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12B1 - 필름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612B1
KR102174612B1 KR1020200038946A KR20200038946A KR102174612B1 KR 102174612 B1 KR102174612 B1 KR 102174612B1 KR 1020200038946 A KR1020200038946 A KR 1020200038946A KR 20200038946 A KR20200038946 A KR 20200038946A KR 102174612 B1 KR102174612 B1 KR 10217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lade
friction pad
top coat
film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진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그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그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그라코
Priority to KR102020003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75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called "winder sli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을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필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절단된 필름(f)을 소정 장력으로 유지시키면서 공급하기 위한 언와인더(100); 날(211)-홈(221) 형태로 맞물려진 상태로 상기 언와인더(100)에서 배출된 필름(f)을 절단하는 원통 형상의 상도(210) 및 하도(220)를 구비하는 필름절단부(200); 상기 필름절단부(200)를 통과하여 여러 갈래로 절단된 각각의 필름(f)을 당겨 개별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복수의 리와인더(300); 및 상기 필름(f)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도(21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 절단장치{Film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필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을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필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용도에 따라 소정의 폭으로 만들고자 롤 형태의 필름 원단을 필름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절단하게 된다.
필름 절단장치는 필름 슬리터(slitter) 또는 필름 슬릿장치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필름 절단장치는 상도 회전축의 외주면에 장착된 날 형태의 회전형 상도와, 상도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한 하도 회전축의 외주면에 상도와 맞물릴 수 있도록 홈 형태로 형성된 하도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롤 형태의 필름 원단을 필름 절단장치의 상도와 하도 사이에 밀어 넣으면, 상도가 회전하면서 하도와 맞물려 필름 원단을 소정의 폭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 작업을 지속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절단된 필름 원단의 잔류물이 상도에 부착되거나 주위에 흩날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원활한 절단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름 절단장치는 상도가 회전되지 않는 고정형 원통날 구조임으로 인해, 필름이 제대로 절단되지 않고 절단선 주위에 주름이 생기거나 찢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566호(2010년07월12일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아이티오 필름 원단 절단기)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름의 절단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상도에 붙은 잔류물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필름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필름 절단장치는, 미절단된 필름(f)을 소정 장력으로 유지시키면서 공급하기 위한 언와인더(100); 날(211)-홈(221) 형태로 맞물려진 상태로 상기 언와인더(100)에서 배출된 필름(f)을 절단하는 원통 형상의 상도(210) 및 하도(220)를 구비하는 필름절단부(200); 상기 필름절단부(200)를 통과하여 여러 갈래로 절단된 각각의 필름(f)을 당겨 개별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복수의 리와인더(300); 및 상기 필름(f)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도(21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f)이 유입되는 필름절단부(200)의 전방에서 상기 하도(2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구동축(510)과, 상기 필름(f)이 배출되는 필름절단부(200)의 후방에서 상기 하도(2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피동축(520)과, 상기 컨베이어구동축(510)을 회전시키는 컨베이어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필름(f)의 절단폭과 대등한 폭을 갖는 벨트로서 양단부가 상기 컨베이어구동축(510) 및 상기 컨베이어피동축(520)의 축방향을 따라 병렬로 장착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고 표면에 상기 필름(f)과 점착성을 갖는 실리콘고무 재질의 점착막이 형성되는 다수의 벨트(530)를 구비하는 폭방향고정컨베이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도(220)에는, 상기 홈(221)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홀(221a)과, 상기 하도(220)의 축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중공유로(221b)와, 상기 중공유로(221b)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흡입홀(221a)과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유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유로(221b)의 일단부에 흡입관이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흡입홀(221a)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211)이 상승하는 상도(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날(211)과 중첩되는 하단의 중첩영역마다 다수의 장착홈(710)이 형성되는 스크린플레이트(700); 상기 장착홈(7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날(211)과 인접한 하변에 상기 날(211)이 통과하도록 사각홈(810)이 형성되는 탈착브라켓(800); 상기 사각홈(810) 내에 결합되고, 상기 날(211)과 마찰되도록 슬릿홈(910)이 형성되는 테프론(tefron) 재질의 마찰패드(900); 및 상기 스크린플레이트(700)를 상기 상도(210)에 대하여 밀거나 당기는 승강실린더(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9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측의 제1 마찰패드(901)와, 타측의 제2 마찰패드(902)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마찰패드(901) 및 상기 제2 마찰패드(902)는, 상기 상도(210)의 날(211)과 마주보는 하반부가 상반부를 기준으로 힌지회동되도록 한 점(x1)에서 힌지결합되며, 일정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1 마찰패드(901) 및 상기 제2 마찰패드(902)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도(210)의 날(211)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관성을 제공하는 한 쌍의 무게추(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절단장치에 따르면, 상도가 필름의 이송방향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도의 날과 필름 간의 상대속도가 증가됨으로써, 절단선 주위에 주름이 생기거나 찢기는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필름의 절단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절단과정에서 필름의 좌우방향 유동이 억제됨으로써, 필름의 절단이 보다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물이 발생하는 상도의 날에 근접하게 흡입홀이 형성되어 비산되는 잔류물을 강제로 흡입·배출함으로써, 잔류물의 상도 부착을 최소화하면서 절단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펌프의 음압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상도에 강하게 붙어있는 잔류물을 마찰 및 절단 방식으로 보다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패드와 상도가 서로 마찰되는 과정에서, 상도의 날에 마찰열이 발생됨으로써, 필름의 절단이 더 잘되는 부차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패드가 마멸되더라도 무게추의 회전관성만큼 마찰패드가 점점 회전되면서 상도의 날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도의 날에 붙은 잔류물을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측면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1의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 쪽을 입체적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 쪽을 입체적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마찰패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측면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는 필름을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필름 절단장치에 관한 것로서, 언와인더(100), 필름절단부(200), 복수의 리와인더(300)와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언와인더(100)는 미절단된 필름(f)을 소정 장력으로 유지시키면서 공급하기 위한 와인더(winder)이다.
필름절단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211)-홈(221) 형태로 맞물려진 상태로 언와인더(100)에서 배출된 필름(f)을 절단하는 원통 형상의 상도(210) 및 하도(22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복수의 리와인더(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절단부(200)를 통과하여 여러 갈래로 절단된 각각의 필름(f)을 당겨 개별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와인더(winder)이다.
회전구동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의 이송방향(도면상 깊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도(2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이다.
종래의 필름 절단장치는 상도가 회전되지 않는 고정형 원통날 구조임으로 인해, 필름이 제대로 절단되지 않고 절단선 주위에 주름이 생기거나 찢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도가 필름의 이송방향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도의 날과 필름 간의 상대속도가 증가됨으로써, 절단선 주위에 주름이 생기거나 찢기는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필름의 절단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 쪽을 입체적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폭방향고정컨베이어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폭방향고정컨베이어부(500)는 필름(f)이 유입되는 필름절단부(200)의 전방에서 하도(2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구동축(510)과, 필름(f)이 배출되는 필름절단부(200)의 후방에서 하도(2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피동축(520)과, 컨베이어구동축(510)을 회전시키는 컨베이어구동모터(미도시)와, 필름(f)의 절단폭과 대등한 폭을 갖는 벨트로서 양단부가 컨베이어구동축(510) 및 컨베이어피동축(520)의 축방향을 따라 병렬로 장착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고 표면에 필름(f)과 점착성을 갖는 실리콘고무 재질의 점착막이 형성되는 다수의 벨트(530)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는 필름(f)이 상도(210)와 하도(220)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름(f)의 절단 주변영역이 벨트(530)의 점착막에 점착·고정된다. 이에 따라, 필름(f)이 폭방향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점착된 상태로 상도(210)와 하도(22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필름 절단과정에서 필름의 좌우방향 유동이 억제됨으로써, 필름의 절단이 보다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벨트(530)의 점착막은, 필름(f)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력을 갖는 최상층의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하부에 형성되고 접착력을 갖지 않으면서 일정 정도의 연성을 갖는 LSR(Liquid Silicone Rubber)로 구성되며 상기 점착층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150 내지 600㎛의 두께로 구성되는 중간의 연질층, 연질층의 하부에 부착되어 연질층을 보호하기 위한 최하층의 보호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 쪽을 입체적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하도(220)에는, 홈(221)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홀(221a)과, 하도(220)의 축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중공유로(221b)와, 중공유로(221b)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다수의 흡입홀(221a)과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유로(미도시)가 구비되고, 진공펌프(600)가 더 포함된다.
진공펌프(600)는 중공유로(221b)의 일단부에 흡입관이 연결되어 다수의 흡입홀(221a)에 음압을 제공하는 펌프이다.
종래에는 필름 절단 작업을 지속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절단된 필름 원단의 잔류물이 상도에 부착되거나 주위에 흩날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잔류물이 발생하는 상도의 날에 근접하게 흡입홀이 형성되어 비산되는 잔류물을 강제로 흡입·배출함으로써, 잔류물의 상도 부착을 최소화하면서 절단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흡입홀(221a) 중, 상도의 날과 인접한 1개의 흡입홀(221a)만 개방되고 나머지 흡입홀(221a)은 폐쇄되도록, 상기 흡입홀(221a)과 일치되는 단일의 일치홀을 갖는 원통형의 개폐부재가 회전되지 않는 구조로 내장될 수 있다. 상도의 날과 인접한 1개의 흡입홀(221a)에만 음압이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필름절단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스크린플레이트(700), 탈착브라켓(800), 마찰패드(900) 및 승강실린더(1000)를 더 포함한다.
스크린플레이트(700)는 날(211)이 상승하는 상도(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날(211)과 중첩되는 하단의 중첩영역마다 다수의 장착홈(71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탈착브라켓(800)는 장착홈(710)에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날(211)과 인접한 하변에 날(211)이 통과하도록 사각홈(81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마찰패드(900)는 사각홈(810) 내에 결합되고, 날(211)과 마찰되도록 슬릿홈(910)이 형성되는 테프론(tefron) 재질의 구성이다. 테프론는 금속과의 마찰계수가 0.1미만이고, 1,200℃ 이상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재료이다.
승강실린더(1000)는 스크린플레이트(700)를 상도(210)에 대하여 밀거나 당기는 유압실린더이다. 마찰패드(900)가 수명이 다 되면, 승강실린더(1000)를 구동하여 스크린플레이트(700)를 상승시킨 후, 탈착브라켓(800) 및 마찰패드(900)를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진공펌프의 음압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상도에 강하게 붙어있는 잔류물을 마찰 및 절단 방식으로 보다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패드와 상도가 서로 마찰되는 과정에서, 상도의 날에 마찰열이 발생됨으로써, 필름의 절단이 더 잘되는 부차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절단장치에 포함된 마찰패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마찰패드(9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측의 제1 마찰패드(901)와, 타측의 제2 마찰패드(902)로 구분된다.
제1 마찰패드(901) 및 제2 마찰패드(902)는 상도(210)의 날(211)과 마주보는 하반부가 상반부를 기준으로 힌지회동되도록 한 점(x1)에서 힌지결합되며, 여기에 한 쌍의 무게추(1100)가 더 포함된다.
한 쌍의 무게추(1100)는 일정중량을 가지며, 제1 마찰패드(901) 및 제2 마찰패드(902)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도(210)의 날(211)을 회전가압하는 방향(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관성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마찰패드가 마멸되더라도 무게추의 회전관성만큼 마찰패드가 점점 회전되면서 상도의 날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도의 날에 붙은 잔류물을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마찰패드가 상도(210)의 날(211) 측으로 가압되도록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스프링의 길이 변화에 따라 가압력이 달라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름의 진행방향에서 바라본 상기 무게추의 단면을 각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다각 형상으로 구성하고, 마찰패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무게추를 돌려가며 무게추가 갖는 회전관성을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필름 절단장치는, 상도가 필름의 이송방향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도의 날과 필름 간의 상대속도가 증가됨으로써, 절단선 주위에 주름이 생기거나 찢기는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필름의 절단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절단과정에서 필름의 좌우방향 유동이 억제됨으로써, 필름의 절단이 보다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물이 발생하는 상도의 날에 근접하게 흡입홀이 형성되어 비산되는 잔류물을 강제로 흡입·배출함으로써, 잔류물의 상도 부착을 최소화하면서 절단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펌프의 음압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상도에 강하게 붙어있는 잔류물을 마찰 및 절단 방식으로 보다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패드와 상도가 서로 마찰되는 과정에서, 상도의 날에 마찰열이 발생됨으로써, 필름의 절단이 더 잘되는 부차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패드가 마멸되더라도 무게추의 회전관성만큼 마찰패드가 점점 회전되면서 상도의 날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도의 날에 붙은 잔류물을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언와인더
200 : 필름절단부
300 : 복수의 리와인더
400 : 회전구동부

Claims (5)

  1. 미절단된 필름(f)을 소정 장력으로 유지시키면서 공급하기 위한 언와인더(100);
    날(211)-홈(221) 형태로 맞물려진 상태로 상기 언와인더(100)에서 배출된 필름(f)을 절단하는 원통 형상의 상도(210) 및 하도(220)를 구비하는 필름절단부(200);
    상기 필름절단부(200)를 통과하여 여러 갈래로 절단된 각각의 필름(f)을 당겨 개별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복수의 리와인더(300); 및
    상기 필름(f)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도(21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400);
    상기 필름(f)이 유입되는 필름절단부(200)의 전방에서 상기 하도(2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구동축(510)과, 상기 필름(f)이 배출되는 필름절단부(200)의 후방에서 상기 하도(2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피동축(520)과, 상기 컨베이어구동축(510)을 회전시키는 컨베이어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필름(f)의 절단폭과 대등한 폭을 갖는 벨트로서 양단부가 상기 컨베이어구동축(510) 및 상기 컨베이어피동축(520)의 축방향을 따라 병렬로 장착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고 표면에 상기 필름(f)과 점착성을 갖는 실리콘고무 재질의 점착막이 형성되는 다수의 벨트(530)를 구비하는 폭방향고정컨베이어부(500)가 구성되며,
    상기 하도(220)에는, 상기 홈(221)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홀(221a)과, 상기 하도(220)의 축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중공유로(221b)와, 상기 중공유로(221b)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흡입홀(221a)과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유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유로(221b)의 일단부에 흡입관이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흡입홀(221a)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0)가 구성되며,
    상기 날(211)이 상승하는 상도(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날(211)과 중첩되는 하단의 중첩영역마다 다수의 장착홈(710)이 형성되는 스크린플레이트(700);
    상기 장착홈(710)에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날(211)과 인접한 하변에 상기 날(211)이 통과하도록 사각홈(810)이 형성되는 탈착브라켓(800);
    상기 사각홈(810) 내에 결합되고, 상기 날(211)과 마찰되도록 슬릿홈(910)이 형성되는 테프론(tefron) 재질의 마찰패드(900); 및
    상기 스크린플레이트(700)를 상기 상도(210)에 대하여 밀거나 당기는 승강실린더(1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9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측의 제1 마찰패드(901)와, 타측의 제2 마찰패드(902)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마찰패드(901) 및 상기 제2 마찰패드(902)는, 상기 상도(210)의 날(211)과 마주보는 하반부가 상반부를 기준으로 힌지회동되도록 한 점(x1)에서 힌지결합되며,
    상기 스크린플레이트(700)를 상도(210)에 대하여 밀거나 당기는 유압실린더로서, 마찰패드(900)가 수명이 다 되면 스크린플레이트(700)를 상승시킨 후, 탈착브라켓(800) 및 마찰패드(900)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승강실린더(1000);
    일정중량을 가지며, 상기 제1 마찰패드(901) 및 상기 제2 마찰패드(902)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도(210)의 날(211)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관성을 제공하는 한 쌍의 무게추(1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8946A 2020-03-31 2020-03-31 필름 절단장치 KR10217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46A KR102174612B1 (ko) 2020-03-31 2020-03-31 필름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46A KR102174612B1 (ko) 2020-03-31 2020-03-31 필름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612B1 true KR102174612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946A KR102174612B1 (ko) 2020-03-31 2020-03-31 필름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6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749B2 (ja) * 1991-11-05 1997-04-23 日鉱金属株式会社 金属条押え送り出し装置
JP2571969Y2 (ja) * 1991-05-30 1998-05-20 株式会社太平製作所 多刃切断機における丸刃移動装置
JP2008000839A (ja) * 2006-06-21 2008-01-10 Fujifilm Corp 裁断方法及び装置
KR100822819B1 (ko) * 2007-05-11 2008-04-18 스템코 주식회사 필름 절단 장치의 상도 클리너
KR100969566B1 (ko) 2008-05-27 2010-07-12 정정훈 아이티오 필름 원단 절단기
JP5545939B2 (ja) * 2009-10-07 2014-07-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裁断刃、裁断装置、裁断時のダスト捕集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969Y2 (ja) * 1991-05-30 1998-05-20 株式会社太平製作所 多刃切断機における丸刃移動装置
JP2602749B2 (ja) * 1991-11-05 1997-04-23 日鉱金属株式会社 金属条押え送り出し装置
JP2008000839A (ja) * 2006-06-21 2008-01-10 Fujifilm Corp 裁断方法及び装置
KR100822819B1 (ko) * 2007-05-11 2008-04-18 스템코 주식회사 필름 절단 장치의 상도 클리너
KR100969566B1 (ko) 2008-05-27 2010-07-12 정정훈 아이티오 필름 원단 절단기
JP5545939B2 (ja) * 2009-10-07 2014-07-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裁断刃、裁断装置、裁断時のダスト捕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3878B2 (ja) 満管を新しい巻管に自動的に取リ替えるための方法と装置
EP2347832B1 (en) Double side coating device
US20090026299A1 (en) Web separator with reverse rotation mechanism for tissue paper winding machine
WO1999038928A1 (fr) Ruban double face, procede et appareil de fabrication
JP5717905B1 (ja) ラベルシート切断装置
KR102174612B1 (ko) 필름 절단장치
US20160280500A1 (en) Slit line making machenism for film roll/bag-on-a-roll making machine
US8490912B2 (en) Arbor mounted disc adjusting apparatus
JP5960334B1 (ja) 帯状フィルムの被膜剥離装置
US20160082643A1 (en) Sweeper roller, plastic film manufacturing device that uses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230098763A (ko) 떼기 쉬운 테이프 제조장치
FR2906527A1 (fr) Dispositif de retrait d'une pellicule.
JP4203271B2 (ja) サクションローラ
JP2004161488A (ja) テープ自動切断機のテープ誘導装置
WO2021134819A1 (zh) 切胶装置
JP4340451B2 (ja) ラベル巻回体の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巻回体の製造装置
KR200345307Y1 (ko) 터렛트 와인더
KR102435785B1 (ko) 청소용 점착 테이프 롤 제조 장치
FR2501174A1 (fr) Dispositif pour maintenir constante la tension de bandes metalliques
FR2578193A1 (fr) Machine de plastification a froid
KR101946965B1 (ko) 포장용 필름 합지장치의 가이드롤러장치
CN216376858U (zh) 一种离型纸分切机
RU2009145838A (ru) Намо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рыва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помощью планетарного валика
JP2023056695A (ja) ウエブ搬送装置
JP6606424B2 (ja) 巻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