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965B1 -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965B1
KR102175965B1 KR1020200004974A KR20200004974A KR102175965B1 KR 102175965 B1 KR102175965 B1 KR 102175965B1 KR 1020200004974 A KR1020200004974 A KR 1020200004974A KR 20200004974 A KR20200004974 A KR 20200004974A KR 102175965 B1 KR102175965 B1 KR 10217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plate
water tank
condensation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선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최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선 filed Critical 최희선
Priority to KR102020000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B65D90/044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or supported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interface
    • B65D90/045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or supported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interface the liners being in the form of tiles 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물탱크 본체의 내면에 패널을 설치하여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하고, 본체와 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본체 외부로 배출 및 본체 내에 수용되는 물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물탱크 본체의 내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패널부들을 일부분 상호 중첩되게 설치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패널부를 적용할 수 있으며, 패널부를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설치되는 패널부의 일 측을 인접하는 타 측 패널부를 통해 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은폐시킴으로서 체결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본체와 패널부 사이에 결로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로수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본체와 패널부 사이의 틈에서 발생하는 결로수가 본체와 패널부 사이에 잔재하는 것을 방지 및 식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로수에 의한 패널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Concrete water tank l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물탱크 본체의 내면에 패널을 설치하여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하고, 본체와 패널 사이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본체 외부로 배출 및 본체 내에 수용되는 물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공시설 등 집단 주거시설의 경우에 식수를 저장 보관하기 위한 대용량의 물탱크를 설치하여야 하며, 기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된 물탱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물탱크는 내부에 구비된 수조 내면에 수지재의 도포층을 형성함으로써 식수가 콘크리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 및 방수성을 보장하고 있으나,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도포층이 벗겨지므로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수조 내면에 도포되는 도포층은 대략 10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면 수조 내면에 대한 접착력이 약화되고 물성 변화에 의하여 벗겨지며, 벗겨진 수지재가 식수에 함유될 뿐 아니라 콘크리트에 식수가 접촉됨으로 인하여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오래된 콘크리트 물탱크는 부식 등으로 인하여 내면의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므로 도포층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재시공 후에도 쉽게 벗겨지는 원인이 되며, 도포층 자체에서 발산되는 유해물질에 의하여 식수의 안정성이 보장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탱크의 내벽에 스테인레스 패널을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한번 시공 후에 재보수할 필요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균열에 대처할 수 있으며, 수질의 안전성이 보장되므로 그 시공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패널과 물탱크의 내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고, 이 공간부에는 결로현상에 의해 결로수가 생성되어 공간부에 잔존하므로 부패될 뿐 아니라, 패널이 내측으로 팽창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952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398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물탱크 내면에 금속재 패널을 부착시 물탱크 내면과 패널 사이의 틈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물탱크 내면과 패널 사이에 형성된 배수로를 통하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결로수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로수에 의해 패널이 변형되거나 콘크리트 벽체가 부식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물탱크를 반영구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부착된 금속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조립시 시공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은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패널의 일면에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효율적으로 부착시킴과 동시에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박리를 막을 수 있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 표면에 접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며,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부는 일 측 단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 사이로 다른 패널부가 일정 깊이 진입되어 중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가 일정 부분 분리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 사이로 진입된 다른 패널부의 베이스플레이트가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점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시트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 사이로 진입된 다른 패널부의 시트부 외주면을 감싸 덮을 수 있게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패널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상기 본체의 바닥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결로수배출로가 형성되도록 굴곡진 결로수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면에 결합되는 부직포시트와, 상기 부직포시트의 일 면에 결합되는 폴리프로필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부가 분리된 일 측 패널부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앙카부재 및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일 측 패널부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 사이로 삽입되는 타 측 패널부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부재를 감싸 은폐시킬 수 있도록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 표면에 접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패널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부는 일 측 단부에 상기 본체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본체 내주면 측으로 노출되는 앙카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앙카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와 대향되는 상기 패널부의 타 측 단부에는 일 측 패널부의 제1고정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체결부를 감싸 은폐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의 외측에 밀착 고정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패널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상기 본체의 바닥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결로수배출로가 형성되도록 굴곡진 결로수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면에 결합되는 부직포시트와, 상기 부직포시트의 일 면에 결합되는 폴리프로필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바닥부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맨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맨홀부에는 상기 맨홀부 내의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배출관이 상기 맨홀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배출관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패널부의 결로수배출부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결로수배출부의 결로수배출로를 따라 흐르는 결로수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결로수배출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물탱크 본체의 내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패널부들을 일부분 상호 중첩되게 설치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패널부를 적용할 수 있으며, 패널부를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설치되는 패널부의 일 측을 인접하는 타 측 패널부를 통해 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은폐시킴으로서 체결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패널부를 앙카볼트와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본체에 고정시키고, 패널부 상호간을 접착 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종래 용접방식에 의해 패널부의 휨, 뒤틀림 등의 열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본체와 패널부 사이에 결로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로수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본체와 패널부 사이의 틈에서 발생하는 결로수가 본체와 패널부 사이에 잔재하는 것을 방지 및 식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로수에 의한 패널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부착된 금속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조립시 시공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고,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의 맨홀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본체(100)와, 패널부(2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탱크 구조물로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바닥부와, 바닥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벽면부(110)를 구비하며,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바닥부 일 측에는 하방으로 인입된 맨홀부(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맨홀부(150)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체(100)에는 후술하는 패널부(200)의 일 측 단부를 볼트부재(102)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벽면부(110) 및 바닥부(130)에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앙카부재(101)가 삽입 설치된다.
패널부(200)는 본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시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210)는 평평한 판 상으로 형성되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210)는 강판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부(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 측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부(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 면에 결합되는 부직포시트(221)와, 상기 부직포시트(221)의 일 면에 결합되는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를 포함한다. 시트부(220)는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또는 폴리에틸렌시트일 수도 있고, 폴리프로필렌시트(222)와 폴리에틸렌시트를 조합한 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폴리프로필렌시트(222)의 양 면을 각각 폴리에틸렌시트로 감싼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폴리에틸렌시트의 양면을 각각 폴리프로필렌시트(222)로 감싼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폴리프로필렌시트(222)와 폴리에틸렌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직포시트(221)는 벽면과 대향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 면에 결합된다. 부직포시트(221)는 접착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부직포시트(221)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는 부직포시트(221)의 일 면에 결합된다.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는 접착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부직포시트(221)에 결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및 폴리에틸렌시트는 인체에 무해하며, 강도가 높고 내구성 또한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시트(222)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을 필름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가령,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 40 내지 60중량부, 안료 2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필름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한성을 개선시킨다.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는 강성을 내는 결정형 에틸렌-부텐 블록과 탄성을 내는 무정형 에틸렌-부텐 블록이 교차로 연결된 고분자 구조를 가진다.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는 중량평균분자량 150,000~300,000g/mol일 수 있다.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의 함량은 40 내지 60중량부이다. 에틸렌-부텐 블록 코폴리머의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한 내열성과 내한성 등을 얻을 수 없으며, 60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의 증가가 미미하다.
안료는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청색 안료인 프탈로시아닌 블루(phthalocyanine blue)를 이용한다. 적절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안료는 2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패널부(200)는 베이스플레이트(210), 부직포시트(221),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또는 폴리에틸렌시트가 중첩된 3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직포시트(221)는 단열 및 완충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또는 폴리에틸렌시트의 부착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폴리프로필렌시트(222)나 폴리에틸렌시트를 바로 부착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시트(222)나 폴리에틸렌시트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만, 부직포시트(221)를 중간에 끼워 넣어 폴리프로필렌시트(222)나 폴리에틸렌시트의 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폴리프로필렌시트(222)나 폴리에틸렌시트가 박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주면에 양측 단부가 서로 중첩되게 설치된다.
패널부(200)는 일 측 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시트부(220) 사이로 다른 패널부(200)가 일정 깊이 진입 및 중첩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210)로부터 시트부(220)가 일정 부분 분리된다.
그리고, 일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시트부(220) 사이로 진입되게 설치되고, 일 측 패널부(200)로 진입된 타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일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가 접하는 경계 부분이 점 용접되어 상호 고정된다.
또한, 일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로부터 분리된 시트부(22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시트부(220) 사이로 진입된 타 측 패널부(200)의 외측에 마련된 시트부(220)를 감싸 덮을 수 있도록 접착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패널부(200)는 일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타 측 베이스플레이트(210)가 만나는 경계 부분을 부분적으로 점 용접함으로써 일 측 패널부(200)와 타 측 패널부(200) 상호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10)로부터 분리된 시트부(220)가 다른 패널부(200)의 시트부(220) 외측의 폴리프로필렌시트(222) 또는 폴리에틸렌시트에 부착 고정되어 일 측 패널부(200)와 타 측 패널부(200)가 중첩되는 부분이 밀봉됨으로써 일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타 측 베이스플레이트(210)가 만나는 경계를 따라 경계 전체를 용접하지 않아도 되므로 패널부(200)의 시공이 간편한 하고 신속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패널부(200)에는 본체와 패널부(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본체(100)의 바닥부(13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결로수배출로가 형성되도록 굴곡진 결로수배출부(230)가 형성된다.
결로수배출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20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과 본체를 향해 인입된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물결파 형상 또는 'S'자 형상으로 굴곡진 구조를 적용할 수 있고, 반원형 또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돌출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체는 본체(100)와, 패널부(2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체의 본체(100)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0)에는 패널부(200)의 일 측 단부를 앙카볼트(310) 및 체결너트(320)를 이용하여 본체(100)의 바닥부(130) 상면 및 벽면부(110) 내주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앙카볼트(310)의 일 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패널부(200)는 본체(10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시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시트부(22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체의 베이스플레이트(210) 및 시트부(220)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다.
패널부(200)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면이 본체(100)의 내측 바닥부(130) 및 벽면부(110) 표면에 밀착 고정되고, 복수가 서로 인접되게 배치 및 일 측 단부가 타 측 단부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패널부(200)는 상하 길이보다 좌우 폭이 더 긴 형태의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좌우 폭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긴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널부(200)의 일 측 단부에는 본체(100)에 일 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 단은 본체(100)의 내주면 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앙카볼트(310)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복수의 체결구멍(251)이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앙카볼트(310)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320)에 의해 본체(10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1고정부(2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고정부(250)와 대향되는 패널부(200)의 타 측 단부에는 앙카볼트(310) 및 체결너트(320)에 의해 본체(100)에 좌측 단부가 고정된 일 측 패널부(200)의 제1고정부(250)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260)가 형성된다.
제2고정부(260)는 제1고정부(250)를 본체(100)에 고정시키도록 제1고정부(250)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앙카볼트(310) 및 체결너트(320)를 감싸 은폐시킬 수 있도록 패널부(2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측으로 돌출 및 절곡되게 형성된다.
제2고정부(260)는 앙카볼트(310) 및 체결너트(32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부(262)가 형성된 돌출부(261)와, 돌출부(261)의 단부로부터 패널부(200)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평평하게 연장되어 인접하는 타 측 패널부(200)의 제1고정부(250)에 밀착 또는 접착 고정되는 접착부(263)를 포함한다.
돌출부(261)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홈부(262)는 패널부(200)의 우측 단부 일부를 본체(100)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일정 형상으로 돌출 및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고정부(260)는 삼각 형상으로 절곡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사각 형상 또는 반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263)는 제1고정부(25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고, 제1고정부(250)를 향하는 접착부(263)의 내주면 또는 제1고정부(25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부(263)를 제1고정부(2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측의 패널부(200)와 타 측의 패널부(200) 단부가 일부분 중첩된 부분에는 일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타 측 패널부(200)의 시트부(22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시트(270)가 더 구비된다.
밀봉시트(270)는 일 측이 일 측 패널부(200)의 시트부(220) 가장자리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타 측이 타 측 패널부(200)의 시트부(220) 가장자리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밀봉시트(270)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를 적용할 수 있고, 패널부(200)의 시트부(220)에 접착 또는 열융착을 통해 접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250)와 제2고정부(260) 사이의 패널부(200)에는 패널부(200)를 보강하고, 본체(100)와 패널부(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바닥부(130) 측으로로 안내하기 위한 결로수배출로(231)가 형성되도록 본체와 대향되는 패널부(200)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연장된 결로수배출부(230)가 형성된다.
결로수배출부(23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구조체의 결로수배출부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본체와 패널부(200)를 구비하며, 패널부(200)에 덮개부가 더 구비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덮개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의 패널부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고, 덮개부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의 패널부에 구비된 제1고정부를 적용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패널부(200)의 양측 단부 중에서 일 측 단부(도면 상의 우측 단부)는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0)로부터 시트부(220)가 일정 부분 분리되고, 시트부(220)가 분리된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앙카부재 및 볼트부재에 의해 본체의 벽면부(11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패널부(200)의 양측 단부 중에서 타 측 단부(도면 상의 좌측 단부)는 앙카부재 및 볼트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된 타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시트부(220)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타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시트부(220) 사이로 삽입되는 일 측 패널부(200)의 타 측 단부는 시트부(220)와 베이스플레이트(220)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 및 앙카부재에 고정된 볼트부재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부가 형성된다.
덮개부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에서 도시하고 있는 패널부의 제2고정부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덮개부는 패널부(2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측으로 돌출 및 절곡되게 형성된다.
덮개부는 볼트부재를 내측에 수용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41)와, 돌출부(241)의 단부로부터 패널부(200)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평평하게 연장되어 인접하는 타 측 패널부(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 표면에 고정되는 밀착부(242)를 포함한다.
돌출부(241)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는 패널부(200)의 우측 단부 일부를 벽면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일정 형상으로 돌출 및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덮개부는 삼각 형상으로 절곡한 돌출부(241)를 갖는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사각 형상 또는 반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돌출부를 갖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242)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접하는 경계 부분을 점 용접하여 상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 측 패널부(200)의 외측 시트부(220)와 타 측 패널부(200)의 외측 시트부(220) 사이를 밀봉 처리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은 밀봉시트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시트는 일 측 패널부(200)와 타 측 패널부(200) 사이의 경계 전영역을 밀봉 처리할 수 있도록 패널부(200)의 상하 길이방향을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바닥부(130)보다 하방으로 인입되어 본체(100)에 수용된 물 및 물에 함유되어 침전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맨홀부(15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부에는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메인배출관(510)이 설치되고, 맨홀부(150)에는 맨홀부(150) 내의 이물질을 배출 및 본체(100) 내부의 청소 및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배출관(520)이 설치된다. 메인배출관(510)은 보조배출관(5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 내부로 연장된 메인배출관(510)의 단부에는 메인배출관(510)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1단속밸브(511)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0) 내부로 연장된 보조배출관(520)의 단부에는 보조배출관(520)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2단속밸브(521)가 설치된다.
한편, 보조배출관(520)에는 본체(100)와 패널부(200) 사이로 연장되어 본체(100)와 결로수배출부(230) 사이의 결로수배출로(231)를 따라 흐르는 결로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결로수배출관(525)이 설치된다. 그리고, 결로수배출관(525)의 단부에는 결로수배출관(525)의 유로를 단속하는 제3단속밸브(526)가 설치된다.
제2단속밸브(521)를 폐쇄 및 제3단속밸브(526)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결로수배출관(525) 및 보조배출관(520)을 통해 결로수가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고, 제2단속밸브(521)를 개방 및 제3단속밸브(526)를 폐쇄시킨 상태일에서는 보조배출관(520)을 통해 맨홀부(150)에 모인 침전물이나 이물질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한 메인배출관(510), 보조배출관(520), 제1단속밸브(511), 제2단속밸브(521), 결로수배출관(525), 제3단속밸브(526)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의 본체에 구비된 맨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벽면부
130 : 바닥부 150 : 맨홀부
200 : 패널부 210 : 베이스플레이트
220 : 시트부 221 : 부직포시트
222 : 폴리프로필렌시트 230 : 결로수배출부
250 : 제1고정부 260 : 제2고정부
270 : 밀봉시트 310 : 앙카볼트
320 : 체결너트 510 : 메인배출관
520 : 보조배출관

Claims (8)

  1.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 표면에 접착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며, 양측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부는 일 측 단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 사이로 타 측 패널부가 일정 깊이 진입되어 중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가 일정 부분 분리되고,
    일 측 패널부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시트부 사이로 진입된 타 측 패널부의 베이스플레이트가 일 측 패널부의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점 용접되어 고정되며,
    일 측 패널부의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시트부가 일 측 패널부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시트부 사이로 진입된 타 측 패널부의 시트부 외주면을 감싸 덮을 수 있게 접착 고정되며,
    상기 시트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면에 결합되는 부직포시트와, 상기 부직포시트의 일 면에 결합되는 폴리프로필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패널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상기 본체의 바닥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결로수배출로가 형성되도록 굴곡진 결로수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가 분리된 일 측 패널부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앙카부재 및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일 측 패널부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 사이로 삽입되는 타 측 패널부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부재를 감싸 은폐시킬 수 있도록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부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맨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맨홀부에는 상기 맨홀부 내의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배출관이 상기 맨홀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배출관에는 상기 본체와 상기 패널부의 결로수배출부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결로수배출부의 결로수배출로를 따라 흐르는 결로수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결로수배출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KR1020200004974A 2020-01-14 2020-01-14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KR102175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74A KR102175965B1 (ko) 2020-01-14 2020-01-14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74A KR102175965B1 (ko) 2020-01-14 2020-01-14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965B1 true KR102175965B1 (ko) 2020-11-06

Family

ID=7357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74A KR102175965B1 (ko) 2020-01-14 2020-01-14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9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86B1 (ko) 2005-10-12 2006-03-23 주식회사 현진기업 정수장 및 저수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0669523B1 (ko) 2006-05-04 2007-01-16 주식회사 현진기업 정수장 및 저수조의 스테인리스 라이닝보강 공법
KR20100088179A (ko) * 2009-01-30 2010-08-09 (주)금강 물탱크 제작용 판넬과 이를 채용한 물탱크
KR101212987B1 (ko) * 2012-11-19 2012-12-18 김용철 Pe 수지가 융착된 스테인레스 물탱크
KR101850398B1 (ko) * 2017-10-30 2018-04-19 우영배 콘크리트벽체용 스테인리스 벽체패널 물탱크 및 벽체패널 물탱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86B1 (ko) 2005-10-12 2006-03-23 주식회사 현진기업 정수장 및 저수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0669523B1 (ko) 2006-05-04 2007-01-16 주식회사 현진기업 정수장 및 저수조의 스테인리스 라이닝보강 공법
KR20100088179A (ko) * 2009-01-30 2010-08-09 (주)금강 물탱크 제작용 판넬과 이를 채용한 물탱크
KR101212987B1 (ko) * 2012-11-19 2012-12-18 김용철 Pe 수지가 융착된 스테인레스 물탱크
KR101850398B1 (ko) * 2017-10-30 2018-04-19 우영배 콘크리트벽체용 스테인리스 벽체패널 물탱크 및 벽체패널 물탱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965B1 (ko) 콘크리트 물탱크 라이닝 구조체
ES2387226T3 (es) Cubeta recogedora para dispensador de combustible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AU2008265515A1 (en) Storage tank
CA2461484C (en) Plastic lined concrete tanks equipped with waterstop systems
KR100953395B1 (ko) 조립식 물탱크용 조립부
KR100806634B1 (ko) 폴리에스테르 강화 pvc 방수 시트와 단부 실링재의열화방지 캡을 이용한 옥상의 방수 구조
JP2008008075A (ja) 貯水槽及び地下貯水槽の施工方法
JP5255526B2 (ja) 目地漏水防止構造及び目地漏水防止工法
KR200400176Y1 (ko) 건축용 단열재
KR100478082B1 (ko) 원형 저장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2060041B1 (ko) 방수 구조체
KR1020520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 이음부의 누수방지 시공방법
KR200313076Y1 (ko) 원형 저장탱크
WO2013081251A1 (ko) 보호관이 구비된 배관
EP2409936B1 (en) Water tank,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tank and its use
KR100613166B1 (ko) 방수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물접촉 구조체
KR20060029944A (ko) 수해방지용 제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2883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KR20100005019U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c 암거의 조립구조
JP7158009B2 (ja) 金属部材の漏水防止部材
KR200281814Y1 (ko)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KR200375184Y1 (ko) 수해방지용 제방 구조물
KR100478081B1 (ko) 사각형 외부보강식 저장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313075Y1 (ko) 사각형 외부보강식 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