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68B1 -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생존능 및/또는 발달 단계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생존능 및/또는 발달 단계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68B1
KR102174868B1 KR1020157005195A KR20157005195A KR102174868B1 KR 102174868 B1 KR102174868 B1 KR 102174868B1 KR 1020157005195 A KR1020157005195 A KR 1020157005195A KR 20157005195 A KR20157005195 A KR 20157005195A KR 102174868 B1 KR102174868 B1 KR 10217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embryo
developmental
stage
eg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781A (ko
Inventor
바우터 세바스티안 브루인스
윌 마라인 스터터하임
Original Assignee
인 오보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2009256A external-priority patent/NL2009256C2/en
Priority claimed from NL2009255A external-priority patent/NL2009255C2/en
Application filed by 인 오보 비.브이. filed Critical 인 오보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3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5/00Other aviculture appliances, e.g. devices for determining whether a bird is about to 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8Eggs, e.g. by cand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9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the pathological state of an org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06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 G01N33/6812Assays for specific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00/00Assays, e.g. immunoassays or enzyme assays, involving carbohyd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70Mechanisms involved in disease identification
    • G01N2800/7057(Intracellular) signaling and trafficking pathways
    • G01N2800/7066Metabolic pathways
    • G01N2800/7071Carbohydrate metabolism, e.g. glycolysis, gluconeogen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70Mechanisms involved in disease identification
    • G01N2800/7057(Intracellular) signaling and trafficking pathways
    • G01N2800/7066Metabolic pathways
    • G01N2800/7076Amino acid metabolis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난 (egg)의 배양 초기부터 부화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난 내에서 당류 및/또는 아미노산, 이들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적어도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는지, 수컷 및/또는 암컷인지여부, 및/또는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수컷 및 암컷, 배아의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 및 사망 또는 미발달된 배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생존능 및/또는 발달 단계 결정방법 {GENDER, VIABILITY AND/OR DEVELOPMENTAL STAGE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S IN OVO}
본 발명은 난 (egg) 내, 더욱 구체적으로 요막액 (allantoic fluid) 내에서 발달 마커 (developmental markers)의 존재를 결정함으로써, 난 내에서 (in ovo) 조류 배아의 성별 (gender),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 (viability)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조류 배아의 생존능 결정, 및 수컷 난 및 암컷 난의 선별, 및 이와 같이 선별된 난을 이용하여 백신 및/또는 병아리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조류 종 (avian species), 사육된 닭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Gallus gallus domesticus), 오리, 거위 및 칠면조와 같은 특히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종들의 수정된 난은 거의 동등한 수컷 및 암컷 닭의 분포로 부화되는 경향이 있다. 부화장 관리에 있어서, 다양한 특성, 특히 성별에 기초하여 조류를 구분 (separate)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수컷 및 암컷 조류의 생장률 및 영양 요구조건이 상이한 경우 수컷 및 암컷 조류를 서로 다른 백신으로 접종하거나, 사료 효율을 얻고 가공 균일성을 개선하며 생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집단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이, 상업적인 난 생산을 위하여, 수컷 병아리를 배양하고 사육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는 매년 수십억 마리의 수컷 병아리의 폐사 (culling)를 야기한다.
또한, 배양 기간의 초기에 미수정되었거나 생존 가능한 (viable) 배아를 포함하지 않는 난이 상당 수 존재하며, 이들은 부화장의 배양기의 수용공간을 매우 감소시킨다. 지금까지는, 생존 가능한 즉, 살아있는 배아의 결정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EP-A-2369336 및 US 7950349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검란 (candling)"으로 알려진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여기서, 난 (egg)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난을 통과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검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은 난이 살아있는 배아를 함유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기는 하나, 신뢰할 만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11일째, 또는 심지어 그 후의 발달 단계까지 상기 난을 진전시킬 (progressed)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기법이 살아있는 난과 살아있지 않은 난을 구별할 수 있을 지라도, 이는 신뢰할 만한 정도로 미부화된 조류의 성별 및 다른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주로 암컷 병아리 배아만을 선별하는 것을 허용하는 초기 성별 선별이 가능하기 위하여는 현존하는 병아리 농장의 배양 수용공간은 필요한 크기의 적어도 두 배일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만약 초기 단계 방법이 배양 단계 전에 조류 배아의 성별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또한 부화장의 수용공간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이는 새로 부화된 조류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과 더불어 에너지 및 기타 요구되는 자원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 만큼 불필요한 수컷 병아리 폐사를 제거함으로써 환경을 위한 상당한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미수정 및/또는 생존할 수 없는 난에 대하여 생존 가능한 배아를 선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면 상기 방법은 부화 과정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또 다른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Y. Feng 등은 Appl. Magn. Reson. (2007), 32,257-268에서 900㎒의 초고장세기 (super high field strength)에서의 NMR 분광법에 의한 9일째 달걀의 요막액 (allantoic fluid) 내 대사물질의 분석을 개시한다.
Gu D.-C. et al, Chinese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 7, 23-25는 HPLC에 의한 난 사육 배양기 동안의 요막 (allantoic) 및 양막 (amnionic)액 내의 자유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 글루탐산 (glutamic acid), 아르기닌 (arginine) 및 류신 (leucine) 농도의 분석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방법은 산란일이 특정되지 않은 난의 비교를 위한 기준선을 넘어서 생산하지 못하며, 단순히 상기 4가지 아미노산을 위한 기준선 (base line)을 확립한다. 또한, 상기 개시된 검사 방법은 살아있는 배아를 갖는 난이 검사 후에 부화된 새끼로 성숙되지 않거나, 또는 백신 생산과 같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점에서 파괴적이다.
US-A-2003/0096319 및 WO-A-2006124456는 조류 난으로부터 채취된 요막액과 같은 배아액 (embryonic fluid) 또는 혈액 샘플 내의 에스트로겐 스테로이드 (estrogenic steroid) 화합물의 존재를 결정함으로써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이 난을 파괴하지 않고 실현 가능할 수도 있으나, 에스트로겐 스테로이드의 양은 매우 적고, 상기 테스트는 상기 배아 발달의 비교적 후기인 생식샘 (gonads)의 발달 이후에만 성공적일 것이다. 더욱이, WO-A-2006124456의 방법은 또한 각각의 종 및 그 서브그룹 (subgroup)에 따른 형광 마커의 변형 또는 그러한 종들의 유전적 변형을 필요로 할 것이다.
Ohta Y. et al., Poultry Science, Vol. 80, Nr. 10, 1430-1346는 브로일러 브리더 (broiler breeder eggs) 난으로부터 채취된 배아 및 기타 난 성분의 아미노산 농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아미노산의 난 내 투여의 효과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는 조류 난의 성별, 생존능 및/또는 발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을 비파괴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획득 가능한 병아리 또는 병아리 집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획득 가능한 병아리 또는 병아리 집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부터 획득가능한 다수의 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물 및/또는 인간 사료 생산, 화장료 화합물, 의약 화합물 및/또는 영양 화합물의 생산 및/또는 분리, 발효를 통한 메탄 생산, 및/또는 고품질 비료 생산을 위한 상기 방법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다수의 난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a) 난 (egg)의 배양 초기부터 부화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난 내에서 당류 및/또는 아미노산, 이들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적어도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는지, 수컷 및/또는 암컷인지여부, 및/또는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수컷 및 암컷, 배아의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 및 사망 또는 미발달된 배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은 난의 배아액 내에서 검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아액은 요막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상기 단계 (a)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커가 검출되며,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마커는 발달 마커 비율을 구축하기 위하여 분석되고 상기 기준선, 및 서로 간에 비교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달 마커는 글루코오스, 콜린 및/또는 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류 종은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Gallus gallus domesticus)이며,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암컷 배아에 대하여 30μM/㎖ 내지 7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1μM/㎖ 내지 30μM/㎖의 절대량의 글루코오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암컷 배아에 대하여 110μM/㎖ 내지 13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90μM/㎖ 이상 110μM/㎖ 미만의 절대량의 콜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암컷 배아에 대하여 110μM/㎖ 내지 13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90μM/㎖ 이상 110μM/㎖ 미만의 절대량의 발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발달 마커가 검출되고 분석되며, 상기 절대량 및 적어도 상기 제2 마커에 대한 제1 마커의 비율이 상기 성별 및/또는 생존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침습적으로 또는 비침습적으로 상기 배아액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핵 공명법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영상화법; 적외선 또는 라만 분광법을 포함하는 분광 공명법; 및/또는 적절한 검출기, 형광 분광법 및/또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과 결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또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와 같은 분석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난 내의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고 수컷인지, 또는 생존능력이 있고 암컷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우점적으로 수컷 또는 우점적으로 암컷인 난 선별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생존능력이 있는 암컷 난으로부터 다수의 생존능력이 있는 수컷 난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우점적으로 암컷 또는 수컷인 병아리 집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생존능력이 있는 암컷 또는 수컷 난 선별체를 배양 및 부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 및 부화될 것으로 여겨지는 때까지의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난을 유사하거나 동등한 발달 단계를 갖는 다수의 난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상기 배아의 생존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난을 다수의 생존능력이 있는 난과 생존능력이 없는 난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우점적으로 동일한 발달 단계의 병아리 집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예상 부화일에 따라 상기 생존가능한 난 선별체를 배양 및 부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살아있는 배아를 함유하며 수컷 또는 암컷, 및/또는 특정 발달 단계인 것으로 식별된 각각의 난 내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유사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은 상기 배양된 난으로부터 획득된 백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병아리 또는 병아리 집단은 상기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획득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은 (a) 난 내에서 아미노산, 이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적어도 제1 발달 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 및 부화될 것으로 여겨지는 때까지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산란부터 부화까지의 발달 단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은 상기 단계 (a)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커가 검출되며,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마커는 발달 마커 비율을 구축하기 위하여 분석되고 상기 기준선, 및 서로 간에 비교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류 종은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Gallus gallus domesticus)이며, 상기 발달 마커는 트리메틸글리신; 아스파르테이트 및/또는 아스파라긴; 글루타메이트 및/또는 글루타민, 및/또는 프롤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발달 마커가 검출되고 분석되며, 상기 절대량 및 적어도 상기 제2 마커에 대한 제1 마커의 비율이 상기 성별 및/또는 생존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침습적으로 또는 비침습적으로 상기 배아 액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핵 공명법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영상화법; 적외선 또는 라만 분광법을 포함하는 분광 공명법; 및/또는 적절한 검출기, 형광 분광법 및/또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과 결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또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와 같은 분석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발달 단계의 난을 선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연령의 병아리 집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발달 단계에 따라 난 선별체를 배양 및 부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난 내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부화 및/또는 백신 주입 단계 이전에 생존능력이 없는 난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배아가 수컷인지, 또는 암컷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우점적으로 수컷 또는 우점적으로 암컷인 난 선별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암컷 난으로부터 다수의 수컷 난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에 따라, 살아있는 배아를 함유하며 수컷 또는 암컷으로 식별된 각각의 난 내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유사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양된 난으로부터 획득된 백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병아리 또는 병아리 집단은 상기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획득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다수의 난은 상기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방법으로 획득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다수의 난의 용도는 동물 및/또는 인간 사료 생산, 화장료 화합물, 의약 화합물 및/또는 영양 화합물의 생산 및/또는 분리, 발효를 통한 메탄 생산, 및/또는 고품질 비료 생산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리하게 배아의 생존능, 및/또는 성별,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난의 배양 초기로부터 부화시까지의 발달 단계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감소된 스트레스 및 인공적인 배양 조건에 장기간 노출되는 조기 부화된 조류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하여 더욱 높은 품질을 갖는 더욱 균일한 병아리 집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부화된 조류 집단이 더욱 높은 품질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효율적으로 백신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험실용 달걀 세트로부터 1H NMR로 검출된 모든 대사물질에 기초한 그룹 샘플에 대한 1H NMR 데이터에 대한 감독되지 않은 다변량 데이터 분석 (unsupervised multivariate data analysis)인 부분최소자승법 (partial least square) 모델링을 나타낸다. F는 암컷을 나타내며, M은 수컷을 나타낸다.
도 2는 상업적인 닭 부화장으로부터 얻은 더욱 대규모의 테스트 세트의 1H NMR로 검출된 모든 대사물질에 기초한 그룹 샘플에 대한 1H NMR 데이터에 대한 감독되지 않은 다변량 데이터 분석 (unsupervised multivariate data analysis)인 부분최소자승법 (partial least square) 모델링을 나타낸다. F는 암컷을 나타내며, M은 수컷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난 (egg)의 배양 초기부터 부화될 때까지의 기간동안 난 내에서 당류 및/또는 아미노산, 이들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detecting) 단계; (b) 상기 검출된 적어도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measuring) 단계, 및 (c) 상기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는지, 수컷 및/또는 암컷인지여부, 및/또는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수컷 및 암컷, 배아의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 및 사망 또는 미발달된 배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 (base line)과 비교하는 (comparing) 단계;를 포함하는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a) 난 (egg)의 배양 초기부터 부화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 난 내에서 당류 및/또는 아미노산, 이들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적어도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는지, 수컷 및/또는 암컷인지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수컷 및 암컷, 및/또는 생존 및 사망 또는 미발달된 배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및/또는 생존능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a) 난 내에서 아미노산, 이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적어도 제1 발달 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 및 부화될 것으로 여겨지는 때까지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산란부터 부화까지의 발달 단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가 나타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 기술된 구현 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이러한 구현 예들은 본 개시가 완벽하고 완전해지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구현 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뿐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조류의 (avian)" 및 "조류 (bird)"는 모든 조류 종의 수컷 또는 암컷을 포함하지만, 주로 난 또는 고기용으로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가금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상기 용어 "조류" 및 "조류의"는 특히 닭, 칠면조, 오리, 거위, 메추라기 및 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배양 (incubation)"은 암탉의 창자 (tract)에서 이탈한 후에 조류의 난이 부화되는 과정 및 난 내에서의 배아의 발달을 의미한다. 여기서 배양기간 (incubation period)은 조류의 발달이 지연되지 않는다면, 특정 난이 부화 즉, 조류의 발생까지 모든 조작 또는 예를 들어 배양기 (incubator)로부터 부화장치 (hatchery unit)로의 운반을 포함하는 포란 (brooding)을 모방한 조건에 놓이는 연속적인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용어 "난 내 (in ovo)"는 부화되기 전의 난에 함유된 조류 배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사육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메추라기, 및 꿩 난을 포함하는 모든 유형의 조류 난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주입 (injection)" 및 "주입하는 (injecting)"은 물질을 난 또는 배아 내로 운반 또는 배출하는 방법, 난 또는 배아로부터 물질 (즉, 샘플)을 제거하는 방법, 및/또는 난 또는 배아 내로 탐지 장치를 삽입시키는 방법을 포함하여, 장치 (전형적으로 긴 장치)를 난 또는 배아 내로 삽입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은 상기 배아가 생존 가능하다면, 비파괴적인 즉, 그에 따라 만약 희망하는 경우라면 그와 같이 테스트된 조류 배아를 성장시키거나, 난 내 백신 생산과 같은 추가적인 단계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요막액 (allantoic fluid)"은 다른 난 물질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요막액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 요막액은 혈액 및 요막액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는 요막액 또는 난의 상면 근처 영역 (areas near the upper surface)으로부터의 추출물 (extracting material)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요막액으로부터 물질의 제거는 단지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 예의 일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양막 (amnion), 노른자 (yolk), 껍데기 (shell), 알부민 (albumen), 조직 (tissue), 막 (membrane) 및/또는 혈액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발달 마커를 식별하기 위하여 난으로부터 추출되고 분석될 수 있다. 물질은 사실상 모든 방향 (orientation)을 갖는 난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미리결정된 위치 (predetermined location)"는 난 내의 고정된 위치 또는 깊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가 난 내의 고정된 깊이 및/또는 위치로 난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있어서, 난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아의 상기 위치 또는 배아강 (subgerminal cavity)에 대하여 주입이 수행될 수 있다.
용어 "양을 비교하는 (comparing the amount)"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된 대사물질의 일변량 (univariate)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변량 (multivariate) 분석, 및 조류 배아와 특정 집단과의 연관성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질량 스펙트럼 (mass spectral), NMR, 또는 기타 달리 측정된 적절한 데이터의 다변량 통계분석에 의하여 샘플 물질 내의 분해물질 (analytes) 즉, 대사물질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변량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바람직하게는 주성분 분석 프로그램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rogram), 및/또는 부분최소자승법 회귀분석 프로그램 (partial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is prog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이들의 결정을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되는 방법과 더불어 다변량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및/또는 생존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이들의 배양 기간 (incubation period)으로도 언급된, 배아 발달 기간 동안 언제라도 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는 상기 배아 발달 기간동안의 특정 날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발달 마커 (developmental markers)는 바람직하게는 침습적으로 (invasively) 또는 비침습적으로 (non-invasively) 분석될 수 있다.
상기 분석이 침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이는 전형적으로 난 물질 샘플의 추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은 배아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요막액으로부터 채취되며, 이는 이러한 방법이 상기 배아를 가장 덜 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요막액은 전형적으로 조류 배아의 질소성 (nitrogenous) 대사물질을 위한 분비 매체 (excretory medium)이다. 상기 요막액은 Hamburger, V and Hamilton, HL (1951). "병아리 배아 발달의 일련의 통상적 단계 (A series of normal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hick embryo)". Journal of Morphology 88 (1): 49-9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략 3일째 형성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요막 (allantois)은 아직 소포성 (vesicular)이 아닌, 짧은 후막 포켓 (thick-walled pocket)으로서 배양 65시간 후에 구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72 시간 후에, 상기 요막은 소포성이며, 중간뇌 (midbrain)의 크기 평균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였으며, 이는 상기 요막 및 상기 요막액이 3일째부터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배양 약 13일째에 최대 부피를 이루며, 그 후 수분 감소 및 액 재흡수 (fluid resorption) 때문에 배양이 지속됨에 따라 부피가 줄어들지만, 배양 18일째 여전히 상당한 부피로 존재한다.
상기 요막액은 내부 및 외부 각막 (shell membrane)과 장요막 (chorioallantoic membranes)에 의하여 난각 (eggshell)과 구분 (separated)된다. 상기 요막액이 배아형성된 (embryonated) 난의 전체 둘레를 포함할지라도, 상기 요막액은 전형적으로 기포 (air cell)에 가로놓인 (overlying) 막 바로 아래의 난 상부에 축적된다.
난 상부에서의 상기 요막액의 축적은 중력 및 밀집된 (dense) 배아 및 난황낭 (yolk sac)에 의한 변위 (displacement)때문이다. 난이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에서 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요막액을 정확하게 채취하려는 시도는 난마다의 기공 (air space)의 가변성 (variability) 때문에 곤란할 수 있다. 국한된 (localized) 위치에 상기 요막액을 모으기 위하여 중력이 사용될 수 있다. 난이 그 세로 축으로 돌려질 때, 상기 요막액은 껍데기의 곧바로 밑인 상기 난의 상부 쪽에 모이게 될 것이다. 난을 세로 축으로 두는 것은 상기 요막액이 샘플로 추출되기에 유용하도록 한다.
난으로부터 요막액과 같은 물질의 추출은 난각을 관통하는 것, 및 샘플링 캐뉼라 (sampling cannula)를 상기 막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채취될 상기 액의 샘플은 그 후 상기 막 및/또는 껍데기가 적절한 밀봉재로 능동적으로 밀봉되거나 또는 그 자체로 밀봉되는 동안 회수될 수 있다.
난의 관통 및 난 물질의 침습적인 샘플링을 위한 적절한 방법 및 장치가 예를 들어, US-A- 20070137577, WO-A-00/22921 또는 WO-A-99/34667에 개시된다. 따라서, 채취된 샘플은 그 후 바람직하게는 발달 마커의 검출, 및 존재하는 발달 마커의 상대 및/또는 절대량의 분석을 허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과정에 놓이게 된다.
상기 샘플은 발달 마커 또는 마커들을 검출하고 정량하기에 적절한 모든 방법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은 핵 공명법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영상화법; 적외선 또는 라만 분광법을 포함하는 분광 공명법; 및/또는 딥스틱 (dipstick) 방법과 같은 습식 및 건식 방법을 포함하는 적절한 검출기, 형광 분광법 및/또는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과 결합된 GC 또는 HPLC와 같은 분석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침습적인 방법이 샘플을 직접적으로 채취하고, 채취된 액을 분석에 제공하도록 허용하기는 하지만, 그러한 분석 방법의 효율성 및 상기 난각 및 그 안의 막이 구멍뚫리지 않게 된다는 사실 때문에 상기 분석은 바람직하게는 비침습적으로 수행된다.
그러한 비침습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든 적절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난 내에 존재하는 발달 마커의 존재와 절대 및/또는 상대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전형적으로, 적외선 라만 분광법을 포함하는 정량적 분광 공명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A-2011/144473 및 US-A-7950349와 같은 몇몇 공개 문헌이 비침습적인 방법의 사용을 개시하였으나, 이러한 문헌들은 단지 실제로 배아의 발달 단계, 생존능 및/또는 성별을 선별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전반적인 방출 스펙트럼을 모호하게 기술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난 내에 특정 성분의 존재가 결정되며, 이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발달 마커 화합물(들)의 절대 및 상대량을 구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파생 스펙트럼 (derivative spectra)을 이용하여 유리하게 수행된다는 점에서 상기 개시된 방법과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미분 2차 도함수 푸리에 변환 적외선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및 FT-라만 분광법, 또는 이들의 조합이 요구되는 정확도 및 반복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적용될 것이며, 핵 자기 공명법은 발달 마커의 성질을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한 기준선 (base line)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리하게 배아의 생존능, 및/또는 성별,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난의 배양 초기로부터 부화시까지의 발달 단계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의 배양 개시 6 내지 12일의 기간 동안에 단계 a)를 수행하는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이 개시된 후 1 내지 15일의 기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4일의 기간,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3일의 기간,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일의 기간 동안 수행된다.
이는 생존 가능하지도 않고 또는 원치 않는 성별인 난을 배양하는 것에 수반되는 비용을 피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난의 실제 발달 단계가 결정될 수 있다. 사육되는 닭보다 더욱 짧거나 혹은 더욱 긴 배양 시간을 갖는 종의 경우는 적절한 다른 기간이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달 마커는 바람직하게는 당류, 아미노산, 및 이들 각각의 대사물질 및/또는 전구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 특히 중요한 발달 마커로는 그 각각이 상기 조류 배아의 성별 결정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 영향 (significant influence)을 가졌던 글루코오스, 콜린 및 발린이 포함되었다.
어떠한 특정 이론에도 구속되기를 희망하지 않으며, 콜린 및 트리메틸글리신, 그 아미노산 유도체는 태아의 발달 신경 체계를 지지하기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콜린 및 트리메틸글리신 (베타인) 비율이 수컷과 암컷 배아 간에 매우 다르며, 콜린의 절대량이 암컷 배아의 요막액 내에서 더욱 높았다는 점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콜린 및 그 대사물질은 세포막을 위한 구조적 통합 (structural integrity) 및 신호전달 역할, 콜린성 신경전달 (cholinergic neurotransmission) (아세틸콜린 합성), 및 S-아데노실메티오닌 (S-adenosylmethionine, SAMe) 합성 경로에 참여하는 그 대사물질, 트리메틸글리신 (베타인)을 통한 메틸기의 주재료 (major source)의 세가지 주요한 생리학적 목적을 위해 요구된다. 한편, 발린 및 글루코오스 또한 수컷과 암컷 배아 간에 매우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조류 종이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Gallus gallus domesticus)인 경우,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요막액 내에서 암컷 배아에 대하여 30μM/㎖ 내지 7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1μM/㎖ 내지 30μM/㎖ 범위의 절대량의 글루코오스이다.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배아에 대한 또 다른 제1 또는 바람직한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요막액 내에서 암컷 배아에 대하여 110μM/㎖ 내지 13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90μM/㎖ 이상 최대 110μM/㎖ 미만 범위의 절대량의 콜린이다.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배아에 대한 또 다른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바람직하게는 요막액 내에서 암컷 배아에 대하여 110μM/㎖ 내지 13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90μM/㎖ 이상 최대 110μM/㎖ 미만 범위의 절대량의 발린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제2 마커는 단계 (a)에서 검출되며, 발달 마커 비율 (developmental marker ratio)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마커는 분석되며 상기 기준선 및 서로에 대하여 비교된다.
둘 또는 세 개의 마커의 분석을 상호연관 (correlating)시킴으로써, 생존능 및 성별의 결정의 선택성 (selectivity)이 유리하게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및 제2 및/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가 검출 및 분석되며, 여기에서 상기 절대량과 제2 및/또는 추가적인 마커에 대한 제1 마커의 비율이 성별 및/또는 생존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난 내의 배아가 생존 가능하며 수컷인지, 또는 생존 가능하며 암컷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우점적으로 수컷 또는 우점적으로 (predominantly) 암컷인 난 선별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생존 가능한 암컷 난으로부터 다수의 생존 가능한 수컷 난을 구분 (separ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생존 가능한 암컷 또는 수컷 난 선별체는 바람직하게는 우점적으로 암컷 또는 수컷 병아리 집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배양 및 부화 과정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살아있는 배아를 함유하며, 수컷 또는 암컷인 것으로 식별된 각각의 난 내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유사 (virus-like)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배양 후에, 상기 배양된 난으로부터 획득된 백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자 바이러스 (seed virus)를 주입한 후에, 살아있는 배아를 함유하는 난은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배양기로 운반된다. 상기 시간의 마지막에, 상기 난은 예를 들어, 양수 (amniotic fluid)와 같은 각각의 난으로부터 유래된 물질이 추출되는 백신 수확 스테이션 (vaccine harvesting station)으로 운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감염된 난 내에서 배아를 사멸시키는 (euthanizing) 단계, 및 각각의 사멸된 난으로부터 백신을 포함하는 양수를 수확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수로부터 백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수확된 양수는 인간 인플루엔자 백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아의 연령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달 마커가 또한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기타 다른 마커가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배아 연령의 결정을 위하여 사용 가능한 발달 마커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및 이들 각각의 대사물질 및/또는 전구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자는 특히 아미노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타인 (Betaine)으로도 알려진 트리메틸글리신 (Trimethylglycine), 아스파르테이트 (Aspartate) 및 아스파라긴 (Asparagine), 글루타메이트 (Glutamate) 및 글루타민 (Glutamine)과 프롤린 (Proline)의 절대 또는 상대적인 양이 난 내 (in ovo)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와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특히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 또는 연령의 결정을 허용하는 몇몇 특징들이 존재하므로 연관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난을 제어된 배양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본질적으로 동일한 발달 단계 또는 현실령 (actual age)을 갖는 난을 선별하고, 본질적으로 동일한 연령의 다수의 난을 결합 (combine)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결과적인 부화기는 더욱 균일해야 하며, 이에 따라 감소된 스트레스 및 인공적인 배양 조건에 장기간 노출되는 조기 부화된 조류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하여 더욱 높은 품질을 갖는 더욱 균일한 병아리 집단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부화된 조류 집단은 더욱 높은 수율 및 예를 들어, 감소된 양의 처치를 통한 상기 병아리 집단에 대한 감소된 후속 요구를 야기하게 되는 더욱 높은 품질을 나타낼 것이다.
유사하게, 여기에서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는 가장 효율적으로 바이러스가 주입되고 백신이 수확되는 시점과 관련되므로, 연령 선별된 난의 집단은 또한 더욱 효율적으로 백신을 제조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난 선별,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부화 후 병아리 또는 병아리 집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비한정적인 하기 실시예가 제공된다.
실시예 1
난 내 ( in ovo ) 프로토콜 대사 프로파일링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난을 MS Broedmachines V.O.F.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배양기 모델 50 내에서 매 시간 돌려주면서 37.8℃에서 배양하였다.
12개 난으로 이루어진 제1 그룹을 9일간 배양하였으며, 12개 난으로 이루어진 제2 그룹을 10일간 배양하였고, 12개 난으로 이루어진 제3 그룹을 11일간 배양하였다.
배양기로부터 난을 꺼내어 공기 주머니 (air sack)가 위로 가도록 현미경 하에 종이 홀더에 위치시켰다. 상기 껍질 (shell) 및 막에 구멍을 뚫고, 상기 공기 주머니 둘레를 파개 (broken open) 하였으며, 내막 (inner membranes)은 손상시키지 않은 채 두었다. 빛을 이용하여, 상기 껍질 내막 (inner shell membrane)을 가로지르는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상기 혈관을 피하여 내막 및 외막을 관통하여 상기 요막 공간 (allantoic cavity) 내로 작은 천공을 형성하였다.
상기 난을 기울였으며 (skewed), 상기 공간 내로 공기를 불어넣기 위하여 1㎖ 피펫을 이용하였고, 그 후 상기 피펫을 이용하여 1.5 내지 2㎖의 요막액을 추출하였다. 이를 저온 바이얼 (cryovial) 내로 운반하였으며, 이를 즉시 액체 질소 내로 집어 넣었다. 그 후 상기 샘플을 꺼내어 -80℃로 저장하였다.
상기 막을 잘라내고 작은 숟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배아를 상기 난으로부터 꺼내었다. 이를 96% 에탄올 및 얼음으로 채워진 팔콘 튜브 (falcon tube)에 집어 넣었으며, 실온에서 어두운 곳에 보관하였다.
상기 요막액을 -80℃로부터 꺼내어 해동시켰으며 (defrosted), 1㎖ 샘플을 취하여 유리 바이얼 (glass vial)에 집어 넣었다.
유리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클로로포름 1㎖와 메탄올 및 물 혼합물 (1:1)을 상기 샘플에 첨가하였다. 캡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얼을 막았으며, 그 후 20초간 흔들어주고 10분 동안 4℃에 두었다. 유리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1㎖의 상기 혼합물 상층부를 취하였으며, 이를 저온 바이얼로 옮겼다. 상기 저온 바이얼의 캡에 구멍을 뚫었으며, 이를 하룻밤 동안 냉동 건조시켰다. 이와 같은 냉동 건조 산물은 NMR 샘플로 이용되었다.
실시예 2
난 내 ( in ovo ) 프로토콜 대사 프로파일링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난을 Petersime NV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배양기 내에서 매 시간 돌려주면서 상업적인 부화장에서 37.8℃로 배양하였다. 50개 난으로 이루어진 제1 그룹을 8일간 배양하였으며, 50개 난으로 이루어진 제2 그룹을 9일간 배양하였고, 50개 난으로 이루어진 제3 그룹을 10일간 배양하였다.
배양기로부터 난을 꺼내어 공기 주머니 (air sack)가 위로 가도록 현미경 하에 플라스틱 홀더에 위치시켰다.
상기 껍질 (shell) 및 막에 구멍을 뚫고, 상기 공기 주머니 둘레를 파개 (broken open) 하였으며, 내막 (inner membranes)은 손상시키지 않은 채 두었다. 빛을 이용하여, 상기 껍질 내 막 (inner shell membrane)을 가로지르는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상기 혈관을 피하여 내막 및 외막을 관통하여 상기 요막 공간 (allantoic cavity) 내로 작은 천공을 형성하였다.
상기 난을 기울였으며 (skewed), 상기 공간 내로 공기를 불어넣기 위하여 1㎖ 피펫을 이용하였고, 그 후 상기 피펫을 이용하여 1.5 내지 2㎖의 요막액을 추출하였다. 이를 저온 바이얼 (cryovial) 내로 운반하였으며, 이를 즉시 액체 질소 내로 집어 넣었다. 그 후 상기 샘플을 꺼내어 -80℃로 저장하였다.
상기 막을 잘라내고 작은 숟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배아를 상기 난으로부터 꺼내었다. 이를 96% 에탄올 및 얼음으로 채워진 팔콘 튜브 (falcon tube)에 집어 넣었으며, 실온에서 어두운 곳에 보관하였다.
상기 요막액을 -80℃로부터 꺼내어 해동시켰으며, 0.5㎖ 샘플을 취하여 유리 바이얼 (glass vial)에 집어 넣었다. 상기 저온 바이얼의 캡에 구멍을 뚫었으며, 이를 하룻밤 동안 냉동 건조시켰다. 이와 같은 냉동 건조 산물은 NMR 샘플로 이용되었다.
성별 결정-확인:
상기 닭 배아를 상기 에탄올로부터 꺼내어 실온에서 10분간 건조시켰다. 좌측 다리의 일부를 잘라내어 (Qiagen DNeasy 키트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기 위하여 이를 사용하였으며, 그 후 나노드롭 (nanodrop) 장치를 이용하여 그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배아의 성별을 결정하기 위하여 Sigma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프라이머 쌍 1272H 및 1237L를 이용한 PCR이 사용되었다. 사용된 PCR 프로그램은 5분간 95℃, 그 후 36 회의 45초간 95℃, 45초간 56℃, 1분간 72℃이었으며, 그 후 5분간 72℃로 1회 수행되었다. 2% 한천 겔 (agar gel)을 이용함으로써 식별된 결과적인 PCR 산물에 기초하여 상기 배아의 성별이 결정되었다.
NMR 샘플 제조
내부 표준 (internal standard)으로 3-(트리메틸실릴)프로피온-2,2,3,3-d4산 (3-(trimethylsilyl)propionic-2,2,3,3-d4 acid, TSP)을 이용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획득된 50-100㎎의 샘플 물질로, Nature Protocols, Vol.5, No.3, 2010, 536-549페이지, 및 Phytochemistry 71, 2010, 773-784에 개시된 바와 같이, 2차원 (2D)-1H-1H-J-해상 NMR 측정 ((2D)-1H-1H-J-resolved NMR measurements)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하여 획득된 데이터가 표 1에 기술되어 있다:
표 1: 수컷 및 암컷 배아에 대하여 측정된 데이터
발달 마커
(Dev. Marker)
암컷 (μM/㎖; 괄호 내 표준편차) 수컷 (μM/㎖; 괄호 내 표준편차)
글루코오스 51 (17.7) 32.2 (10.5)
콜린 125.8 (21.4) 101.3 (21.1)
발린 23.7 (4.09) 28.6 (3.63)
다변량 데이터 분석 (Multivariate data analysis)
감독되지 않은 다변량 데이터 분석 (unsupervised multivariate data analysis)인 부분최소자승법 (partial least square) 모델링이 1H NMR로 검출된 모든 대사물질에 기초한 그룹 샘플에 대한 1H NMR 데이터에 대하여 적용되었다. 획득된 가장 중요한 정보는 두 데이터 세트 즉, 상기 측정된 1H NMR 신호 (대사물질) 및 상기 샘플 분류 (그룹 정보) 간의 연관성 (correlation)이었다.
상기 분석은 수컷 또는 암컷 배아에 대한 발달 마커의 절대량뿐만 아니라 상대량 또한 보여주었다. 제2 마커 및 제3 마커가 각각 추가 되었을 때, 상기 테스트의 선택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도 1 및 2는 각각 실시예 1 및 2의 다변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내며, 성별 결정으로 오버레이 (overlay)되어 있다.
실시예 3
배아 연령의 결정
실시예 1을 반복하였으며, 다만 배아의 발달 단계, 또는 연령의 결정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진 하기 발달 마커를 분석하였다.
표 2: 9 내지 11일간 측정된 데이터
발달 마커 9일간 (μM/㎖; 괄호내 표준편차) 10일간 (μM/㎖) 11일간 (μM/㎖)
트리메틸글리신
(베타인)
0.75 (0.27) 0.65 (0.2) 0.43 (0.13)
아스파르테이트 및
아스파라긴
9.35 (3.2) 7.72 (2.75) 5.34 (3.91)
글루타메이트 및
글루타민
41.5 (7.71) 37.1 (3.94) 31.7 (5.33)
프롤린 12.7 (2.69) 11 (1.58) 9.02 (1.59)
상기 데이터는 배아의 발달 단계가 하나 이상의 발달 마커로부터 결정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감독되지 않은 다변량 데이터 분석 (unsupervised multivariate data analysis)인 부분최소자승법 (partial least square) 모델링이 1H NMR로 검출된 모든 대사물질에 기초한 그룹 샘플에 대한 1H NMR 데이터에 대하여 적용되었다. 획득된 가장 중요한 정보는 두 데이터 세트 즉, 상기 측정된 1H NMR 신호 (대사물질) 및 상기 샘플 분류 (그룹 정보) 간의 연관성 (correlation)이었다.
상기 다변량 모델은 배아의 성별, 연령 및/또는 생존능과 존재하는 대사물질의 상대량 간의 연관성을 증명하였다. 예를 들어, GCMS와 같은 다른 선택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비슷한 결과를 얻었으며, 그에 따라 상기 결과를 확증하였다.
상기 분석은 발달 단계에 대한 발달 마커의 절대량뿐만 아니라, 상대량 또한 보여주었다. 각각 제2, 제3 및 제4 마커가 추가되었을 때, 상기 테스트의 선택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물질의 이점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적인 구현 예들이 상기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었을 지라도, 이들이 제한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설명적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명백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은 본 발명의 범주를 여기에 기술된 특정 형태 또는 구현 예에 한정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 아니다.

Claims (34)

  1. (a) 난 (egg)의 배양 초기부터 부화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난 내에서 당류 또는 아미노산, 이들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는지, 수컷 또는 암컷인지여부, 또는 배아의 발달 단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수컷 및 암컷, 배아의 발달 단계, 또는 생존 및 사망 또는 미발달된 배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은 난의 배아액 내에서 검출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아액은 요막액인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제2 마커가 검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마커는 발달 마커 비율을 구축하기 위하여 분석되고 상기 기준선, 및 서로 간에 비교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달 마커는 글루코오스, 콜린 또는 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류의 종은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Gallus gallus domesticus)이며,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암컷 배아에 대하여 30μM/㎖ 내지 7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1μM/㎖ 내지 30μM/㎖의 절대량의 글루코오스인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암컷 배아에 대하여 110μM/㎖ 내지 13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90μM/㎖ 이상 110μM/㎖ 미만의 절대량의 콜린인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 또는 추가적인 발달 마커는 암컷 배아에 대하여 110μM/㎖ 내지 130μM/㎖, 수컷 배아에 대하여 90μM/㎖ 이상 110μM/㎖ 미만의 절대량의 발린인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발달 마커가 검출되고 분석되며, 상기 제2 마커에 대한 제1 마커의 절대량 및 비율이 상기 성별 또는 생존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침습적으로 또는 비침습적으로 상기 배아액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핵 공명법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영상화법; 적외선 또는 라만 분광법을 포함하는 분광 공명법; 또는 검출기, 형광 분광법 또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과 결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또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와 같은 분석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난 내의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고 수컷인지, 또는 생존능력이 있고 암컷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우점적으로 수컷 또는 우점적으로 암컷인 난 선별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생존능력이 있는 암컷 난으로부터 다수의 생존능력이 있는 수컷 난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우점적으로 암컷 또는 수컷인 병아리 집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생존능력이 있는 암컷 또는 수컷 난 선별체를 배양 및 부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 및 부화될 것으로 여겨지는 때까지의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난을 유사하거나 동등한 발달 단계를 갖는 다수의 난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아의 생존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난을 다수의 생존능력이 있는 난과 생존능력이 없는 난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우점적으로 동일한 발달 단계의 병아리 집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예상 부화일에 따라 생존가능한 난 선별체를 배양 및 부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살아있는 배아를 함유하며 수컷 또는 암컷, 또는 특정 발달 단계인 것으로 식별된 각각의 난 내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유사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양된 난으로부터 획득된 백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발달 단계 또는 생존능의 비파괴적 결정 방법.
  19. 삭제
  20. (a) 난 내에서 아미노산, 이의 전구체 및 대사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달 마커 화합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적어도 제1 발달 마커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배아의 발달 단계 및 부화될 것으로 여겨지는 때까지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을 산란부터 부화까지의 발달 단계에 대하여 구축된 기준선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제2 마커가 검출되며, 제1 및 제2 마커는 발달 마커 비율을 구축하기 위하여 분석되고 상기 기준선, 및 서로 간에 비교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2.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조류의 종은 갈루스 갈루스 도메스티쿠스 (Gallus gallus domesticus)이며, 상기 발달 마커는 트리메틸글리신; 아스파르테이트 또는 아스파라긴; 글루타메이트 또는 글루타민, 또는 프롤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발달 마커가 검출되고 분석되며, 상기 제2 마커에 대한 제1 마커의 절대량 및 비율이 발달단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침습적으로 또는 비침습적으로 상기 배아 액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핵 공명법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영상화법; 적외선 또는 라만 분광법을 포함하는 분광 공명법; 또는 검출기, 형광 분광법 또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과 결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또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포함하는 분석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6.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발달 단계의 난을 선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연령의 병아리 집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발달 단계에 따라 난 선별체를 배양 및 부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8.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난 내 배아가 생존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부화 또는 백신 주입 단계 이전에 생존능력이 없는 난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29.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배아가 수컷인지, 또는 암컷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우점적으로 수컷 또는 우점적으로 암컷인 난 선별체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암컷 난으로부터 다수의 수컷 난을 구분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아의 발달 단계에 따라, 살아있는 배아를 함유하며 수컷 또는 암컷으로 식별된 각각의 난 내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유사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배양된 난으로부터 획득된 백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난 내 조류 배아의 발달 단계의 결정 방법.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57005195A 2012-07-30 2013-07-30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생존능 및/또는 발달 단계 결정방법 KR102174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77227P 2012-07-30 2012-07-30
NL2009256A NL2009256C2 (en) 2012-07-30 2012-07-30 Age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s in ovo.
NL2009255 2012-07-30
NL2009256 2012-07-30
US61/677,227 2012-07-30
NL2009255A NL2009255C2 (en) 2012-07-30 2012-07-30 Gender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s in ovo.
PCT/NL2013/050569 WO2014021715A2 (en) 2012-07-30 2013-07-30 Gender, viability and/or developmental stage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s in ov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781A KR20150036781A (ko) 2015-04-07
KR102174868B1 true KR102174868B1 (ko) 2020-11-06

Family

ID=5002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195A KR102174868B1 (ko) 2012-07-30 2013-07-30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생존능 및/또는 발달 단계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20150260704A1 (ko)
EP (1) EP2880440B1 (ko)
JP (1) JP6279574B2 (ko)
KR (1) KR102174868B1 (ko)
CN (1) CN104704360B (ko)
AU (1) AU2013297168B2 (ko)
BR (1) BR112015002156B1 (ko)
CA (1) CA2917414C (ko)
DK (1) DK2880440T3 (ko)
ES (1) ES2709027T3 (ko)
MX (1) MX362096B (ko)
PL (1) PL2880440T3 (ko)
RU (1) RU2681536C2 (ko)
TR (1) TR201901409T4 (ko)
UA (1) UA118544C2 (ko)
WO (1) WO2014021715A2 (ko)
ZA (1) ZA2015012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752A (ko) 2022-04-13 2023-10-20 오보젠 주식회사 가금류 알(卵)의 암수 검사 및 선별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0150A1 (de) 2014-07-04 2016-01-07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aman-spektroskopischen in-ovo Geschlechtsbestimmung von befruchteten und bebrüteten Vogeleiern
FR3023617B1 (fr) * 2014-07-11 2018-06-15 Tronico Dispositif non invasif de determination de la fertilite et/ou du sexe d’un oeuf, et procede correspondant.
CN106574302A (zh) 2014-08-04 2017-04-19 基因细胞生物系统有限公司 基因组分析装置和使用方法
EP3177918B1 (de) 2015-07-29 2018-06-27 Agri Advanced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bringung einer öffnung in die kalkschale im bereich des stumpfen pols von bebrüteten vogeleiern mit embryo
KR20180099704A (ko) * 2015-12-03 2018-09-05 이지지엑스와이티 리미티드 부화되지 않은 알에서 조류 배아의 성별 결정 방법 및 이의 수단
DE102016004051B3 (de) 2016-04-04 2017-07-27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ptischen in-ovo Geschlechtsbestimmung von befruchteten und bebrüteten Vogeleiern
SG11201810254UA (en) * 2016-05-17 2018-12-28 Univ Osaka Blood sample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iabetes
ES2877368T3 (es) * 2016-05-24 2021-11-16 In Ovo Holding B V Método y sistema para la determinación in ovo no destructiva del género de las aves
DE102016011348A1 (de) 2016-09-16 2018-03-22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zur Klassifizierung von Spektren von Objekten mit komplexem Informationsgehalt
WO2019007520A1 (en) * 2017-07-06 2019-01-10 Seleggt Gmbh PROCESS FOR PRODUCTION OF CHICKEN USING SEXING OF CHICKEN EMBRYOS
JP6930727B2 (ja) * 2017-07-20 2021-09-01 株式会社ナベル 入卵前の種卵の性別指向選抜装置
FR3071701B1 (fr) * 2017-10-03 2023-05-12 Nectra Dispositif pour injection in-ovo
EP3483619A1 (en) 2017-11-13 2019-05-15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Automated noninvasive determining the sex of an embryo of and the fertility of a bird's egg
CN108802002B (zh) * 2018-05-08 2020-11-17 华南农业大学 一种快速无损鉴别解除滞育的蚕卵拉曼光谱模型构建方法
NL2021022B1 (en) * 2018-05-30 2019-12-10 Seleggt Gmbh Method for determining the gender of a chicken embryo
CN109618981B (zh) * 2019-01-25 2021-07-27 天津大学 一种基于吸收光谱频率特征的鸡胚存活状态的检测方法
AU2020232441A1 (en) * 2019-03-05 2021-09-23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ro) (Volcani Center) Genome-edited birds
NL2023176B1 (en) 2019-05-22 2020-12-01 In Ovo B V Composition comprising eggs and use of such composition
US11774454B2 (en) 2019-08-25 2023-10-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Non-invasive analysis of embryo metabolites
MX2023001387A (es) 2020-08-03 2023-04-11 Emgenisys Inc Evaluación de embriones mediante video en tiempo real.
DE102021127696B3 (de) 2021-10-25 2023-03-09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erfahren und Anordnung zur in-ovo Geschlechtsbestimmung von Vogeleiern
CN115808414A (zh) * 2023-01-18 2023-03-17 苏州贝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无创评估胚胎发育质量的拉曼光谱分析方法及其应用
CN117629987A (zh) * 2023-12-06 2024-03-01 华中农业大学 一种鸡胚蛋性别鉴定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5339B1 (en) 1998-09-04 2002-04-02 Bechtel Bwxt Idaho, Llc Gender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671680A1 (ru) * 1989-04-04 1991-08-23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икладной биохимии Способ отбора аллантоисной жидкости из куриных эмбрионов
EP1021717B1 (en) * 1996-10-04 2002-04-10 Embrex Inc. Method of sorting birds in ovo
UY25347A1 (es) 1998-01-12 1999-05-14 Embrex Inc Procedimiento de inyeccion multiple para el tratamiento de embriones aviarios in ovo, y aparato automatizado para la inyeccion in ovo.
US6176199B1 (en) 1998-10-20 2001-01-23 Embrex, Inc. Method for localizing allantoic fluid of avian eggs
RU2161403C1 (ru) * 1999-06-03 2001-01-10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селекции мясной птицы
GB0001270D0 (en) * 2000-01-19 2000-03-08 Univ York Assessment method
US7041439B2 (en) * 2001-04-17 2006-05-09 Embrex,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cessing eggs having identified characteristics
US6850316B2 (en) 2002-06-10 2005-02-01 Embrex,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vaccine from eggs
WO2006124456A2 (en) 2005-05-11 2006-11-23 Embrex, Inc. Competitive particle immunoassay methods utilizing fluorescence microscopy
US7418922B2 (en) * 2005-10-05 2008-09-02 Embrex, Inc. Methods for injecting and sampling material through avian egg membranes
US7950349B1 (en) 2008-01-18 2011-05-31 Jack Dean Rollins Avian egg fertility and gender detection
RU2403711C2 (ru) * 2008-04-14 2010-11-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и зародыша яйца птицы
KR101090505B1 (ko) * 2008-12-30 2011-12-06 최은아 난담반을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264785A (ja) * 2009-05-12 2010-11-25 Kanto Auto Works Ltd 車両用ドア開閉装置
RU2406371C1 (ru) * 2009-07-21 2010-1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тицеперерабатывающе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ГУ ВНИИПП)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яичного белкового продукта
EP2336751B1 (de) 2009-12-16 2014-09-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Geschlechts an Vogeleiern
CN102210708A (zh) * 2010-04-01 2011-10-12 王莉娜 中药鸡蛋外敷疗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5339B1 (en) 1998-09-04 2002-04-02 Bechtel Bwxt Idaho, Llc Gender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os Molenaar et al., PLOS ONE, Vol. 8, No. 4, 2013.
Y. Feng et al., Applied Magnetic Resonance, Vol. 32, No, 3, 2007, pp. 257-26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752A (ko) 2022-04-13 2023-10-20 오보젠 주식회사 가금류 알(卵)의 암수 검사 및 선별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1715A2 (en) 2014-02-06
UA118544C2 (uk) 2019-02-11
RU2681536C2 (ru) 2019-03-07
CA2917414A1 (en) 2014-02-06
TR201901409T4 (tr) 2019-02-21
US20210215663A1 (en) 2021-07-15
ES2709027T3 (es) 2019-04-12
ZA201501224B (en) 2016-01-27
KR20150036781A (ko) 2015-04-07
EP2880440B1 (en) 2018-10-31
MX362096B (es) 2019-01-07
BR112015002156A2 (pt) 2017-07-04
DK2880440T3 (en) 2019-02-25
WO2014021715A3 (en) 2014-04-10
AU2013297168A1 (en) 2015-03-05
CN104704360A (zh) 2015-06-10
CN104704360B (zh) 2018-05-15
BR112015002156B1 (pt) 2024-01-02
EP2880440A2 (en) 2015-06-10
RU2015106609A (ru) 2016-09-20
CA2917414C (en) 2021-09-14
MX2015001297A (es) 2015-06-05
PL2880440T3 (pl) 2019-05-31
JP6279574B2 (ja) 2018-02-14
AU2013297168B2 (en) 2019-05-30
US20150260704A1 (en) 2015-09-17
JP2015523097A (ja)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68B1 (ko) 난 내 조류 배아의 성별, 생존능 및/또는 발달 단계 결정방법
ES2877368T3 (es) Método y sistema para la determinación in ovo no destructiva del género de las aves
KR100760367B1 (ko) 난각내 조류 알의 알내 활성화
Henning et al.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1) in ducks and in-contact chickens in backyard and smallholder commercial duck farms in Viet Nam
CN105582533B (zh) 一种禽流感病毒、禽腺病毒二联灭活疫苗
Haunshi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native breeds of chicken for persistency of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biochemical traits
Van den Brand et al. Both the rooster line and incubation temperature affect embryonic metabolism and hatchling quality in laying hen crossbreds
Lukaszewicz et al. Successful semen collection from Capercaillie (Tetrao urogallus L.) kept in an aviary system
Brand Studies on embryonic development and hatchability of ostrich eggs
Akhlaghi et al. Prestorage in ovo injection of biological buffers: An approach to improve hatchability in long-term stored eggs
CN110404063A (zh) 采用非免鸡蛋制备鸡传染性支气管炎病毒抗原的方法
Mbajiorgu Effect of hatching egg size on hatchability and chick hatch-weight of indigenous Venda chickens
NL2009255C2 (en) Gender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s in ovo.
NL2009256C2 (en) Age determination of avian embryos in ovo.
Villanueva et al.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the bursa of Fabricius from non-vaccinated one month old female gamefowl chicks from hyperimmunized breeders.
Kroger PHENOTYPIC AND GENETIC ANALYSIS OF PERFORMANCE AND WELFARE TRAITS IN PEKIN DUCKS
Mafruchati et al. Fibroblast test cells of embryo of Super Java Chicken as an indicator to test toxicity and malignancy
Red Egyptian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s
Tyapugin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degree of chicken embryo development on accumulation of extraembryonic fluid used for producing virus vaccines
Dıkmen Effect of the broiler GPS line and age on egg weight loss, hatchability and chick yields.
Walstra et al. Adaptive response to Eimeriaacervulina in rearing hens is affected by suboptimal incubation temperature and heat exposure in later life
Artemenko et al. Morphological integrity of cells of blastoderm as parameter of assessment of grow power of an embryos
Opara et al. The Carrier Rate of Newcastle Disease Virus in Ducks in Owerri Area of Imo State,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