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975B1 -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975B1
KR102175975B1 KR1020130147844A KR20130147844A KR102175975B1 KR 102175975 B1 KR102175975 B1 KR 102175975B1 KR 1020130147844 A KR1020130147844 A KR 1020130147844A KR 20130147844 A KR20130147844 A KR 20130147844A KR 102175975 B1 KR102175975 B1 KR 10217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ube
condenser
magnesium
shaft
baff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249A (ko
Inventor
최국선
한길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9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20Obtaining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22Ob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C22B5/16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with volatilisation or condensation of the metal being produc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12Shells or casing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08Removable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마그네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고 품위의 마그네슘 크라운을 얻을 수 있도으며, 복사열에 의한 화재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내부에 원료인 단광이 수용되고 환원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 외측에 설치되어 반응관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 상기 반응관 상부에 배치되어 반응관에서 생성된 금속환원증기에서 마그슘을 증착 회수하는 응축기, 상기 반응관 상단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반응관 내에서 응축기 하부에 배치되어 응축기로 이동되는 금속환원증기를 응축기 내면으로 유도하고 응축기로 유입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베플판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DEVICE FOR MAGNESIUM THERMAL REDUCTION}
본 발명은 열환원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마그네슘 크라운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을 함유한 합금재료는 우수한 기계 가공성과 높은 진동 감쇠능, 진동 및 충격에 대한 탁월한 흡수성, 경량성, 우수한 전자파 차폐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컴퓨터, 카메라, 휴대전화 등의 부품으로 마그네슘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통상 마그네슘(Mg)은 반응관(retort)을 통해 마그네슘이 포함된 단광을 반응온도까지 가열하여 순 마그네슘을 얻는 열환원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마그네슘 열환원 공정은 마그네슘 원료인 소성 백운석과 환원제인 페로실리콘 그리고 촉매인 형석 분말로 이루어진 단광을 반응관에 장입하고,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며 단광을 승온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마그네슘 단광이 반응관에 장입되면 반응관 외부의 가열로에서 반응관에 약 1100 ~ 1200℃ 정도의 열을 공급하여 마그네슘 증기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마그네슘 증기는 반응관에 연결되어 마그네슘 융점 이하의 온도로 유지관리되는 응축기에서 증착되어 고체상의 마그네슘 크라운(crown)으로 석출된다. 상기 일련의 공정이 완료되면 반응관 상부를 개방하여 응축된 마그네슘 크라운을 추출하고 반응관 하부를 개방하여 반응이 완료된 단광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마그네슘 제조시 생산성, 에너지 효율 및 반응관 수명 향상을 위해 반응관의 크기를 크게하고 응축기의 직경 및 길이 역시 크게 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반응관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마그네슘 크라운의 추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승하는 마그네슘 증기에 의해 응축기의 상부에 마그네슘이 증착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는 응축기의 직경이 클수록 커지게 된다.
또한, 반응관 하부 단광에서 고온의 복사열이 응축기쪽으로 올라오게 되는 데, 종래의 경우 이러한 과도한 복사열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았다.
이에, 마그네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고 품위의 마그네슘 크라운을 얻을 수 있도록 된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사열에 의한 화재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된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는 내부에 원료인 단광이 수용되고 환원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 외측에 설치되어 반응관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 상기 반응관 상부에 배치되어 반응관에서 생성된 금속환원증기에서 마그슘을 증착 회수하는 응축기, 상기 반응관 상단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반응관 내에서 응축기 하부에 배치되어 응축기로 이동되는 금속환원증기를 응축기 내면으로 유도하고 응축기로 유입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베플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플판은 중심을 이루는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반응관의 방사방향으로 펼쳐진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비틀려져 프로펠러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베플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체 중심에 연결되어 반응관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커버 상부로 연장되고, 커버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플판에 의한 응축기 하부 차단량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회전체에 대해 날개의 축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체 내부에서 날개의 축에 설치된 베벨기어와, 회전체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각 날개 축에 설치된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회동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은 회전체 중심을 관통하여 파이프 형태의 회전축 내부를 통해 반응관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스텝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그네슘 증기의 흐름을 응축기의 내면쪽으로 유도하여 응축기 내면에 마그네슘의 증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응축기에서의 마그네슘 증착 형상 제어가 용이하고 마그네슘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응로 하부에서 응축기로 유입되는 복사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고품질의 마그네슘 크라운을 제조할 수 있고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응관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하단응축기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어 마네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의 반응관 상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의 베플판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의 베플판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의 베플판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는 마그네슘에 대한 열환원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그네슘을 포함한 모든 금속의 열환원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환원 장치(100)는 환원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관(10)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로는 응축된 마그네슘 크라운을 인출하고, 하부로는 슬래그가 배출되는 수직형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열환원 장치(100)는 수직형태로 배치되고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반응관(10)과, 반응관(10) 가열을 위한 가열로(20), 반응관 내에 설치되어 마그네슘이 증착되는 응축기(30), 상기 반응관(10) 상단을 밀폐하는 커버(40)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관(10)은 내부에 돌로마이트와 환원제 분말이 소정의 조성으로 혼합 제조된 원료 단광이 채워져 환원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로(20)는 반응관(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반응관(10)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반응관(10)의 상부에는 응축기(3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30)는 반응관(10)에서 생성된 마그네슘 증기를 고체 상태의 마그네슘으로 응축시키게 된다.
상기 반응관(10) 상단에는 커버(40)가 설치되어 반응관(10) 내부를 밀폐한다. 반응관(10)의 측면에는 진공배기구(12)가 형성되어 진공펌프유닛(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다. 진공펌프유닛은 진공배기구(12)를 통해 반응관(10) 내부 증기를 배기하여 반응관(10) 내부를 환원반응에 필요한 진공압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반응관(10)의 하단은 반응 완료된 단광 슬래그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이룬다.
상기 응축기(30)는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깔때기 형태로, 내부를 따라 금속환원증기가 지나는 과정에서 내주면에 마그네슘이 응축된다.
상기 반응관(10)의 외측에는 응축기(3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응축기(30)에 냉기를 가하는 수냉자켓(32)이 설치된다. 상기 수냉자켓(32)은 응축기(30)의 온도를 마그네슘이 응축 가능한 온도 범위로 유지시킨다.
이하 설명에서 상부 또는 상단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반응관(10)을 중심축선을 따라 위쪽 방향을 의미하며, 하부 또는 하단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인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수직으로 세워진 반응관의 중심척선에 직각인 면을 수평면이라 하고, 중심축선에서 수평면을 따라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방사방향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열환원 장치는 반응관(10) 내에서 응축기(30) 하부에 배치되어, 응축기(30)로 이동되는 금속환원증기를 응축기(30) 내면으로 유도하고 응축기(30)로 유입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베플판(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플판(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30)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어 중앙부로 이동되는 금속환원증기를 응축기(30) 내면쪽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반응관(10) 내부는 열환원시 진공 상태이므로, 금속환원증기의 점성 유도 현상이 약해져 마그네슘 입자는 반응관(10) 내에서 상부를 향해 직진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경우 응축기 중앙쪽에서 이동되는 마그네슘 입자는 응축기 내면에서 증착되지 못하고 그대로 위로 이동하여 반응관 상단에 증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열환원 장치(100)는 응축기(30) 하부에 배치된 베플판(50)이 금속환원증기를 응축기(30) 중앙부에서 내면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응축기(30) 내면에 마그네슘을 효과적으로 증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플판(50)은 단광에서 발생되어 위로 올라오는 복사열을 차단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의 베플판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베플판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플판(50)은 중심을 이루는 회전체(52)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반응관(10)의 방사방향으로 펼쳐진 복수개의 날개(5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52)는 복수개의 날개(54)를 지지하는 부재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베플판(50)은 복수개의 날개(54)가 합쳐져 원판 형태를 이룬다. 상기 베플판(50)은 응축기(30)의 하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에, 베플판(50)의 외측 선단과 응축기(30) 하단 사이가 이격되어 틈새가 생기며, 이 틈새를 통해 금속환원증기가 응축기(30)의 내면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베플판(50)을 구성하는 날개(54)는 회전체(52) 중심에서 수평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펼쳐진 판 구조물로, 본 실시예에서는 5개가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로 베플판(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날개(54)는 이웃하는 날개(54)의 측단간에 서로 긴밀하게 접하거나 서로 겹쳐져 날개(54) 사이에 틈새가 없는 하나의 베플판(50)을 구성한다.
이에, 단광에서 발생되어 상승하는 금속환원증기 및 고온의 복사열은 응축기(30) 하부 중앙에 배치된 베플판(50)에 의해 막혀 바로 응축기(30)쪽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고온의 복사열은 베플판(50)에 의해 차단되며, 금속환원증기는 베플판(50)과 응축기(30) 하단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응축기(30) 내면쪽으로 유도되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베플판(50)은 날개(54)가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비틀려져 프로펠러 구조를 이루며, 반응관(10) 일측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마치 팬과 같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베플판(50)이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는 금속환원증기의 입자는 회전하는 날개(54)에 부딪히게 되어 진행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에, 베플판(50)은 금속환원증기의 흐름을 더욱 더 교란시켜 증기 입자를 응축기(30) 내면쪽으로 더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54)의 비틀림 각도는 공정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는 회전체(52) 중심에 연결되어 반응관(10)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60)과, 상기 회전축(60)에 연결되어 회전축(6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60)은 반응관(10) 중심에서 위로 연장되어 커버(40) 외측으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커버(40)에는 회전축(60)과의 사이에 실링패드(61)가 설치되어 두 부재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회전축(60)과 구동모터(62) 사이의 동력전달을 위해, 구동모터(62)의 구동축과 회전축(60) 사이에 감속기어박스(64)가 설치될 수 있다. 감속기어박스는 복수개의 기어가 설정된 기어비로 맞물려있는 구성부로 이해할 수 있다. 구동모터(62)의 동력은 감속기어박스(64)를 통해 회전축(60)으로 전달되고,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베플판(50)이 마치 팬(fan)처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베플판(50)을 이루는 날개(54)가 회전하면서 금속환원증기의 흐름을 교란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62)에 의한 회전축(60)의 회전속도는 마그네슘의 응축 프로파일 형태나 복사열의 열흐름과 온도 등에 따라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장치는 베플판(50)의 회전속도 제어 외에, 베플판(50)에 의한 응축기(30) 하부 차단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마그네슘의 응축 프로파일 형태나 복사열의 열흐름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상기 베플판(50)에 의한 응축기(30) 하부 차단량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는 회전체(52)에 대해 날개(54)의 축(55)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체(52) 내부에서 날개(54)의 축(55)에 설치된 베벨기어(70)와, 회전체(52)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각 날개(54) 축에 설치된 베벨기어(70)와 맞물리는 중심기어(72), 상기 중심기어(72)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회동축(74), 상기 회동축(74)에 연결되어 회동축(74)을 정역 회전시키는 스텝모터(7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52)는 내부가 빈 함체 구조물로, 각 날개(54)의 축(55)이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 회전체(52)는 날개(54) 회동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날개(54)와 접하는 면은 평면을 이루어, 다각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플판(50)은 5개의 날개(54)로 구성되므로, 회전체(52)는 측면이 5개인 오각형태를 이룬다. 회전체(52)의 각 면에 날개(54)의 축(55)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체(52)에 결합된 각 날개(54)의 축(55)은 회전체(52)의 중심을 향하며, 그 선단에 베벨기어(7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52)의 내부 중심에 중심기어(72)가 위치한다. 그리고 각 날개(54)의 축(55)에 설치된 베벨기어(70)가 회전체(52) 내부에서 중심기어(72)와 맞물린다. 상기 중심기어(72)와 베벨기어(70)는 기어형성면이 경사면을 이루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서로 직교하는 날개(54)의 축(55)과 중심기어(72)의 회동축(74) 간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기어(72)를 회전시키는 회동축(74)과, 회전체(52)를 회전시키는 회전축(60)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므로 이중관 형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60)은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를 이루며, 회전축(60)의 내부에 회동축(74)이 설치된다. 회전축(60)은 회전체(52)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회동축(74)은 회전축(60) 내부로 설치되어 회전체(52) 중심을 관통하여 중심기어(72)와 연결된다. 회전축(60)의 상단에 스텝모터(76)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74)에 연결된다. 스텝모터(76)는 회전축(60)과 같이 회전하게 되며, 자체 동력을 회동축(74)에 전달하여 회전축(60)의 회전과 별도로 회동축(74)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74)에 의해 중심기어(72)가 회전하게 되면 중심기어(72)에 베벨기어(70)를 매개로 맞물려 있는 각 날개(54)의 축(55)이 동시에 회동하게 된다. 날개(54)의 축(55)이 회전체(52)에 대해 회동됨으로써, 날개(54)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비틀려지게 된다.
날개(54)가 수평면에 평행한 상태에서 비틀려짐에 따라 날개(54)와 날개(54) 사이가 벌어지면서 베플판(50)에 틈새가 발생된다. 따라서, 베플판(50)은 날개(54)가 수평면에 평행하여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날개(54)가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비틀려지면 날개(54) 사이가 벌어져 점차 개방되고, 날개(54)의 비틀림 각도가 커짐에 따라 베플판(50)의 개방량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베플판(50)을 구성하는 날개(54) 사이를 벌림으로써, 베플판(50)에 의한 응축기(30) 하부 차단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베플판(50)의 날개(54)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금속환원증기와 복사열은 개방된 베플판(50)의 날개(54) 사이를 통해서도 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날개(54)의 비틀림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베플판(5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응축기(30) 상부로 이동되는 복사열과 금속환원증기의 유입량을 마그네슘의 응축 프로파일 형태나 온도 등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응축기(30) 내부의 온도 분포를 제어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마그네슘의 증착 거동을 원하는 형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반응관 20 : 가열로
30 : 응축기 40 : 커버
50 : 베플판 52 : 회전체
54 : 날개 55 : 축
60 : 회전축 62 : 구동모터
64 : 감속기어박스 70 : 베벨기어
72 : 중심기어 74 : 회동축
76 : 스텝모터

Claims (8)

  1. 내부에 원료인 단광이 수용되고 환원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응관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
    상기 반응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관에서 생성된 금속환원증기에서 마그네슘을 증착 회수하는 응축기,
    상기 반응관 상단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반응관 내에서 상기 응축기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 이동되는 금속환원증기를 응축기 내면으로 유도하고 상기 응축기로 유입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베플판, 및
    상기 베플판에 의한 상기 응축기 하부 차단량을 조절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플판은 중심을 이루는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반응관의 방사방향으로 펼쳐진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기 날개의 축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체 내부에서 상기 날개의 축에 설치된 베벨기어와, 상기 회전체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각 날개 축에 설치된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중심기어, 상기 중심기어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회동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기어와 상기 베벨기어는 기어형성면이 경사면을 이루어 서로 맞물리는 구조이며,
    상기 날개의 축이 상기 회전체에 회동됨으로써 상기 날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비틀리게 되며, 상기 날개의 비틀림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베플판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비틀려져 프로펠러 구조를 이루는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플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체 중심에 연결되어 반응관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커버 상부로 연장되고, 커버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패드가 설치된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회전체 중심을 관통하여 파이프 형태의 회전축 내부를 통해 반응관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스텝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구조의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KR1020130147844A 2013-11-29 2013-11-29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KR10217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844A KR102175975B1 (ko) 2013-11-29 2013-11-29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844A KR102175975B1 (ko) 2013-11-29 2013-11-29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249A KR20150063249A (ko) 2015-06-09
KR102175975B1 true KR102175975B1 (ko) 2020-11-06

Family

ID=5350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844A KR102175975B1 (ko) 2013-11-29 2013-11-29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9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7644A1 (de) 2012-01-19 2013-07-25 Eth Zuri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akuumdestillation von hochreinem magnesiu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684B1 (ko) * 2002-12-21 2010-02-0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노벽 보수 및 노내가스 상승 차단장치
KR101364483B1 (ko) * 2012-01-10 2014-02-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응축기를 내장한 마그네슘 제조용 열환원장치
KR101364481B1 (ko) * 2012-01-10 2014-02-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증착거동이 변경되는 마그네슘 제조용 열환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7644A1 (de) 2012-01-19 2013-07-25 Eth Zuri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akuumdestillation von hochreinem magnes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249A (ko)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30565B (zh) 用于冷却玻璃板的降温装置
CN108359756A (zh) 一种用于液态熔渣干式离心粒化及余热回收利用系统
FR2976061B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thermique, en particulier de materiaux divises, au moins par rayonnement micro-ondes
CN102636021B (zh) 一种高效节能的磁化焙烧回转窑
CN211614316U (zh) 真空紧耦合气雾化制粉用的预热系统及真空紧耦合气雾化制粉系统
KR102175975B1 (ko) 마그네슘 열환원 장치
CN114042925A (zh) 一种雾化室预热装置
CN104470022B (zh) 一种粉体微波加热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383375A (zh) 光纤拉丝退火装置及光纤
CN209399737U (zh) 一种具有防尘保护的压力烧结炉
CN102818379B (zh) 用于太阳能热发电站的固体粒子空气吸热器
CN105014027B (zh) 一种用于高速连铸机的钢水预冷却装置
CN107034366B (zh) 直通式金属锶的生产工艺
CN108411053A (zh) 一种带升降功能的液态熔渣粒化设备及驱动装置
CN204276912U (zh) 一种旋转离心雾化制备铍及铍合金微球的装置
CN107008887B (zh) 一种包盖外圈可调节升降的钢包烘烤装置
CN111041168B (zh) 一种用于提高立式真空高压气淬设备冷却均匀性的风冷系统
CN206912202U (zh) 一种封闭式镁合金安全移液系统
CN209307231U (zh) 一种电熔镁熔坨的余热回收装置
CN204313637U (zh) 一种滚筒式保护气氛焙烧炉
CN204224657U (zh) 氮气保护非晶铁芯热处理炉
CN207845493U (zh) 光纤拉丝退火装置
CN203316693U (zh) 一种强制热交换的装置
CN109320106A (zh) 一种电熔镁熔坨的余热回收装置及工艺
CN205099710U (zh) 一种新型结构的kr搅拌桨钢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