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353B1 - 과급기 - Google Patents

과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353B1
KR102177353B1 KR1020190024588A KR20190024588A KR102177353B1 KR 102177353 B1 KR102177353 B1 KR 102177353B1 KR 1020190024588 A KR1020190024588 A KR 1020190024588A KR 20190024588 A KR20190024588 A KR 20190024588A KR 102177353 B1 KR102177353 B1 KR 10217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rance
thrust
axial direction
thrust member
thrus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719A (ko
Inventor
타카야 후타에
다츠야 이시자키
히로미치 오바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47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with fixed wedges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F01D25/166Sliding contact bearing
    • F01D25/168Sliding contact bearing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8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2Internal combustion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charger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과제) 장기간에 걸쳐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축이나 스러스트 부재가 스러스트 베어링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급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과급기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컴프레서 휠과, 회전축에 끼워 맞춰지는 스러스트 부재와,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스러스트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축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스러스트 부재 및 스러스트 베어링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부재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형성되고, 클리어런스에는 오일이 흘러들도록 구성되고, 회전축 및 스러스트 부재가 회전했을 때에, 클리어런스에 흘러든 오일이,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과급기{SUPERCHARGER}
본 개시는, 회전축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는 과급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외주에 장착된 스러스트 칼라와, 그 스러스트 칼라를 통해서 회전축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는 과급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최근, 엔진의 소형화 요구에 수반하여, 엔진에 장착되는 과급기의 대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과급기를 대용량인 것으로 하면, 과급기의 회전축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이 커지므로,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축심의 기울기가 커진다. 회전축의 축심의 기울기가 커지면, 스러스트 칼라와 스러스트 베어링의 사이에서 편접촉이 발생하여, 스러스트 베어링이나 스러스트 칼라에 편접촉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이나 눌어붙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진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과급기는, 스러스트 베어링의 스러스트 칼라측의 단면 (端面) 에 탄성 변형 가능한 내주 패드를 마련하여, 회전축 및 스러스트 칼라가 기울었을 때에, 내주 패드가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탄성 변형함으로써, 내주 패드와 스러스트 칼라의 사이에 스러스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유막 (油膜) 두께를 확보하여, 내주 패드에 스러스트 하중 부담 능력을 발휘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32340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과급기는, 상기 서술한 탄성 변형에 있어서의 변형과 복원의 반복에 의해, 스러스트 베어링의 내주 패드가 피로 파괴될 우려가 있다. 또, 내주 패드의 피로에 의한 탄성력의 저하에 의해, 스러스트 베어링과 스러스트 칼라의 사이의 유막 두께를 확보할 수 없어, 스러스트 베어링이나 스러스트 칼라에 급격한 온도 상승이나 눌어붙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장기간에 걸쳐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축이나 스러스트 부재가 스러스트 베어링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급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컴프레서 휠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춰지는 스러스트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축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스러스트 부재 및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고, 상기 클리어런스에는 오일이 흘러들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스러스트 부재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클리어런스에 흘러든 상기 오일이, 상기 스러스트 부재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 (押壓) 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1) 의 구성에 의하면, 과급기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컴프레서 휠과, 회전축에 끼워 맞춰지는 스러스트 부재와,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스러스트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회전축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스러스트 부재 및 스러스트 베어링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부재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사이에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고, 클리어런스에는 오일이 흘러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 및 스러스트 부재가 회전했을 때에, 클리어런스에 흘러든 오일이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리어런스에 흘러든 오일은, 회전축 및 스러스트 부재가 회전했을 때에 윤활막을 형성하고,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축선을 향하여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므로,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축선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이나 스러스트 부재가 스러스트 베어링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회전축이나 스러스트 부재와 스러스트 베어링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회전축, 스러스트 부재 및 스러스트 베어링의 마모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과급기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의 크기를 C, 상기 스러스트 부재의 외측 치수를 D 로 했을 경우에,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상기 클리어런스는, 클리어런스비 C/D 가 5/1000 ≤ C/D ≤ 10/1000 의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 (2) 의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클리어런스가 상기 서술한 조건을 만족하므로, 클리어런스에 흘러든 오일이 적절한 유막 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비가 C/D < 5/1000 인 경우에는,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울기에 의해, 회전축이나 스러스트 부재가 스러스트 베어링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 클리어런스비가 10/1000 < C/D 인 경우에는, 오일이 충분한 유막 압력을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3) 의 구성에 의하면,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클리어런스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측 치수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4) 의 구성에 의하면,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 또는 (4)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부재의 외측 치수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5) 의 구성에 의하면,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6)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부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단부 (端部) 의 적어도 일부에 모따기면을 갖는다.
상기 (6) 의 구성에 의하면, 스러스트 부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모따기면을 갖고 있으므로,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모따기면은 절삭 등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다.
(7)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6)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가 부분적으로 확대되는 확경부 (擴徑部) 가 균등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7) 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에 의해 클리어런스가 부분적으로 확대되는 확경부와 확경부보다 클리어런스가 작은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확경부에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의 확경부보다 클리어런스가 작은 부분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에 유막 압력의 피크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적어도 일부의 클리어런스가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클리어런스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에 형성된 유막 압력의 피크부에 있어서의 유막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7)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컴프레서 휠의 배면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시일이 형성되었다.
상기 (8) 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시일에 의해, 컴프레서 휠의 배면과 당해 배면에 대향하는 하우징의 면의 사이에 흘러든 압축 기체는, 회전축 및 컴프레서 휠이 회전했을 때에 윤활막을 형성하고, 컴프레서 휠을 축선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기체 막 압력을 발생시키므로,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축선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서 휠이 하우징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컴프레서 휠과 하우징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컴프레서 휠 및 하우징의 마모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과급기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 (8)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형성되는 터빈 휠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9) 의 구성에 의하면, 과급기는, 컴프레서 휠 및 터빈 휠을 구비하는 터보차저이다. 터보차저는, 컴프레서 휠에 작용하는 예를 들어 압축 공기 등의 기체의 압력이, 터빈 휠에 작용하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 등의 기체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 컴프레서 휠측이 터빈 휠측에 비하여 크게 돌아다니게 된다. 이와 같은 터보차저의 회전축이더라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에 흘러든 오일이 스러스트 부재에 대하여 유막 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축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축이나 스러스트 부재가 스러스트 베어링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급기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과급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클리어런스비와 유막 압력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둘레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둘레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컴프레서 휠 및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등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비치하다」, 「갖추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진다」 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과급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 11 에 나타나는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 (1) 는, 선박용의 터보차저이며,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 (도 1, 2 중 좌우 방향) 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 (2) 과,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는 컴프레서 휠 (11) 과,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의 타단에 형성되는 터빈 휠 (12)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과급기 (1) 는, 도 2,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 에 끼워 맞춰지는 스러스트 부재 (3) (스러스트 칼라) 와,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스러스트 부재 (3) 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회전축 (2) 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4) 과, 스러스트 부재 (3) 및 스러스트 베어링 (4) 을 수납하는 하우징 (5)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과급기 (1) 의 하우징 (5)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프레서 휠 (11) 을 수납하는 컴프레서 하우징 (5A) 과, 터빈 휠 (12) 을 수납하는 터빈 하우징 (5B) 과, 스러스트 베어링 (4) 을 수납하는 베어링 하우징 (5C) 을 포함하고 있다. 베어링 하우징 (5C)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컴프레서 하우징 (5A) 과 터빈 하우징 (5B) 의 사이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볼트를 사용한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컴프레서 하우징 (5A) 이나 터빈 하우징 (5B) 에 고정되어 있다. 또, 베어링 하우징 (5C)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러스트 부재 (3) 및 스러스트 베어링 (4) 을 회전축 (2) 의 직경 방향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 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또, 과급기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부재 (3) 에 대하여 스러스트 베어링 (4) 과는 반대측에 스러스트 베어링 (13)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 (13) 은, 스러스트 베어링 (4) 과 마찬가지로,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스러스트 부재 (3) 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회전축 (2) 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 과급기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 (5C) 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수납됨과 함께 회전축 (2)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1 쌍의 저널 베어링 (14, 15)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널 베어링 (14) 은,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컴프레서 휠 (11)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저널 베어링 (15) 은,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터빈 휠 (1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러스트 부재 (3)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 (31) 과 내주면 (32) 을 갖고, 회전축 (2) 의 외주면 (21) 에 내주면 (32) 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회전축 (2) 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러스트 부재 (3) 는, 회전축 (2) 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스러스트 부재 (3)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경 치수가 일정한 원관상 (圓管狀) 으로 형성된 스러스트 부재 (3A) 를 포함하고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 (4)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 (41) 과 내주면 (42) 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5) 에 외주면 (41) 이 끼워 맞춰져 하우징 (5) 에 고정됨과 함께 회전축 (2) 이 내주면 (42) 에 느슨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하우징 (5)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러스트 부재 (3) 를 회전축 (2) 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수납하는 스러스트 부재 수납부 (51) 와, 스러스트 베어링 (4) 을 끼워 맞추는 스러스트 베어링 끼워 맞춤부 (52) 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축 (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주면 (41) 과 하우징 (5) 의 사이에는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클리어런스 (6) 가 형성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6) 에는 오일이 흘러들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든 오일은, 회전축 (2) 및 스러스트 부재 (3) 가 회전했을 때에, 스러스트 부재 (3) 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스러스트 베어링 (4) 의 내주면 (42) 과 회전축 (2) 의 외주면 (21) 의 사이에 오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 (4) 의 내주면 (42) 과 회전축 (2) 의 외주면 (21) 의 사이에 공급된 오일은, 스러스트 베어링 (4)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부재 (3) 측의 단면 (43) 과, 스러스트 부재 (3) 의 단면 (43) 에 대향하는 제 1 단면 (33) 의 사이를 통과하고,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들도록 되어 있다.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든 오일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 및 스러스트 부재 (3) 가 회전했을 때에, 스러스트 부재 (3) 를 직경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 (1) 는, 상기 서술한 회전축 (2) 과, 회전축 (2) 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서술한 컴프레서 휠 (11) 과, 회전축 (2) 에 끼워 맞춰지는 상기 서술한 스러스트 부재 (3) 와,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스러스트 부재 (3) 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회전축 (2) 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상기 서술한 스러스트 베어링 (4) 과, 스러스트 부재 (3) 및 스러스트 베어링 (4) 을 수납하는 상기 서술한 하우징 (5)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주면 (31) 과 하우징 (5) 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 (6) 가 형성되고, 클리어런스 (6) 에는 오일이 흘러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2) 및 스러스트 부재 (3) 가 회전했을 때에,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든 오일이 스러스트 부재 (3) 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든 오일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 및 스러스트 부재 (3) 가 회전했을 때에 윤활막을 형성하고, 스러스트 부재 (3) 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축선을 향하여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므로, 회전축 (2) 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축선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 (2) 이나 스러스트 부재 (3) 가 스러스트 베어링 (4) 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회전축 (2) 이나 스러스트 부재 (3) 와 스러스트 베어링 (4) 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회전축 (2), 스러스트 부재 (3) 및 스러스트 베어링 (4) 의 마모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과급기 (1) 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클리어런스 (6) 의 크기를 C, 상기 서술한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측 치수를 D 로 했을 경우에,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클리어런스 (6) 는, 클리어런스비 C/D 가 5/1000 ≤ C/D ≤ 10/1000 의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클리어런스비와 유막 압력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비 C/D 가 작아지면 클리어런스 (6) 내의 오일이 발휘하는 유막 압력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클리어런스비 C/D 가 지나치게 작으면 회전축 (2) 이나 스러스트 부재 (3) 가 스러스트 베어링 (4) 에 접촉하거나, 눌어붙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클리어런스비 C/D 가 상기 서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든 오일이 적절한 유막 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클리어런스비가 C/D < 5/1000 인 경우에는, 회전축 (2) 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울기에 의해, 회전축 (2) 이나 스러스트 부재 (3) 가 스러스트 베어링 (4) 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 클리어런스비가 10/1000 < C/D 인 경우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이 충분한 유막 압력을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도 5 ∼ 7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클리어런스 (6) 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의 적어도 일부가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 (3) 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하우징 (5) 의 클리어런스 (6) 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측 치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의 적어도 일부가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 (5) 의 클리어런스 (6) 를 형성하는 부분이란,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주면 (31) 에 대향하는 내측면 (53) 을 포함하는 클리어런스 형성부 (54) 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리어런스 형성부 (54) 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을 향함에 따라서 축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는 테이퍼면 (5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리어런스 형성부 (54) 의 내측 치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이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 (3) 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측 치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의 적어도 일부가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러스트 부재 (3)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추대 (圓錐臺) 형상으로 형성된 스러스트 부재 (3B) 를 포함하고 있다. 스러스트 부재 (3B) 는, 상기 서술한 제 1 단면 (33) 에 있어서의 외경 치수가,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면 (33) 과는 반대측의 제 2 단면 (34) 에 있어서의 외경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스러스트 부재 (3B) 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경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면 (3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 (3B) 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스러스트 부재 (3B) 는, 하우징 (5) 에 비해 설계 변경이나 가공이 용이하다.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스러스트 부재 (3) 는,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모따기면 (36) 을 갖는 스러스트 부재 (3C) 를 포함하고 있다. 스러스트 부재 (3C)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관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단면 (33) 의 외주 단부에 모따기면 (36) 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모따기면 (36) 은,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을 따른 단면 (斷面) 에서 봤을 때 외형 윤곽이 원호상으로 형성된 R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지만,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봤을 때 외형 윤곽이 직선상으로 형성된 C 모따기가 실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러스트 부재 (3C)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모따기면 (36) 을 갖고 있으므로,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 (3C) 를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모따기면 (36) 은 절삭 등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다.
도 8, 9 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둘레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하우징 (5) 은, 상기 서술한 회전축 (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클리어런스 (6) 가 부분적으로 확대된 확경부 (62) 가 균등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확경부 (62) 가 균등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회전축 (2) 의 회전시에 클리어런스 (6) 에 발생하는 유막 압력의 합력이 회전축 (2) 을 편심시키는 편심 하중으로서 작용하지 않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5) 의 내측면 (53) 은, 회전축 (2)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단면에서 봤을 때의 윤곽 형상이 원호상이 되도록 패인 오목부 (56) 가 180° 마다 형성됨으로써, 단면에서 봤을 때의 윤곽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5) 의 내측면 (53) 과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주면 (31) 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어런스 (6) 는, 회전축 (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2 개의 소경부 (61) 와, 소경부 (61) 보다 클리어런스 (6) 가 크게 2 개의 확경부 (62) 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도 8, 9 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원은, 설명의 편의상 형성한 것이며, 클리어런스 (6) 의 크기를 소경부 (61) 와 동일한 크기로 한 것이다.
또,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5) 의 내측면 (53) 은, 회전축 (2)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단면에서 봤을 때의 윤곽 형상이 원호상이 되도록 패인 오목부 (56) 가 120° 마다 형성됨으로써, 단면에서 봤을 때의 윤곽 형상이 모서리부를 둥글게 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5) 의 내측면 (53) 과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주면 (31) 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어런스 (6) 는, 회전축 (2)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3 개의 소경부 (61) 와, 소경부 (61) 보다 클리어런스 (6) 가 크게 3 개의 확경부 (62) 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 (5) 에 의해 클리어런스 (6) 가 부분적으로 확대된 확경부 (62) 와 확경부 (62) 보다 클리어런스가 작은 부분 (소경부 (61)) 을 형성함으로써,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확경부 (62) 에 용이하게 흘러들 수 있고, 또한, 오일이 클리어런스 (6) 의 확경부 (62) 보다 클리어런스가 작은 부분 (소경부 (61)) 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에 유막 압력의 피크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오일에 의한 스러스트 부재 (3) 를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유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베어링 (4) 측의 적어도 일부의 클리어런스 (6) 가 스러스트 베어링 (4) 으로부터 떨어진 측의 클리어런스 (6) 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에 형성된 유막 압력의 피크부에 있어서의 유막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에 있어서의 하우징 내부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로팅 디스크 (7) 를 구비하는 과급기 (1) 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즉,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과급기 (1)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회전축 (2) 에 느슨하게 삽입 통과되는 플로팅 디스크 (7) 로서, 상기 서술한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부재 (3) 와 스러스트 베어링 (4) 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로팅 디스크 (7)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스러스트 베어링 (4) 은, 플로팅 디스크 (7) 를 통해서 스러스트 부재 (3) 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플로팅 디스크 (7)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 (71) 과 내주면 (72) 을 갖는 원관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71) 과 하우징 (5) 의 내측면 (53) 의 사이에 오일이 흐르는 간극이 형성됨과 함께, 회전축 (2) 이 내주면 (72) 에 느슨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로팅 디스크 (7) 를 구비하는 과급기 (1) 이더라도, 클리어런스 (6) 에 오일이 흘러들므로,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든 오일이 스러스트 부재 (3) 에 대하여 유막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급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컴프레서 휠 및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전축의 축선 방향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하우징 (5) 은, 상기 서술한 컴프레서 휠 (11) 의 배면 (111) 에 대향하는 면 (57) 에 복수의 오목부 (81) 를 포함하는 비접촉 시일 (8)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 (81) 는, 회전축 (2) 의 둘레 방향 및 직경 방향을 따라 복수 나란히 배치되고, 면 (57) 보다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반구상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오목부 (81) 를 포함하는 비접촉 시일 (8) 에 의해, 컴프레서 휠 (11) 의 배면 (111) 과 하우징 (5) 의 배면 (111) 에 대향하는 면 (57) 의 사이에 흘러든 압축 기체는, 회전축 (2) 및 컴프레서 휠 (11) 이 회전했을 때에 윤활막을 형성하고, 컴프레서 휠 (11) 을 축선 방향을 따라 압압하는 기체 막 압력을 발생시키므로, 회전축 (2) 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축선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서 휠 (11) 이 하우징 (5) 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컴프레서 휠 (11) 과 하우징 (5) 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컴프레서 휠 (11) 및 하우징 (5) 의 마모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과급기 (1) 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본 구성은 과급기에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와 함께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과급기 (1) 는,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에 형성되는 터빈 휠 (12)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서술한 과급기 (1) 는, 컴프레서 휠 (11) 및 터빈 휠 (12) 을 구비하는 터보차저이다. 이 경우에는, 컴프레서 휠 (11) 에 작용하는 예를 들어 압축 공기 등의 기체의 압력이, 터빈 휠 (12) 에 작용하는 예를 들어 배기 가스 등의 기체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회전축 (2) 의 회전시에 있어서 컴프레서 휠 (11) 측이 터빈 휠 (12) 측에 비하여 크게 돌아다니게 된다. 이와 같은 터보차저의 회전축 (2) 이더라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6) 에 흘러든 오일이 스러스트 부재 (3) 에 대하여 유막 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회전축 (2) 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과급기 (1) 에 대해서 선박용의 터보차저를 예로 설명했지만, 과급기 (1) 는 선박용의 터보차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과급기 (1) 는 자동차용의 터보차저여도 되고, 터보차저 이외의 장치여도 된다. 또, 과급기 (1) 는 상기 서술한 터빈 휠 (12) 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터빈 휠 (12) 을 구비하지 않는 과급기 (1) 로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에 의해 컴프레서 휠 (11) 을 회전시키는 전동 컴프레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스러스트 부재 (3) 는, 원관상이나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각관상 (角管狀) 이나 각추대 (角錐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5) 의 내측면 (53) 은,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주면 (31) 의 전체 둘레를 연속적으로 덮도록 되어 있었지만, 스러스트 부재 (3) 의 외주면 (31)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를 단속적으로 덮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1 : 과급기
11 : 컴프레서 휠
111 : 배면
12 : 터빈 휠
13 : 스러스트 베어링
14, 15 : 저널 베어링
2 : 회전축
21 : 외주면
3, 3A ∼ 3C : 스러스트 부재
31 : 외주면
32 : 내주면
33 : 제 1 단면
34 : 제 2 단면
35 : 테이퍼면
36 : 모따기면
4 : 스러스트 베어링
41 : 외주면
42 : 내주면
43 : 단면
5 : 하우징
5A : 컴프레서 하우징
5B : 터빈 하우징
5C : 베어링 하우징
51 : 스러스트 부재 수납부
52 : 스러스트 베어링 끼워 맞춤부
53 : 내측면
54 : 클리어런스 형성부
55 : 테이퍼면
56 : 오목부
57 : 면
6 : 클리어런스
61 : 소경부
62 : 확경부
7 : 플로팅 디스크
71 : 외주면
72 : 내주면
8 : 비접촉 시일
81 : 오목부

Claims (9)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컴프레서 휠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 맞춰지는 스러스트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축을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스러스트 부재 및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고, 상기 클리어런스에는 오일이 흘러들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스러스트 부재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클리어런스에 흘러든 상기 오일이, 상기 스러스트 부재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압압 (押壓) 하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과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의 크기를 C, 상기 스러스트 부재의 외측 치수를 D 로 했을 경우에,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상기 클리어런스는, 클리어런스비 C/D 가 5/1000 ≤ C/D ≤ 10/1000 의 조건을 만족하는, 과급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는, 과급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클리어런스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측 치수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는, 과급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부재의 외측 치수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는, 과급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부재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측의 단부 (端部) 의 적어도 일부에 모따기면을 갖는, 과급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가 부분적으로 확대되는 확경부 (擴徑部) 가 균등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과급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컴프레서 휠의 배면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시일이 형성된, 과급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형성되는 터빈 휠을 추가로 구비하는, 과급기.
KR1020190024588A 2018-03-08 2019-03-04 과급기 KR102177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1581A JP6954857B2 (ja) 2018-03-08 2018-03-08 過給機
JPJP-P-2018-041581 2018-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719A KR20190106719A (ko) 2019-09-18
KR102177353B1 true KR102177353B1 (ko) 2020-11-11

Family

ID=6788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588A KR102177353B1 (ko) 2018-03-08 2019-03-04 과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54857B2 (ko)
KR (1) KR102177353B1 (ko)
CN (1) CN1102423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570A (ja) 2009-06-30 2011-01-20 Ihi Corp スラスト軸受構造及びターボチャージャ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896B2 (ja) * 1989-11-17 1996-1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4424874B2 (ja) * 2001-05-02 2010-03-03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ターボチャージャの潤滑装置
US6868810B2 (en) * 2002-02-06 2005-03-2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earing device
JP2003232340A (ja) * 2002-02-08 2003-08-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ラスト軸受
JP5125684B2 (ja) * 2008-03-28 2013-01-23 株式会社Ihi 過給機
JP5359206B2 (ja) * 2008-11-11 2013-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浮動ブッシュ軸受式の軸受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内燃機関の過給機
JP5529714B2 (ja) * 2010-11-12 2014-06-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動過給機の回転軸支持構造
WO2013162703A1 (en) * 2012-04-24 2013-10-31 Borgwarner Inc. Tapered-land thrust bearing for turbochargers
JP5867363B2 (ja) * 2012-10-15 2016-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
JP5978947B2 (ja) * 2012-11-21 2016-08-24 株式会社Ihi 過給機
JP6222952B2 (ja) * 2013-03-19 2017-11-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軸支持構造
JP6459247B2 (ja) * 2014-06-30 2019-01-30 株式会社Ihi スラスト軸受、および、過給機
DE102014222514A1 (de) * 2014-07-10 2016-01-14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Axiallager
JP6352101B2 (ja) * 2014-08-06 2018-07-04 Ntn株式会社 ターボチャージャ用軸受装置
JP6396512B2 (ja) * 2015-02-09 2018-09-26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過給機
CN107110200B (zh) * 2015-02-10 2019-05-14 三菱重工发动机和增压器株式会社 浮动轴瓦轴承装置及具备其的增压机
WO2017069025A1 (ja) * 2015-10-21 2017-04-27 株式会社Ihi 軸受構造、および、過給機
JP2019035435A (ja) * 2017-08-10 2019-03-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570A (ja) 2009-06-30 2011-01-20 Ihi Corp スラスト軸受構造及びターボチャージ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2365A (zh) 2019-09-17
KR20190106719A (ko) 2019-09-18
JP2019157912A (ja) 2019-09-19
JP6954857B2 (ja)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159B2 (en) Half thrust bearing and bearing device
US9410572B2 (en) Five-axial groove cylindrical journal bearing with pressure dams for bi-directional rotation
JP6762359B2 (ja) ハイブリッド動圧スラスト気体軸受
JP5071150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用軸受装置
KR101970400B1 (ko) 공기 베어링 및 회전체 시스템
JP2019113144A (ja) 半割スラスト軸受
KR102177353B1 (ko) 과급기
US10871184B2 (en) Journal bearing and rotary machine
JP2010138753A (ja) 過給機の軸受装置
JP2009197772A (ja) 排気ターボ過給機のスラスト軸受装置
JP2010133530A (ja) 軸受構造及び該軸受構造を備えた過給機
WO2019087890A1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軸受
US10753367B2 (en) Mounting structure and turbocharger
CN110439636A (zh) 轴承单元
CN111316008B (zh) 旋转机械、轴颈轴承
WO2018109965A1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ジャーナル軸受の製造方法、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ジャーナル軸受及び圧縮機
JP2024026952A (ja) ポンプ装置
US11460042B2 (en) Floating bush bearing device and supercharger
JP7243848B2 (ja) 多円弧軸受、および、過給機
JP2005061431A (ja) 玉軸受
KR20150043656A (ko) 터보 차저
CN113748285A (zh) 滑动部件
JP2008309177A (ja) 軸受装置
WO2018021434A1 (ja) 玉軸受
KR20190001684A (ko) 조립성이 개선된 볼 베어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