결합을 위한 관통홀(112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칼날(113)은 고정 단자(121)와 결합이 수월하도록 하면서 상하 회전동작의 중심축을 형성하도록 중심홀(113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고정 단자(121)는 칼날(113)의 중심홀(113a)과 결합이 수월하도록 하면서 상하 회전동작의 중심축을 형성하도록 중심 결합홀(121a)과 제1동작 하우징(122)과 결합하기 위한 위치 결정홀(121b)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1동작 하우징(122)은 고정 단자(121)와 결합이 수월하면서 정확한 위치를 구성하기 위해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결합 돌기홀(122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때 N극과 S극으로 분할된 영구 자석(111)의 자기력선은 N극을 출발하여 S극과 플레이트(112)를 통해서 N 극으로 돌아오는 자기력선이 발생되어 진다.
이때 제어부(220)의 동작 스위치(225)를 눌러 제어부(220)를 통해서 코일(212)에 인가되는 전원이 정방향으로 인가되었다고 하면 코일(212)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코아(211)의 중심 코아(211a)를 통해 상측 코아(211b)와 하측 코아(211c)로 나누어서 발산하여 코아 기둥(211d)을 거쳐서 중심 코아(211a)로 돌아오는 전자기력선이 발생하고 영구 자석(111)의 자기력선과 인력과 척력에 의해서 영구 자석(2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는 칼날(113)의 중심홀(113a)과 고정 단자(121)의 중심 결합홀(121a)이 볼트(131)와 와샤(132) 너트(133)에 의해 결합되어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상승하여 자기적으로 안정된 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의 동작스위치(225)를 눌러 제어부(220)를 통해서 코일(212)에 인가되는 전원이 역방향으로 인가되었다고 하면 코일(212)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코아(211)의 중심 코아(211a)를 통해 코아 기둥(211d)을 통해 상측 코어(211b)와 하측 코아(211c)로 나누어서 발산하여 중심 코아(211a)로 돌아오는 전자기력선이 발생하고 영구 자석(111)의 자기력선과 인력과 척력에 의해서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는 칼날(113)의 중심홀(113a)과 고정 단자(121)의 중심 결합홀(121a)이 볼트(131)와 와샤(312) 너트(133)에 의해 결합되어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하강하여 자기적으로 안정된 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의 동작스위치(225)를 눌러 제어부(220)를 통해서 코일(212)에 교번하는 전기를 순차적으로 계속 인가하게 되어 코아(211)에 집중되며 코아(211)의 대응면에 있는 영구 자석(111)과 플레이트(112)와 칼날(113)로 구성된 칼날부(110)는 칼날(113)의 중심홀(113a)과 고정 단자(121)의 중심 결합홀(121a)이 볼트(131)와 와샤(132) 너트(133)에 의해 결합하여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동작하게 되며 고정 단자(121)와 칼날(113) 사이에 위치한 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충전 커넥터(223)와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충전 커넥터(223)를 통해서 외부 전원을 밧데리(222)에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동 가위(300)를 장소에 구속되지 않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의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아2(511)와 측면으로 마주보면서 배치된 N극과 S극으로 분할된 상측 영구자석(413)과 N극과 S극으로 분할된 하측 영구자석(414)으로 2개로 구성하고 플레이트2(412)와 칼날2(411)과 결합한 칼날부2(410)로써 상측 영구자석(413) N극에서 출발하여 마주하는 코아2(511)를 통해서 S극을 통해 N극으로 돌아오는 제1자기력선과 하측 영구자석(414) N극에서 출발하여 마주하는 코아2(511)와 S극을 통해서 N극으로 돌아오는 제2자기력선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의 동작 스위치(225)를 눌러 제어부(220)를 통해서 코일2(512)에 인가되는 전원이 정방향으로 인가되었다고 하면 코일2(512)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코아2(511)의 중심 코아2(511a)를 통해 상측 코아2(511b)와 하측 코아2(511c)로 나누어서 발산하여 코아 기둥(511d)을 거쳐서 중심 코아(511a)로 돌아오는 전자기력선이 발생하고 상측 영구자석(413) N극에서 출발하여 코아2(511)를 통해서 S극을 통해 N극으로 돌아오는 제1자기력선과 하측 영구자석(414) N극에서 출발하여 코아(511)와 S극을 통해서 N극으로 돌아오는 제2자기력선과 인력과 척력에 의해서 상측 영구자석(413)과 하측 영구 자석(414) 플레이트2(412)와 칼날2(411)로 구성된 칼날부2(410)는 칼날2(411)의 중심홀2(411a)과 고정 단자2(421)의 중심 결합홀2(412a)이 결합되어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상승하여 자기적으로 안정된 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의 동작 스위치(225)를 눌러 제어부2(220)를 통해서 코일2(512)에 인가되는 전원이 역방향으로 인가되었다고 하면 코일2(512)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코아2(511)의 중심 코아2(511a)를 통해 코아 기둥2(511d)을 통해 상측 코아2(511b)와 하측 코아2(511c)로 나누어서 발산하여 중심 코아2(511a)로 돌아오는 전자기력선이 발생하고 상측 영구 자석2(413) N극에서 출발하여 코아2(511)를 통해서 S극을 통해 N극으로 돌아오는 제1자기력선과 하측 영구 자석2(414) N극에서 출발하여 코아와 S극을 통해서 N극으로 돌아오는 제2자기력선과 인력과 척력에 의해서 상측 영구 자석2(413)과 하측 영구 자석2(414) 플레이트2(412)와 칼날2(411)로 구성된 칼날부2(410)는 칼날2(411)의 중심홀2(411a)과 고정 단자2(421)의 중심 결합홀2(412a)이 결합되어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하강하여 자기적으로 안정된 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의 동작스위치(225)를 눌러 제어부(220)를 통해서 코일2(512)에 교번하는 전기를 순차적으로 계속 인가하게 되어 코아2(511)에 집중되면 코아2(511)의 대응면에 있는 상측 영구 자석2(413)과 하측 영구 자석2(414)과 플레이트2(412)와 칼날2(411)로 구성된 칼날부2(410)는 칼날2(411)의 중심홀2(411a)과 고정 단자2(421)의 중심 결합홀2(421a)이 결합하여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동작하게 되며 고정 단자2(421)와 칼날2(411) 사이에 위치한 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113) 교체가 필요하지 않는 전동 가위(300)를 원할 경우에는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해서 제1동작 하우징(122)과 제1고정 하우징(231)은 합쳐서 일체화된 제1 하우징(302)으로 하고 제2동작 하우징(123)과 제2고정 하우징(232)은 합쳐서 제2 하우징(303)으로 하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칼날 절단체
110 : 칼날부 111: 영구 자석 112 : 플레이트
112a : 관통홀 113 : 칼날 113a : 중심홀
120 : 고정 단자부 121 : 고정 단자 121a : 중심 결합홀
121b : 위치 결정홀 122 : 제1동작 하우징 122a : 결합 돌기홀
123 : 제2동작 하우징 131 : 볼트 132 : 와샤 133 : 너트
200 : 고정체
210 : 전자기력부 211 : 코아 211a : 중심 코아
211b : 상측 코아 211c : 하측 코아 211d : 코아 기둥
212 : 코일 213 : 보빈
220 : 제어부 221 : PCB 222 : 밧데리
223 : 충전 커넥터 224 : 마이콤 225 : 동작 스위치
231 : 제1고정 하우징 232 : 제2고정 하우징
300 : 전동 가위
301 : 스크류 302 : 제1 하우징 302 : 제2 하우징
410 : 칼날부2 411: 칼날2 411a : 중심홀2
412 : 플레이트2 413 : 상측 영구 자석 414 : 하측 영구 자석
420 : 고정 단자부2 421 : 고정 단자2 421a : 중심 결합홀2
510 : 전자기력부2
511 : 코아2 511a : 중심 코아2 511b : 상측 코아2
511c : 하측 코아2 511d : 코아 기둥2 512 : 코일2

Claims (9)

  1. 절단물을 절단하는 칼날 절단체; 및
    상기 칼날 절단체와 결합되며, 교번하는 전기를 순차 인가하여 상기 칼날 절단체를 상하 회전동작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되,
    상기 칼날 절단체는,
    영구자석, 플레이트 및 칼날을 포함하되, 상기 영구자석 및 플레이트를 통해 자기력선을 발생시키는 칼날부; 및
    상기 칼날 절단체의 상하 회전동작 중심축을 형성하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고정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코아와 상기 코아를 감싸고 있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아 및 코일에 인가되는 상기 교번하는 전기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전자기력을 통해 상기 상하 회전동작을 위한 상기 자기력선과의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력부; 및
    동작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부에 상기 교번하는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가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가위는,
    상기 칼날 절단체를 보호 및 고정하는 제1동작 하우징과 제2동작 하우징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체를 보호 및 고정하는 제1고정 하우징과 제2고정 하우징을 통해 결합되는 전동 가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가위는,
    상기 칼날 절단체와 상기 고정체를 보호 및 고정하기 위해 일체화된 제1하우징과 일체화된 제2하우징을 통해 결합되는 전동 가위.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커넥터를 통해서 밧데리에 전기를 충전하며, 상기 충전된 전기는 마이콤에 의해서 교번하는 주파수를 갖춘 사인파 또는 구형파에 대응하는 상기 교번하는 전기를 상기 동작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전동 가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아는, 중심 코아, 코아 기둥, 상측 코아 및 하측 코아를 포함하는 E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동 가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자성재료로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자기력선의 통로가 되며, 상기 칼날과의 결합이 수월하도록 관통홀이 구비되는 전동 가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가위는, 상기 칼날에 구비되는 중심홀과 상기 고정 단자에 구비되는 중심 결합홀을 통해 상기 상하 회전동작 중심축을 형성하는 전동 가위.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 하우징은, 상기 고정 단자와 결합하기 위해 결합 돌기홀을 구비하는 전동 가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칼날에 구비되는 중심홀과 상기 고정 단자에 구비되는 중심 결합홀을 통해 상기 상하 회전동작 중심축을 형성하되, 상기 중심 결합홀과 상기 제1동작 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위치 결정홀을 구비하는 전동 가위.
KR1020200018000A 2020-02-13 2020-02-13 전동 가위 KR10217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00A KR102177849B1 (ko) 2020-02-13 2020-02-13 전동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000A KR102177849B1 (ko) 2020-02-13 2020-02-13 전동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849B1 true KR102177849B1 (ko) 2020-11-11

Family

ID=7345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000A KR102177849B1 (ko) 2020-02-13 2020-02-13 전동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313B1 (ko) * 2020-11-16 2021-08-31 (주)제이아이정밀 과수트리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3529B2 (ja) * 1991-03-21 2002-01-07 コニンクリュケ・フィリップス・エレクトロニクス・エヌ・フェー 磁気駆動装置を使用した振動歯ブラシ
US20070144014A1 (en) * 2003-12-24 2007-06-28 Wakasaya Corporation Work tool
KR20130017087A (ko) * 2010-03-24 2013-02-19 인파코 에스에이에스 전지 가위-유형의 절단 공구와 같은 두 요소의 상대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절단 공구
JP2017000322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マキタ 電動はさ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3529B2 (ja) * 1991-03-21 2002-01-07 コニンクリュケ・フィリップス・エレクトロニクス・エヌ・フェー 磁気駆動装置を使用した振動歯ブラシ
US20070144014A1 (en) * 2003-12-24 2007-06-28 Wakasaya Corporation Work tool
KR20130017087A (ko) * 2010-03-24 2013-02-19 인파코 에스에이에스 전지 가위-유형의 절단 공구와 같은 두 요소의 상대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절단 공구
JP2017000322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マキタ 電動はさ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313B1 (ko) * 2020-11-16 2021-08-31 (주)제이아이정밀 과수트리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9999B2 (ja) ヘアカッター
US20210137004A1 (en) Grass cutting head and grass trimmer including the same
EP1626483A4 (en) LINEAR ACTUATOR AND ELECTRIC TOOTHBRUSH
US10827814B2 (en) Electric grinder
KR102177849B1 (ko) 전동 가위
KR101764320B1 (ko) 자동 절체 스위치
US3144571A (en) Electromagnetic motor having oppositely oscillating armatures
EP3495101B1 (en) Rotary electric shaver
US2583590A (en) Centrifugal switch for induction motors
CN212044843U (zh) 一种电推剪
JP2008220066A (ja) アクチュエータ
CN219247679U (zh) 一种直线电机
CN203827149U (zh) 一种电磁交变线性振动电机
CN113035652A (zh) 一种永磁机构
US3026430A (en) Vibratory electromagnetic motor
CN221021086U (zh) 一种理发电推剪
CN2311888Y (zh) 电磁往复运动机
CN2357894Y (zh) 毛发修剪器
CN116015015B (zh) 一种可保证弹性摆臂间距的直线电机
WO2011037059A1 (ja) 電気かみそり
CN219875705U (zh) 一种霍尔调速信号开关
CN213381375U (zh) 一种手持式电动工具
CN213352328U (zh) 一种用于电动工具的拨叉驱动结构
US20230100667A1 (en) Motor and a tattoo pen using the same
CN214672455U (zh) 一种永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