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32B1 -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32B1
KR102174832B1 KR1020180161636A KR20180161636A KR102174832B1 KR 102174832 B1 KR102174832 B1 KR 102174832B1 KR 1020180161636 A KR1020180161636 A KR 1020180161636A KR 20180161636 A KR20180161636 A KR 20180161636A KR 102174832 B1 KR102174832 B1 KR 10217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onnection part
bar
connecting portion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465A (ko
Inventor
한규환
Original Assignee
한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환 filed Critical 한규환
Priority to KR102018016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8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특히 육수가 저장되는 육수 저장 용기에 구비되어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조절하는 자동 조절 장치를 포함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이다.

Description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AUTOMATIC CONROL DEVICE FOR MEAT STOCK EXHAUSTING VALVE}
본 발명은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특히 육수가 저장되는 육수 저장 용기에 구비되어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조절하는 자동 조절 장치를 포함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감자탕 등에 소요되는 육수(W)는 미리 제조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육수 저장 용기(C)에 저장된다. 상기 육수 저장 용기(C)에는 육수(W)의 배출을 위한 배관(P)이 설치되고, 상기 배관(P)에는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V)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밸브(V)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밸브를 작동해야 해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육수가 저장되는 육수 저장 용기에 구비되어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조절하는 자동 조절 장치를 포함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 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수가 저장되는 육수 저장 용기(C)에 구비되어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V)를 조절하는 자동 조절 장치(10)로서, 상기 자동 조절 장치(1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M)와 상기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100)와 상기 볼 스크류(100)와 나사 결합하는 슬라이더(200)와 상기 슬라이더(200)가 결합하는 레일(300)과 상기 구동부(M)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200)는 밸브(V)의 밸브 레버(V2)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후진에 의해 밸브(V)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레일(300)과 결합하는 ∩형상의 슬라이더 본체(210)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210) 상에 직립하는 연동 바아(22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레버(V2)의 일 측은 밸브 본체(V1)의 개폐 샤프트(V3)에 연동되고 상기 밸브 레버(V2)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상기 연동 바아(220)가 삽입되어, 상기 연동 바아(220)의 전후진에 의해 밸브 레버(V2)가 개폐 샤프트(V3)를 회전하여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상기에서, 상기 볼 스크류(1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대(600)와 상기 회전 지지대(600)와 볼 스크류(100) 사이에 구비되는 축수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축수부(400)는,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과,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과,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되며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부 본체(551)와, 상기 연결부 본체(5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연결부(5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소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수의 토출량을 자동을 조절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육수 토출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수 토출 조절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수 토출 조절 장치의 구동부와 볼 스크류 그리고 회전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수 토출 조절 장치의 볼 스크류와 회전 지지부 그리고 축수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수 토출 조절 장치의 축수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및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수가 저장되는 육수 저장 용기(C)에 구비되어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V)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 조절 장치(1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M)와 상기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100)와 상기 볼 스크류(100)와 나사 결합하는 슬라이더(200)와 상기 슬라이더(200)가 결합하는 레일(300)과 상기 구동부(M)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00)는 밸브(V)의 밸브 레버(V2)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후진에 의해 밸브(V)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즉,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는 구동부(M)에 의해 볼 스크류(100)가 히전하면 상기 볼 스크류(100)에 나사 결합된 슬라이더(200)가 상기 볼 스크류(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한다. 상기 슬라이더(200)에는 밸브 레버(V2)가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후진에 의해 밸브 레버(V2)가 회전된다. 상기 밸브 레버(V2)의 회전에 의해 밸브 본체(V1)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어 육수의 토출량이 조절된다.
상기 구동부(M)에는 널리 알려진 제어부(CON)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구동부(M)를 제어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육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레일(300)과 결합하는 ∩형상의 슬라이더 본체(210)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210) 상에 직립하는 연동 바아(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밸브 레버(V2)의 일 측은 밸브 본체(V1)의 개폐 샤프트(V3)에 연동되고 상기 밸브 레버(V2)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상기 연동 바아(22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연동 바아(220)의 전후진에 의해 밸브 레버(V2)가 개폐 샤프트(V3)를 회전하여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즉, 상기 연동 바아(220)가 밸브 레버(V2)이 중앙 개방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 본체(210)가 볼 스크류(10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하면 상기 연동 바아(220)가 이동한다. 상기 이동 바아(220)가 전후진 하면 상기 밸브 레버(V2)가 회전되어 밸브 샤프트(V3)가 회전된다. 상기 밸브 샤프트(V3)의 회전에 의해 밸브 본체(V1)의 토출량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밸브 샤프트(V3)에 의해 원판 형상의 밸브 본체 내부의 조절판을 회전하여 유량을 조절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밸브(V) 자체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 스크류(100)를 회전하여 슬라이더(200)를 전후진하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스크류(1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대(600)와 상기 회전 지지대(600)와 볼 스크류(100) 사이에 구비되는 축수부(4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볼 스크류(100)는 축수부(400) 내부에서 회전하고 상기 축수부(400)는 회전 지지대(6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볼 스크류(100)의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수부(400)는 널리 알려진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이 배치되고,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전동볼(440)과 롤러(450)에 의해 상기 볼 스크류(220)에 작용되는 하중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 자체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413040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본 구조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한다.
즉, 탄성 재질의 유지부 본체(510)는 얇은 두께를 가지고 개방부(511)가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511)의 양 측에는 홀더(520)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홀더(520)는 판체 형상이고 양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전동볼(440)이 밀착된다.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된다. 즉, 상기 전동볼(440)은 하나의 개방부(511)를 걸러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412,422)은 외륜(410)과 내륜(42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부 본체(510)는 원호 형상으로서 상부(510B)는 외륜(410)의 삽입홈(412)에 삽입되고, 하부(510A)는 내륜(420)의 삽입홈(422)에 삽입된다. 이러한 유지부 본체(510)가 외륜(410)과 내륜(420)에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가 연이어 배치된다.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상부 연결부(535)는 예를 들어 구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된다.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에 의해 상기 홀더(520)가 상호 근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520)에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흡수한다. 이러한 탄성 연결부(EB)에 의해 전동볼(440)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상하 방향 배치되고 동일 선(I)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II)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III)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IV)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V)에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도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부 본체(551)와, 상기 연결부 본체(5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연결부(5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홀더(520)의 상하 방향 작용되는 힘이 흡수되어 축수부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볼 스크류 200 : 슬라이더
210 : 슬라이더 본체 220 : 연동 바아
300 : 레일 CON : 제어부
400 : 축수부 410 : 내륜
420 : 외륜 430 : 분리벽
440 : 전동볼 450 : 롤러
500 : 유지부 510 : 유지부 본체
520 : 홀더 530 : 상부 연결부
540 : 하부 연결부

Claims (7)

  1. 육수가 저장되는 육수 저장 용기(C)에 구비되어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밸브(V)를 조절하는 자동 조절 장치(10)로서,
    상기 자동 조절 장치(1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M)와 상기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100)와 상기 볼 스크류(100)와 나사 결합하는 슬라이더(200)와 상기 슬라이더(200)가 결합하는 레일(300)과 상기 구동부(M)가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200)는 밸브(V)의 밸브 레버(V2)와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더(200)의 전후진에 의해 밸브(V)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레일(300)과 결합하는 ∩형상의 슬라이더 본체(210)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210) 상에 직립하는 연동 바아(22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레버(V2)의 일 측은 밸브 본체(V1)의 개폐 샤프트(V3)에 연동되고 상기 밸브 레버(V2)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상기 연동 바아(220)가 삽입되어,
    상기 연동 바아(220)의 전후진에 의해 밸브 레버(V2)가 개폐 샤프트(V3)를 회전하여 육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며,
    상기 볼 스크류(1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지지대(600)와 상기 회전 지지대(600)와 볼 스크류(100) 사이에 구비되는 축수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축수부(400)는,
    내륜(420) 및 외륜(410)과,
    상기 내륜(420)의 중앙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륜(41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륜(420)을 폭 방향 분할하는 분리벽(430)과,
    상기 분리벽(430)의 양 측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전동볼(440)과,
    상기 분리벽(430)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450)와,
    상기 전동볼(440)을 지지하는 유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511)가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판체 형상인 유지부 본체(510)와, 상기 개방부(5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511)에 장착되는 전동볼(440) 양 측이 접하는 홀더(5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볼(440)은 상기 다수 개의 개방부(511) 중 하나의 개방부(511)를 건너서 배치되고,
    상기 개방부(511) 중 전동볼(440)이 배치되는 않은 개방부(511)의 홀더(52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EB)가 설치되며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에는 삽입홈(412,42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 본체(510)가 삽입되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EB)는 홀더(52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는 마주보는 홀더(520)의 내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상부 수평 바아(531) 및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수평 바아(532)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는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제2상부 교차 바아(5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수평 바아(531)와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마주보는 측단에 탄성 재질인 제1상부 연결부(535)가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수평 바아(532)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5상부 연결부(539)가 배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제1상부 교차 바아(533)와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3상부 연결부(537)가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 교차 바아(53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2상부 연결부(536)가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교차 바아(534)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4상부 연결부(538)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540)는 상기 상부 연결부(5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마주보는 홀더(520) 내부에 순착적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 그리고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1하부 연결부(544)가 배치되고,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3하부 연결부(546)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인 제5하부 연결부(548)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교차 바아(541)와 제2하부 교차 바아(542)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2하부 연결부(545)와 상기 제2하부 교차 바아(542)와 제3하부 교차 바아(543)의 마주보는 측단에는 탄성 재질인 제4하부 연결부(547)가 배치되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연결부(535)와 제1하부 연결부(544)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연결부(536)와 제2하부 연결부(545)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상부 연결부(537)는 제3하부 연결부(546)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4상부 연결부(538)는 제4하부 연결부(547)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5상부 연결부(539)는 제5하부 연결부(548)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 사이에는 상하부 연결부(550)가 배치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상부 연결부(530)와 하부 연결부(54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연결부(55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부 본체(551)와, 상기 연결부 본체(5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연결부(532)를 포함하는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KR1020180161636A 2018-12-14 2018-12-14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KR10217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636A KR102174832B1 (ko) 2018-12-14 2018-12-14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636A KR102174832B1 (ko) 2018-12-14 2018-12-14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65A KR20200073465A (ko) 2020-06-24
KR102174832B1 true KR102174832B1 (ko) 2020-11-05

Family

ID=7140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636A KR102174832B1 (ko) 2018-12-14 2018-12-14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8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770B1 (ko) * 2000-04-17 2002-09-27 서종대 애완동물 자동급식기
KR101905694B1 (ko) * 2018-03-15 2018-11-30 김완선 판재가공장치 및 판재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770B1 (ko) * 2000-04-17 2002-09-27 서종대 애완동물 자동급식기
KR101905694B1 (ko) * 2018-03-15 2018-11-30 김완선 판재가공장치 및 판재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65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2780C1 (ru) Узел для поворота материала в виде полотна
CN209598043U (zh) 一种弯管机自动上料装置
CN109649922B (zh) 一种角度可调式圆弧滑槽
KR102174832B1 (ko) 육수 토출 밸브의 자동 조절 장치
CN208085204U (zh) 珍珠棉复合机
CN110788181A (zh) 加热管自动折弯装置
CN204602254U (zh) 一种新型大米抛光机
CN204211101U (zh) 胶囊调头定向输送装置
CN207018546U (zh) 一种新型的电动针阀
CN100402906C (zh) 控制器
KR101331007B1 (ko) 아이스크림 정역회전 공급장치
CN112173667A (zh) 一种新式歪倒平转机构
CN218424777U (zh) 一种土壤修复材料抛撒装置
CN100402766C (zh) 用于可移动的壁板的定位装置
CN104220235B (zh) 引导吹塑膜的装置和方法
CN114111260B (zh) 一种香料快速烘干设备
CN213651047U (zh) 一种新式歪倒平转机构
CN208826006U (zh) 一种自动校正式管件对接机构
CN114600981A (zh) 一种茶叶揉捻机
CN210679184U (zh) 一种可调节导料通道
CN215611402U (zh) 一种制备三环唑的材料添加装置
CN112519477A (zh) 一种裱纸机涂胶装置和涂胶工艺
CN220646872U (zh) 一种流向调节制冷阀门
CN111661597A (zh) 一种乳酸菌饮料瓶用理瓶机
CN214347383U (zh) 一种轴承座自动上下料上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