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99B1 -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 Google Patents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99B1
KR102174899B1 KR1020190064953A KR20190064953A KR102174899B1 KR 102174899 B1 KR102174899 B1 KR 102174899B1 KR 1020190064953 A KR1020190064953 A KR 1020190064953A KR 20190064953 A KR20190064953 A KR 20190064953A KR 102174899 B1 KR102174899 B1 KR 10217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ever
damper
air contro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이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철 filed Critical 이성철
Priority to KR102019006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7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pushing or pulling the valve actuator, the valve actuator being rotated subsequently to bring the valve closure element in the desir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생산기지에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공기식 기화기(AAV)에 공급하는 고온고압 에어를 조절하는 에어 조절 댐퍼에 있어서, 댐퍼의 에어조절용 블레이드가 에어의 와류현상에 의해 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에어 조절 댐퍼의 샤프트에 레버를 연결하고, 레버의 일측에는 액츄에이터의 피스톤에 연결된 제1지지대를 연결함과 함께 레버의 타측에는 유체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된 제2지지대를 연결하여,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댐퍼의 샤프트와 결합된 레버를 양쪽에서 각각 홀딩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에어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도 댐퍼의 에어조절용 블레이드에 떨림 등이 발생되지 않는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AIR CONTROL DAMPER FOR PREVENTING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NG 생산기지에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해 공기식 기화기(AAV)로 고온고압 에어가 공급될 때 에어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댐퍼의 에어조절용 블레이드에 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함과 함께 에어의 공급조절이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및 오만 등 여러 나라로부터 천연가스를 도입하여 발전소나 발전시설의 수용가 등의 여러 에너지로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이, 여러 에너지로 사용되는 천연가스는 운반 및 저장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162℃의 액화천연가스, 즉 LNG(Liquefied Natural Gas) 상태로 해외에서 들어오게 되는데, LNG 상태로 들어온 천연가스는 국내 생산기지 내의 저장탱크에 액체상태로 저장되었다가 액체상태인 가스를 기체상태로 변환시켜주는 설비인 기화기를 통해 기화과정을 거쳐서 기체상태로 변환된 후 각 지역의 수요처로 공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 LNG 생산기지에서 액체상태인 천연가스를 기체상태로 변환시켜주는 기화방식은 두가지 종류를 사용하고 있는데, 하나는 연소식 기화기(SMV; Submerged Combustion Vaporizer)이고, 다른 하나는 해수식 기화기(ORV; Open Rack Vaporizer)이며, 여기에서 연소식 기화기(SMV)는 직접 열을 가해 천연가스를 데워주는 방식이고, 해수식 기화기(ORV)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바닷물로 천연가스를 데워주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공기를 이용하여 LNG를 기화시키는 공기식 기화기(AAV; Ambient Air Vaporizer)가 개발되었는데, 공기식 기화기(AAV)는 대기 중의 공기를 열교환 매체로 한 LNG 기화시스템이며, 기화시에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식 기화기(SMV)나 바닷물을 사용하는 해수식 기화기(ORV)에 비해 용량이 적어 소규모 LNG 생산기지에 적용이 가능하며 운영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공기식 기화기(AAV)는 공기를 열교환 매체로 하여 LNG를 기화시키는 시스템이므로, 여기에는 대형의 에어공급관을 통해 고온고압의 에어를 공기식 기화기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대형의 에어공급관에는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에어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되게 하는 에어 조절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대형의 에어공급관에는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공기식 기화기(AAV)에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에어를 필요에 따라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에어 조절 댐퍼가 설치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LNG 생산기지에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해 공기식 기화기(AAV)에 고온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에어 조절 댐퍼는 에어공급관 내에서 LNG 공기식 기화기(AAV)에 공급되는 에어의 와류현상 등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에어 조절 댐퍼에 심한 떨림 등 진동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결국 에어 공급의 조절이 원활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에어 조절 댐퍼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 수시로 보수를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에어 조절 댐퍼의 수명이 단축되어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84534호(공개일자 2013년07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LNG 생산기지에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공기식 기화기(AAV)에 고온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에 설치되는 에어 조절 댐퍼에 있어서, 에어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도 댐퍼의 에어조절용 블레이드에 떨림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단일 인렛이 형성되고, 타측에 에어를 토출하는 제1아웃렛 및 제2아웃렛이 형성되며, 내부의 상·하부에 시트가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의 제1아웃렛 또는 제2아웃렛을 개폐하는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몸체의 외측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제1피스톤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레버의 일단부와 힌지 체결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레버에 홀딩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몸체의 외측에 장착되는 유체실린더; 및 상단부는 상기 유체실린더의 제2피스톤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레버의 타단부와 힌지 체결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의 외측벽에는 상기 액츄에이터 및 유체실린더의 고정 장착을 위한 수평 지지판이 일체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부에는 전후가 개방된 지지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톤에는 지지프레임의 상판부에 걸리는 상부 스토퍼와 상기 제1지지대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의 하판부에 걸리는 하부 스토퍼가 상하로 이격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좌·우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몸체의 외측 하부에는 베이스 셋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공급을 조절하는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가 내설된 몸체의 외측에서 블레이드의 샤프트에 레버를 연결하고, 레버의 일단부에는 블레이드의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의 피스톤에 제1지지대를 연결함과 함께 레버의 타단부에는 블레이드의 샤프트에 홀딩 지지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체실린더의 피스톤에 제2지지대를 연결함으로써, 에어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도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 및 그 샤프트에 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 및 그 샤프트가 각회전하며 에어 공급을 조절하는 동작을 할 때, 유체실린더가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 및 그 샤프트를 홀딩하며 지지해주게 되므로 댐퍼 블레이드 및 샤프트에 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도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 및 샤프트에 떨림 등의 진동이 방지되므로 기존의 에어 조절 댐퍼보다 고장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자주 보수하게 되는 어려움이 해소되며 에어 조절 댐퍼의 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의 외관을 나타낸 이미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의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스토퍼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의 인렛쪽 내부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의 아웃렛쪽 내부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LNG 생산기지에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공기식 기화기(AAV)에 공급하는 고온고압 에어를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되게 함과 함께 에어를 조절하는 댐퍼의 블레이드가 에어의 와류현상에 의해 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의 외관을 나타낸 이미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의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스토퍼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의 인렛쪽 내부 구조 및 아웃렛쪽 내부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0은 공기를 열교환 매체로 사용하여 LNG를 기화시키는 시스템인 공기식 기화기(AAV; 도시생략)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도시생략)과 결합되는 댐퍼의 몸체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170은 댐퍼의 몸체(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베이스 셋트를 나타낸다.
상기 댐퍼의 몸체(100)는 공기식 기화기(AAV)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에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7)가 형성된 중공형의 파이프로서, 일측 입구에는 에어가 유입되는 단일 인렛(10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가 토출되는 두 개의 출구로서 제1아웃렛(104) 및 제2아웃렛(106)이 형성되며, 이 제1아웃렛(104) 및 제2아웃렛(106)은 몸체(100) 내부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디바이드 서포트(103)에 의해 구분되어지며, 또한 몸체(100) 내부의 상·하부에는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가 일정하게 각회전한 후 지지되기 위한 시트(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댐퍼의 몸체(100)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에어에 대한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제1아웃렛(104) 또는 제2아웃렛(106)으로 에어가 토출되게 하는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가 샤프트(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댐퍼의 몸체(100)의 내부에는 단일 인렛(102)과 제1, 2아웃렛(104,106)의 일정한 위치에 샤프트(1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110)에는 몸체(100) 내부의 제1아웃렛(104) 또는 제2아웃렛(106)을 개폐하도록 샤프트(110)와 함께 각회전하는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가 일체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아웃렛(104)이 차단되면 공급되는 에어가 제2아웃렛(106)을 통해 토출되며, 상기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2아웃렛(106)이 차단되면 공급되는 에어가 제1아웃렛(106)을 통해 토출되고, 상기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아웃렛(104) 및 제2아웃렛(106)이 모두 개방되면 공급되는 에어가 제1아웃렛(104) 및 제2아웃렛(106)을 통해 토출되게 되는 등 LNG를 기화시키는 공기식 기화기(AAV)로 공급되는 에어는 필요에 따라 에어의 유량 및 흐름 방향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에어 조절 댐퍼는 상기 공기식 기화기(AAV)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면, 이로 인하여 상기 샤프트(110) 및 에어조절용 댐퍼 플레이트(120)에 심한 떨림 등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가 파손되어 댐퍼의 고장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기식 기화기(AAV)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도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 및 그 샤프트(110)에 떨림 등의 진동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 및 그 샤프트(110)의 떨림 등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110)의 일측 단부에 레버(130)가 장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130)의 중간 부분이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11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130)의 일단부에는 레버(130) 및 샤프트(11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액츄에이터(140)가 연결되고,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에는 레버(130) 및 샤프트(110)에 진동방지를 위한 홀딩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인 유체실린더(150)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한쪽 외측벽에 수평 지지판(108)이 일체로 장착되고, 이 수평 지지판(108) 상에 상기 액츄에이터(140) 및 유체실린더(150)가 서로 이격되어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40)와 상기 레버(130)의 일단부가 제1지지대(144)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데, 이 제1지지대(144)의 상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제1피스톤(142)과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상기 레버(130)의 일단부와 힌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유체실린더(150)와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가 제2지지대(154)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데, 이 제2지지대(154)의 상단부는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제2피스톤(152)과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와 힌지 체결된다.
첨부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조절 댐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몸체(100) 내부의 단일 인렛(102)의 상·하부에는 시트(10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시트(105)에 의해 샤프트(110)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가 일정한 회전각도로 각회전하면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가 지지되게 됨과 동시에 제1, 2아웃렛으로 각각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몸체(100) 내부의 중간부분에 디바이드 서포트(10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디바이드 서포트(107)에 의해 제1, 2아웃렛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에어가 토출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공기식 기화기(AAV)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공급관에 댐퍼의 몸체(100)가 플랜지(107)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몸체(100)의 단일 인렛(102)을 통해 고온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면, 이 고온고압의 에어에 대한 흐름 방향을 제1아웃렛(104) 또는 제2아웃렛(106)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하여 각회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피스톤(142)을 상승시키면 액츄에이터(140)의 제1피스톤(142)과 연결된 제1지지대(144)가 상승하면서 상기 레버(130)의 일단부를 위로 당겨주게 됨으로써 레버(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레버(130)와 연결된 샤프트(110)도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샤프트(110)에 일체로 결합된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도 동일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어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방향이 제1아웃렛(104)으로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도 제2지지대(154)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제2피스톤(152)을 당기면서 시계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는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제2피스톤(152)과 제2지지대(154)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유체실린더(150)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게 홀딩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피스톤(142)이 상승시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피스톤(152)이 제2지지대(154)를 매개로 하여 상기 레버(130)가 유동되지 않게 잡아주며 지지하는 상태가 되고, 더욱이 레버(130)와 연결된 샤프트(110)와 샤프트(110)에 결합된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까지 유체실린더(150)의 홀딩 지지력이 전달되게 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공기식 기화기(AAV)로 공급되는 고온고압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샤프트(110) 및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에 심한 떨림 등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면에,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피스톤(142)을 하강시키면 액츄에이터(140)의 제1피스톤(142)과 연결된 제1지지대(144)가 하강하면서 상기 레버(130)의 일단부를 아래로 눌러주게 됨으로써 레버(130)가 반시계방향으로 각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레버(130)와 연결된 샤프트(110)도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샤프트(110)에 일체로 결합된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도 동일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어 에어의 흐름방향이 제2아웃렛(106)을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도 제2지지대(154)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제2피스톤(152)을 밀어 올리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는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제2피스톤(152)과 제2지지대(154)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유체실린더(150)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게 홀딩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피스톤(142)의 하강시에도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피스톤(152)이 제2지지대(154)를 매개로 하여 상기 레버(130)가 유동되지 않게 잡아주며 지지하는 상태이고, 더욱이 레버(130)와 연결된 샤프트(110)와 샤프트(110)에 결합된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까지 유체실린더(150)의 홀딩 지지력이 전달되게 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공기식 기화기(AAV)에 공급되는 고온고압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샤프트(110) 및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에 심한 떨림 등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피스톤(142)의 승강거리 및 하강거리를 한정하여 상기 레버(130)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40)의 하부에 제1피스톤(142)의 승하강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스톤(142)의 승하강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는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하부에 전후가 개방된 지지프레임(160)이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톤(142)에는 지지프레임(160)의 상판부(162)에 걸리는 상부 스토퍼(146)와 상기 제1지지대(144)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60)의 하판부(164)에 걸리는 하부 스토퍼(148)가 상하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제1피스톤(142)의 상승시 상부 스토퍼(146)가 지지프레임(160)의 상판부(162)에 걸리면서 승강거리가 한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피스톤(142)의 하강시 하부 스토퍼(148)가 지지프레임(160)의 하판부(164)에 걸리면서 하강거리가 한정되며, 이에 함께 제1피스톤(142)과 연결된 레버(130)의 회전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3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 및 샤프트(110)에 홀딩 지지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체실린더(150)의 제2피스톤(152)을 제2지지대(154)을 매개로 하여 연결함으로써, LNG를 기화시키는 공기식 기화기(AAV)에 고온고압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 내에서 에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도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 및 그 샤프트(110)에 떨림 등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공급되는 에어를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100 : 몸체 102 : 단일 인렛
103 : 디바이드 서포트 104 : 제1아웃렛
105 : 시트 106 : 제2아웃렛
108 : 수평 지지판 110 : 샤프트
120 :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 130 : 레버
140 : 액츄에이터 142 : 제1피스톤
144 : 제1지지대 146 : 상부 스토퍼
148 : 하부 스토퍼 150 : 유체실린더
152 : 제2피스톤 154 : 제2지지대
160 : 지지프레임 162 : 상판부
164 : 하판부 170 : 베이스 셋트

Claims (4)

  1.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단일 인렛(102)이 형성되고, 타측에 에어가 토출되는 제1아웃렛(104) 및 제2아웃렛(106)이 형성되며, 내부의 상·하부에 시트(105)가 형성된 중공형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몸체(100)의 제1아웃렛(104) 또는 제2아웃렛(106)을 개폐하는 에어조절용 댐퍼 블레이드(120)와;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샤프트(11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레버(130)와;
    상기 레버(130) 및 샤프트(11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외측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140)와;
    상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제1피스톤(142)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레버(130)의 일단부와 힌지 체결되는 제1지지대(144)와;
    상기 레버(130) 및 샤프트(110)에 진동방지를 위한 홀딩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외측에 장착되는 유체실린더(150)와;
    상단부는 상기 유체실린더(150)의 제2피스톤(152)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레버(130)의 타단부와 힌지 체결되는 제2지지대(1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외측벽에는 상기 액츄에이터(140) 및 유체실린더(150)의 고정 장착을 위한 수평 지지판(108)이 일체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하부에는 전후가 개방된 지지프레임(160)이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톤(142)에는 지지프레임(160)의 상판부(162)에 걸리는 상부 스토퍼(146)와 상기 제1지지대(144)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60)의 하판부(164)에 걸리는 하부 스토퍼(148)가 상하로 이격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좌·우 단부에는 플랜지(107)가 형성되며, 몸체(100)의 외측 하부에는 베이스 셋트(1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KR1020190064953A 2019-05-31 2019-05-31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KR10217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953A KR102174899B1 (ko) 2019-05-31 2019-05-31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953A KR102174899B1 (ko) 2019-05-31 2019-05-31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899B1 true KR102174899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953A KR102174899B1 (ko) 2019-05-31 2019-05-31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8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921B1 (ko) * 2007-09-14 2008-03-24 (주)디엔텍 풍량조절용 댐퍼장치
KR20130067046A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포스코 덕트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소결 배가스 배출 시스템
KR20130084534A (ko) 2012-01-17 2013-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KR101726801B1 (ko) * 2014-11-25 2017-04-26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20170062814A (ko) * 2015-11-30 2017-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볼륨댐퍼의 블레이드 조절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921B1 (ko) * 2007-09-14 2008-03-24 (주)디엔텍 풍량조절용 댐퍼장치
KR20130067046A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포스코 덕트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소결 배가스 배출 시스템
KR20130084534A (ko) 2012-01-17 2013-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KR101726801B1 (ko) * 2014-11-25 2017-04-26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20170062814A (ko) * 2015-11-30 2017-06-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볼륨댐퍼의 블레이드 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99B1 (ko) 진동이 방지되는 에어 조절 댐퍼
NO332015B1 (no) Anordning for produksjon av ren hydrogen
JP6069359B2 (ja) 発電所用補助蒸気発生器システム
JP7464478B2 (ja) タンクシステム、船舶
KR101879083B1 (ko) 연소기 및, 발전시스템
CN106837763B (zh) 抽油机动态调平衡装置
JP6903440B2 (ja) 排熱回収ボイラにおける熱損失を最小限に抑え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JP5773943B2 (ja) 船舶、ガス燃料供給設備、ガス燃料供給設備の運転方法
JP2011021768A (ja) ボイラ
US11499518B2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JP5642834B2 (ja) 熱交換器の蓄熱機構
KR20140067794A (ko) 선박용 압축공기 시스템
CN201722173U (zh) 一种自动控制水位的装置
JP2017133824A5 (ko)
CN207377610U (zh) 汽轮机进汽系统及超高压小容积汽轮机
JP2017078441A (ja) Lngサテライト設備
KR20100002737A (ko) 에멀전 연료유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40082332A (ko) 해상 부유 구조물 및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US20230062968A1 (en) Adaptive tuned mass damper for damping low excitation frequencies
BR112020006532B1 (pt) Central elétrica compacta e método para produção de energia
US12006998B2 (en) Adaptive tuned mass damper for damping low excitation frequencies
CN102234147A (zh) 一种自动控制水位的装置
JP3212480U (ja) 自動切替式調整器
JP2002004885A (ja) ガスタービン用燃料供給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供給方法
CN109057299A (zh) 用于建声改造的升降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