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478B1 -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478B1
KR100769478B1 KR1020060033232A KR20060033232A KR100769478B1 KR 100769478 B1 KR100769478 B1 KR 100769478B1 KR 1020060033232 A KR1020060033232 A KR 1020060033232A KR 20060033232 A KR20060033232 A KR 20060033232A KR 100769478 B1 KR100769478 B1 KR 10076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sewer pipe
reinforcing connector
low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720A (ko
Inventor
한재명
계형산
Original Assignee
한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명 filed Critical 한재명
Priority to KR102006003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47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는 두개의 다른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말단 연결부위를 고정시키며 상하로 분리되는 육면체 또는 사다리꼴등 관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된 다면체형상으로 되고 외면부에 요입부가 형성된 상하 고정블록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양측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을 실링 하는 유기탄성체 링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결 방법이 간편하여 하수관의 연결시공이 용이하고, 보강연결구 외면부에 형성된 다수의 요입부에 토양이 수용되어 굳게 되므로 보강연결구가 토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유기탄성체 링에 의해 누수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으며, 하수관 내외부의 온도차 등의 이유로 관이 수축 팽창을 하여도 보강연결구 자체에서 흡수하여 연결 부분이 떨어져 누수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 현장이 협소한 경우 상하가 아닌 좌우로 연결을 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시공 후 다짐을 하기 위해 토양을 되메움하는 경우 관의 하부 및 상부가 기존의 원형 구조에서 다면체 블록형태로 되어 관 아랫부분(haunch)의 다짐이 용이하고,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연결의 목적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관의 변형을 막아주는 강성 보강 효과가 큰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강성 보강용 지지대로도 사 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하수관의 파열이나 연결구의 파손등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하수관과 일반적인 연결구는 지표면 아래 매설되어지는 특성 때문에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유지보수 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었다. 하지만 상기 보강연결구는 상하 고정블록에 위치정보발신기가 부착되어 상기 보강연결구의 정확한 위치를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GIS)의 중앙통제장치로 위치정보를 송신하여 보강연결구 및 하수관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고 혹은 상기 보강연결구의 성형 시 구리선 또는 철선과 같은 금속선을 삽입시켜 성형하여 상기 보강 연결구가 매설된 후 지상에서 탐지기를 이용하여 위치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보수 시 시간과 비용을 절약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수관, 누수방지, 유기탄성체 링, 보강연결구, 하수관 지지대,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

Description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Stiffness Reinforcing Fitting Device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Plastic Drainage and Sewer pipe}
도 1은 종래의 전기 융착포를 이용한 관이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소켓 이음을 이용한 관이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종래의 플랜지 이음을 이용한 관이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탄성체 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하 고정블록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수관 20: 보강연결구
20a: 상 고정블록 20b: 하 고정블록
21: 하수관 삽입구 22: 거치홈
23: 결합공 24: 요철부
25: 요입부 30: 연결부
40: 유기탄성체 링 40a: 제 1 유기탄성체 링
40b: 제 2 유기탄성체 링 50: 결합수단
50a: 볼트 50b: 너트
51: 마개 60: 위치정보발신기
70: 금속선
본 발명은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를 보강하여 연결부의 누수 및 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하수관 또는 배수관은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ABS 등의 고분자 합성수지를 성형 가공하여 제조되며, 이러한 플라스틱 하수관 또는 배수관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결부를 실링하게 된다.
종래에 사용된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방법은, 전기 융착방법, 소켓이용방법, 플랜지이용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먼저, 전기 융착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융착포를 이용하여 두 개의 스파이럴 파이프를 감은 후, 융착포 내에 삽입되어 있는 열선에 전기를 공 급하고, 그 저항열을 이용하여 융착포와 스파이럴 파이프의 외면을 용융시켜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이 전기 융착방법은 연결 시공 후 지표면과 토양의 꾸준한 진동 및 압력 등에 의하여 동적 피로하중을 받는 하수관의 특성상 일정시간이 지나면 융착포의 노화로 인하여 파손이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 방법은 시공시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통상 차량에 탑재하고 이동하게 되는데, 차량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지형에서는 시공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소켓이나 플렌지 연결 방식을 들 수 있다.
소켓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는, 도 2에서와 같이, 관 제조 후에 소켓을 다시 사출하고 관 연결 시 조임 수단을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관과 소켓을 사출기를 통하여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시에 여러 개의 밴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연결 시공이 복잡하여 숙련된 작업자가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연결 원 부자재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시공 현장이 협소한 경우에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 0164483호에 제안된 원터치식 소켓 연결구의 경우, 상기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하나, 시공 시 작업자가 주의하여 되메움 및 다짐을 해야 하는 문제와 다짐을 잘 하였다 하여도 처음 시공 후 부 변형(negative deflection)이 일어나고 그 결과 왕관현상(crown effect)이 일어난 후 지속적인 부 하로 인해 관의 꼭지점이 변형되는(buckling) 현상이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관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플렌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관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플렌지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소켓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보다는 실링이 우수하나, 현장에서 연결을 할 경우 다수의 체결수단을 체결 하여야 하므로 시공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방식들은 연결 시공 시 관을 거치시킨 후에 토양의 채움, 되메움 그리고 다짐의 순으로 진행되는 공정에서 관 및 연결구의 외형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 연결부의 밑부분에 토양의 채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연결구의 외면부에 요입부가 형성되지 않고 밋밋하게 성형되어 토양 내에서 관이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아 관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시공이 완료 후에 장기간 경과하게 되면 관에 계속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관이 변형되게 된다, 이에 따른 강성의 저하 및 누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하수관로는 하수관로의 파열이나 연결부위의 파손 혹은 부품이 노후화 되어 누수가 발생되는데 주로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어진다. 그런데 하수관과 연결구는 지표면 아래 매설된다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누수 위치를 정확히 파악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그로인해서 유지보수 시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또 많은 비용이 지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연결 방법은 연결 후 되메움을 하는 경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다짐을 행할 시 여러 시방 및 건설 시방에서 요구하는 90~94% 이상의 다짐을 하여야 한다. 이렇게 다짐을 하지 않는다면 연성관의 특징을 살릴 수 없을 뿐 아니라 50년 이상의 수명을 지니고 있는 연성관의 수명이 10년도 못되고 파괴될 수도 있다. 또한 세심하게 되메움을 하고 다짐을 하였다 하여도 파이프는 원형의 구조체 이므로 다짐 시 관이 위로 튕겨 오르는 들뜸 현상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토피(soil envelope)를 덮은 후 다짐을 하게 되는데 옆 다짐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윗부분을 다짐하게 되면 파이프가 횡방향으로 변형된 상태로 시공이 되기 때문에 연결 부위뿐만 아니라 관거 자체가 파손될 염려가 매우 크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하수관의 연결부를 실링하여 누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온도 차에 의한 파이프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사용치 않고 하수관거를 연결 및 지지하도록 하며, 하수관 하부의 되메움 및 다짐을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 후에 관거의 변형을 방지하며 강성을 보강하도록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연결구의 외 면부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지표면의 토양이 상기 요입부에 수용되어 굳게 됨으로써 보강연결구가 토양과 함께 견고히 고정되어 보강연결구 및 관거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연결구의 하 고정블록만을 관거의 연결부위가 아닌 관거의 취약부분 혹은 중간 부분에 보강연결구가 아닌 지지대로 사용하여 시공 시 관거의 다짐을 용이하게 해 주고, 관거의 변형을 막아주는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연결구 상하 고정블록의 일측에 위치정보발신기를 부착하여 상기 보강연결구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GIS)에 송신함으로써 중앙통제소에서 각각의 상기 보강연결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연결구 상하 고정블록의 성형 시 내면에 구리선 또는 철사선과 같은 금속선을 삽입한 후 보강연결구로 성형하여 상기의 보강연결구가 지하에 매설된 후 지상에서 금속탐지기와 같은 탐지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연결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후 관리 및 유지보수 시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하매설 지도를 제작할 경우에 쉽사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를 제 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는, 지표면에 매설되는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를 삽입고정 시키며 육면체 또는 사다리꼴이나 기타 관을 감쌀 수 있는 다면체 형상으로서 지표면의 토양이 수용되어 굳어지게 됨으로써 토양과 함께 견고히 고정 될 수 있도록 외면부에 다수의 요입부를 형성한 상하 고정블록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양측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을 실링하는 유기탄성체 링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하 고정블록은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고정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상하 고정블록의 결합면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기탄성체 링은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거치홈은 2개이상 이중으로 유기탄성체 링과 대응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기탄성체 링은, 상기 하수관의 연결부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하수관 연결부를 실링하는 제 1 유기탄성체 링과,
상기 제 1 유기탄성체 링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상하 고정블록의 양측을 실링하는 제 2 유기탄성체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탄성체 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기탄성체 링은 고탄성이며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온천이나 목욕 시설 등 하수의 온도가 높은 시공 용도에 적합한 불소계 유기탄성체, 탄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누수 방지 효과가 우수해서 슬러지가 많은 생활하수 등의 시공 용도에 적합한 염화 비닐계 유기탄성체, 가격이 저렴하며 누수 방지 효과가 높고 내후성이 좋아 농업 용수로 등 노출 가능성이 있는 관거의 시공 용도에 적합한 실리콘계 유기탄성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 고정블록의 외측에 부착되어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GIS)에 상기 보강연결구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정보발신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 고정블록은 지상에서 탐지장치로 위치파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금속선이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탄성체 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하 고정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는, 지표면에 매설되는 하수관(10)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30)를 삽입고정 시키며 상하로 분리된 육면체 또는 사다리꼴이나 기타 관을 감쌀수 있는 형태로 된 다면체 형상으로 되어 지표면의 토양이 수용되어 굳어지게 됨으로써 토양과 함께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외면부에 다수의 요입부(25)가 형성된 보강연결구(20)의 상하 고정블록(20a, 20b)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30)의 양측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실링하는 유기탄성체 링(40)과,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30)가 삽입고정 되도록 하수관 삽입구(21)가 형성되며, 상하로 분리된 육면체 또는 사다리꼴이나 기타 관을 감쌀 수 있는 다면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하 고정블록은(20a, 20b)은 외면부에 다수의 요입부(25)가 형성된 다면체형상으로 되어 있어, 종래에서와 같이, 관 및 보강연결구(20)의 외형이 밋밋하여 관거(10)가 유동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며 또, 외형이 원형으로 되어 연결부(30)의 밑부분에 토양의 채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별도의 지지대를 사용치 않고 연결을 하면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관(10) 또는 배수관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하 고정블록(20a, 20b)에 의해 하수관거(10)를 지지하게 되므로 관거(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은 다면체형상으로 됨으로써 하 고정블록(20b)의 하부에 토양의 되메움 및 다짐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연결부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토양의 되메움 및 다짐 등을 할 경우 하수관(10)의 단면이 세워진 계란형, 즉 상부로 변형되는 부 변형(negative deflection) 및 관거(10) 자체가 솟구치는 들뜸 현상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연결구(20)의 상부 고정블록(20a)과 하부고정블록(20b)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4 또는 도7에서와 같이 결합면에 다수의 요철부(2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의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공(2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3)에 상기 결합수단(50)이 결합되어 하수관(10)을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확실한 실링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유기탄성체 링(40)은 다 수개 구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치홈(22)은 2개 이상 이중으로 유기탄성체 링(40)과 대응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50)에 의해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고정시키고 유기탄성체 링(40)에 의해 실링하게 되면, 하수관(10)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시나 팽창 시에 보강연결구(20) 내부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연결부(30)위가 서로 떨 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연결부(30)위가 떨어져 발생할 수 있는 누수는 유기탄성체 링(40)에 의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연성관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하여 관의 변형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연결방법과는 달리,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관거(10)의 변형을 방지하며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은 끊임없이 움직이는 지반 및 토피(soil envelope)의 영향으로 연결부위가 지속적인 응력이 누적되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기탄성체 링(40)은 관의 연결 시 내후성이 뛰어나고 탄성을 지니고 있으며 관거(10)를 체결하였을 때 원천적으로 누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기탄성체 링(40)은 도 4 및 5에서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상기 하수관(10)의 연결부(30)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하수관(10)의 연결부(30)를 실링하는 제 1 유기탄성체 링(41)과, 상기 제 1 유기탄성체 링(41)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상하 고정프레임(20)을 양측을 실링하는 제 2 유기탄성체 링(4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유기탄성체 링(40a)은 하수관(10)이 삽입되게 되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의 거치홈(22)에 거치되어 하수관(10)의 연결부(30)와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실링하게 되며, 상기 제 2 유기탄성체 링(40b)은 상하 고정블록(20a, 20b)의 거치홈(22)에 거치되어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의 상하를 실링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유기탄성체 링(40)은 불소계 유기탄성체, 염화 비닐계 유기탄성체, 실리콘계 유기탄성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결합수단(50)은 볼트(50a)와 너트(50b)로 구성되게 되며,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의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공(23)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결합공(23)은 볼트(50a)의 머리 또는 너트(50b)의 형상이 같도록 하여 별도의 너트 고정용 공구가 필요 없이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50a)와 너트(50b)를 이용하여 연결구의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결합한 후에 플라스틱 마개(51)로 상 고정블록(20a)에 형성된 결합공(23)을 막도록 하여 빗물이나 수분 등에 의해 볼트(50a)와 너트(50b)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은 시공 장소가 협소하거나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상하로 위치하기 어려울 경우는 상기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좌우로 하여 시공할 수 있어 장소에 무관하게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육면체 또는 사다리꼴등 관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된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 상하 고정블록(20a, 20b)을 사용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숙련된 기술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관거(1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관(10)에 상기 연결구(20)를 설치할 때 상하 고정블록(20a, 20b)의 위치를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GIS)으로 송신 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블록의 일측에 위치정보발신기(6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20) 상하 고정블록(20a, 20b)의 성형 제작 시 구리선이나 철사 등 금속선(70)을 삽입하여 지상의 탐지기에 의해 쉽게 위치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현존하는 모든 플라스틱 하수관(10)에 적용이 가능하며, 관경 150 mm~1800 mm의 직경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 방법이 간편하여 하수관의 시공이 용이하고, 유기탄성체 링에 의해 누수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으며, 하수관 내외부의 온도차 등의 이유로 관이 수축 팽창을 하여도 보강 연결구에 의해 흡수하여 연결 부분이 떨어져 누수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 현장이 협소한 경우 상하가 아닌 좌우로 연결을 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시공 후 다짐을 하기 위해 토양을 되메움 하는 경우 관의 하부 및 상부가 기존의 원형 구조에서 육면체 또는 사다리꼴등 관을 감쌀 수 있는 다면체형상으로서 블록형으로 되어 다짐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강연결구의 상하 고정블록의 외면부에 요입부를 두어 토양이 수용되어 굳어짐으로써 관거가 토양에 견고히 고정되어 관거의 유동이 감소하고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연결의 목적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관의 변형을 막아주는 강성 보강 효과가 큰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강성 보강용 지지대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연결구의 일측에 부착된 위치정보발신기에 의하여 위치정보확인 시스템(GIS)을 통해 관거의 위치를 중앙통제소로 정확히 알려줄 수 있어서 종래보다 하수관 및 연결구의 매설된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하수관 및 연결구 의 관리와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보강연결구는 제작 시에 연결구의 내부에 구리선이나 철사를 삽입 제작되어 지하에 매설된 후, 지상의 탐지기를 이용하여 쉽게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지하 지도의 제작 혹은 하수관 및 연결구의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표면에 매설되는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를 삽입고정 시키며 상하로 분리된 다면체로 되어 지하의 토양이 수용되어 굳어져 상기 토양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외부면에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이중 이상 다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호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상하 고정블록과;
    상기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하수관 또는 배수관의 연결부를 실링하는 제 1 유기탄성체링과, 상기 제 1 유기탄성체링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상하 고정블록의 양측을 실링하는 제 2 유기탄성체링으로 이루어진 유기탄성체링; 및
    상기 상하 고정블록의 상호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고정하는 너트로 구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탄성체링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거치홈은 유기탄성체링과 대응되도록 다수개 구비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탄성체 링은 불소계 유기탄성체, 염화 비닐계 유기탄성체, 실리콘계 유기탄성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고정블록의 외측에 부착되어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GIS)에 상기 보강연결구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신호발신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상하 고정블록의 내부에는 지상에서 탐지장치로 위치파악이 가능하도록 금속선이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9. 삭제
KR1020060033232A 2006-04-12 2006-04-12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KR10076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232A KR100769478B1 (ko) 2006-04-12 2006-04-12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232A KR100769478B1 (ko) 2006-04-12 2006-04-12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720A KR20070101720A (ko) 2007-10-17
KR100769478B1 true KR100769478B1 (ko) 2007-10-23

Family

ID=3881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232A KR100769478B1 (ko) 2006-04-12 2006-04-12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90B1 (ko) 2007-11-02 2008-04-08 (주)밸류우드 관로용 흙받이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583B1 (ko) * 2015-10-26 2016-12-12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배수관로용 복합재료 연결소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124A (en) 1990-03-27 1996-02-06 Ramco Manufacturing Company, Inc. Safety shield
KR19990030400A (ko) * 1998-12-21 1999-04-26 이기준 전도성 합성수지관
JPH11280969A (ja) 1998-03-27 1999-10-15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継手の固定構造
JP2002098774A (ja) 2000-09-21 2002-04-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埋設管路の認識システム
JP2002297707A (ja) 2001-03-29 2002-10-11 Osaka Gas Co Ltd 現場情報収集処理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気融着継手接続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124A (en) 1990-03-27 1996-02-06 Ramco Manufacturing Company, Inc. Safety shield
JPH11280969A (ja) 1998-03-27 1999-10-15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継手の固定構造
KR19990030400A (ko) * 1998-12-21 1999-04-26 이기준 전도성 합성수지관
JP2002098774A (ja) 2000-09-21 2002-04-05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埋設管路の認識システム
JP2002297707A (ja) 2001-03-29 2002-10-11 Osaka Gas Co Ltd 現場情報収集処理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気融着継手接続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90B1 (ko) 2007-11-02 2008-04-08 (주)밸류우드 관로용 흙받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720A (ko)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733B2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100769478B1 (ko)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KR100520482B1 (ko) 공동주택 지하 공동구 방수막 커버를 이용한 이음부 연결공법
JP4864067B2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20180120552A (ko) 조립식 pc 암거 설치용 강선연결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pc 암거
KR101266127B1 (ko) 누수 감지형 암거블럭
KR100696883B1 (ko)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CN206419680U (zh) 一种天然气输送管道监测装置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200440364Y1 (ko) 플라스틱관의 연결구 및 지지대
KR200342265Y1 (ko) 흄관 연결 구조물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CN218843165U (zh) 一种承插式双壁缠绕管用检查井
KR102177220B1 (ko) 보강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KR200191992Y1 (ko) 조립식 파이프 보호커버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JP2537383B2 (ja) 枝管付き既設管の内面ライニング方法
KR102173986B1 (ko) 대응성이 향상된 단지관 및 가정관 시공 방법 및 가정관의 관로 유지관리 방법
CN212839736U (zh) 一种钢筋混凝土顶管结构
KR101038651B1 (ko) 전선관용 파이프의 선택적인 보강 구조
CN102182888B (zh) 一种具有智能自修复功能的管道接口
KR102206034B1 (ko) 내진성 가변형 수밀고무링을 구비한 박스암거
JP3181373U (ja) 排水機能を備えた可撓性止水継手
JP2003113699A (ja) 可撓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