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528B1 -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528B1
KR102174528B1 KR1020190088155A KR20190088155A KR102174528B1 KR 102174528 B1 KR102174528 B1 KR 102174528B1 KR 1020190088155 A KR1020190088155 A KR 1020190088155A KR 20190088155 A KR20190088155 A KR 20190088155A KR 102174528 B1 KR102174528 B1 KR 10217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lamper
spindle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5Retention by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는: 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부에 결합되는 스핀들부; 스핀들부에 결합되고,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부; 스핀들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를 구속하고,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공구 클램퍼부; 및 공구 클램퍼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를 이동시키는 스위치 클램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반용 공구홀더장치{TOOL HOLDER APPARATUS FOR LATHE}
본 발명은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홀더장치의 설치 길이를 감소시키고, 공구홀더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에는 회전홀더부가 설치된다. 선반에서는 드릴링 가공, 보링 가공이 실시된다. 회전홀더부에는 가공 공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구가 결합된다. 회전홀더부에는 공구를 구속 및 해제하기 위해 유압피스톤과 커플링부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유압피스톤과 커플링부가 회전홀더부에 설치되므로, 회전홀더부의 설치 길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회전홀더부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고, 가공소재의 가공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유압피스톤가 회전홀더부에 설치되므로, 선반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고, 선반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선반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2818호(2015. 02. 04 공개, 발명의 명칭: 선반용 주축대의 이동거리 감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홀더장치의 설치 길이를 감소시키고, 공구홀더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는: 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부에 결합되는 스핀들부; 상기 스핀들부에 결합되고,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부; 상기 스핀들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공구 결합부를 구속하고,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공구 결합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공구 클램퍼부; 및 상기 공구 클램퍼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공구 클램퍼부를 이동시키는 스위치 클램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에는 제1 렌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치 삽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핀들부에 제2 렌치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클램퍼부는 상기 공구 클램퍼부의 축방향과 수직하고, 상기 제2 렌치 삽입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치 삽입부에는 플러그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구 클램퍼부는 상기 스핀들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스핀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클램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편심홀부가 형성되는 공구 클램퍼 바디부; 상기 공구 클램퍼 바디부에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클램핑홀부가 형성되는 그립부; 및 복수의 상기 클램핑홀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공구 클램퍼 바디부의 이동시 상기 공구 결합부를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그립부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클램핑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핀들부의 내부에는 상기 공구 클램퍼 바디부와 상기 그립부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부에는 상기 클램핑볼부가 상기 클램핑홀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가이드홀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확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클램퍼부는 상기 스핀들부의 직경방향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 렌치 삽입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링부; 및 한 쌍의 상기 서포트링부에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기 편심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편심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구 결합부는 상기 공구가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부에 삽입되는 결합 바디부; 및 상기 결합 바디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클램핑볼부에 의해 구속되도록 헤드부가 형성되는 풀스터드 볼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공구 클램퍼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부의 내측에는 상기 테이퍼부에 대응되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클램퍼부가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를 이동시키고, 공구 클램퍼부가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를 구속 및 해제하므로, 공구 결합부를 구속 및 해제하기 위해 별도의 유압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반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선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장치가 공구홀더장치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공구홀더장치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구홀더장치의 설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공구홀더장치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공구 결합부, 공구 클램퍼부 및 스위치 클램퍼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공구 클램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스위치 클램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스위치 클램퍼부가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가 공구 결합부를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스위치 클램퍼부가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가 공구 결합부를 구속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공구 결합부, 공구 클램퍼부 및 스위치 클램퍼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공구 클램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스위치 클램퍼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는 하우징부(110), 스핀들부(130), 공구 결합부(140), 공구 클램퍼부(150) 및 스위치 클램퍼부(16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본체(101)에 결합된다. 하우징부(110)는 결합볼트부(102)에 의해 본체(101)에 결합된다. 하우징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하우징 바디부(111), 하우징 바디부(11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부(112)와, 하우징 바디부(111)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방 커버부(113)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 유로부(115)가 형성된다.
스핀들부(13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부(103)에 결합된다. 스핀들부(130)의 단부에는 구동부(103)와 축결합되도록 스플라인부(131)가 형성된다.
스핀들부(130)와 하우징부(110) 사이에는 스핀들부(130)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베어링부(121,122)가 설치된다. 한 쌍의 베어링부(121,122) 사이에는 한 쌍의 베어링부(121,1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123)가 설치된다. 스페이서(123)는 베어링부(121,122)의 내측과 외측을 지지한다. 스페이서(123)에는 제1 렌치 삽입부(116)와 제2 렌치 삽입부(136)와 연통되도록 관통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일측의 베어링부(121)에는 라비린스 구조(labyrinth)를 갖는 한 쌍의 칼라부(125)가 설치된다. 칼라부(125)는 베어링부(121)의 예압을 고려하여 조립된다. 칼라부(125)의 일측에는 라비린스링부(126)가 배치된다. 라비린스링부(126)는 칼라부(125)와 함께 윤활유의 누설을 방지한다. 라비린스링부(126)는 전방 커버부(113)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또한, 타측의 베어링부(122)에는 베어링부(122)의 체결 및 풀림을 방지하도록 로크너트부(127)가 설치된다.
공구 결합부(140)는 스핀들부(130)에 결합되고, 공구(미도시)가 결합된다. 공구 결합부(140)는 스핀들부(130)와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공구 클램퍼부(150)는 스핀들부(13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를 구속하고,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의 구속을 해제한다.
스위치 클램퍼부(160)는 공구 클램퍼부(1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150)를 이동시킨다. 스위치 클램퍼부(160)가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150)를 이동시키고, 공구 클램퍼부(150)가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를 구속 및 해제하므로, 공구 결합부(140)를 구속 및 해제하기 위해 별도의 유압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유압장치가 공구홀더장치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공구홀더장치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구홀더장치의 설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공구홀더장치의 가공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반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선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하우징부(110)에는 제1 렌치 삽입부(116)가 형성되고, 제1 렌치 삽입부(116)에 대응되도록 스핀들부(130)에 제2 렌치 삽입부(136)가 형성되며, 스위치 클램퍼부(160)는 공구 클램퍼부(150)의 축방향과 수직하고, 제2 렌치 삽입부(136)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1 렌치 삽입부(116), 제2 렌치 삽입부(136) 및 스위치 클램퍼부(16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므로, 렌치(10)가 제1 렌치 삽입부(116)와 제2 렌치 삽입부(136)를 통해 스위치 클램퍼부(16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부(110)의 외측에서 렌치(10: 도 6 참조)를 회전시킴에 따라 스위치 클램퍼부(160)를 회전시켜 공구 클램퍼부(150)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므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공구 결합부(140)를 공구 클램퍼부(150)에 구속 및 해제할 수 있다.
제1 렌치 삽입부(116)에는 플러그부(118)가 설치된다. 플러그부(118)는 제1 렌치 삽입부(116)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부(118)가 제1 렌치 삽입부(116)에 설치되므로, 이물질이 제1 렌치 삽입부(116)를 통해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구 클램퍼부(150)는 공구 클램퍼 바디부(151), 그립부(155) 및 복수의 클램핑볼부(157)를 포함한다.
공구 클램퍼 바디부(151)는 스핀들부(13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스핀들부(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위치 클램퍼부(16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편심홀부(152)가 형성된다.
그립부(155)는 공구 클램퍼 바디부(151)에서 연장되고, 그립부(15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클램핑홀부(156)가 형성된다.
복수의 클램핑볼부(157)는 복수의 클램핑홀부(156)에 각각 삽입되고, 공구 클램퍼 바디부(151)의 이동시 공구 결합부(140)를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그립부(155)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클램팽볼부(157)는 클램핑홀부(156)에서 완전히 빠지지는 않지만 일정 간격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이격 클램핑홀부(156)에 삽입된다. 클램핑볼부(157)가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를 구속하고, 클램핑볼부(157)가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의 구속을 해제한다.
스핀들부(130)의 내부에는 공구 클램퍼 바디부(151)와 그립부(155)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홀부(132)가 형성된다. 가이드홀부(132)에는 확관부(133)가 연결되고, 확관부(133)는 클램핑볼부(157)가 클램핑홀부(156)에서 일정 간격 범위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가이드홀부(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립부(155)가 확관부(133)에 위치되면 클램핑볼부(157)가 그립부(155)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그립부(155)가 가이드홀부(132)에 위치되면 클램핑볼부(157)가 가이드홀부(132)에 의해 가압되면서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그립부(155)가 확관부(133)에 위치됨에 따라 클램핑볼부(157)가 공구 결합부(140)의 구속을 해제하고, 그립부(155)가 가이드홀부(132)에 인입됨에 따라 클램핑볼부(157)가 공구 결합부(140)를 구속한다.
스위치 클램퍼부(160)는 한 쌍의 서포트링부(161)와 편심축부(16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서포트링부(161)는 스핀들부(130)의 직경방향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렌치 삽입부(136)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한 쌍의 서포트링부(161)에는 렌치(10)가 삽입되도록 다각 형태의 렌치홈부(164)가 형성된다. 한 쌍의 서포트링부(161)의 둘레부에는 오링(163)이 설치되도록 오링홈부(162)가 형성된다. 오링(163)은 베어링부(121,122)의 윤활유가 스핀들부(13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베어링부(121,122)에서 윤활유가 부족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편심축부(165)는 한 쌍의 서포트링부(161)에 편심되게 연결되고, 편심홀부(1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서포트링부(161)가 렌치(1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편심축부(165)가 서포트링부(161)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는 궤적을 따라 회전된다. 이때, 편심축부(165)가 서포트링부(161)의 회전중심에서 좌측에 위치되면, 스핀들부(130)가 좌측으로 이동되고, 편심축부(165)가 서포트링부(161)의 회전중심에서 우측에 위치되면, 스핀들부(130)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스핀들부(13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가 공구 클램퍼부(150)에 구속 및 해제된다.
공구 결합부(140)는 결합 바디부(141) 및 풀스터드 볼트부(143)를 포함한다. 결합 바디부(141)에는 공구가 결합되고, 결합 바디부(141)는 스핀들부(130)에 삽입된다. 풀스터드 볼트부(143)는 결합 바디부(141)에 연결되고, 복수의 클램핑볼부(157)에 의해 구속되도록 헤드부(145)가 형성된다. 풀스터드 볼트부(143)는 공구 결합부(140)에 나사결합되므로, 풀스터드 볼트부(143)나 공구 결합부(140)의 손상시 풀스터드 볼트부(143)나 공구 결합부(140)만을 교체할 수 있다.
결합 바디부(141)에는 공구 클램퍼부(15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테이퍼부(142)가 형성된다. 이때, 스핀들부(130)의 내측에는 결합 바디부(141)의 테이퍼부(142)에 대응되도록 경사부(135)가 형성된다. 결합 바디부(141)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테이퍼부(142)와 경사부(135)가 이격되고, 결합 바디부(141)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테이퍼부(142)가 경사부(135)에 밀착된다. 따라서, 구속볼부(145)가 그립부(155)에 의해 구속되었을 때에 결합 바디부(141)의 테이퍼부(142)가 스핀들부(130)의 경사부(135)에 압착되므로, 결합 바디부(141)가 스핀들부(130)에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바디부(141)가 스핀들부(130)에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구 결합부(140)가 공구 클램퍼부(150)에 클램핑될 때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스위치 클램퍼부가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가 공구 결합부를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부(118)가 하우징부(110)의 제1 렌치 삽입부(116)에서 분리된다. 렌치(10)가 제1 렌치 삽입부(116) 및 제2 렌치 삽입부(136)를 통해 서포트링부(161)의 렌치홈부(164)에 삽입되고, 렌치(10)가 회전됨에 따라 서포트링부(161)가 회전된다. 서포트링부(161)가 회전됨에 따라 편심축부(165)가 서포트링부(16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편심축부(165)가 편심홀부(152)를 일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15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공구 클램퍼부(150)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립부(155)가 가이드홀부(132)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복수의 클램핑볼부(157)가 가이드홀부(132)의 가압에 의해 그립부(155)의 내측으로 이동되므로, 풀스터드 볼트부(143)의 헤드부(145)가 복수의 클램핑볼부(157)에 걸려 구속된다. 또한, 공구 클램퍼부(150)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를 스위치 클램퍼부(160) 측으로 잡아당기므로, 공구 결합부(140)의 테이퍼부(142)가 스핀들부(130)의 경사부(135)에 밀착된다. 공구 결합부(140)가 스핀들부(130)의 경사부(135)에 꽉 끼워지므로, 공구 결합부(140)가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구 결합부(140)가 공구 클램퍼부(150)에 언클램핑될 때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공구홀더장치에서 스위치 클램퍼부가 회전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가 공구 결합부를 구속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러그부(118)가 하우징부(110)의 제1 렌치 삽입부(116)에서 분리된다. 렌치(10)가 제1 렌치 삽입부(116) 및 제2 렌치 삽입부(136)를 통해 서포트링부(161)의 렌치홈부(164)에 삽입되고, 렌치(10)가 회전됨에 따라 서포트링부(161)가 회전된다. 서포트링부(161)가 회전됨에 따라 편심축부(165)가 서포트링부(16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타측(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편심축부(165)가 편심홀부(152)을 타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공구 클램퍼부(150)를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공구 클램퍼부(150)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립부(155)가 확관부(133)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확관부(133)가 가이드홀부(1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복수의 클램핑볼부(157)가 확관부(133)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된다. 복수의 클램핑볼부(157)가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복수의 클램핑볼부(1578)가 풀스터드 볼트부(143)의 헤드부(145)의 구속을 해제한다.
또한, 공구 클램퍼부(150)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구 결합부(140)를 스위치 클램퍼부(160)의 반대측으로 밀어내므로, 공구 결합부(140)의 테이퍼부(142)가 스핀들부(130)의 경사부(135)에서 이격된다. 공구 결합부(140)가 스핀들부(1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렌치 101: 본체
103: 구동부 110: 하우징부
111: 하우징 바디부 112: 하우징 커버부
113: 전방 커버부 115: 냉각 유로부
116: 제1 렌치 삽입부 118: 플러그부
121,122: 베어링부 123: 스페이서
125: 칼라부 126: 라비린스링부
130: 스핀들부 131: 스플라인부
132: 가이드홀부 133: 확관부
135: 경사부 136: 제2 렌치 삽입부
140: 공구 결합부 141: 결합 바디부
142: 테이퍼부 143: 풀스터드 볼트부
145: 헤드부 150: 공구 클램퍼부
151: 공구 클램퍼 바디부 152: 편심홀부
155: 그립부 156: 클램핑홀부
157: 클램핑볼부 160: 스위치 클램퍼부
161: 서포트링부 162: 오링홈부
163: 오링 164: 렌치홈부
165: 편심축부

Claims (8)

  1. 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부에 결합되는 스핀들부;
    상기 스핀들부에 결합되고,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부;
    상기 스핀들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공구 결합부를 구속하고,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공구 결합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공구 클램퍼부; 및
    상기 공구 클램퍼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공구 클램퍼부를 이동시키는 스위치 클램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제1 렌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렌치 삽입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핀들부에 제2 렌치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클램퍼부는 상기 공구 클램퍼부의 축방향과 수직하고, 상기 제2 렌치 삽입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치 삽입부에는 플러그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클램퍼부는,
    상기 스핀들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스핀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클램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편심홀부가 형성되는 공구 클램퍼 바디부;
    상기 공구 클램퍼 바디부에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클램핑홀부가 형성되는 그립부; 및
    복수의 상기 클램핑홀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공구 클램퍼 바디부의 이동시 상기 공구 결합부를 구속 또는 해제하도록 상기 그립부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클램핑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부의 내부에는 상기 공구 클램퍼 바디부와 상기 그립부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볼부가 상기 클램핑홀부에서 일정 간격 범위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가이드홀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확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클램퍼부는,
    상기 스핀들부의 직경방향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 렌치 삽입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링부; 및
    한 쌍의 상기 서포트링부에 편심되게 연결되고, 상기 편심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편심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결합부는,
    상기 공구가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부에 삽입되는 결합 바디부; 및
    상기 결합 바디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클램핑볼부에 의해 구속되도록 헤드부가 형성되는 풀스터드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공구 클램퍼부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부의 내측에는 상기 테이퍼부에 대응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KR1020190088155A 2019-07-22 2019-07-22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KR10217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55A KR102174528B1 (ko) 2019-07-22 2019-07-22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55A KR102174528B1 (ko) 2019-07-22 2019-07-22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28B1 true KR102174528B1 (ko) 2020-11-05

Family

ID=7324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155A KR102174528B1 (ko) 2019-07-22 2019-07-22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659A1 (ko) * 2022-11-17 2024-05-23 프로토이엔지 주식회사 풀스터드 볼트 설치 및 제거 공구와 그의 관형동체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947B1 (ko) * 1994-04-08 1999-07-15 추후보정 반동을 최소화하도록 회전가능한 캠을 사용하는 공구 홀더 쉥크 지착 장치
KR20090126471A (ko) * 2008-06-04 2009-12-09 김기식 전동공구의 공구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947B1 (ko) * 1994-04-08 1999-07-15 추후보정 반동을 최소화하도록 회전가능한 캠을 사용하는 공구 홀더 쉥크 지착 장치
KR20090126471A (ko) * 2008-06-04 2009-12-09 김기식 전동공구의 공구 착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659A1 (ko) * 2022-11-17 2024-05-23 프로토이엔지 주식회사 풀스터드 볼트 설치 및 제거 공구와 그의 관형동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065B1 (ko) 공구홀더및이러한공구홀더내에절삭공구를장착하기위한방법
US20160016236A1 (en) Cooling or lubricant supply for lathe tools
US20240051037A1 (en) Tool clamp device and machine tool
JP2007510555A (ja) チャックのための中間ブッシュ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311267C2 (ru) Выталкивающее обрабатываемую детал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таллорежущего станка
KR102174528B1 (ko) 선반용 공구홀더장치
US20130069322A1 (en) Tool Holder
CN109789495B (zh) 用于去除钻孔毛刺的切削加工工具
EP0771609B1 (en) Magnetic bearing spindle apparatus
KR101440822B1 (ko) 풀스터드 볼트 체결용 척 및 그의 제조 방법
US5133629A (en) Tool holding assembly provided with a feeler device
JP7042267B2 (ja) センタリング装置を備えた、金属ナットのねじ切りのためのタッピングマシン
KR100930397B1 (ko) 기계가공공구의 퀵 체인저
JP6487329B2 (ja) 工具把持装置のための封止システム
US6389939B1 (en) Multiple-spindle bar machine
JP2015066648A (ja) 工作機械
JP2009184083A (ja) 心補償型チャック
US20220339711A1 (en) Cutting tool rest and machine tool
JP4335343B2 (ja) 主軸台移動形自動旋盤用ガイドブッシュ潤滑装置
CN203875665U (zh) 一种轴用车镗孔夹具
KR20040100753A (ko) 편심가공용 유압 콜렛척 조립체
EP3017907B1 (en) Clamping device for the supply of process liquids to drill body
CN110248770B (zh) 机床的主轴装置
KR20150072642A (ko) 클램핑 장치
US5345847A (en) Apparatus for guiding rod-shaped workpieces in turn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