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768B1 -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768B1
KR102175768B1 KR1020190165255A KR20190165255A KR102175768B1 KR 102175768 B1 KR102175768 B1 KR 102175768B1 KR 1020190165255 A KR1020190165255 A KR 1020190165255A KR 20190165255 A KR20190165255 A KR 20190165255A KR 102175768 B1 KR102175768 B1 KR 10217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ginal
pressure
user
valu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혜련
이선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알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알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알씨
Priority to KR102019016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7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constricting muscles, i.e. sphinc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8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 A61B5/4337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8Comparison to target or threshold, previous performance or not real time comparison to other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은 질에 삽입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질근력 측정기(100); 및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전송받고, 전송된 압력값과 데이터베이스(240)에 기 저장된 적정 압력값을 비교한 뒤, 비교 결과를 기초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질 운동을 유도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VAGINAL EXERCISE GUIDANCE SYSTEM USING GAME}
본 발명은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질에 삽입되는 질근력 측정기에 의해 감지되는 질 내부의 압력값을 기초로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나아가 이러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질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질 운동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여성 질병이 여성에게 미치는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심각하다. 한국 성의학회에 따르면 국내 500만명 이상, 세계적으로 2억명 이상의 여성 인구가 다양한 형태의 질병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여성 질병 중 일 예로 여성의 신체의 민감한 부분인 질 용적 증가 및 질 근육의 수축력 저하와 관련된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질 내 용적과 질 내 압력은 결혼 후 성생활, 출산, 노령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변화한다. 그리고, 여성의 질 내 수축 시 수축에 대한 압력이 저하되는 경우 부부 간의 성생활의 만족도가 크게 저하되고, 성생활의 만족도의 저하로 부부 관계가 원만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골반구조의 과도한 신장은 골반근육(질근육)의 수축력을 약화시켜 성기능의 장애를 줄 뿐만 아니라 요실금의 한 요인이 되며, 이 밖에도 여성 불감증, 과민성 방광, 골반 통증 및 자궁 탈출증 등 다양한 문제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여성의 질 내 용적과 질 내 압력의 변화가 심한 경우 산부인과 의사에게 진단을 받은 이후 이에 대한 치료를 받고, 경우에 따라 수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또한, 재활훈련의 일종으로 케겔운동이 있다. 케겔운동은 1948년 아놀드케겔이 고안한 골반근육운동으로, 골반저근육의 수축을 통하여 근육의 기능과 강도를 증진시켜 요실금과 근육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주는 운동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료를 받거나 수술을 진행한 이후에도 전술한 케겔 운동과 같은, 질 내 용적 및 압력에 대한 지속적인 재활 관리가 필요하다. 다만, 질 내 용적 및 근육 수축력의 재활 치료 등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산부인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여성 신체의 예민한 부위에 대한 치료에 해당하다 보니 여성 환자들이 산부인과를 자주 내원하는 것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케겔운동의 효과를 정확한 수치로 판단하기 위하여 질 근육의 수축력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진단하면서도 재활 및 운동 방식이 간단 및 용이하여 누구나 가정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질 운동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오로지 자신의 의지로만 단조로운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밖에 없는 케겔운동을 보다 재미있게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질 운동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9594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3027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46670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질에 삽입되어 질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질근력 측정기를 구비함으로써 정량화된 수치값을 통해 질 운동의 효과를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으면서 누구나 가정에서 손쉽게 행할 수 있는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질근력 측정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질 내부의 압력값을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반복적으로 행할 수 밖에 없어 다소 단조로울 수 있는 질 운동에 재미와 흥미를 가미하여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은 질에 삽입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질근력 측정기(100); 및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전송받고, 전송된 압력값과 데이터베이스(240)에 기 저장된 적정 압력값을 비교한 뒤, 비교 결과를 기초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질 운동을 유도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질근력 측정기(100)는 질근력 측정기(100)의 특정 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사용자단말기(200)는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특정 구역에 대한 압력값을 전송받고, 전송된 압력값을 기초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한다.
한편,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질 안으로 끌어당겨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아랫배에 힘이 가해져 사용자의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질 밖으로 밀려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200)는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압력값을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고, 시간에 따른 압력값의 변화 추이를 이용하여,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운영서버(30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200)는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된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와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와의 경쟁적인 질 운동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사용자데이터와 외부서버(600)로부터 수신한 건강통계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소득 및 지역에 해당하는 질 내부 압력에 대한 적정 수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적정 수치값과 사용자의 실제 측정값을 비교하여, 질 내부 압력의 과부족 상태와 과부적 정도를 파악한 뒤, 파악된 결과값을 기초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과부족한 항목의 수치값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은 질에 삽입되어 질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질근력 측정기를 구비함으로써 정량화된 수치값을 통해 질 운동의 효과를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으면서 누구나 가정에서 손쉽게 행할 수 있는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근력 측정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질 내부의 압력값을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반복적으로 행할 수 밖에 없어 다소 단조로울 수 있는 질 운동에 재미와 흥미를 가미하여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근력 측정기와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압력방향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질근력 측정기와 방향값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압력변화값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사용자단말기와 운영서버를 더 포함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서버를 더 포함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모듈 및 적정값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이하, “본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이라 칭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은 질근력 측정기(100) 및/또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질근력 측정기(100)는 여성의 질에 삽입되어 질 내부의 압력을 측정(감지)한다. 질근력 측정기(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본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의 다양한 통신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에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200)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근력 측정기와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근력 측정기(100)는 케이스부(110), 압력센서(120), 통신부(130) 및/또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질에 삽입되는 하우징 부분을 나타낸다.
압력센서(120)는 케이스부(110)의 표면에 구비되어 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센서(120)는 케이스부(110)의 표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하는데, 압력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압력센서(120)와 통신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압력센서(120)가 질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130)가 감지된 압력값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200)는 통신모듈(210), 제어모듈(220), 디스플레이(230), 데이터베이스(240) 및/또는 압력값 비교모듈(25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210)은 질근력 측정기(100)와 통신하는데, 질근력 측정기(100)의 압력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모듈(220)은 사용자단말기(200) 내에서 각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230)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를 표출한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저장소에 해당할 수 있고,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압력값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240)에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파일,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 질 내부의 적정 압력값, 질 내부의 권장 압력값 등이 저장된다.
압력값 비교모듈(250)은 통신모듈(210)을 통해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압력값과 데이터베이스(240)에 기 저장된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을 비교하여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질 내부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보다 낮은지, 높은지 또는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측정된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보다 낮으면, 제어모듈(220)은 고강도의 질 운동(케겔운동)을 유도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질 운동을 유도한다. 또는 측정된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보다 높으면, 제어모듈(220)은 현재의 강도보다 낮은 강도의 질 운동(케겔운동)을 유도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질 운동을 유도한다. 그리고 측정된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와 동일한 수준이면, 제어모듈(220)은 현재의 강도와 동일한 강도의 질 운동(케겔운동)을 유지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질 운동을 유도한다. 이때 질 운동의 강도는 질 근육을 수축하고 이완하는 횟수 및/또는 질 근육 수축의 지속시간에 따라 조절된다. 즉 고강도의 질 운동을 유도하는 경우 제어모듈(220)은 현재보다 더 많은 횟수의 수축/이완을 유도하거나 더 오랫동안 질 근육의 수축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압력방향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질근력 측정기와 방향값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질근력 측정기(100)는 압력구역 식별부(15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200)는 압력값 분석모듈(260)을 더 포함한다.
질근력 측정기(100)의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질근력 측정기(100)의 특정 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식별한다. 즉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케이스부(110)의 제1 구역에 구비된 압력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압력값과 케이스부(110)의 제2 구역에 구비된 압력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압력값을 구분한다. 다른 말로 하면,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압력센서(120)가 케이스부(110)의 제1 구역에 위치하는지 제2 구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고 나서,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들이 모두 제1 구역에 위치한 압력센서(120)들이라면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을 생성하고, 그렇지 않고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들 중 제2 구역에 위치한 압력센서(120)가 포함돼 있다면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역은 질 내부에 가장 먼저 삽입되는 케이스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지점까지의 부분을 나타내고, 제2 구역은 제1 지점으로부터 케이스부(11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지점까지의 부분을 나타내는데 이때, 제2 지점은 케이스부(110)에서 질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과 삽입되지 않는 부분의 경계지점을 나타낸다. 즉, 제2 지점은 케이스부(110)를 질 내부에 삽입했을 때 질 입구에 해당하는 지점을 말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케이스부(110)의 표면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복수 개의 압력센서(120) 중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위치정보 및 분포정보를 기초로 압력의 방향을 식별한다. 즉, 질 내부에 가장 먼저 삽입되는 케이스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개수가 시간에 따라 늘어나면,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질 근육이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를 질 안으로 끌어당기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케이스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개수가 시간에 따라 줄어들면,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질 근육이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를 질 밖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질 운동의 옳고 그름을 식별하는 식별값을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질 안으로 끌어당겨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아랫배에 힘이 가해져 사용자의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는 사용자의 질 밖으로 밀려난다.
통신부(130)는 압력구역 식별부(15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질 운동의 옳고 그름을 식별하는 식별값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기(200)의 통신모듈(210)은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식별값을 수신하여 제어모듈(220)에 전달한다. 제어모듈(220)은 전달받은 식별값을 기초로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한다. 또는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220)은 현재의 올바른 질 운동(케겔운동)을 유지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한다. 즉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는 경우 제어모듈(220)은 올바른 질 운동의 방법이 안내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방향 식별부(150)는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10)가 제1 구역에 위치하는지 제2 구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만을 생성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단말기(200)의 압력값 분석모듈(26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압력값 분석모듈(260)은 전송받은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10)가 제1 구역에 위치하는지 제2 구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들이 모두 제1 구역에 위치한 압력센서(120)들이라면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을 생성하고, 그렇지 않고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들 중 제2 구역에 위치한 압력센서(120)가 포함돼 있다면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을 생성하여 제어모듈(220)에게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압력변화값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는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을 더 포함한다.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측정되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는 질 내부 압력값은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다.
사용자단말기(200)의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은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질 내부 압력값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질 내부 압력값이 시간에 따라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에 가까워지는 추이를 보이는 경우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은 더 큰 자극을 통해 질 운동의 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강도 질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질 내부 압력값이 시간에 따른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지는 경우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은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220)은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한다. 그리고 고강도 질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220)은 고강도의 질 운동(케겔운동)을 유도하도록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질 운동을 유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사용자단말기와 운영서버를 더 포함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은 복수 개의 사용자단말기(200, 400, 500) 내에서 실행되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운영서버(300)를 더 포함한다.
운영서버(300)는 각 사용자단말기(200, 400, 500)로부터 사용자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데이터는 사용자의 질 내부 압력값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200)의 통신모듈(210)은 본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를 운영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압력값 비교모듈(250)은 통신모듈(210)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와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질 내부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본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 해당 사용자의 순위를 식별한다.
제어모듈(220)은 압력값 비교모듈(250)에 의해 식별된 순위정보를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으로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해당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경쟁적인 질 운동을 유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서버를 더 포함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은 외부서버(600)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서버(600)는 본 질 운동 유도 시스템에 속하지 않고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외부서버(600)는 연령별, 성별, 소득별 및/또는 지역별 각 건강검진항목의 건강통계데이터(평균 수치값, 적정 수치값 등)를 제공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서버와 같은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또는 각 건강검진항목의 수치가 적정수치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정보와 이 경우 발병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의료기관서버와 같은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현상 정보는 특정 항목의 수치의 과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어지러움증, 편두통, 기침, 가래 등의 현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질병 정보는 특정 항목의 수치의 과부족으로 인해 발병이 가능한 암, 당뇨, 뇌졸중 등의 질병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건강검진항목에는 질 내부 압력값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외부서버(600)로부터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정보의 활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모듈 및 적정값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모듈(280) 및/또는 적정값 산출모듈(290)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80)은 사용자로부터 연령, 성별, 소득, 주거지역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다.
적정값 산출모듈(290)은 사용자 입력모듈(28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정보와 외부서버(600)로부터 수신한 건강통계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소득 및 주거지역 조건에 해당하는 질 내부 압력 항목에 대한 평균 수치값과 적정 수치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적정값 산출모듈(290)은 산출된 평균 수치값 또는 적정 수치값과,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질 내부 압력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질 내부 압력값이 평균 수치값 또는 적정 수치값 대비 낮은지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높으면 얼마나 높고 낮으면 얼마나 낮은지 그 차이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모듈(220)은 적정값 산출모듈(29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질 운동을 유도한다.
나아가 적정값 산출모듈(290)은, 사용자의 질 내부 압력값이 평균 수치보다 높거나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서버(600)로부터 전송되는 현상 정보 및 질병 정보 중에서, 질 내부 압력값의 과부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따라 발병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적정값 산출모듈(290)은 질병을 개선시키는 운동방법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6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된 운동방법에 대한 정보들 중 질 내부 압력값의 과부족과 연관된 질병을 개선시키는 운동방법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모듈(220)은 적정값 산출모듈(290)에 의한 검출결과를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으로 구성하여 질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질 내부 압력값의 과부족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서버(600)는 병원에서 운영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200)의 제어모듈(220)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사용자데이터와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달된 압력값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전문병원을 선정한 뒤 선정된 전문병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모듈(220)은 적정값 산출모듈(290)에 의해 산출된 정보와 검출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220)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를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전문병원을 선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질 내부 압력값 상태에 따라 발병할 수 있는 질병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전문병원을 선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을 통해 얻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병원의 외부서버(600)에 전송하여 전문병원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치료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220)은 질근력 측정기(100)에 구비된 각 압력센서(120)의 압력값을 수신하여, 수신된 압력값에 기반한 질 근력 분포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한다. 예를 들어, 압력값이 기준치보다 낮은 여성 질 부위일수록 빨간색 계열로 표시하며, 압력값이 기준치보다 높은 여성 질 부위일수록 파란색 계열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질부위 중에서 근력이 높은 부위와 근력이 낮은 부위를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모듈(220)은 생성된 질 근력 분포도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근력 기준값보다 낮은 압력값(근력값)을 갖는 부위를 파악하여, 근력 기준치보다 낮은 질 근력을 가지는 부위인 근력 약점 부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질 운동을 유도한다. 이때, 게임 응용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220)은 근력이 약한 질 부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 체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질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은 근력이 약한 여성 질 부위를 질 근력 운동 가이드를 확인해가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추후에 건전한 성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자신의 질 근력 분포도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러한 해당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실제로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질 근력 약한 부위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질근력 측정기(100)는, 케이스부(110)의 표면에 마련되어 각 압력센서(120)에 인접시켜 한 쌍의 조합으로 마련된 진동 소자(미도시)를 구비하도록 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근력 분포도를 표시할 때 근력 약점 부위를 질근력 측정기(100)로 전송하며, 질근력 측정기(100)의 제어부(140)는, 수신한 근력 약점 부위에 위치한 진동 소자(미도시)를 진동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부(110)를 자신의 질 부위에 삽입한 채로 느껴지는 진동 지점을 통하여 자신의 질 부위 중에서 근력이 약한 부위를 직접 몸으로써 확인할 수 있어, 추후 근력 강화 운동시에 해당 부위에 더욱 집중하여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질근력 측정기, 사용자단말기, 운영서버, 외부서버, 케이스부, 압력센서, 통신부, 제어부, 압력방향 식별부, 통신모듈, 제어모듈, 압력값 비교모듈, 디스플레이, 방향값 분석모듈, 데이터베이스, 압력변화값 분석모듈, 사용자 입력모듈 및/또는 적정값 산출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질근력 측정기 200: 사용자단말기
300: 운영서버 600: 외부서버
110: 케이스부 120: 압력센서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50: 압력구역 식별부 210: 통신모듈
220: 제어모듈 250: 압력값 비교모듈
230: 디스플레이 260: 압력값 분석모듈
240: 데이터베이스 270: 압력변화값 분석모듈
280: 사용자 입력모듈 290: 적정값 산출모듈

Claims (5)

  1. 질에 삽입되는 케이스부(110) 및 상기 케이스부(110)의 표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어 질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20)를 포함하여, 상기 질에 삽입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질근력 측정기(100); 및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통신모듈(210)을 통해 전송받고, 전송된 압력값과 데이터베이스(240)에 기 저장된 적정 압력값을 비교한 뒤, 비교 결과를 기초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질 운동을 유도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를 포함하며,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는,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의 특정 구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특정 구역에 대한 압력값을 전송받고, 전송된 압력값을 기초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특정 구역은,
    상기 질 내부에 가장 먼저 삽입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의 타단으로부터 질 입구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이격된, 제2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는,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에서 감지된 압력값을 구분하는, 압력구역 식별부(15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상기 제1 구역에 구비된 압력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압력값과 상기 제2 구역에 구비된 압력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압력값을 구분하고,
    상기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압력센서(120)가 케이스부(110)의 제1 구역에 위치하는 지 또는 제2 구역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감지된 압력값이 모두 상기 제1 구역에서 감지된 경우,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을 생성하고,
    감지된 압력값 중 제2 구역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포함된 경우,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을 생성하며,
    상기 압력구역 식별부(150)는,
    상기 복수 개의 압력센서(120) 중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위치정보 및 분포정보를 기초로 압력의 방향을 식별하며,
    질 내부에 가장 먼저 삽입되는 케이스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개수가 시간에 따라 늘어나면, 질 근육이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를 질 안으로 끌어당기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을 생성하고,
    질 내부에 가장 먼저 삽입되는 케이스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20)의 개수가 시간에 따라 줄어들면, 질 근육이 질 내부에 삽입된 질근력 측정기(100)를 질 밖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판단하는 식별값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압력구역 식별부(150)가 생성한 상기 식별값을 전송받고, 올바른 질 운동의 방법이 안내되도록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제어모듈(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식별값이, 올바른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인 경우, 현재의 올바른 질 운동을 유지하도록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고,
    상기 식별값이,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값인 경우,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압력값과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기 저장된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질 내부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보다 낮은지, 높은지 또는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압력값 비교모듈(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보다 낮으면, 고강도의 질 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보다 높으면, 현재의 강도보다 낮은 강도의 질 운동을 유도하고,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된 압력값이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와 동일한 수준이면, 현재의 강도와 동일한 강도의 질 운동을 유지하도록 사용자의 질 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질 내부 압력값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은,
    질 내부 압력값이 시간에 따라 적정 압력값 또는 권장 압력값에 가까워지는 추이를 보이는 경우 고강도 질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며,
    질 내부 압력값이 시간에 따른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지는 경우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에 의해 고강도 질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고강도의 질 운동을 유도하며,
    상기 압력변화값 분석모듈(270)에 의해 사용자가 잘못된 질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질 운동의 강도는, 질 근육을 수축하고 이완하는 횟수 또는 질 근육 수축의 지속시간에 따라 조절되며,
    상기 압력값 비교모듈(250)은,
    상기 통신모듈(210)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데이터와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질 내부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본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 해당 사용자의 순위를 식별하며,
    상기 제어모듈(220)은,
    상기 압력값 비교모듈(250)에 의해 식별된 순위정보를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으로 구성하고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하여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출하여 사용자의 경쟁적인 질 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200)는 질근력 측정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압력값을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고, 시간에 따른 압력값의 변화 추이를 이용하여,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질 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 운동 유도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운영서버(30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200)는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된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와 질근력 측정기(100)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비교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와의 경쟁적인 질 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사용자데이터와 외부서버(600)로부터 수신한 건강통계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소득 및 지역에 해당하는 질 내부 압력에 대한 적정 수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적정 수치값과 사용자의 실제 측정값을 비교하여, 질 내부 압력의 과부족 상태와 과부적 정도를 파악한 뒤, 파악된 결과값을 기초로, 게임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과부족한 항목의 수치값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KR1020190165255A 2019-12-12 2019-12-12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KR10217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255A KR102175768B1 (ko) 2019-12-12 2019-12-12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255A KR102175768B1 (ko) 2019-12-12 2019-12-12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768B1 true KR102175768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255A KR102175768B1 (ko) 2019-12-12 2019-12-12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4068A1 (en) * 2018-11-03 2022-10-06 Xiamen Brana Design Co., Ltd.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706B1 (ko) 2002-05-20 2005-01-17 모승기 골반 저근 운동 장치
KR101130273B1 (ko) 2011-09-08 2012-03-26 심송구 여성용 괄약근 운동 장치
KR101630629B1 (ko) * 2015-01-05 2016-06-16 채호동 게임을 이용한 근육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8653A (ko) * 2015-12-28 2018-09-04 노비펠 홀딩 에이피에스 인간의 체강 삽입용 골반저근 훈련 및 프로파일링 장치 및 골반저근 수축을 시각화하는 방법
KR20190062386A (ko) * 2016-07-29 2019-06-05 레노비아 인크. 골반저근을 훈련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9594A (ko) 2019-06-26 2019-07-05 이태호 금속재 괄약근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706B1 (ko) 2002-05-20 2005-01-17 모승기 골반 저근 운동 장치
KR101130273B1 (ko) 2011-09-08 2012-03-26 심송구 여성용 괄약근 운동 장치
KR101630629B1 (ko) * 2015-01-05 2016-06-16 채호동 게임을 이용한 근육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8653A (ko) * 2015-12-28 2018-09-04 노비펠 홀딩 에이피에스 인간의 체강 삽입용 골반저근 훈련 및 프로파일링 장치 및 골반저근 수축을 시각화하는 방법
KR20190062386A (ko) * 2016-07-29 2019-06-05 레노비아 인크. 골반저근을 훈련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9594A (ko) 2019-06-26 2019-07-05 이태호 금속재 괄약근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4068A1 (en) * 2018-11-03 2022-10-06 Xiamen Brana Design Co., Ltd.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5522B2 (ja) 視力とその変化を試験および分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unha et al. Improvement of cellular health indicators and muscle quality in older women with different resistance training volumes
US11666272B2 (en) Pain-monitoring device and method
WO2008081446A2 (en) Method, algorithm and device for testing visual acuity
CN111279425A (zh) 预测医疗治疗效果的系统和方法
US20170079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exercise capacity
Ellison et al. Determining eye–hand coordination using the sport vision trainer: An evaluation of test–retest reliability
KR102175768B1 (ko) 게임을 이용한 질 운동 유도 시스템
KR20210076936A (ko) 인지 치료 최적화를 위한 노력 메트릭을 도출하기 위한 인지 플랫폼
Jones et al. Reliability of an automated high-resolution manometry analysis program across expert users, novice use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O20191529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pain
EP3555841A1 (en) Platform for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using navigation tasks and treatments using navigation tasks
KR20170103704A (ko) 개인 식별 기능을 구비하는 신체 및 생체 정보 측정 및 관리 시스템
US9883793B2 (en) Spatial modeling of visual fields
KR101654265B1 (ko) 개인 맞춤형 시야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6746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9196B1 (ko) 스마트 인솔 기반 부분 체중 부하 보행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2786185B (zh) 血压健康状态获取方法、装置和系统
JP2004180939A (ja) 身体指標出力装置
EP4008395A1 (en) Biological measurement system, biological measur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1216962B1 (ko) 다자 참여 체성분 관리 유도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5584B1 (ko) 회복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회복상태 모니터링 방법
CN216021064U (zh) 平衡感与肌力量测装置
KR20150103461A (ko) 게임 몰입도 측정 방법
CN108648828A (zh) 用于生物反馈设备的利用数据库检测及加权运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