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944B1 -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 - Google Patents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944B1
KR102174944B1 KR1020190030758A KR20190030758A KR102174944B1 KR 102174944 B1 KR102174944 B1 KR 102174944B1 KR 1020190030758 A KR1020190030758 A KR 1020190030758A KR 20190030758 A KR20190030758 A KR 20190030758A KR 102174944 B1 KR102174944 B1 KR 10217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noise reduction
display
arms
fa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318A (ko
Inventor
홍충기
양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홀로홀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홀로홀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홀로홀릭
Publication of KR2019010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7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different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5Decorative aspects, i.e. features which have no effect on the functioning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아암과, 상기 아암들에 마련되며, 상기 아암들이 회전 운동될 때 소정의 광고 패턴이 발현되게 하는 다수의 LED 모듈을 구비하는 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팬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되 상기 팬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Fan device with fan display}
본 발명은,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advertising)란 소비 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상품의 판매나 서비스의 이용 또는 기업이나 단체의 이미지 증진 등을 궁극 목표로 이에 필요한 정보를 매체를 통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전달하는 모든 행위를 일컫는다.
광고는 동시에 다수의 소비 대중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의 존재를 알려 판매를 촉진하는 일종의 설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다시 말해, 광고는 글, 그림, 사진, 도안, 영상, 소리 등의 표현 메시지를 신문, 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등 대중매체 또는 우편, 포스터, 팜플렛, 옥외 광고, 극장, 인터넷 등 다양한 전달 매체에 게재 또는 방송한다. 이로써 예상 구매자에게 상품 및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 내용을 널리 전달, 설득하여 판매 등 소기의 목적 달성을 촉진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광고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하도록 수요를 자극하거나 제품에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서 행해지며, 기업 이미지를 높이기 위하여 시도되기도 하며, 정치적 목적이나 공공 서비스를 위하여 행하여지기도 한다.
광고의 유형은 그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나누어진다. 대표적인 것을 보면 영리성 여부에 따라 영리 광고와 비영리 광고로 분류될 수 있다.
영리 광고는 상품 등을 판매할 목적으로 하는 일반 상업적 광고를 가리키고, 비영리 광고는 적십자사 등의 공공단체나 공공 광고 기구에 의한 비상업적 광고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또는 공익 광고라고 일컬어진다.
또, 그 목적이나 기능에 따라 크게 제품 광고(또는 판매 광고)와 비제품 광고로 나눌 수 있다. 제품 광고는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증진시키기 위해 행하는 광고이다.
반면 비제품 광고는 광고주의 사회적 공헌이나 기업 경영의 중요성을 일반 대중으로 하여금 인식하게 하여 그들의 호의나 신뢰를 획득하고자 시행하는 광고이다. 흔히 기업 광고 또는 이미지 광고라 부른다.
한편, 광고의 대표적인 것이 간판이라 불리는 실내외 광고이다. 이와 같은 광고는 다양한 형상의 디자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색상 적용이 용이하고, 또한 빛을 발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고의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주변에는 이와 같은 광고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다만, 최근에는 기존 간판 등의 구조에서 벗어나 팬 디스플레이라 하는 새로운 타입의 광고 혹은 홍보용 디바이스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팬 디스플레이는 정지되어 있을 때는 통상의 막대 기구처럼 보이지만 회전 운동을 할 때, 소정의 패턴(pattern) 즉 이미지 패턴이나 영상 패턴(이를 통틀어 광고 패턴이라 함)이 형성되게끔 하는 4차 산업형명의 스마트 디바이스이며, 최근 기술 발전이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것처럼 팬 디스플레이는 단독 제품으로서 광고 효과 외의 다른 추가적 기능, 예컨대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은 담당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여러 기능을 보유할 수 있는 신개념의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2926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0256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7507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126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아암과, 상기 아암들에 마련되며, 상기 아암들이 회전 운동될 때 소정의 광고 패턴이 발현되게 하는 다수의 LED 모듈을 구비하는 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팬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되 상기 팬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팬 유닛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팬 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팬 날개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외벽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암은 상기 팬 날개의 표면에서 돌출되거나 표면에 매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팬 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모듈; 상기 팬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며, 상기 아암들의 회전 시 상기 광고 패턴이 발현되도록 상기 광고 패턴을 처리하는 패턴 처리모듈; 상기 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팬 유닛의 회전 운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구동모듈과 상기 패턴 처리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방향체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되는 향기 발생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에는 다수의 향기 발생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디스플레이는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는 상기 아암들에 마련되되 상기 아암들의 회전 운동 시 소음이 감소되게 유도하는 소음 감소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감소 유도부는, 상기 아암의 측면에 형성되는 소음 저감용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 방향도이다.
도 4는 도 2의 회전 운동에 의해 광고 패턴이 발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회전 방향도, 도 4는 도 2의 회전 운동에 의해 광고 패턴이 발현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100)는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팬 디스플레이(110)와, 팬 유닛(160)을 포함한다.
우선, 팬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하우징(120), 아암(130), LED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100)에서 팬 디스플레이(110)의 외관 구조를 이루며, 아암(130)들을 지지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나 메인 하우징(120)에 회전 구동모듈(171), 패턴 처리모듈(172), 입력부(173) 등의 구성이 갖춰질 수 있다.
도면에는 메인 하우징(120)이 원통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메인 하우징(120)은 원통형 구조를 벗어나 사각 블록 등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아암(130)은 메인 하우징(12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막대형 부재이다. 아암(130)의 에지(edge)는 모두 아크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됨으로써 회전 소음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아암(130)은 팬 날개(161)에 결합되되 팬 날개(16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마련된다. 즉 아암(130)과 팬 날개(161)는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되 아암(130)이 팬 날개(161)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아암(130)이 메인 하우징(12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하지만, 아암(130)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LED 모듈(140)은 아암(130)들에 마련되며, 도 4처럼 아암(130)들이 회전 운동될 때 소정의 광고 패턴이 발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도 4처럼 아암(130)들이 회전 운동될 때 패턴 처리모듈(172)에 의한 LED 모듈(140)의 컨트롤을 통해 꽃 그림과 같은 광고 패턴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팬 유닛(160)은 팬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되되 팬 디스플레이(110)와 동시에 회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팬 유닛(160)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팬 날개(161)를 포함하되 다수의 팬 날개(161)는 메인 하우징(120)의 외벽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팬 날개(161)가 메인 하우징(12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하지만, 팬 날개(161)의 개수는 3개 이상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처럼 장치의 동작 시 아암(130)들 뿐만 아니라 다수의 팬 날개(161)를 포함하는 팬 유닛(160) 역시 함께 회전되기 때문에 좀 더 아름다운 연출이 가능해질 수 있음은 물론 송풍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110)에는 회전 구동모듈(171), 패턴 처리모듈(172), 향기 발생모듈(175), 입력부(173), 그리고 컨트롤러(180)가 더 갖춰진다.
회전 구동모듈(171)은 도 4처럼 팬 디스플레이(110) 및 팬 유닛(160)을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 구동모듈(171)은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처리모듈(172)은 팬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되되 예컨대, 메인 하우징(12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은 아암(130)들의 회전 시 광고 패턴이 발현되도록 광고 패턴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향기 발생모듈(175)은 메인 하우징(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방향체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는 모듈로서 컨트롤러(18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된다. 향기 발생모듈(175)의 동작 시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120)의 전면에는 다수의 향기 발생공(176)이 형성된다.
입력부(173)는 팬 디스플레이(110) 및 팬 유닛(160)의 회전 운동을 위한 신호, 그리고 향기 발생모듈(175)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부(173)는 메인 하우징(120)에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혹은 원격의 리모컨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73)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구동모듈(171), 패턴 처리모듈(172) 및 향기 발생모듈(175)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73)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구동모듈(171), 패턴 처리모듈(172) 및 향기 발생모듈(175)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73)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구동모듈(171), 패턴 처리모듈(172) 및 향기 발생모듈(175)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80)가 입력부(173)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구동모듈(171), 패턴 처리모듈(172) 및 향기 발생모듈(175)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구동모듈(171)이 동작되면 도 3의 화살표 회전 방향으로 아암(130)들이 회전하게 되고, 이어 패턴 처리모듈(172)에 의해 도 4와 같은 형태의 광고 패턴이 발현될 수 있으며, 향기 발생공(176)들을 통해 향기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200) 역시, 팬 디스플레이(210)와, 팬 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팬 디스플레이(210)를 이루는 아암(230)은 팬 날개(261)의 표면에 매입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300) 역시, 팬 디스플레이(310)와, 팬 유닛(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팬 유닛(360)을 이루는 팬 날개(361)는 곡선형 형상을 갖는데, 이러한 팬 날개(361)에 팬 디스플레이(310)가 적용되기 위해 팬 디스플레이(310)는 팬 날개(361)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아크형 개별 팬 디스플레이(310)로 적용된다.
아크형 개별 팬 디스플레이(310)들은 메인 하우징(320) 내의 내장장치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와 컨트롤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아크형 개별 팬 디스플레이(310)가 적용될 경우, 예컨대 아크형 개별 팬 디스플레이(310)는 팬 날개(36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팬 날개(361)에 아크형 개별 팬 디스플레이(3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 아크형 개별 팬 디스플레이(310)에 대한 유지보수 혹은 다른 것으로의 변경 대체가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400) 역시, 팬 디스플레이(410)와, 팬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팬 디스플레이(410)는 메인 하우징(420), 아암(430) 및 LED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더해서 소음 감소 유도부(450)가 추가로 더 적용된다.
팬 디스플레이(410)에 소음 감소 유도부(450)가 갖춰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410)는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41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410)에 적용되는 소음 감소 유도부(450)는 아암(430)들에 마련되되 아암(430)들의 회전 운동 시 소음이 감소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 감소 유도부(450)는 아암(4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로 적용된다. 이때,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는 아암(43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아암(430)의 에지(edge)는 모두 아크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됨으로써 회전 소음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이와 같은 소음 감소 유도부(450)로서의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는 고래 지느러미에 형성되는 빗살무늬 패턴과 같은 원리를 갖는다. 즉 아암(130)들이 회전 운동될 때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바뀌게 유도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가 아암(430)의 양측면 모두에 형성됨으로써 아암(430)들의 정역 방향 모두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적용되는 아암(530)의 측면에도 소음 감소 유도부(550)로서 소음 저감용 요철부(550)가 마련된다.
이때, 소음 저감용 요철부(55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아암(530)의 일측면에만 형성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적용되는 아암(630)의 양측면에도 소음 감소 유도부(650)로서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가 마련된다.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때, 본 실시예의 소음 감소 유도부(650)는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 외에도 다수의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65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651)들은 LED 모듈(140)이 배치되는 아암(630)의 설치면(630a) 주변에 아크(arc)형으로 형성되되 설치면(630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소음 감소 유도부(650)가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를 비롯해서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651)를 포함할 경우, 아암(63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적용되는 아암(730)의 양측면에도 소음 감소 유도부(750)로서 소음 저감용 요철부(750)가 마련된다.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때, 본 실시예의 소음 감소 유도부(750)는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 외에도 다수의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75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751)들은 LED 모듈(140)이 배치되는 아암(730)의 설치면(730a) 주변에 아크(arc)형으로 형성되되 설치면(730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75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처럼 소음 감소 유도부(750)가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를 비롯해서 높이가 상이한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751)를 포함할 경우, 아암(73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적용되는 아암(830)의 양측면에도 소음 감소 유도부(850)로서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가 마련된다.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때, 본 실시예의 소음 감소 유도부(850)는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 외에도 다수의 소음 저감용 엠보돌기부(85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 저감용 엠보돌기부(851)들은 LED 모듈(140)이 배치되는 아암(830)의 설치면(830a) 주변에 형성되되 설치면(830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소음 저감용 엠보돌기부(851)와 설치면(830a) 사이는 도 13에 확대된 것처럼 아크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소음 저감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소음 감소 유도부(850)가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를 비롯해서 소음 저감용 엠보돌기부(850)를 포함할 경우, 아암(83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서 아암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에 적용되는 아암(930)의 양측면에도 소음 감소 유도부(950)로서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가 마련된다.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때, 본 실시예의 소음 감소 유도부(950)는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 외에도 다수의 소음 저감용 아크형 홈부(95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 저감용 아크형 홈부(951)들은 LED 모듈(140)이 배치되는 아암(930)의 설치면(930a) 주변에 형성되되 설치면(930a)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소음 감소 유도부(950)가 소음 저감용 요철부(450)를 비롯해서 음 저감용 아크형 홈부(951)를 포함할 경우, 아암(93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4에서, 아암(430, 530, 640, 730, 830, 930)의 측면의 소음 감소 유도부(450, 550, 650, 750, 850, 950)의 에지(edge)는 모두 아크 형상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으며, 소음 감소 유도부(450, 550, 650, 750, 850, 950)의 형상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유연한 파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1 내지 도 14의 구성들, 즉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650)들,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750)들, 소음 저감용 엠보돌기부(850)들, 그리고 소음 저감용 아크형 홈부(950)들 모두가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회전 운동 시 광고 패턴을 발현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공기를 송풍 또는 배기하는 팬(fa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
110 :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
120 : 메인 하우징 130 : 아암
140 : LED 모듈 160 : 팬 유닛
161 : 팬 날개 171 : 회전 구동모듈
172 : 패턴 처리모듈 173 : 입력부
175 : 향기 발생모듈 176 : 향기 발생공
180 : 컨트롤러

Claims (7)

  1.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아암과, 상기 아암들에 마련되며, 상기 아암들이 회전 운동될 때 소정의 광고 패턴이 발현되게 하는 다수의 LED 모듈을 구비하는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되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팬 유닛;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의 아암들에 마련되되 상기 아암들의 회전 운동 시 소음이 감소되게 유도하는 소음 감소 유도부;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팬 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모듈;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며, 상기 아암들의 회전 시 상기 광고 패턴이 발현되도록 상기 광고 패턴을 처리하는 패턴 처리모듈;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팬 유닛의 회전 운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구동모듈과 상기 패턴 처리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상기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방향체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되는 향기 발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 감소 유도부는,
    상기 아암의 측면에 형성되는 소음 저감용 요철부;
    상기 아암의 설치면 주변에 아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
    상기 아암의 설치면 주변에 아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소음 저감용 엠보돌기부; 및
    상기 아암의 설치면 주변에 아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는 소음 저감용 아크형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저감용 아크형 돌출부는 평평한 형상이거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에는 다수의 향기 발생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30758A 2018-03-16 2019-03-18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 KR102174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1073 2018-03-16
KR1020180031073 2018-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318A KR20190109318A (ko) 2019-09-25
KR102174944B1 true KR102174944B1 (ko) 2020-11-05

Family

ID=6806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758A KR102174944B1 (ko) 2018-03-16 2019-03-18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9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9699A (ja) * 2004-06-25 2006-01-12 Marubun:Kk ブレード及び送風機
KR100754022B1 (ko) * 2006-03-24 2007-09-03 강용기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선풍기의 구동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JP2016070089A (ja) * 2014-09-26 2016-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ァ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0993A (ja) * 1988-01-25 1989-08-01 Akihiro Nishiyama 芳香剤発散扇風機
KR20080029266A (ko) 2006-09-28 2008-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91619B1 (ko) 2007-07-02 2009-04-02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전계 방출 소자용 스페이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전계방출 소자
KR20130075077A (ko) 2011-12-27 2013-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KR20150012646A (ko) 2013-07-26 2015-02-04 (주)파트론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79815B1 (ko) * 2015-11-30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9699A (ja) * 2004-06-25 2006-01-12 Marubun:Kk ブレード及び送風機
KR100754022B1 (ko) * 2006-03-24 2007-09-03 강용기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선풍기의 구동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JP2016070089A (ja) * 2014-09-26 2016-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318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458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virtual pixels to physical light elements of a display
KR102162981B1 (ko) 소음 저감용 팬 디스플레이
CN102308085A (zh) 产生动态图像效果的方法和系统及其产品
JP2016524170A (ja) 表示デバイス
CN1719399A (zh) 使数字信息流与人类感知系统相匹配
US20060256037A1 (en) Active enclosure for computing device
JP2011513836A5 (ko)
KR101439494B1 (ko) Led 전광판
KR102174944B1 (ko) 팬 디스플레이 적용 팬 장치
WO2019169947A1 (zh) 广告投放方法及系统、设备和存储介质
US20070247832A1 (en) Fan with Bladers and Method for Displaying Illuminated Pictoral Elements
KR101419181B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고장치
CN104867422B (zh) 一种可变换室内广告灯箱
KR102032469B1 (ko) 블라인드를 이용한 전광판 시스템
KR100804668B1 (ko) 실내외 장식형 전광판
KR101129542B1 (ko) 형상 제공 시스템 및 그 장치
KR102258213B1 (ko) Pdlc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이펙터 시스템
CN100362539C (zh) 广告印刷品和生成广告印刷品的方法
US20210233441A1 (en) Self-supporting system and a method for the mass communica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 and digital advertising in public spaces
CN206516302U (zh) 一种改进散热的led广告灯
CN104360566B (zh) 投影方法、装置及飞行器
CN209133138U (zh) 一种高效能液晶拼接屏
CN202049705U (zh) 一种3d展示机
KR200455290Y1 (ko) 가로등 및 신호등용 링형 엘이디 전광판
KR100533955B1 (ko) 하프미러를 이용한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