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6Y1 - 건축용 단열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6Y1
KR200400176Y1 KR20-2005-0024004U KR20050024004U KR200400176Y1 KR 200400176 Y1 KR200400176 Y1 KR 200400176Y1 KR 20050024004 U KR20050024004 U KR 20050024004U KR 200400176 Y1 KR200400176 Y1 KR 200400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moistur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형
Original Assignee
비에스신소재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스신소재개발(주) filed Critical 비에스신소재개발(주)
Priority to KR20-2005-0024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2001/7691Heat reflecting layers or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의 표면 측에 구성된 제1알루미늄층 이외에, 단열재의 내부에 제2알루미늄층을 구성하고, 제2알루미늄층의 양측에 코팅 방습층을 코팅하고, 성형강화제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면에 시공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의 표면 측(실내)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기 및 냉기, 복사열을 차단하거나, 실외에서 내부로 투입되는 열기 및 냉기, 복사열을 차단하는 제1알루미늄층; 이면 측을 벽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 상기 제1알루미늄층과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제1알루미늄층과 함께 이중구조로서 열기 및 냉기, 복사열을 차단하는 제2알루미늄층; 상기 제1알루미늄층과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 구성되며, 단열재를 견고하게 하여 구조의 분리현상을 방지하는 성형강화제층; 상기 제1알루미늄층과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 구성되며, 실내의 온도를 보온하고 습기를 방지하기 위한 PE 폼층; 상기 제2알루미늄층의 양측에 구성되며, 습기(수분)의 침투억제와 금속의 산화방지를 하기 위한 코팅 방습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단열재{Heat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기 및 냉기, 복사열을 이중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습기(수분)의 침투억제 및 금속부분의 산화방지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단열재를 견고하게 하여 층 구조의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벽돌은, 그 자체에 수많은 미세한 기공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건축물 외부의 열기나 냉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건축물 내부의 열기나 냉기가 건축물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열 전달과 관련이 있다. 열 전달에는 전도, 대류, 복사가 있지만, 상기 현상은 특히 복사열의 전달과 상당히 관련이 깊다. 전도는 대부분 고체 또는 대류가 일어나지 않는 액체 또는 점성체가 직접 접촉에 의해 열을 전달되는 것이고, 대류는 흐름이 있는 경우에 열이 직접 전달보다 흐름에 의해 전달되는 것이지만, 복사는 아무런 매개물 없이 즉 허공 중에 열이 그냥 전달되는 것으로서, 태양에서 지구에 온기를 전해주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복사열의 전달 현상 때문에,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의 열기 및 냉기는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여름철에는 외부 열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 냉기가 건축물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더 덥게 되고, 겨울철에는 외부 냉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 열기가 건축물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더욱 춥게 된다.
한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결로현상도 문제가 되고, 내부에서 과다 발생되는 습기의 원활한 배출, 또는 외부에서 과다하게 발생되는 습기의 내부침투의 방지 등의 문제도 건축물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그래서 이러한 건축물의 문제, 특히 실내외의 온도, 습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단열재로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된 3종류를 들 수 있다.
도 1(a)는 A형 단열재의 단면도로서, 단열재의 표면 측, 즉 실내에 노출되는 측에 구비되는 방습용 폴리에틸렌(PE) 재질의 PE 필름층(110a); 상기 PE 필름층(110a)의 내측에 구비되는 알루미늄층(120); 상기 알루미늄층(1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또 하나의 PE 필름층(110b); 상기 내측 PE 필름층(110b)의 내측에 구비되는 부직포층(130); 상기 부직포층(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인 PE 방습층(140); 상기 PE 방습층(140) 내측에 구비되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인 PE 폼(foam)층(150); 상기 PE 폼층(150)의 내측, 즉 벽면 측에 구비되어, 단열재 전체를 건축물의 벽면에 접착을 하기 위한 접착층(160)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A형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120)은 복사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양측에 PE 필름층(110)을 코팅하여 놓은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PE 필름층(110)에서 열을 흡수하여 저장하게 되므로, 단열효과의 저하요인이 된다.
또한, 게다가 상기 부직포층(130)은 벽면 측에 구비되는 PE 방습층(140)에 의하여 벽면 측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가 실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주로 높은 흡수성을 이용하여 실내 측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한 습기(수분)를 흡수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 습기가 상기 알루미늄층(120)의 산화의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한편 화재 시에는 부직포층(130)이 불에 연소되면서 이산화탄소 등 유독가스가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또한, 상기 A형 단열재에 있어서는, 벽면 측에 설치될 때에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방법에 의하여 볼트 등을 이용하여 부착될 때에, 강한 비틀림에 대하여 내구성을 부여하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각 층 구조의 분리현상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b)는 B형 단열재의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상기 도 1(a)의 A형 단열재의 구성 중 PE 방습층(140)만 빠진 구조이므로, 이 B형 단열재 또한 상기 A형 단열재의 단점을 그대로 지니고 있고, 게다가 PE 방습층(140)이 없기 때문에 벽면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습기에 대한 방습에 대단히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도 1(c)는 C형 단열재의 단면도로서, 표면 측에는 복사열 차단을 차단하기 위한 알루미늄층(120); 상기 알루미늄층(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볼트 조임시 제품의 층 구조의 분리를 방지하는 성형강화제층(180); 상기 성형강화제층(180)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 습도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폴리에틸렌(PE) 재질인 PE 폼층(150); 상기 PE 폼층(150)의 내측에 구비되어 건축물의 벽면 측에 접착을 하기 위한 접착층(160)을 포함한다.
상기 C형 단열재는 상기 A형, B형 단열재의 문제점인 볼트 조임시 제품의 층 구조의 분리현상을 해결하기는 하였으나, 단 하나의 PE 폼층(150)을 구비하고 있어서 공기층 확보가 매우 부족하여, 단열효과가 극히 저하된다. 또한, 방습을 막기 위한 구성요소가 없기 때문에, 방습에 대단히 취약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층(120)은 복사열에 대하여 미리 규정된 일정한 차폐율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A형, B형, C형 단열재에 있어서는, 상기 알루미늄층(120)이 단일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복사열의 차폐가 완전치 못하고, 이는 시공과정에서 알루미늄층(120)의 부분파괴가 발생한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즉,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벽면(W)을 투과하여 들어온 복사열(열기 또는 냉기)이 알루미늄층(120)에 의해 반사 또는 차단(a)되지만, 일부의 복사열(b)은 그대로 알루미늄층(120)을 투과하여 전달되어 버린다. 또한, 마찬가지로 실내에서 발생된 복사열(열기 또는 냉기)이 역시 알루미늄층(120)에 의해 반사 또는 차단(c)되지만, 일부의 복사열(d)은 그대로 알루미늄층(120)을 투과하여 전달되어 버린다. 이처럼 단열재 내부에 하나의 알루미늄층(120)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부의 복사열(b, d)을 그대로 통과시키게 되므로, 단열재 본질의 기능을 행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결로현상이나 습기를 방지하며, 시공 시의 단열재의 층 구조의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의 표면 측(실내 측)에 구비되어, 온도, 습도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1반사층과; 단열재의 이면 측(벽면 측)을 벽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과; 상기 제1반사층과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반사층과 함께 이중구조로서 온도, 습도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2반사층; 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반사층과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는, 또한 단열재를 견고하게 하여 층 구조의 분리현상을 방지하는 성형강화층; 다공성 구조에 의하여 온도의 전달을 차단하는 폼층; 습기의 층간 전달을 차단하는 방습층;이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습층은, 상기 제2반사층의 양면에 밀착하여 코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1반사층 또는 제2반사층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반사보호층이 밀착하여 코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 중의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열재는, 적어도 제1반사층(310), 제2반사층(330), 그리고 접착층(1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반사층(310) 및 제2반사층(330)은 복사열의 차단을 위한 것으로서, 둘다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좋고,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도 좋으며, 통상 복사열 차단의 효율이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은박지나 알루미늄 호일, 스텐레스 스틸 호일 등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요컨대 판 또는 시트(sheet)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복사열의 차단효율이 일정 이상인 것이면 어떠한 재질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층(310)은, 본 고안의 단열재의 표면 측, 즉 실내에 면하는 측에 구비된다. 이는, 복사열의 차단을 통하여 온기, 냉기의 전달을 방지하는 층이다. 한편, 상기 제1반사층(310)이 기밀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습기의 차단기능도 갖추게 되므로, 습기의 전달을 방지하는 층으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접착층(160)은, 단열재의 이면 측, 즉 벽면에 면하는 측을 벽면에 접착하기 위한 층이다. 접착의 강도에 있어서는, 통상의 단열재의 시공에 있어서, 볼트 등 별도의 결착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치 설정에 필요한 일시적 접착력만이 부여되는 경우도 있고, 별도의 결착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우 강력하고 지속적인 접착력이 부여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제2반사층(330)은, 상기 제1반사층(310)과 상기 접착층(160)의 사이에 구비되는 층이다. 이는, 상기 제1반사층(310)과 함께 이중구조를 형성하여, 복사열의 2차 차단을 행하는 층이다. 역시 상기 제1반사층(310)과 마찬가지로, 복사열의 전달을 차단하는 특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기밀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습기의 차단도 함께 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단열재에 있어서는, 상기 제1반사층(310)과 상기 접착층(160)의 사이에, 또한 성형강화층(180)과, 폼층(150a, 150b)과, 방습층(320a, 320b)이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된다.
상기 성형강화층(180)은, 단열재를 견고하게 하는 층이다. 이 층에 의하여, 단열재의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며, 볼트 조임과 같은 작업을 할 때에 볼트의 회전력 또는 비틀림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단열재의 층 구조의 분리현상과, 더 심하게는 단열재의 표면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 재질은 폴리에틸렌(PE)으로 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A형 단열재나 B형 단열재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성형강화층(180)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볼트 조임과 같은 작업 시에 단열재의 각 층이 볼트와 함께 회전하면서 꼬임현상이 발생되어, 외형의 일그러짐은 물론, 단열효과의 저하, 누수, 곰팡이발생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성형강화층(180)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에 언급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볼트 조임 작업 이외에도 앵커(anchor) 작업 등에 있어서도,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시공 결과물의 단열효과, 습기차단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폼층(150a, 150b)은, 다공성 구조에 의하여 온도의 전달을 차단하는 층이다. 다공성 구조는 전도성이 극히 낮은 공기층에 의하여 온도의 전도를 차단하는 것이며, 흔히 종래에도 단열재의 구성에서 볼 수 있는 층이다. 이 층의 존재로 인하여 온도의 전도가 차단된다.
상기 폼층(150a, 150b)은 제1반사층(310)과 제2반사층(330)의 사이, 또는, 제2반사층(330)과 접착층(160)의 사이에,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면 좋다. 미세한 다량의 공기층을 포함하고 있어서, 전도 차단에 의하여 온도 전달을 방지하며, 기밀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습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 재질은 폴리에틸렌(PE)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반사층(310)과 제2반사층(330)의 사이, 및 제2반사층(330)과 접착층(160)의 사이에, 각각 PE 폼층(150a, 150b)이 구비되는 경우, 이중구조를 이루어 온도 차단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방습층(320a, 320b)은, 습기의 층간 전달을 차단하는 층이다. 상기 제1반사층(310) 및 제2반사층(330), 또는 상기 폼층(150a, 150b)에 의하여 습기의 전달이 차단될 수도 있지만, 재질에 따라서,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에 있어서는, 습기에 의한 산화와 부식의 폐해가 심각하다. 따라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층의 존재가 필요한 것이다. 방습층(320a, 320b)은 벽면 측의 온도와 실내 측의 온도의 차이에 의한 결로현상, 또는 장마철과 같이 외기의 습기가 다량인 경우, 또는 욕실과 같이 실내의 습기가 다량인 경우 등에 있어서, 습기의 전달을 차단하는 층이다.
특히, 상기 방습층(320)은 제2반사층(33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습기(수분)의 층간 침투 또는 전달의 억제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2반사층(330)의 습기에 의한 산화 방지의 효과도 가질 수가 있다. 그 재질은 폴리에틸렌(PE)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반사층(310)은 단열재의 표면 측에 구비되므로 항상 대기와 접촉하고 있어서, 습기(수분)의 잔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적으나, 제2반사층(330)은 대기와의 접촉이 없으므로 습기(수분)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서, 만일 제2반사층(330)이 습기(수분)와 접촉하였을 경우에는, 재질에 따라서는, 산화되기가 극히 용이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단열재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2반사층(330)의 양면에, 방습층(320)을 코팅하여 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습기(수분)의 침투를 미리 방지하여, 제2반사층(330)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제1반사층(310)과 제2반사층(330)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또한 하나 이상의 성형강화층(180), 폼층(150a, 150b), 방습층(320a, 320b)이 구비되므로, 온도의 전달, 습기의 전달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재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제1반사층(310)과 제2반사층(330)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반사층(310)과 제2반사층(330)은, 건축물의 벽면(W)을 투과하여 전달되는 복사열(열기, 냉기)을 차단한다. 이때, 복사열은 하나의 반사층(310, 330)에 의해 먼저 반사(차단)되는데, 각 반사층은 일정한 반사효율을 가지고 있어서, 미처 반사되지 못한 여분의 복사열은, 그 반사층을 투과하여 버리고 만다. 이때, 그 다음 단의 다른 하나의 반사층(330, 310)에 의하여 투과된 복사열을 재반사하게 되는 것이다.
즉, 건축물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복사열은, 제2반사층(33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차단(a')되고, 이 제2반사층(33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고 유입되는 여분의 복사열은, 제1반사층(310)에 의하여 2차적으로 차단(b')되게 된다. 한편, 건축물의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복사열은 제1반사층(3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차단(c')되고, 이 제1반사층(31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고 유출되는 여분의 복사열은, 제2반사층(330)에 의하여 2차적으로 차단(d')되게 된다. 따라서, 각 반사층이 일정한 반사효율만을 가지고 있더라도, 일부 투과되는 복사열까지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복사열의 확실한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반사층(310) 또는 제2반사층(33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반사보호층(340)이 밀착하여 코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에는, 제1반사층(3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반사보호층(34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반사보호층(340)은 반사층(310, 330)의 어느 측면에 구비되어도 좋으며, 양면에 구비되면 더욱 좋다.
상기 반사보호층(340)은 반사층(310, 330)을 기계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단열재의 유통과정이나 시공과정 등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긁힘 현상이나 반사층(310, 330) 내부에 깊게 패이는 상처를 방지하여, 국부적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국부적 산화는, 결로에 의한 수분의 고임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유출통로가 되며, 단열재 전체 중 일부에 발생되더라도 그 단열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표면 측에 구비되는 제1반사층(310)에는 그 필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한편, 내부에 구비되는 제2반사층(330)의 경우에는, 단열재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긁힘이나 깊은 상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보호층(340)의 구비가 필요하다. 만일, 제2반사층(330)에 방습층(320a, 320b)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 반사보호층(340)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제1반사층과 제2반사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열기 및 냉기와 같은 복사열을 이중구조로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크게 강화할 수 있고, 강화된 단열에 의하여 결로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기밀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반사층과 제2반사층에 의하면 습기 방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성형강화층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있어서, 단열재의 층 구조가 분리되거나 층이 찢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볼트 조임 작업이나 앵커(anchor) 작업 등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반사층의 양측에 코팅 방습층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있어서, 반사층의 산화방지와 습기(수분)의 침투억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반사층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어서, 긁힘이나 깊은 상처의 발생을 예방하여, 국부적 산화를 방지하여, 결로수의 누출을 방지하고, 단열재의 교체 필요성의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단열효과의 극대화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풍차단 효과나 열대야 해소 효과를 크게 하여, 여름철의 냉방비 및 겨울철의 난방비를 더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재의 단면도로서, 도 1(a)는 종래의 A형 건축용 단열재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B형 건축용 단열재의 단면도이며, 도 1(c)는 종래의 C형 건축용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열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단열재의 단열효과를 비교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종래의 단열재의 단일 알루미늄층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이중 알루미늄층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3)

  1.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의 표면 측(실내 측)에 구비되어, 온도, 습도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1반사층과;
    단열재의 이면 측(벽면 측)을 벽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과;
    상기 제1반사층과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반사층과 함께 이중구조로서 온도, 습도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2반사층;
    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반사층과 상기 접착층의 사이에는, 또한
    단열재를 견고하게 하여 층 구조의 분리현상을 방지하는 성형강화층;
    다공성 구조에 의하여 온도의 전달을 차단하는 폼층;
    습기의 층간 전달을 차단하는 방습층;
    이 적어도 한층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습층은, 상기 제2반사층의 양면에 밀착하여 코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층 또는 제2반사층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반사보호층이 밀착하여 코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재.
KR20-2005-0024004U 2005-08-19 2005-08-19 건축용 단열재 KR200400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04U KR200400176Y1 (ko) 2005-08-19 2005-08-19 건축용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04U KR200400176Y1 (ko) 2005-08-19 2005-08-19 건축용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6Y1 true KR200400176Y1 (ko) 2005-11-02

Family

ID=4370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004U KR200400176Y1 (ko) 2005-08-19 2005-08-19 건축용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51B1 (ko) 2006-04-06 2007-07-24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KR100856048B1 (ko) 2007-04-26 2008-09-03 이성 노래방 온돌마루의 적층구조
KR100860584B1 (ko) * 2007-06-12 2008-09-26 김윤경 반사형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와 그 제조방법
WO2023075142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에어론 고온 기후 대응형 열반사 단열재가 적용된 단열 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51B1 (ko) 2006-04-06 2007-07-24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KR100856048B1 (ko) 2007-04-26 2008-09-03 이성 노래방 온돌마루의 적층구조
KR100860584B1 (ko) * 2007-06-12 2008-09-26 김윤경 반사형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와 그 제조방법
WO2023075142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에어론 고온 기후 대응형 열반사 단열재가 적용된 단열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6824B2 (en) Wall construction and component for the same
US5316835A (en) Low emissivity insulation
US20190040626A1 (en) Layered insulation system
KR100741951B1 (ko)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WO2006063333A2 (en) Heat and mosture disipating building cladding
KR200400176Y1 (ko) 건축용 단열재
EP2225426B2 (fr) Systeme d&#39;isolation de bâtiments par l&#39;exterieur
US6351914B1 (en) Light-transmitting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
KR101616496B1 (ko) 건축물의 다기능 보온단열재가 부착된 패널
US10632708B2 (en) Insulating film
KR101105393B1 (ko) 건축물용 고효율 단열재
US4902550A (en) Laminated insulating material
BRPI0714731A2 (pt) material de construÇço para revestimento, isolante tÉrmico e, preferivelmente, tambÉm acéstico
NL2004114C2 (en) External wall insulation system.
JP2010013839A (ja) 断熱壁
CN211473149U (zh) 一种建筑外墙保温防水构造
US6397554B1 (en) Energy-saving heat insulation of buildings
CN209384436U (zh) 一种防水保温墙体结构
KR20090063831A (ko) 열반사 단열재용 알루미늄시트
KR100408080B1 (ko) 결로방지와 차음효과 개선의 복합외장판넬 시공구조
JP2019065681A (ja) 外断熱構造及び外断熱工法
CN214574643U (zh) 一种绿色节能防火钢结构
CN210288764U (zh) 无机砂浆反射隔热保温系统
CN214220018U (zh) 一种保温复合墙体模块系统
JPH11152811A (ja) 耐熱防湿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