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10B1 -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 Google Patents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10B1
KR102174810B1 KR1020187020217A KR20187020217A KR102174810B1 KR 102174810 B1 KR102174810 B1 KR 102174810B1 KR 1020187020217 A KR1020187020217 A KR 1020187020217A KR 20187020217 A KR20187020217 A KR 20187020217A KR 102174810 B1 KR102174810 B1 KR 10217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repetition
regime
ind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961A (ko
Inventor
신 홍 웡
세아우 시안 림
매튜 베이커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8008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양태들은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들; 이들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을 제공한다. 일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을 결정하는 단계; 변조 및 코딩 레짐과 함께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반복 레짐을 식별하는 단계; 및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 및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들은, 네트워크 내에서 커버리지 강화 지역을 구현할 때, 고정된 반복 레벨들이 CE-MTC UE에 대해 정의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들 고정된 반복 레벨들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CE-MTC UE 무선 조건 사이의 차이들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되는 반복들의 수는 머신-타입 통신 디바이스에서 경험되는 무선 조건에 대응할 수 있고: 더 불량한 커버리지 지역들에서의 반복들이 더 양호한 무선 커버리지 지역에서의 반복들보다 큰 수의 반복들을 수신하기 위해 선택될 것이다. 이러한 반복 레벨들의 세분성은 커버리지 강화 지역의 소정의 오퍼레이터의 구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1 양태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에 의해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변화하는 반복 레벨들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들 변화하는 반복 레벨들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eNodeB에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COMMUNICATION TECHNIQUES USING A REPETITION REGIME IN A COVERAGE ENHANCED REGION}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들; 이들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및 네트워크 노드들이 제공된다.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무선 커버리지들이 셀들로서 공지된 영역들에서, 사용자 장비, 예를 들어, 모바일 폰들에 제공된다. 기지국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셀에 위치된다. 각각의 셀에서의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보 및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정보 및 데이터는 다운링크 채널들로서 공지되어 있는 무선 캐리어들의 채널들상에서 발생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에 송신되는 정보 및 데이터는 업링크 채널들로서 공지되어 있는 무선 캐리어들의 채널들상에서 발생한다. 기지국의 배치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주로 제어되거나 제어가능하지만, 사용자 장비의 배치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무계획적인 배치가 예기치 않은 결과들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는 기술들을 제공하는 것이 소망된다.
제1 양태는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regime)을 결정하는 단계; 변조 및 코딩 레짐과 함께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반복 레짐을 식별하는 단계; 및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 및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는,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배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이슈가 사용자 장비들이 매우 높은 감쇠를 받는 영역들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이러한 높은 감쇠는, 적합한 다운링크 트래픽에 액세스할 수 있는데 있어서 필수적일 수 있는 다운링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디코딩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감쇠의 영역들에 배치되면,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을 실제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1 양태는, 높은 감쇠 배치들에서 사용자 장비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제1 양태는, 설치되면 실질적으로 부동(immobile)이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을 갖는 경향이 있는 (스마트 미터들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들과 같은) 사용자 장비의 신흥 클래스가 존재하고, 그러므로, 통상의 모바일 사용자 장비가 높은 감쇠 영역들에 위치될 때 불편하다는 것을 간단히 알 수 있으며 사용자 장비가 더 낮은 감쇠로 이동할 때 복원된 커버리지를 여전히 가질 수 있지만, 그러한 부동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이들 사용자들에 대해 제공될 수 없거나,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매우 불량한 높은 감쇠의 지역에 영구적으로, 또는 장기간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인식한다.
일부 종류의 통신이 높은 감쇠 영역들에 위치된 실질적으로 부동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지원하는 기지국에서 상이한 통신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상이한 통신 기술들은 예를 들어, 높은 감쇠 영역에 위치된 사용자 장비가 단일 메시지를 수신하고 재-컴파일링할 기회를 갖도록 단일 메시지의 송신들의 다수의 반복들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시징의 송신을 반복함으로써, 통신에 수반되는 네트워크 노드들은 메시지가 디코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연속적인 반복들을 조합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들은 높은 감쇠의 영역들에 제공된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머신 타입 통신(MTC) 디바이스는 낮은 이동성 사용자 장비의 일 타입이다. MTC-UE는 특정한 동작을 위해 머신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MTC 디바이스의 일례가 스마트 유틸리티 미터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특히 높은 감쇠의 영역들; 예를 들어, 높은 침투 손실을 받는 지하층들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MTC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커버리지 강화 기술들은 이러한 MTC 사용자 장비에 제공된 커버리지를 대략 15dB 만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커버리지 강화 사용자 장비가 커버리지 강화 MTC UE(CE-MTC UE)로 지칭된다. 이러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기지국(예를 들어, eNode B)의 총 송신 전력 또는 사용자 장비의 총 송신 전력을 확장하지 않고 동작가능해야 한다. 반복이 주요 방법으로서 식별되었다. 즉, 반복은 특히 높은 감쇠 영역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수단을 나타낸다. 요구된 반복들의 수는 상당하고, 수백일 수 있다. 반복의 이러한 레벨은 네트워크의 스펙트럼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네트워크가 반복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SIB들)을 제공해야 하고 커버리지 확장 모드에서 동작할 때 추가의 RACH 자원들을 예약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무선 커버리지의 정상 지역 외부에 놓이고 반복 기술들의 결과로서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지원만을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지역이 통상적으로, 커버리지 강화 지역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제1 양태는, 커버리지 강화 지역을 구현할 때, 여러 반복 레벨들이 CE-MTC UE에 대해 정의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들 고정된 반복 레벨들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CE-MTC UE 무선 조건 사이의 차이들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되는 반복들의 수는 머신-타입 통신 디바이스에서 경험되는 무선 조건에 대응할 수 있고: 더 불량한 커버리지 지역들에서의 것들이 더 양호한 무선 커버리지 지역에서의 것들보다 큰 수의 반복들을 수신하기 위해 선택될 것이다.
이러한 반복 레벨들의 세분성은 커버리지 강화 지역의 소정의 오퍼레이터의 구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1 양태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에 의해 지원된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변화하는 반복 레벨들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들 변화하는 반복 레벨들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eNodeB에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에 의해 반송된 제어 메시징에 대한 반복 레벨들을 선택할 때, 이러한 메시지들은, 코딩 방식이 매우 높은 신뢰도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되는,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동작하는 실질적으로 부동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고정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통상적으로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제1 양태는, 스케줄링 이유들 및 플렉시빌리티로 인해, 데이터 메시지들 및 데이터 채널들(예를 들어, PDSCH 및 PUSCH)상에서 반송된 메시지들에 대해, 심지어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고정되지 않을 수 있는 변조 및 코딩 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 결과, 이러한 가변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요구된 반복 레벨들은 또한 플렉시블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1 양태는, 데이터 채널들에 관하여 상이한 변조 및 코딩 방식들의 사용을 허용함으로써,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동작하는 실질적으로 부동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스케줄링에 관하여 이루어질 지능형 선택들을 허용할 수 있는 eNodeB 스케줄러에 어느 정도의 플렉시빌리티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제1 양태는, 상이한 변조 및 코딩 방식들(MCS)을 갖는 것이 e-노드 B 스케줄러에 플렉시빌리티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상이한 MCS 방식들이 상이한 무선 조건을 경험하는 사용자 장비를 지원하기 위해 상이한 수의 반복들을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제1 양태는, 소정의 사용자 장비에 관하여 구현된 반복들의 수에 대한 변화들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그 사용자 장비에 관하여 변조 및 코딩 방식이 선택될 때, 지원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양태들은, 예를 들어,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 제어 채널 및 연관된 제어 시그널링을 활용함으로써 CE-MTC UE에 관하여 반복 레벨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식들에 대한 변화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제어 채널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E)PDCCH상에서 반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은,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드는 사용자 장비를 인식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는 시그널링의 반복이 이용되는 경우에만 통신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검출된 무선 조건 및/또는 가용 자원에 적합한 변조 및 코딩 레짐이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변조 및 코딩 레짐(MCR)은 통신의 증가된 쓰루풋 및 증가된 신뢰도의 이종의 요건들을 밸런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은: 변조 및 코딩 레짐과 함께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반복 레짐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의 증가된 쓰루풋 및 증가된 신뢰도의 요건들을 밸런싱하는 것을 돕기 위해, 소정의 메시지의 반복된 송신들의 수를 포함하는 반복 레짐은 선택된 MCR을 지원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은: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 및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하고 있을 수 있는 노드들은 성공적인 디코딩 및/또는 동일한 메시지의 다중의 버전들의 조합들을 돕기 위해, 구현될 통신 레짐을 인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변조 및 코딩 레짐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이에 따라, 반복의 사용을 요구하는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이 MCS의 적절한 선택들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광범위한 가용 MCS를 지원하기 위해 기존의 시스템 메시지들 내에 비트들이 제공된다. 선택들의 수가 본질적으로 감소되면, 메시지의 일부 비트들이 반복 레짐을 사용자 장비에 시그널링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MCS 메시지들에서의 가용 비트들 중 일부 또는 모두가, 구현될 반복 레짐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용 비트들의 서브세트가 MCS에 대해 사용되며, 나머지 비트들 중 일부 또는 모두가 반복 레짐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하게, MCS 비트들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사용될 MCS 및 반복 레짐의 조합을 코드북 룩업으로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용 MCS 메시징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이 반복 레짐을 표시하기 위해 다른 메시지들 내의 다른 비트들과 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사용자 장비 송신 전력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이에 따라, 반복의 사용을 요구하는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이 송신 전력의 적절한 선택들을 제한할 수 있으며,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들이 실질적으로 미사용될 수 있거나 모든 가용 커맨드들 중 일부만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비트들은 광범위한 가용 송신 전력 제어 메시징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의 시스템 메시지들 내에 제공된다. 선택들의 수가 본질적으로 감소되면, 전력 제어 메시지(들)의 일부 비트들이 사용자 장비에 반복 레짐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양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징에서의 필드들 중 일부가 커버리지 확장 모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와 실질적으로 관련이 없을 수 있으며, 이들 필드들이 CE 모드 동작을 위해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 및 적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식 필드에서의 코딩 포인트들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소정의 MTC-UE에 관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될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CE-MTC UE는 더 적은 변조 인코딩 시스템 레벨들(MCS 레벨들)을 요구할 수 있고, 따라서, 더 적은 코드 포인트들이 MCS를 CE-MTC UE에 표시하기 위해 요구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나머지 코드 포인트들은 데이터 전송에 관하여 사용될 반복들의 수; 예를 들어, PDSCH 및 PUSCH에서의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시그널링은 반복들의 절대 수를 명시적으로 반송하도록 될 필요는 없지만 인덱스; 예를 들어, 반복들의 절대 수를 표시하는 코드 북을 포인팅할 수 있는 반복 인덱스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 레짐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루어진 업링크 송신들에 관하여 적용될 반복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 레짐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들에 관하여 적용될 반복 레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플렉시빌리티가 반복에 의존한 통신 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수 있다. CE-MTC UE에 대해 구현된 반복 레벨이 사용자 장비(및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되도록 설정될 수 있어서 단지 특수 MCS에 대한 PDSCH 및 PUSCH보다는 모든 채널들에 대해 사용되는 반복들의 수를 변화시킨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물리층에서 동작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다른 채널들의 반복 레벨을 변화시킬 기회를 eNodeB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변조 및 코딩 레짐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가 경험하는 무선 조건을 평가하는 단계 및 평가된 무선 조건에 의존하여 변조 및 코딩 레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는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징 기술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확장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설명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의 기술은 불량한 통상의 무선 커버리지의 지역들에서 실질적으로 부동의 사용자 장비를 지원하는데 특히 사용될 수 있다.
제2 양태는 컴퓨터상에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3 양태는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 동작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하고, 이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을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 레짐 로직; 변조 및 코딩 레짐과 함께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반복 레짐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한 반복 로직; 및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 및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에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로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제어 또는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eNodeB 또는 등가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변조 및 코딩 레짐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eNode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사용자 장비 송신 전력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 및 적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 레짐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루어진 업링크 송신들에 관하여 적용될 반복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는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징 기술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확장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4 양태는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 및 식별된 반복 레벨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은 네트워크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반복 레짐은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과 함께 사용자 장비에 의한 사용을 위해 식별됨 -; 및 수신된 표시에 의존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양태에 따라 이루어진 수신된 송신들이 성공적으로 해석될 수 있도록 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그렇지 않으면 정상 사용자 장비 동작을 지원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 메시징을 재해석하도록 명령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변조 및 코딩 레짐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사용자 장비 송신 전력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 및 적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 레짐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루어진 업링크 송신들에 관하여 적용될 반복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 레짐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들에 관하여 적용될 반복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는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징 기술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확장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5 양태는 컴퓨터상에 실행될 때, 제4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6 양태는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고, 이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 및 식별된 반복 레벨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로직 -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은 네트워크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반복 레짐은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과 함께 사용자 장비에 의한 사용을 위해 식별됨 -; 및 수신된 표시에 의존하여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로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표시에 의존하여 업링크 통신을 송신하고 다운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변조 및 코딩 레짐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는 사용자 장비 송신 전력 제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 및 적용될 변조 및 코딩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복 레짐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루어진 업링크 송신들에 관하여 적용될 반복 레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는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징 기술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확장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추가의 특정하고 바람직한 양태들이 첨부한 독립항들 및 종속항들에 제시된다. 종속항들의 특징들은 적절한 경우에, 그리고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것들 이외의 조합들로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장치 특징이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에, 이것은 그 기능을 제공하거나 그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응되거나 구성되는 장치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e-노드 B에 의해 지원된 커버리지 확장 지역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반복 레벨들 및 반복 인덱스들을 예시하는 표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의 일부 타입들을 배치하는 것이 갖는 하나의 어려움은, 사용자 장비들이 높은 손실들, 예를 들어, 빌딩 내의 그들의 위치로 인한 높은 침투 손실들을 받는 영역들에 위치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사용자 장비의 일례가 예를 들어, 스마트 유틸리티 미터와 같은 머신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된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이다. 일부 이러한 스마트 유틸리티 미터들은 무선 신호들의 높은 감쇠를 받는 지하층들 또는 다른 영역들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사용자 장비는 실질적으로 정적이고 감쇠를 덜 받는 지역으로 이동할 개연성이 낮다. 이들 스마트 유틸리티 미터들 중 일부는, 이들 디바이스들의 커버리지를 15dB 만큼 확장하는 것이 소망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일부 네트워크들의 동작에 따르면, 기지국은 낮은 네트워크 트래픽의 주기들에서 동작의 특수한 모드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커버리지 강화로서 공지되어 있는, 동작의 이러한 특수한 모드는, 매우 높은 감쇠의 지역들에서의 사용자들에게 전송된 메시지들이 다수 횟수 반복되는 것이다. 특히, 일부 메시지들은 다운링크 송신 채널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다수 횟수 반복될 수 있다. 메시징을 반복하는 것은, 이러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의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속 반복들로부터의 에너지 및 정보가 조합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높은 침투 손실 영역들에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무선 프레임 내의 반복의 정도는, 40ms 윈도우에 걸친 무선 프레임의 거의 전체 자원이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의 송신들, 특히, 좁은 대역폭 캐리어에 대해 사용되도록 요구되는 것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논의하기 이전에, 개요가 먼저 제공될 것이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은, eNodeB 또는 네트워크가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서 MTC 디바이스와 통신하게 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징에 이미 존재하는 필드들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징에서의 필드들 중 일부는, 구현될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필드들의 이러한 재사용은 추가의 시그널링 비트들의 도입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들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징에서의 필드들 중 일부가 커버리지 확장 모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와 실질적으로 관련이 없을 수 있으며, 이들 필드들이 CE 모드 동작을 위해 요구되지 않아서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식 필드에서의 코딩 포인트들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소정의 MTC-UE에 관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될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CE-MTC UE는 더 적은 변조 인코딩 시스템 레벨들(MCS 레벨들)을 요구할 수 있고, 따라서, 더 적은 코드 포인트들이 MCS를 CE-MTC UE에 표시하기 위해 요구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나머지 코드 포인트들은 데이터 전송에 관하여 사용될 반복들의 수; 예를 들어, PDSCH 및 PUSCH에서의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시그널링은 반복들의 절대 수를 명시적으로 반송하도록 될 필요는 없지만 인덱스; 예를 들어, 반복들의 절대 수를 표시하는 코드 북을 포인팅할 수 있는 반복 인덱스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I 포맷 0 또는 RAR에서의 UL 승인에서) PUSCH 및 (DCI 포맷 1A에서) PDSCH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가 반복 인덱스로서 재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CE 모드에서 동작하는 CE-MTC UE가 모든 업링크 송신들에 대해 최대 전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어서, e-노드 B로부터의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대한 필요성이 대부분은 무용(obsolete)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 결과, 전력 제어 시그널링은 원하는 반복 인덱스의 통신이 CE-MTC UE에 의해 구현되게 하기 위해 재해석될 수 있거나 재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MCS 시그널링에서의 일부 비트들 및/또는 전력 제어 커맨드 시그널링에서의 정보 비트들의 사용이 반복 인덱스를 CE-MTC UE에 표시하기 위해 다수의 정보 비트들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복 레벨은 DCI 및/또는 RAR 시그널링에서 기존의 MCS 필드들 및 전력 제어 커맨드 필드들에서의 정보 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CE-MTC UE에 표시될 수 있다. CE-MTC UE에 대해 구현된 반복 레벨이 사용자 장비(및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되도록 설정될 수 있어서 단지 특수 MCS에 대한 PDSCH 및 PUSCH보다는 모든 채널들에 대해 사용되는 반복들의 수를 변화시킨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물리층에서 동작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다른 채널들의 반복 레벨을 변화시킬 기회를 e-노드 B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MCS 필드는 의도된 바와 같이 유지되며 사용될 수 있고; 즉, MCS 메시지에서 사용된 모든 정보 비트들이 MCS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복들의 수는 1 대 1 매핑을 통해;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을 통해 MCS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CE-MTC UE는 예를 들어, PDSCH 및 PUSCH에 관하여 사용을 위해 MCS를 획득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고, MCS의 어느 표시가 PDSCH 및 PUSCH 시그널링에서 사용될 반복들의 수를 포인팅하는 테이블에 대한 인덱스로서 작용하는지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례에서, MCS 필드에서의 모든 비트들이 사용되고, 따라서, 다수의 반복 레벨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룩업 테이블은 가용 MCS 비트들 중 일부만이 사용되며 적절한 룩업 테이블이 구현되는 경우에 관하여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미사용된 MCS 비트들이 CE-MTC UE에 반복 인덱스를 표시하는 것 이외의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I 포맷 1A에서의 MCS 및/또는 전력 제어 커맨드 정보 필드는 PDSCH에 관하여 반복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DCI 포맷 1A에서의 MCS 및/또는 전력 제어 커맨드 정보 필드는 모든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반복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DCI 포맷 0 또는 RAR에서의 MCS 및/또는 전력 제어 커맨드 정보 필드는 PUSCH에 대한 반복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DCI 포맷 0 또는 RAR에서의 MCS 및/또는 전력 제어 커맨드 정보 비트는 모든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반복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복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정보 비트들의 수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들의 수를 커버하기에 충분히 크고, 상이한 가능한 변조 코딩 방식들이 커버리지 확장 지역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불충분한 비트들이 이용가능하면, e-노드 B가 커버리지 확장 모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를 시그널링의 더 높은 레벨에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상이한 반복 레벨들에서의 반복 인덱스는 상이한 수의 반복들을 갖고; 즉, UE1 및 UE2가 반복 레벨들 1 및 3 각각에 있는 도 1에서, 반복 인덱스가 동일한 MCS를 사용하여 UE1 및 UE2에 시그널링되면, UE1에 관하여 구현된 반복들의 수는 UE2에 관하여 구현된 것보다 작다.
모든 반복 레벨들 및 변조 인코딩 방식들이 표현될 수 있도록 특정한 반복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해 충분한 비트들이 이용가능하면, PDSCH 및 PUSCH에 대해 반복 레벨을 구성할 필요성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 1
일 구현에서 다음이 가정된다고 한다:
1) DCI 포맷 0 및 DCI 포맷 1A가 CE-MTC UE에 의해 사용된 단지 2개의 DCI들이고;
2) eNB에서 구성될 수 있는 3개의 반복 레벨들이 있으며;
3) 4 비트들이 CE-MTC UE에 대한 MCS를 위해 요구됨.
일부 시스템들에서, 5 비트들이 MCS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며, 2 비트들이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에서의 DCI에서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위해 사용된다. 예에서 소정의 4 비트들이 MCS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반복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한 나머지 총 "프리(free)" 비트들은 3개이고, 이는 이러한 시스템이 8개의 상이한 반복 레벨들에 관련될 수 있는 8개의 반복 인덱스들을 보고하게 한다.
도 2는 반복 레벨들의 하나의 가능한 세트를 구현하는 반복 인덱스 방식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표에 도시된 예에서, 반복 인덱스는 DCI에서 표시되며, 반복 레벨은 e-노드 B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반복들의 절대 수(Rjk)를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징에서 반복 레벨 및 표시된 반복 인덱스를 인지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Rjk의 모든 값들이 반드시 상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전의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DCI 포맷 0이 PUSCH에 대한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DCI 포맷 1A는 PDSCH에 대한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 MCS 레벨들이 표시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기존의 MCS 필드들에서 가용 32개 코드 포인트들 중 20개를 요구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송신 전력 제어 필드에서의 4개까지의 코드 포인트들과 함께, MCS 필드의 나머지 코드 포인트들은 반복 레벨을 CE-MTC UE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MCS와 반복 레벨의 총 128개 조합들이 사용자 장비에 표시될 수 있다.
PDCCH 및 EPDCCH에 의해 반송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포맷 1A, 포맷 0)와는 별도로, MCS 정보가 랜덤 액세스 응답(RAR) 메시지에서 통신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PDSCH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RAR은,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시도할 때 UE에 의해 전송된 프리앰블에 응답하여 UE에 전송된 메시지이다. 배열들은, RAR을 수신한 이후에, UE가 메시지 3으로 불리는 업링크 메시지를 eNB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메시지 3의 자원 및 포맷(MCS, 할당 등) 및 전력 제어 정보는 RAR에 표시된다. 실시예들은, RAR에 포함된 MCS 및/또는 전력 제어 비트들이 메시지 3의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송신에 관하여 사용될 반복 인덱스 또는 반복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통상적으로, RAR에서 MCS 및 TPC에 대한 비트들의 수는: MCS=4비트 및 TPC(전력 제어)=3비트임을 이해할 것이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MCS 및 전력 제어에 관한 필드들에서 반송된 비트들이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반복 레벨들에 관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러한 필드들은 (E)PDCCH상에서 반송될 수 있는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필드들은 PDSCH상에서 반송될 수 있는 RAR 메시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상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여기서, 일부 실시예들은 머신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및 인코딩 머신-실행가능 또는 명령어들의 컴퓨터-실행가능 프로그램들인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를 커버하도록 또한 의도되고, 여기서, 명령어들은 상술한 방법들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및 자기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상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을 커버하도록 또한 의도된다.
"프로세서들" 또는 "로직"으로서 라벨링된 임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엘리먼트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그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또는 "로직"의 명시적인 사용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스토리지를 제한없이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그리고/또는 주문제작의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단지 개념적이다. 이들의 기능들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와 전용 로직의 상호작용을 통해, 또는 심지어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고, 특정한 기술이 문맥으로부터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현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블록도들이 본 발명의 원리들을 실시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도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임의의 플로우차트들, 흐름도들, 상태 천이도들, 의사 코드 등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표현될 수 있어서,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 안되든,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단지 예시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들을 실시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들을 안출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인용되는 모든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발명자에 의해 기여된 개념들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독자를 보조하기 위한 교육적인 목적인 것으로만 명백하게 의도되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들 및 조건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을 인용하는 본 명세서에서의 모든 스테이트먼트들, 뿐만 아니라 그것의 특정한 예들은 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5)

  1. 메시징의 반복을 활용하는 통신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 및 식별된 반복 레짐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로직 -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상기 변조 및 코딩 레짐은 네트워크 제어 노드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될 상기 반복 레짐은 상기 결정된 변조 및 코딩 레짐과 함께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한 사용을 위해 식별됨 -; 및
    상기 수신된 표시에 의존하여 통신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로직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수행될 반복들의 절대 수를 제공하는 코드북 엔트리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확장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반복 레짐의 상기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것인, 사용자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반복 레짐의 상기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것인, 사용자 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반복 레짐의 상기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메시지의 스케쥴링 정보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것인, 사용자 장비.
  5. 삭제
KR1020187020217A 2014-01-30 2015-01-13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KR102174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05125.8 2014-01-30
EP14305125.8A EP2903195B1 (en) 2014-01-30 2014-01-30 Communication techniques using a repetition regime in a coverage enhanced region
PCT/EP2015/050452 WO2015113808A1 (en) 2014-01-30 2015-01-13 Communication techniques using a repetition regime in a coverage enhanced reg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841A Division KR102088081B1 (ko) 2014-01-30 2015-01-13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961A KR20180083961A (ko) 2018-07-23
KR102174810B1 true KR102174810B1 (ko) 2020-11-05

Family

ID=501567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841A KR102088081B1 (ko) 2014-01-30 2015-01-13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KR1020187020217A KR102174810B1 (ko) 2014-01-30 2015-01-13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841A KR102088081B1 (ko) 2014-01-30 2015-01-13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94330B2 (ko)
EP (1) EP2903195B1 (ko)
JP (1) JP6546184B2 (ko)
KR (2) KR102088081B1 (ko)
CN (1) CN106105077B (ko)
ES (1) ES2742039T3 (ko)
RU (1) RU2645739C1 (ko)
TW (1) TWI568277B (ko)
WO (1) WO2015113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202A1 (ko) * 2014-02-24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채널의 반복 전송 방법 및 단말
WO2016033989A1 (zh) * 2014-09-04 2016-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用户侧设备及网络侧设备
US10306681B2 (en) * 2014-09-23 2019-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able downlink subframes for low cos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51248A1 (en) * 2015-01-30 2017-1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channel quality information values
EP3873013A1 (en) * 2015-01-30 2021-09-01 Sony Group Corporation Adaptive index mapping for low order modulation scheme settings
EP3657709A1 (en) * 2015-05-15 2020-05-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ng a transport block in a wireless network
WO2017023200A1 (en) 2015-08-06 2017-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harq procedure for mtc operation
US10785746B2 (en) 2015-11-05 2020-09-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verage enhancement service mode selection
EP3166354B1 (en) * 2015-11-05 2021-03-31 Nokia Technologies Oy Coverage enhancement mode change for enhanced coverage user equipment
EP3166361A1 (en) 2015-11-09 2017-05-10 Gemalto M2M GmbH Operation of mtc-devices in enhanced coverage mode
CN109565702B (zh) * 2016-06-21 2022-06-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确定与无线装置的覆盖级别相关联的报告配置的系统和方法
US10070393B2 (en) * 2017-01-30 2018-09-04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CN108696883B (zh) * 2017-04-11 2021-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调整数据传输重复次数的方法、装置
CN109218361B (zh) * 2017-07-03 2021-05-04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对物联网终端进行调度的方法和基站
TWI618443B (zh) * 2017-07-17 2018-03-1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用於窄頻物聯網系統之基地台及其無線電資源動態分配方法
WO2019209783A1 (en) 2018-04-23 2019-10-31 Kyocera Corporation Harq process for multiuser broadcast transmission node
BR112020022893A2 (pt) * 2018-05-11 2021-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nalização de controle para uma transmissão repetida
RU2680825C1 (ru) * 2018-06-14 2019-0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СКАД"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хождения в связь и выбора оптимального режима работы абонентской и базовой станци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112583545B (zh) * 2019-09-27 2023-04-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度信息指示方法、网络设备及终端
WO2021127966A1 (en) 2019-12-24 2021-07-01 Qualcomm Incorporated Ue-assisted group response for two-step random access procedure
US11672006B2 (en) * 2020-02-21 2023-06-06 Qualcomm Incorporated Message 3 repetition with receive beam sweep and associated beam refinement for message 4
WO2023130473A1 (zh) * 2022-01-10 2023-07-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6741A1 (en) * 2011-10-20 2013-04-25 Nokia Siemens Networks Oy Timeslot allocation in uplink cdma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13557C (zh) 2001-09-25 2005-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自适应编码调制和自动重传请求的链路自适应方法
CN1152534C (zh) 2001-09-25 2004-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中的数据包调度方法
JP4583054B2 (ja) * 2004-03-05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および基地局
RU2008103201A (ru) * 2005-07-29 2009-08-10 Мацусита Электрик Индастриал Ко., Лтд. (Jp)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на нескольких несущих,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на нескольких несущих и способы для них
JP5238019B2 (ja) 2007-05-02 2013-07-1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方法と装置
UA98199C2 (ru) 2008-01-16 2012-04-25 Квелкомм Інкорпорейтед Ретрансляция информаци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781392B2 (en) 2008-01-16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relay
US8355744B2 (en) * 2008-03-31 2013-01-15 Intel Corporation Enhancing uplink link budget in OFDMA communication systems
KR20150129094A (ko) 2009-09-21 2015-11-19 록스타 비드코, 엘피 다운링크 투명 중계를 위한 네트워크-중계기 시그널링
JP5340475B2 (ja) * 2010-03-03 2013-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2378828B1 (en) * 2010-03-22 2013-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xing control and data information from a user equipment in a physical data channel
CN101873207B (zh) * 2010-06-13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天线系统上行传输块的重传系统及方法
CN101924606B (zh) * 2010-08-16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pusch传输的上行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系统
US9338660B2 (en) 2012-05-08 2016-05-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67288A1 (en) * 2012-05-11 2013-1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Repeat transmiss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6741A1 (en) * 2011-10-20 2013-04-25 Nokia Siemens Networks Oy Timeslot allocation in uplink cdm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019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081B1 (ko) 2020-04-23
CN106105077B (zh) 2020-03-17
KR20180083961A (ko) 2018-07-23
ES2742039T3 (es) 2020-02-12
US10194330B2 (en) 2019-01-29
EP2903195B1 (en) 2019-07-03
CN106105077A (zh) 2016-11-09
BR112016017699A2 (pt) 2017-08-08
JP2017510160A (ja) 2017-04-06
WO2015113808A1 (en) 2015-08-06
TWI568277B (zh) 2017-01-21
TW201543913A (zh) 2015-11-16
EP2903195A1 (en) 2015-08-05
JP6546184B2 (ja) 2019-07-17
RU2645739C1 (ru) 2018-02-28
KR20160114692A (ko) 2016-10-05
US20170181009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10B1 (ko) 커버리지 강화 지역에서 반복 레짐을 사용한 통신 기술들
TWI549556B (zh) 通訊技術
KR101728021B1 (ko) 작은 트래픽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1861A (ko) 업링크 제어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기
JP2016518059A (ja) ダウンリンク通信
CN105706482A (zh) 信道状态报告方法
WO2017193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reamble zone selection
JP6189453B2 (ja) ダウンリンク通信
US20150003372A1 (en) Controlling a transmission of messages for a signalling procedur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ser equipment
CN111149401B (zh) 用于资源分配指示的技术
WO2014111118A1 (en) Robust downlink control channel communication based on repetition of mib over p-bch
WO2017191360A1 (en) Utilisation of uplink allocation
EP2642812B1 (en) Control signalling
CN113303006A (zh) 用户设备和基站以及由用户设备、基站执行的方法
CN116250184A (zh) 用于波束切换和上行链路控制信息传输的方法
JP2019186924A (ja) ユーザ端末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及び基地局
EP2663137A1 (en)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MIMO systems
EP3079408A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EP2663013A1 (en) Uplink MI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