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036B1 - 결로방지커버 - Google Patents

결로방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036B1
KR102176036B1 KR1020200061374A KR20200061374A KR102176036B1 KR 102176036 B1 KR102176036 B1 KR 102176036B1 KR 1020200061374 A KR1020200061374 A KR 1020200061374A KR 20200061374 A KR20200061374 A KR 20200061374A KR 102176036 B1 KR102176036 B1 KR 10217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ver
fastening
cover
coup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낙희
Original Assignee
(주)엔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씨테크 filed Critical (주)엔씨테크
Priority to KR102020006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4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composed of two hal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8Composition or method of fixing a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방지커버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배관밸브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결로방지커버 및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배관에 실리콘과 보온제와 테이핑을 통해 배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결로 발생을 차단시키기 위한 결로방지배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로방지커버{condensation prevention cover}
본 발명은 결로방지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받지 않도록 하여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결로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결로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는 배관에는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한 옥내에 설치되는 배관에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즉, 스티로폼이나 발포수지 등으로 제작된 단열재를 배관에 씌워 배관을 보호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빗물 등이 단열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햇볕에 단열재가 삭는 것ㅇ르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의 표면에 테이프를 감거나 함석판을 벤딩한 커버를 씌우고 있다.
그러나, 단열재에 테이프를 감는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단열재를 보호할 수 있지만 자외선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므로 일정 시간 경과 후 테이프가 삭아 단열재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열재에 함석판을 밴딩한 커버를 씌우는 경우 테이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고가의 시공비를 필요로 하게 되고, 향후 배관의 수리 시 커버를 분리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커버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78729호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받지 않도록 하여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배관의 볼밸브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시켜 외부의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배관에 실리콘과 보온제와 테이핑을 통해 배관이 외부의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배관밸브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결로방지커버에 있어서, 상기 결로방지커버는, 배관에 형성된 밸브를 감싸도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커버; 배관에 형성된 밸브를 감싸도록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커버; 배관이 걸리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배관결합홈; 배관과 배관에 연결형성되는 밸브가 밀착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내부로 형성되는 배관밀착홈; 배관과 결합된 밸브에 형성되는 홈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걸림단;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내면으로 형성되는 커버보온재; 커버보온재 외부로 형성되는 보온실리콘; 제2결합커버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체결되도록 제1결합커버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체결홈; 체결홈과 대응되는 제2결합커버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한다.
삭제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가 결로방지커버는,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가 마그네틱을 통해 체결하기 위한 마그네틱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체결부는, 제1결합커버의 일측과 제2결합커버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원터치로 개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힌지스프링; 제1결합커버를 제2결합커버 측으로 부착시 금속부착면에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틱부재; 마그네틱부재가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1결합커버 일측으로 마그네틱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금속부착면; 금속부착면에 부착된 마그네틱부재를 분리하기 위해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로방지커버는,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가 자동 탈부착되기 위한 자동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체결부는, 배관에 형성되는 밸브의 안착을 감지하기 위해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내측으로 형성되는 밸브안착센서; 및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를 스크류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스크류체결수단; 및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를 실린더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실린더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체결수단은,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의 개폐시 일측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힌지; 일측으로 체결스크류가 결합되고, 타측으로 체결모터가 형성되도록 제1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체결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모터; 일측이 체결모터와 결합되며, 타측이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부재와 스크류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스크류; 체결스크류가 삽입 수용되도록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재; 체결스크류의 회전으로 접촉되는 고정부재 일측면과 체결부재 일측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체결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체결수단은,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의 개폐시 일측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연동힌지; 일측이 실린더 축에 연결되어 연동실린더의 작동시 제2결합커버측으로 제1결합커버가 이동되도록 제1결합커버 하부로 형성되는 연동부재; 연동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해 제2결합커버 하부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부재; 연동부재를 제2결합커버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하기 위해 실린더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연동실린더; 밀착부재가 삽입 밀착되도록 제1결합커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홈; 밀착홈 내부로 삽입되어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의 밀착 결합되도록 제2결합커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 밀착홈 측으로 밀착되는 밀착부재의 밀착압력을 센싱하기 위해 밀착홈 내부로 형성되는 밀착센서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받지 않도록 하여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배관의 볼밸브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시켜 외부의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에 실리콘과 보온제와 테이핑을 통해 배관이 외부의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 및 결로방지배관을 포함하는 결로방지장치의 결로방지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의 또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틱체결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의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체결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 및 결로방지배관을 포함하는 결로방지장치의 결로방지배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결로방지배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이중보온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결로방지배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보온재테이핑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 및 결로방지배관을 포함하는 결로방지장치(10)의 결로방지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로방지커버(100)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배관밸브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로방지커버(100)는 제1결합커버(110), 제2결합커버(120), 배관결합홈(130), 배관밀착홈(140), 걸림단(150), 커버보온재(160), 보온실리콘(170), 체결홈(180), 체결돌기(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커버(110)는 배관에 형성되는 밸브와 배관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커버(110)는 결로방지커버(100)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커버(110)는 일측이 제2결합커버(120)의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연결되는 측을 기준으로 제1결합커버(110)가 배관의 일측 방향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결합커버(120)는 배관에 형성되는 밸브와 배관의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결합커버(120)는 결로방지커버(100)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결합커버(120)는 타측이 제1결합커버(110)의 일측과 연결 형성되어 연결되는 측을 기준으로 제2결합커버(120)가 배관의 타측 방향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결합홈(130)은 배관의 일측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결합홈(130)은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결합홈(130)은 배관과 밸브의 결합시 배관 상에서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관결합홈(130)에 배관과 밸브의 연결부 상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밀착홈(140)은 배관과 배관 상에 형성되는 밸브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밀착홈(140)은 제1결합커버(110)의 내면과 제2결합커버(120)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관밀착홈(140)은 배관과 밸브와의 규격에 맞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배관밀착홈(140)에 배관과 밸브가 밀착되어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온도 또는 습도로부터 차단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단(150)은 배관과 결합되는 밸브 상에서 형성되는 홈인 즉, 배관과 밸브의 연결부위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단(150)은 제1결합커버(110) 내부 일측과 제2결합커버(12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관과 밸브 상에 돌출되는 부위는 배관결합홈(130)에 위치되며, 걸림단(150)은 배관과 밸브의 연결 위치 홈에 걸려짐으로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는 배관과 배관상에 연결 형성되는 밸브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제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보온재(160)는 배관과 배관 상에 형성되는 밸브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하여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반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보온재(160)는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실리콘(170)은 커버보온재(160)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온실리콘(170)은 보온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며, 외부의 온도를 차단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180)은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결합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홈(180)은 제2결합커버(120)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90)가 삽입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180)은 제1결합커버(110)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체결홈(180)은 체결돌기(190)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결합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190)는 체결홈(18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돌기(190)는 제2결합커버(1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체결돌기(190)는 제1결합커버(110)에 형성되는 체결홈(180)에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의 또다른 실시예인 마그네틱체결부(2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마그네틱체결부(200)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마그네틱을 통해 자성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체결부(200)를 통해 자성에 의한 착탈시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체결후 쉽게 분리시킬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마그네틱체결부(200)는 힌지스프링(210), 마그네틱부재(220), 금속부착면(230), 분리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스프링(210)은 제1결합커버(110)의 일측과 제2결합커버(120)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분리시 쉽게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결합 후 분리시 일정 힘을 가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경우 힌지스프링(210)에 의해 쉽게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부재(220)는 자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부재(220)는 제2결합커버(1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결합커버(110)를 제2결합커버(120) 측으로 부착시 금속부착면(230)에 자성을 갖는 마그네틱부재(22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부착면(230)은 마그네틱부재(220)가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금속부착면(230)은 제1결합커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부착면(230)은 마그네틱부재(220)와 대응되는 위치인 제1결합커버(1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재(240)는 금속부착면(230)에 부착 형성되는 마그네틱부재(220)를 분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부재(240)는 제2결합커버(1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낟.
상기 분리부재(240)는 제2결합커버(120) 일측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제1결합커버(110)를 일정 간격으로 밀어 줌으로 마그네틱부재(220)가 금속부착면(230)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의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체결부(3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체결부(300)는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자동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체결부(300) 밸브안착센서(310)와 스크류체결수단(320)과 실린더체결수단(33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안착센서(310)는 배관에 형성되는 밸브의 안착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안착센서(310)는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밸브안착센서(310)는 일정 압력을 가하는 경우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체결수단(320)은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를 스크류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류체결수단(320)을 통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를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체결수단(320)은 체결힌지(321), 고정부재(322), 체결모터(323), 체결스크류(324), 체결부재(325), 체결센서(326)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힌지(321)는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개폐시 일측을 기준으로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개폐되도록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힌지(321)를 중심으로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322)는 일측으로 체결스크류(324)가 결합되고, 타측으로 체결모터(323)가 형성되도록 제1결합커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고정부재(322)는 제1결합커버(110) 일측에 형성되어 일측으로 체결모터(323)가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고정부재(322)는 체결스크류(324)가 베어링과 함께 결합되어 체결모터(323)의 회전시 고정부재(322) 상에서 공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모터(323)는 체결스크류(324)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모터(323)는 고정부재(322) 일측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스크류(324)는 일측이 체결모터(323)와 연결되며, 타측이 체결부재(325)와 결합된느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스크류(324)는 체결부재(325)와 스크류결합되어 체결스크류(324)의 회전시 체결부재(325)가 고정부재(322) 측으로 이동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325)는 체결스크류(324)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스크류와 동일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325)는 제2결합커버(120) 일측으로 고정부재(3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325)는 체결스크류(324)의 회전시 고정부재(322) 측으로 이동되어 체결부재(325)가 형성되는 제2결합커버(120)가 고정부재(322)가 형성되는 제1결합커버(110) 측으로 이동되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센서(326)는 제1결합커버(110)에 밀착결합되는 제2결합커버(120)가 밀착시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센서(326)는 체결부재(325)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센서(326)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체결모터(323)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체결수단(330)은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를 실린더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체결수단(330)을 통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를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체결수단(330)은 연동힌지(331), 연동부재(332), 실린더고정부재(333), 연동실린더(334), 밀착홈(335), 밀착부재(336), 밀착센서(337)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힌지(331)는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개폐시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일측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동힌지(331)는 제1결합힌지 일측과 제2결합커버(120) 일측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부재(332)는 일측이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며, 연동실린더(334)의 작동시 제2결합커버(120) 측으로 제1결합커버(110)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동부재(332)는 제1결합커버(11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개방은 연동실린더(334)의 작동시 제1결합커버(110)가 제2결합커버(120) 측으로 이동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동실린더(334)의 재작동시 제1결합커버(110)가 제2결합커버(120)로부터 멀어지도록 되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폐쇄 즉, 닫혀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부재(333)는 연동실린더(334)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린더고정부재(333)는 제2결합커버(12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부재(333)는 관통형성되어 연동실린더(334)의 실린더 축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실린더(334)는 연동부재(332)를 제2결합커버(120) 측으로 이동시켜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를 개방시키거나, 연동실린더(334)의 작동으로 연동부재(33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시켜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가 닫혀짐으로 배관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홈(335)은 밀착부재(336)가 삽입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홈(335)은 제1결합커버(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홈(335)은 밀착부재(336)가 삽입 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연동실린더(334)의 작동으로 밀착홈(335)에 밀착부재(336)가 삽입 및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336)는 밀착홈(335) 내부로 삽입되어 제1결합커버(110)와 제2결합커버(120)의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336)는 밀착홈(335)과 대응되는 위치인 제2결합커버(12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센서(337)는 밀착홈(335)에 삽입되는 밀착부재(336)가 일정 압력을 가해 고정시 이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센서(337)는 밀착홈(335) 내부 로 형성되어 밀착부재(336)가 삽입 됨에 따라 감지되는 신호로 연동실린더(334)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결로방지커버 및 결로방지배관을 포함하는 결로방지장치(10)의 결로방지배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로방지배관(500)는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로방지배관(500)는 배관에 실리콘과 보온재와 테이핑을 통해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로방지배관(500)는 결로방지배관(500), 습도방지실리콘(520), EPDM보온재(530), 보온테이프(540)를 포함한다.
상기 결로방지배관(500)은 유체 또는 기체 중 어느 하나가 흐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로방지배관(500)은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로방지배관(5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거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어느 배관을 사용하든 유체 또는 기체와 외부의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결로방지배관(5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결로방지배관(500)에 실리콘과 보온재와 보온테이프(540)를 이용하여 외부에 결로방지배관(50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도방지실리콘(520)은 결로방지배관(500)의 외둘레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습도방지실리콘(520)은 배관으로부터 두께가 5T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PDM보온재(530)는 습도방지실리콘(520)의 외둘레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EPDM보온재(530)는 습도방지실리콘(520)으로부터 두께가 10T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테이프(540)는 EPDM보온재(530) 외둘레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온테이프(540)는 EPDM보온재(530)로부터 두께가 0.2T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결로방지배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이중보온관부(6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보온관부(600)는 배관과 보온관 사이에 진공과 충진재를 형성하여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보온관부(600)는 제1보온플랜지(610), 제2보온플랜지(620), 플랜지힌지(630), 플랜지체결핀(640), 플랜지체결고리(650), 배관고정바(660), 보온충진재관(670), 보온재(671), 밀폐링(680), 링홈(681), 진공관(690),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온플랜지(610)는 배관의 일측에서 배관 둘레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보온플랜지(610)는 배관의 일측 즉, 절반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온플랜지(610)는 제2보온플랜지(620)와 플랜지힌지(630)로 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온플랜지(620)는 배관의 타측에서 배관 둘레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보온플랜지(620)는 배관의 타측 즉, 절반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온플랜지(620)는 제1보온플랜지(610)와 플랜지힌지(630)로 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힌지(630)는 제1보온플랜지(610)와 제2보온플랜지(620) 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힌지(630)는 제1보온플랜지(610)와 제2보온플랜지(620) 일측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체결핀(640)은 플랜지체결고리(650)가 걸려 잠금 체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체결핀(640)은 제1보온플랜지(610) 일측으로 즉, 플랜지힌지(630)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체결고리(650)는 플랜지체결핀(640)에 걸려 잠금 체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체결고리(650)는 제2보온플랜지(620) 일측으로 즉, 플랜지힌지(630)의 반대측 더욱상세하게는 플랜지체결핀(64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고정바(660)는 제1보온플랜지(610)와 제2보온플랜지(620)가 배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보온충진재관(670)에 연결 형성되고, 타측이 배관에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배관에 고정 연결되는 측의 배관고정바(660)는 제1보온플랜지(610)와 제2보온플랜지(620)가 배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경우 밀착 접촉되어 배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형성되며, 보온충진재관(670)에 연결 형성되는 배관고정바(660)의 일측은 용접 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충진재관(670)은 보온재(671)가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온충진재관(670)은 제1보온플랜지(610)의 내측면과 제2보온플랜지(6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충진재관(670)은 관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관이 보온충진재관(67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재(671)는 보온충진재관(670)에 충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온재(671)는 보온충진재관(670)과 제1보온플랜지(610) 사이, 보온충진재관(670)과 제2보온플랜지(620) 사이에 충진되거나, 보온충진재관(670) 내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관 내부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링(680)은 제1보온플랜지(610)와 제2보온플랜지(620)의 밀착 결합시 외부의 공기 또는 내부의 공기 중 어느 측의 공기가 상호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밀폐링(680)은 제1보온플랜지(610)의 일측과 제2보온플랜지(6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링홈(681)에 삽입 수용되어 눌려 밀착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홈(681)은 밀폐링(680)이 삽입 수용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링홈(681)은 제1보온플랜지(610)와 제2보온플랜지(620) 일측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링홈(681)에 밀폐링(680)이 삽입되어 일정 눌려짐으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의 이동을 차단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관(690)은 제1보온플랜지(610)와 배관 사이의 공간, 제2보온플랜지(620)와 배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만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관(690)은 일측이 제1보온플랜지(61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타측은 외부로 형성되는 진공펌프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펌프는 진공관(690)을 통해 제1보온플랜지(610)와 배관 사이의 공기, 제2보온플랜지(620)와 배관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동력으로, 상기 진공펌프는 외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결로방지배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보온재테이핑부(700)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온재테이핑부(700)는 설정되는 길이와 설정되는 테이핑 두께에 따라 보온재(671)가 배관을 따라 자동 테이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재테이핑부(700)는 상부롤러지지대(710), 하부롤러지지대(711), 회전롤러(720), 상부고정바(730), 하부고정바(731), 바회전힌지(740), 지지부재(750), 지지핀(751), 지지대잠금핀(760), 지지대잠금고리(77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롤러지지대(710)는 배관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롤러(720)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롤러지지대(710)는 복수의 회전롤러(720) 상부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롤러지지대(710)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지지대(710)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개구측으로 상부고정바(730)가 바회전힌지(740)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롤러지지대(710)의 개구부 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는 회전롤러(7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되어 핀에 회전롤러(72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지지대(710)의 개구부 반대측으로는 개폐힌지가 형성되어 복수의 회전롤러(720)가 배관에 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부롤러지지대(710)는 일측이 개폐힌지를 통해 개구부가 일정 각도로 열리며, 열려진 상태에서 배관 상에 밀착시키며, 상부롤러지지대(710)를 초기 형상으로 위치시 배관에 완전 밀착되어 배관에 회전롤러(720)가 완전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롤러지지대(711)는 배관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롤러(720)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롤러지지대(711)는 복수의 회전롤러(720)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롤러지지대(711)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롤러지지대(711)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개구측으로 하부고정바(731)가 바회전힌지(740)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하부롤러지지대(711)의 개구부 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는 회전롤러(7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되어 핀에 회전롤러(72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지지대(711)의 개구부 반대측으로는 개폐힌지가 형성되어 복수의 회전롤러(720)가 배관에 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부롤러지지대(711)는 일측이 개폐힌지를 통해 개구부가 일정 각도로 열리며, 열려진 상태에서 배관 상에 밀착시키며, 상부롤러지지대(710)를 초기 형상으로 위치시 배관에 완전 밀착되어 배관에 회전롤러(720)가 완전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롤러(720)는 배관 양측으로 형성되어 배관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롤러(720)는 배관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향되거나, 하향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롤러(720)를 배관을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어 배관 상에서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회전시 상향되거나, 하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고정바(730)는 상부롤러지지대(7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개구부 측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바(730) 일측은 상부롤러지지대(710) 일측에 바회전힌지(740)를 통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바(730)는 일측이 상부롤러지지대(710)와 바회전힌지(740)를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지지대잠금핀(7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부고정바(730)가 상부롤러지지대(710) 측으로 이동시 상부롤러지지대(710) 일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잠금고리(770)가 상부고정바(730)에 형성되는 지지대잠금핀(760)에 걸어 잠금이 이루어짐으로 상부고정바(730)가 상부롤러지지대(710)에 밀착 고정되며, 이때, 밀착고정에 따라 복수의 회전롤러(720)가 배관에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바(731)는 하부롤러지지대(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개구부 측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고정바(731) 일측은 하부롤러지지대(711) 일측에 바회전힌지(740)를 통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바(731)는 일측이 하부롤러지지대(711)와 바회전힌지(740)를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지지대잠금핀(7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부고정바(731)가 하부롤러지지대(711) 측으로 이동시 하부롤러지지대(711) 일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잠금고리(770)가 하부고정바(731)에 형성되는 지지대잠금핀(760)에 걸어 잠금이 이루어짐으로 하부고정바(731)가 하부롤러지지대(711)에 밀착 고정되며, 이때, 밀착고정에 따라 복수의 회전롤러(720)가 배관에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회전힌지(740)는 상부롤러지지대(710) 상에서 상부고정바(730)가 회동가능하도록 상부롤러지지대(710) 일측과 상부고정바(730) 일측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하부롤러지지대(711) 상에서 하부고정바(731)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부롤러지지대(711) 일측과 하부고정바(731) 일측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750)는 지지핀(751)이 수직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750)는 상부롤러지지대(710)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750)는 보온재(671)가 지지핀(751)에 삽입시 이탈되지 않도록 보온재(671)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핀(751)은 권취되는 보온재(671)가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핀(751)은 지지부재(750) 상면에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핀(751)은 보온재(671)의 내경에 맞게 형성되어 지지핀(751)에서 보온재(671)가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보온재테이핑부(700)가 배관 둘레로 회전시 보온재(671)가 일정 힘에 의해 배관에서 당겨져 테이핑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잠금핀(760)은 지지대잠금고리(770)의 고리부분이 걸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잠금핀(760)은 상부롤러지지대(710)의 개구부측의 끝단과 하부지지대롤러의 개구부측 끝단에 각각 형성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잠금고리(770)는 지지대잠금핀(760)에 고리를 걸어 잠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잠금고리(770)는 지지대잠금핀(760)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부고정바(730)와 하부고정바(731)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롤러는 외주면으로 우레탄 코팅으로 형성되어, 배관에 밀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는 도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롤러에 형성되어 회전롤러를 회전시켜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결로방지장치
100 : 결로방지커버 110 : 제1결합커버
120 : 제2결합커버 130 : 배관결합홈
140 : 배관밀착홈 150 : 걸림단
160 : 커버보온재 170 : 보온실리콘
180 : 체결홈 190 : 체결돌기
200 : 마그네틱체결부 210 : 힌지스프링
220 : 마그네틱부재 230 : 금속부착면
240 : 분리부재
300 : 자동체결부 310 : 밸브안착센서
320 : 스크류체결수단 321 : 체결힌지
322 : 고정부재 323 : 체결모터
324 : 체결스크류 325 : 체결부재
326 : 체결센서 330 : 실린더체결수단
331 : 연동힌지 332 : 연동부재
333 : 실린더고정부재 334 : 연동실린더
335 : 밀착홈 336 : 밀착부재
337 : 밀착센서
500 : 결로방지배관 510 : 배관
520 : 습도방지실리콘 530 : EPDM보온재
540 : 보온테이프
600 : 이중보온관부 610 : 제1보온플랜지
620 : 제2보온플랜지 630 : 플랜지힌지
640 : 플랜지체결핀 650 : 플랜지체결고리
660 : 배관고정바 670 : 보온충진재관
671 : 보온재 680 : 밀폐링
681 : 링홈 690 : 진공관
700 : 보온재테이핑부 710 : 상부롤러지지대
711 : 하부롤러지지대 720 : 회전롤러
730 : 상부고정바 731 : 하부고정바
740 : 바회전힌지 750 : 지지부재
751 : 지지핀 760 : 지지대잠금핀
770 : 지지대잠금고리 780 : 롤러구동모터

Claims (2)

  1.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배관밸브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결로방지커버에 있어서,
    상기 결로방지커버는,
    배관에 형성된 밸브를 감싸도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커버;
    배관에 형성된 밸브를 감싸도록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커버;
    배관이 걸리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배관결합홈;
    배관과 배관에 연결형성되는 밸브가 밀착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내부로 형성되는 배관밀착홈;
    배관과 결합된 밸브에 형성되는 홈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걸림단;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내면으로 형성되는 커버보온재;
    커버보온재 외부로 형성되는 보온실리콘;
    제2결합커버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체결되도록 제1결합커버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체결홈;
    체결홈과 대응되는 제2결합커버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가 결로방지커버는,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가 마그네틱을 통해 체결하기 위한 마그네틱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체결부는,
    제1결합커버의 일측과 제2결합커버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원터치로 개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힌지스프링;
    제1결합커버를 제2결합커버 측으로 부착시 금속부착면에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틱부재;
    마그네틱부재가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1결합커버 일측으로 마그네틱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금속부착면;
    금속부착면에 부착된 마그네틱부재를 분리하기 위해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로방지커버는,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가 자동 탈부착되기 위한 자동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체결부는,
    배관에 형성되는 밸브의 안착을 감지하기 위해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내측으로 형성되는 밸브안착센서; 및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를 스크류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스크류체결수단; 및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를 실린더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실린더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체결수단은,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의 개폐시 일측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힌지;
    일측으로 체결스크류가 결합되고, 타측으로 체결모터가 형성되도록 제1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체결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모터;
    일측이 체결모터와 결합되며, 타측이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부재와 스크류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스크류;
    체결스크류가 삽입 수용되도록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재;
    체결스크류의 회전으로 접촉되는 고정부재 일측면과 체결부재 일측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체결부재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체결수단은,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의 개폐시 일측을 기준으로 개폐되도록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연동힌지;
    일측이 실린더 축에 연결되어 연동실린더의 작동시 제2결합커버측으로 제1결합커버가 이동되도록 제1결합커버 하부로 형성되는 연동부재;
    연동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해 제2결합커버 하부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부재;
    연동부재를 제2결합커버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하기 위해 실린더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연동실린더;
    밀착부재가 삽입 밀착되도록 제1결합커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홈;
    밀착홈 내부로 삽입되어 제1결합커버와 제2결합커버의 밀착 결합되도록 제2결합커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
    밀착홈 측으로 밀착되는 밀착부재의 밀착압력을 센싱하기 위해 밀착홈 내부로 형성되는 밀착센서를 포함하는 결로방지커버.

  2. 삭제
KR1020200061374A 2020-05-22 2020-05-22 결로방지커버 KR10217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74A KR102176036B1 (ko) 2020-05-22 2020-05-22 결로방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74A KR102176036B1 (ko) 2020-05-22 2020-05-22 결로방지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036B1 true KR102176036B1 (ko) 2020-11-06

Family

ID=7357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374A KR102176036B1 (ko) 2020-05-22 2020-05-22 결로방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9127A (zh) * 2022-04-08 2022-07-08 杜肯新材料(武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风管保温的施工方法
KR102514180B1 (ko) * 2022-02-23 2023-03-29 주식회사 진흥플랜트 배관용 단열재 보호 덕트
KR102525759B1 (ko) * 2022-02-23 2023-04-26 구용우 배관용 단열재 보호 덕트를 배관에 설치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29B1 (ko) 2019-03-28 2019-05-15 이영신 온도조절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KR102062042B1 (ko) * 2019-08-27 2020-01-03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밸브용 결로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29B1 (ko) 2019-03-28 2019-05-15 이영신 온도조절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KR102062042B1 (ko) * 2019-08-27 2020-01-03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밸브용 결로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180B1 (ko) * 2022-02-23 2023-03-29 주식회사 진흥플랜트 배관용 단열재 보호 덕트
KR102525759B1 (ko) * 2022-02-23 2023-04-26 구용우 배관용 단열재 보호 덕트를 배관에 설치하는 방법
CN114719127A (zh) * 2022-04-08 2022-07-08 杜肯新材料(武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风管保温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036B1 (ko) 결로방지커버
KR102176037B1 (ko) 결로방지배관
AU2009331932B2 (en) Cover device for a pipe, and pipe having such a cover device
US4103701A (en) Freeze-proof cap for outdoor faucet
US4422674A (en) Tamper proof gas meter
US20080078841A1 (en) Fire Stop Outlet for Small Duct, High Velocity Air Distribution Systems
US8205859B2 (en) Extended valve handle
EP4071316B1 (fr) Dispositif de drainage equipé d'un manchon de fixation pour construction, notamment un toit de batiment ou une terrasse
KR100889357B1 (ko) 지중 배전용 배관파이프 방수구조
KR101799490B1 (ko) 방폭형 배선함
US7603792B1 (en) Dryer hose attachment apparatus
CA2690830C (en) Externally engaging test barrier
US6293301B1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enclosure having improved access
US9285048B2 (en) Anti-contamination valve handle shroud
US5927340A (en) Access plus with sealing for high temperature equipment
KR102457234B1 (ko) 방수어셈블리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US20200318324A1 (en) Faucet insulation apparatus
US4297966A (en) Valve indicator post
KR102355218B1 (ko) 결로방지용 밸브캡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4798B1 (ko) 내장형 가스차단 장치
KR200416978Y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1949985B1 (ko)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JP6826457B2 (ja) 断熱材付管体に接続される接続体装置、水切り部材の設置構造、及び断熱材端部の覆い構造
US20190169823A1 (en) Faucet Insulator
JP5319244B2 (ja) 波付保護管の接続構造及び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