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986B1 -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986B1
KR102173986B1 KR1020190022067A KR20190022067A KR102173986B1 KR 102173986 B1 KR102173986 B1 KR 102173986B1 KR 1020190022067 A KR1020190022067 A KR 1020190022067A KR 20190022067 A KR20190022067 A KR 20190022067A KR 102173986 B1 KR102173986 B1 KR 10217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plex
connection
hom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487A (ko
Inventor
주복자
Original Assignee
주복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복자 filed Critical 주복자
Priority to KR102019002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9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과 단지관을 간편하며 빠르게 조립가능하고 단지관과 가정관의 연결부를 패킹으로 체결하여 수밀성 증대 및 거동에 의한 관로의 파손을 방지하며 실시간으로 관로의 이상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은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 상기 메인관에 연결되는 단지관, 상기 메인관에 단지관을 연결 및 고정하는 설치부, 상기 단지관에 가정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소켓으로 메인관과 단지관의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이 우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가능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HOME PIPE CONSTRUCTION METHOD AND HOME PIPELINE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단지관 및 가정관 유지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며 빠른 설치 및 가정관과 연결 구조를 개선하고 실시간 감시로 상수관로, 하수관로, 폐수관로, 기타 유류관로 등을 시공 및 관리하는 관로설치 및 관리업체에서 적용가능한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또는 기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이프(PIPE: 관)는 각종 산업시설을 비롯하여 상하수도시설과 각종 압력배관시설 등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재질에 따라 금속 또는 비금속(합성수지) 재질로 성형 제조되고 있다.
여러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관(파이프)은, 유체 또는 기체를 이송시키는 때에, 메인관(파이프)에서 이송되는 유체 또는 기체를 분기관(가지관)으로 분배시키거나 분기관(가지관)에서 공급되는 유체 또는 기체를 메인관으로 집합시키기 위해서는 메인관에 분기관(가지관)을 연결(접속)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의 분기에 관련되는 종래의 기술로는,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분기관 접속 클램프,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결합구(연결부재), 파이프용 분기관, PVC DC용 수밀분기구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구와 관련되는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의 등록실용신안 제30-159689호의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와 등록실용신안 제30-307725호의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 및 등록특허 제10-696448호의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와 등록특허 제10-772118호의 분기관 연결구 및 등록특허 제10-772118호의 분기관 연결구 등이 알려져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0-159689호와 등록실용신안 제30-307725호의 각 분기지관 소켓부착장치는, 본배관에 뚫어진 유입공에는 수직관체의 하단주연에 날개편이 형성된 내측와샤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결합시키되 수직관체가 유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시키고, 유입공을 통해 본배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내측와샹의 수직관체에는 접속관체(돌출테)의 하단 주연에 덮개판(하면)이 일체로 된 분기지관소켓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며, 이와 같이 결합시킨 상태에서 내측와샤의 수직관체와 분기지관소켓의 접속관체(돌출테)를 볼트로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며, 상기와 같이 결합된 분기지관소켓의 접속관체(돌출테)에 연결판(지관)의 단부를 삽입(결합)하여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분기 지관 소켓과 본배관과의 수밀성이 떨어지고, 유지할 수 없고, 내측와샤(수직관체)와 분기지관소켓(접속관체:돌출테)를 볼트로 체결하여 접속하므로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어 연결판(지관)을 설치하는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또, 수직관체의 하단주연에 날개편이 형성된 내측와샤가 좌우 분할되어 경첩(힌지)에 의해 연결되어있으므로, 이를 본배관에 뚫어진 유입공에 결합시킬 때에 결합력과 밀폐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보강할 수 있는 장치(수단)를 필연적으로 부가해 주어야 하고, 따라서 구성과 작업성이 복잡해지게 되어 작업능률도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내측와셔와 분기 지관 소켓을 다수의 볼트로 체결시키는 결합방식을 취하므로 별도의 볼트 조임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내측와셔와 분기 지관 소켓의 접속면이 좁아 압착력(밀폐력)이 떨어지며, 과도한 힘으로 볼트를 조이게 되면 볼트의 숫나사부가 내측와셔의 암나사부가 마모 또는 손상되어 체결력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에 기술에 따른 하수관에 단지관을 연결할 경우 체결 구조가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기술에 따른 단지관에 지름이 작은 가정에 설치되는 가정관을 연결시 연결부의 지름 차이로 인한 틈새를 일반적인 콘크리트로 패킹 처리하여 노후 될 수로 크랙과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 기술에 따라 단지관과 가정관의 연결부를 콘크리트로 패킹처리시 지반의 거동이나 미약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쉽게 파손되며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간단하게 하수관과 단지관을 조립할 수 있으며 단지관과 연결되는 가정관의 연결부위를 간편하면서도 수밀성을 증대시키며 외력에 파손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는 개선된 단지관의 연결 구조와 각 관로를 실시간으로 검사 및 변형과 이탈 파손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개선된 유지관리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0836834호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공개번호 제10-3008-0033131호 (분기관 연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관과 단지관의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이 우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가능한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지관을 메인관에 설치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채택하여 교체 작업이 간편하며 볼트 체결 공구만 필요하여 취급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지관과 가정관의 직경차이로 발생하는 연결부를 연결소켓으로 연결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소켓을 내부식성과 연성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하여 단지관이나 가정관의 거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관, 단지관, 가정관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 현재 상태를 쉽게 파악하여 초기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은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에 연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단지관, 상기 메인관과 단지관을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 및 기밀, 고정하는 설치부, 상기 단지관과 가정에 설치된 가정관을 연결시 연결부을 감싸 기밀성 및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연결소켓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을 구성한다.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에 설치되는 단지관과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폐수나 우수의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가정관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굴착하여 시공된 메인관의 연결홀에 단지관의 일 끝단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지관설치단계, 상기 단지관설치단계를 거친 후, 밀폐부의 밀폐링과 지지링의 순서로 단지관의 외부로 끼워 설치하는 밀폐부설치단계, 상기 밀폐부설치단계를 거친 후, 클램프부의 상부단은 단지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통과시키고, 하부단은 메인관의 내부로 삽입된 단지관의 하부끝단과 메인관의 내면을 지지시키는 클램프부설치단계, 상기 클램프부설치단계를 거친 후, 클램프부의 상부단에 고정부의 볼트를 체결하여 지지링을 가압하여 밀폐링을 압착하여 메인관의 연결홀과 단지관의 접촉부분을 기밀하는 고정부설치단계, 상기 고정부설치단계를 거친 후 단지관의 끝단에 연결소켓의 제1연결단을 끼움하고, 제2연결단에는 가정관을 끼움하여 체결하는 연결소켓설치단계, 상기 메인관과 단지관, 가정관을 매립하는 매립단계(S6)를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로 시공방법을 구성한다.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에 설치되는 단지관과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폐수나 우수의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과 단지관, 가정관에 각각 설치되어 최초 시공 위치 및 실시간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태양광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1,2,3송출기에 의해 무선 신호를 관측소에서 송출받는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 상기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를 거친 후, 제1,2,3송출기의 송출 신호 중 이상 신호가 감지 구간이 공용구간일 경우 메인관을 통해 공용관측로봇을 투입시켜 관측소에서 메인관과 단지관의 상태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는 공용시설확인단계, 상기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를 거친 후, 제1,2,3송출기의 송출 신호 중 이상 신호가 감지 구간이 사유지구간일 경우 가정관을 통해 공용관측로봇을 투입시켜 관측소에서 가정관과 단지관의 상태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는 사유시설확인단계, 상기 공용시설확인단계이나 사유시설확인단계를 거친 후, 위치 변동이 발생한 구간의 지반을 굴착 한 후 메인관, 단지관, 가정관, 연결소켓의 각 위치를 조정하거나 교체 시공하는 유지보수단계, 상기 유지보수단계를 거친 후 굴착한 지반을 다시 매립하는 재매립단계(S6)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로 유지관리 방법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관과 단지관의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이 우수하여 공사기간을 단축가능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지관을 메인관에 설치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채택하여 교체 작업이 간편하며 볼트 체결 공구만 필요하여 취급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단지관과 가정관의 직경차이로 발생하는 연결부를 연결소켓으로 연결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연결소켓을 내부식성과 연성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하여 단지관이나 가정관의 거동에 대응하여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메인관, 단지관, 가정관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 현재 상태를 쉽게 파악하여 초기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측면도,
도 5에서 도면 a는 클램프와 고정부의 분해사시도, 도면 b는 클램프의 평면도, 도면 c는 클램프의 저면도,
도 6은 단지관의 관통홀을 통해 클램프의 상부단이 관통 할 때 체결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가정관이 시공된 시공 예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가정관의 시공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가정관 관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시공 예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응성이 향상된 가정관 관로의 유지관리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은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10), 상기 메인관(10)에 연결되는 단지관(20), 상기 메인관(10)에 단지관(20)을 연결 및 고정하는 설치부(30), 상기 단지관(20)에 가정관(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소켓(70)으로 단지관연결구조(100)를 구성한다.
상기 메인관(10)은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가 유동하는 것이며 선택된 지점에 연결홀(11)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홀(1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메인관(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홀(11)에 삽입되는 단지관(20)을 형성하는데, 상기 단지관(20)의 직경은 연결홀(11)에 맞는 것으로 제작하며 내부에는 가정관(1)이 연결되어 끝단이 걸림되는 걸림단(22)이 내면에 형성하여 제작한다.
상기 단지관(20)에는 클램프부(40)의 체결을 위한 관통홀(21)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단지관(20)과 가정관(1)을 연결하는 연결관(23)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관(10)과 단지관(20)을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 및 기밀, 고정하는 설치부(30)를 형성한다.
상기 설치부(30)는 메인관(10)과 단지관(20)을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프부(40)를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부(40)는 단면이 디귿자 형태로 상부단(41)은 단지관(20)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하여 양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핀(42)에 의해 고정하도록 제작한다.
상기 이탈방지핀(42)은 상부단(41)을 평면에서 투영시 단지관(20)의 관통홀(21)을 통과한 후 상부단(41)이 관통홀(21)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과된 지점 양쪽 측단을 일부분 절개하여 외측으로 절곡한 것으로, 관통홀(21)을 통해 진입시에는 내측으로 오므려들고 클램프(44)가 완전히 관통홀(21)을 통과하면 원위치로 복원되어 단지관(20)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상부단(41)과 나란히 형성되는 하부단(43)은 단지관(20)의 하부 끝단을 지지하도록 클램프(44)를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44)는 단면을 투영했을 경우 상부단(41)의 길이가 하부단(4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중앙 부분에는 고정부(60)의 체결 및 위치 조정을 위한 볼트홀(45)을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44)의 하부단(43)은 단지관(20) 중 메인관(10)의 내부로 위치하는 단지관(20)의 끝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연결홀(11)의 메인관(10) 내면에 지지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44)는 탄성력을 지지거나 무탄성 재질의 금속재로 제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무탄성 재질로 제작하여 단지관(20)에 거동이 발생하더라독 클램핑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클램프부(40)와 메인관(10)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밀성을 증진시키는 밀폐부(50)를 형성한다.
상기 밀폐부(50)는 단지관(20)의 외부로 끼워지며 클램프부(40)의 상부단(41)의 하부에 위치하는 링 형태의 지지링(51)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링(51)은 단면이 사각형태이며 내경은 단지관(20)이 통과할 수 있는 크리고 형성되고, 직경은 클램프(44)의 볼트홀(45)이 위치한 지점을 넘어서는 크기로 제작한다.
상기 지지링(51)은 메인관(10)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메인관(10)의 원주와 일치하도록 절곡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지지링(51)의 하부와 메인관(10)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링(52)을 형성하는데, 상기 밀폐링(52)은 압축률을 감안하여 단면 직경은 약8mm~1cm범위로 제작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40)를 관통하여 밀폐부(50)를 가압하며 고정하는 볼트 방식의 고정부(60)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60)는 클램프부(40)의 클램프(44)에 형성되는 볼트홀(45)을 통과하는 볼트(61)와 상기 볼트(61)에 상부단(4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되어 체결되어 볼트(61)의 체결과 풀림방지를 위한 한 쌍의 너트(61)가 볼트(61)에 체결되어 볼트(61)의 회전으로 밀폐부(50)의 지지링(51)을 충분히 가압하면 너트(61)를 회전시켜 클램프(44)의 상부단(41)을 가압하도록 형성한다.
반면, 상기 단지관(20)과 가정에 설치된 가정관(1)을 특정 각도로 연결된 연결부을 감싸 기밀성 및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연결소켓(70)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소켓(70)의 일 끝단은 단지관(20)의 연결관(23)에 끼워지는 제1연결단(71)을 형성한다.
상기 제1연결단(71)과 일체로 연장하되 일직선 또는 특정 각도로 절곡된 반대편 끝단은 가정관(1)에 끼워지는 제2연결단(72)을 형성한다.
상기 제1,2연결단(71)(72)를 연결하되 절곡 각도를 유지하거나 가정관(1)과 단지관(20)의 거동에 대응하는 제3연결단(73)을 형성한다.
상기 제1,2연결단(71)(72)의 절곡 각도는 가정관(1)과 단지관(20)의 시공 시 설계 도면에 따른 연결지점의 각도를 반영하여 제작한다.
상기 제3연결단(73)은 단면이 아치형태이거나 반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70)은 단지관(20)과 가정관(1)의 설계가 완료되면 직경에 맞도록 금속재질, 플라스틱재질, 고무재질(EPDM)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무재질로 제작한다.
상기 연결소켓(70)은 단지관(20)과 제1연결단(71), 가정관(1)과 제2연결단(72)을 체결한 후 별도의 금속재 타이(둥글게 묶을 경우 사용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체결한다.
상기 연결소켓(70)은 단순히 가정관(1)과 단지관(20)을 연결하는 것을 벗어나 단지관(20)과 단지관(20), 가정관(1)과 가정관(1), 단지관(20) 및 가정관(1)과 다른 관을 연결할 때 한 쌍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응성이 향상된 가정관의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10)에 설치되는 단지관(20)과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폐수나 우수의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가정관(1)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을 굴착하여 시공된 메인관(10)의 연결홀(11)에 단지관(20)의 일 끝단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지관설치단계(S1)를 시행한다.
상기 단지관설치단계(S1)에서는 관로의 매립 설계 기준에 따라 미리 뚫어진 연결홀(11)의 내부로 단지관(20)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후, 상기 단지관설치단계(S1)를 거친 후, 밀폐부(50)의 밀폐링(52)과 지지링(51)의 순서로 단지관(20)의 외부로 끼워 설치하는 밀폐부설치단계(S2)를 시행한다.
상기 단지관(20)을 연결홀(11)에 설치한 다음 단지관(20)의 연결관(23)에 밀폐링(52)을 끼움하여 메인관(10)에 외면에 접촉시키고 지지링(51)을 밀폐링(52)에 상부에 위치하도록 단지관(20)에 끼움한다.
다음으로, 상기 밀폐부설치단계(S2)를 거친 후, 클램프부(40)의 상부단(41)은 단지관(20)에 형성된 관통홀(21)을 통해 통과시키고, 하부단(43)은 메인관(10)의 내부로 삽입된 단지관(20)의 하부끝단과 메인관(10)의 내면을 지지시키는 클램프부설치단계(S3)를 시행한다.
상기 밀폐부(5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한 쌍의 클램프(44)를 단지관(20)의 내부로 삽입시켜 상부단(41)은 관통홀(21)에 끼움하고 하부단은 단지관(20)의 하부 끝단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클램프(44)를 단지관(20)의 외측으로 타격공구를 이용하여 타격하거나 밀어 넣으면, 클램프(44)의 하부단은 단지관(20)의 하부 끝단과 메인관(10)의 연결홀(11)을 지나 메인관(10)의 내면에 지지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44)의 상부단(41)은 지지링(51)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이탈방지핀(42)은 단지관(20)의 관통홀(21)을 통과한 후 통과된 지점 양쪽 측단을 일부분 절개하여 외측으로 절곡한 것으로, 관통홀(21)을 통해 진입시에는 내측으로 오므려들고 클램프(44)가 완전히 관통홀(21)을 통과하면 원위치로 복원되어 단지관(20)의 외면을 지지하게 되어 간단하면서 안정적인 설치를 완료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클램프부설치단계(S3)를 거친 후, 클램프부(40)의 상부단(41)에 고정부(60)의 볼트(61)를 체결하여 지지링(51)을 가압하여 밀폐링(52)을 압착하여 메인관(10)의 연결홀(11)과 단지관(20)의 접촉부분을 기밀하는 고정부설치단계(S4)를 시행한다.
이후, 상기 고정부설치단계(S4)에서는 지지링(5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단(41)의 볼트홀(45)에 너트(61)가 체결된 볼트(61)를 체결하여 지지링(51)을 가압한 후 너트(61)를 회전시켜 상부단(41)에 접촉 및 가압하도록 하여 너트(61)에 의해 풀림이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부설치단계(S4)를 거친 후 단지관(20)의 끝단에 연결소켓(70)의 제1연결단(71)을 끼움하고, 제2연결단(72)에는 가정관(1)을 끼움하여 체결하는 연결소켓설치단계(S5)를 시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소켓설치단계(S5)에서 연결소켓(70)은 단지관(20)과 제1연결단(71), 가정관(1)과 제2연결단(72)을 체결한 후 별도의 금속재 타이를 이용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체결한다.
이때, 상기 가정관(1)과 단지관(20)이 연결되기 위해 만나는 각도가 다양한 경우에도 연결소켓(70)의 제3연결단(73)에 의하여 불특정 각도 및 위치에서도 자유자재로 각도조절(절곡)이 가능하여 누수로 인한 지반침하(씽크홀)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메인관(10)과 단지관(20), 가정관(1)을 매립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응성이 향상된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10)에 설치되는 단지관(20)과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폐수나 우수의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가정관(1)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메인관(10)과 단지관(20), 가정관(1)에 각각 설치되어 최초 시공 위치 및 실시간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태양광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1,2,3송출기(P1)(P2)(P3)에 의해 무선 신호를 관측소(300)에서 송출받는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S10)를 시행한다.
상기 제1,2,3송출기(P1)(P2)(P3)는 지상에 설치된 태양광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관측소(300)에서는 관리자가 실시간을 구간별 구분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S10)를 거친 후, 제1,2,3송출기(P1)(P2)(P3)의 송출 신호 중 이상 신호가 감지 구간이 공용구간일 경우 메인관(10)을 통해 공용관측로봇(400)을 투입시켜 관측소(300)에서 메인관(10)과 단지관(20)의 상태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는 공용시설확인단계(S20)를 시행한다.
상기 공용시설확인단계(S20)의 시행 주체는 정부나 공공기관, 공용시설 관리업체 등에서 시행할 수 있는 것으로 송출 신호를 통해 장마철이나 지진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이상 신호 감지시 확인을 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용관측로봇(400)을 메인관(10)의 내부에 투입시켜 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메인관(10)의 상태와 메인관(10)과 단지관(20)의 연결상태를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S10)를 거친 후, 제1,2,3송출기(P1)(P2)(P3)의 송출 신호 중 이상 신호가 감지 구간이 사유지구간일 경우 가정관(1)을 통해 사유지관측로봇(500)을 투입시켜 관측소(300)에서 가정관(1)과 단지관(20)의 상태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는 사유시설확인단계(S30)를 시행한다.
상기 사유시설확인단계(S30)의 시행 주체는 정부나 공공기관, 민간시설 관리업, 개인관리업체 등에서 시행할 수 있는 것으로 송출 신호를 통해 장마철이나 지진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이상 신호 감지시 확인을 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유지관측로봇(500)을 가정관(1)의 내부에 투입시켜 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정관(1)의 상태와 가정관(1)과 단지관(20)의 연결상태를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공용시설확인단계(S20)이나 사유시설확인단계(S30)를 거친 후, 위치 변동이 발생한 구간의 지반을 굴착 한 후 메인관(10), 단지관(20), 가정관(1), 연결소켓(70)의 각 위치를 조정하거나 교체 시공하는 유지보수단계(S40)를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지보수단계(S40)를 거친 후 굴착한 지반을 다시 매립하는 재매립단계(S50)를 시행하여 유지보수를 완료하며 관측소(300)에서는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S10)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로의 상태를 철저하게 감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가정관
10 : 메인관 11 : 연결홀
20 : 단지관 21 : 관통홀
22 : 걸림단 30 : 설치부
40 : 클램프부 41 : 상부단
42 : 이탈방지핀 43 : 하부단
44 : 클램프 45 : 볼트홀
50 : 밀폐부 51 지지링
52 밀폐링 60 : 고정부
61 : 볼트 62 : 너트
70 : 연결소켓 71 : 제1연결단
72 : 제2연결단 100 : 단지관연결구조
200 : 태양광셀 300 : 관측소
400 : 공용관측로봇
P1, P2, P3 : 제1,2,3송출기
S1 : 단지관설치단계 S2 : 밀폐부설치단계
S3 : 클램프부설치단계 S4 : 고정부설치단계
S5 : 연결소켓설치단계 S6 : 매립단계
S10 :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 S20 : 공용시설확인단계
S30 : 사유시설확인단계 S40 : 유지보수단계
S50 : 재매립단계

Claims (7)

  1.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10)에 연결홀(1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홀(11)에 삽입되는 단지관(20),
    상기 메인관(10)과 단지관(20)을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 및 기밀, 고정하는 설치부(30),
    상기 단지관(20)과 가정에 설치된 가정관(1)을 특정 각도로 연결된 연결부를 감싸 기밀성 및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연결소켓(70)을 구성하되,
    상기 설치부(30)는 메인관(10)과 단지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프부(40),
    상기 클램프부(40)와 메인관(10)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밀성을 증진시키는 밀폐부(50),
    상기 클램프부(40)를 관통하여 밀폐부(50)를 가압하며 고정하는 볼트 방식의 고정부(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40)는 단면이 디귿자 형태로 상부단(41)은 단지관(20)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하여 양끝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핀(42)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상부단(41)과 나란히 형성되는 하부단(43)은 단지관(20)의 하부 끝단을 지지하도록 클램프(4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50)는 단지관(20)의 외부로 끼워지며 클램프부(40)의 상부단(41)의 하부에 위치하는 링 형태의 지지링(51),
    상기 지지링(51)의 하부와 메인관(10)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링(52)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70)의 일 끝단은 단지관(20)에 끼워지는 제1연결단(71),
    상기 제1연결단(71)과 일체로 연장하되 일직선 또는 특정 각도로 절곡된 반대편 끝단은 가정관(1)에 끼워지는 제2연결단(72),
    상기 제1,2연결단(71)(72)를 연결하되 절곡 각도를 유지하거나 가정관(1)과 단지관(20)의 거동에 대응하는 제3연결단(7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6.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10)에 설치되는 단지관(20)과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폐수나 우수의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가정관(1)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굴착하여 시공된 메인관(10)의 연결홀(11)에 단지관(20)의 일 끝단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지관설치단계(S1),
    상기 단지관설치단계(S1)를 거친 후, 밀폐부(50)의 밀폐링(52)과 지지링(51)의 순서로 단지관(20)의 외부로 끼워 설치하는 밀폐부설치단계(S2),
    상기 밀폐부설치단계(S2)를 거친 후, 클램프부(40)의 상부단(41)은 단지관(20)에 형성된 관통홀(21)을 통해 통과시키고, 하부단(43)은 메인관(10)의 내부로 삽입된 단지관(20)의 하부끝단과 메인관(10)의 내면을 지지시키는 클램프부설치단계(S3),
    상기 클램프부설치단계(S3)를 거친 후, 클램프부(40)의 상부단(41)에 고정부(60)의 볼트(61)를 체결하여 지지링(51)을 가압하여 밀폐링(52)을 압착하여 메인관(10)의 연결홀(11)과 단지관(20)의 접촉부분을 기밀하는 고정부설치단계(S4),
    상기 고정부설치단계(S4)를 거친 후, 단지관(20)의 끝단에 연결소켓(70)의 제1연결단(71)을 끼움하고, 제2연결단(72)에는 가정관(1)을 끼움하여 체결하는 연결소켓설치단계(S5),
    상기 메인관(10)과 단지관(20), 가정관(1)을 매립하는 매립단계(S6)를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로 시공방법.
  7. 상수, 하수, 우수, 폐수, 유체와 같은 메인관(10)에 설치되는 단지관(20)과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폐수나 우수의 배출을 위해 연결되는 가정관(1)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10)과 단지관(20), 가정관(1)에 각각 설치되어 최초 시공 위치 및 실시간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태양광셀(200)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1,2,3송출기(P1)(P2)(P3)에 의해 무선 신호를 관측소(300)에서 송출받는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S10),
    상기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S10)를 거친 후, 제1,2,3송출기(P1)(P2)(P3)의 송출 신호 중 이상 신호가 감지 구간이 공용구간일 경우 메인관(10)을 통해 공용관측로봇(400)을 투입시켜 관측소(300)에서 메인관(10)과 단지관(20)의 상태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는 공용시설확인단계(S20),
    상기 위치정보신호취득단계(S10)를 거친 후, 제1,2,3송출기(P1)(P2)(P3)의 송출 신호 중 이상 신호가 감지 구간이 사유지구간일 경우 가정관(1)을 통해 사유지관측로봇(500)을 투입시켜 관측소(300)에서 가정관(1)과 단지관(20)의 상태를 영상을 통해 확인하는 사유시설확인단계(S30),
    상기 공용시설확인단계(S20)이나 사유시설확인단계(S30)를 거친 후, 위치 변동이 발생한 구간의 지반을 굴착 한 후 메인관(10), 단지관(20), 가정관(1), 연결소켓(70)의 각 위치를 조정하거나 교체 시공하는 유지보수단계(S40),
    상기 유지보수단계(S40)를 거친 후, 굴착한 지반을 다시 매립하는 재매립단계(S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로 유지관리 방법.
KR1020190022067A 2019-02-25 2019-02-25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KR10217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067A KR102173986B1 (ko) 2019-02-25 2019-02-25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067A KR102173986B1 (ko) 2019-02-25 2019-02-25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87A KR20200103487A (ko) 2020-09-02
KR102173986B1 true KR102173986B1 (ko) 2020-11-04

Family

ID=7246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067A KR102173986B1 (ko) 2019-02-25 2019-02-25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9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515B2 (ja) * 1991-07-10 2002-01-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体の分岐管接続構造及び分岐管接続方法
KR100523904B1 (ko) * 2003-07-02 2005-10-25 대한주택공사 건설공사에 있어서 지반순응형 지중관로 연결공법 및 그장치
KR100836834B1 (ko) 2007-04-16 2008-06-11 전순남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20080033131A (ko) 2007-12-20 2008-04-16 주식회사 시코 분기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87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8199B (zh) 一种塑料检查井承口的密封连接方法
CN201368273Y (zh) 一种管道连接装置
KR101024577B1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2173986B1 (ko)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KR101171058B1 (ko) 플랜지 접속형 상수도관 이음 장치
KR102177220B1 (ko) 보강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CN109945003B (zh) 一种具有frd双密封即时检测闭水承插接头的聚烯烃排水管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CN203857180U (zh) 管道伸缩节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CN212178170U (zh) 一种便于安装的燃气管材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CN2932012Y (zh) 管道卡箍
CN211344810U (zh) 一种管道监测装置
KR101192408B1 (ko)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구조체
CN207349626U (zh) 一种管道抗震连接结构
KR100917951B1 (ko) 맨홀용 관 연결구
CN212986424U (zh) 一种用于给水管接口的快速补漏管件
US20120049515A1 (en)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CN210800322U (zh) 一种给排水管连接结构
KR100769478B1 (ko)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CN212107451U (zh) 一种大型箱涵不断水封堵装置
KR200315348Y1 (ko) 배관용러버플랜지구조
CN218883265U (zh) 一种快速固定的水利工程用管道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