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539B1 -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539B1
KR102173539B1 KR1020197016031A KR20197016031A KR102173539B1 KR 102173539 B1 KR102173539 B1 KR 102173539B1 KR 1020197016031 A KR1020197016031 A KR 1020197016031A KR 20197016031 A KR20197016031 A KR 20197016031A KR 102173539 B1 KR102173539 B1 KR 10217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locking clip
recesses
reces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549A (ko
Inventor
제바스티안 그리펜슈트로
페터 기스브레히트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7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하우징(2) 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 제1 리세스 내에 가동적으로 배열된 볼트(11), 및 전기 커넥터 하우징(2)에 피봇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리세스를 갖는 로킹 클립(3)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 및 하나 이상의 제2 리세스가 정합 전기 커넥터에 로킹된 상태에서 서로 동일 평면에 정렬되어 있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볼트(11)가 로킹 클립(3)의 하나 이상의 제2 리세스 내로 돌출함으로써, 로킹 클립(3)이 자신의 피봇팅 동작에서 고정된다.

Description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유형에 따른 전기 커넥터로부터 출발한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전류 및/또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 유형의 전기 커넥터는 특히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여기에서, 전기 커넥터는 오물, 먼지 및/또는 습기에 자주 노출된다. 특히,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농업 기술에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종종 특히 거칠고도 더러운 상황들이 우세하다.
DE 201 13 501 U1호는, 피봇팅 가능하게 설치된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보여준다. 로킹 클립을 통해, 전기 커넥터는 정합 전기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 정합 전기 커넥터에 가역적으로 로킹될 수 있다.
로킹 클립이 간단히 역으로 피봇팅 될 수 있음으로써, 전기 커넥터와 정합 전기 커넥터의 로킹은 간단히 해제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와 정합 전기 커넥터가 기계 또는 장치의 작동 진행 중에 상호 분리되면, 상응하는 기계 또는 장치에서 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작동 진행 중에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와 정합 전기 커넥터의 분리 동작은 또한 소위 "부하 하에 당기는 동작"으로서도 지칭된다. 이와 같은 "부하 하에 당기는 동작"은 기계 또는 장치에서 손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소위 과전압 아크(overvoltage arc)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건강 위험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작동 중에 증가된 안전성을 보장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는 취급이 용이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안된 전기 커넥터는, 피봇팅 가능하게 설치된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전기 커넥터는, 볼트가 그 내부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열되어 있거나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를 구비한다. 간접적인 배열 또는 지지는, 예를 들어 볼트가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부품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이 부품이 직접 리세스 내에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킹 클립은 하나 이상의 제2 리세스를 구비한다.
전기 커넥터가, 정합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 있고, 로킹 클립이 로킹 위치에서 정합 전기 커넥터 위로 피봇팅 되면,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리세스는 로킹 클립의 리세스와 동일 평면에 놓이게 된다. 정합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 동안 볼트가 로킹 클립의 리세스 내로 돌출함으로써, 로킹 클립은 자신의 피봇팅 동작에서 고정된다.
전기 커넥터는 또한 2개의 제1 리세스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리세스들 내에 볼트가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로킹 클립은 제1 리세스에 대해 또한 2개의 제2 리세스들을 구비하며, 이들 리세스들은 제1 리세스들에 대해 로킹 클립의 피봇팅 동작에 의해서 상응하게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볼트는 홈통 부분(trough part)에 배열되어 있고, 이 홈통 부분은 재차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또한 리세스 내에서의 볼트의 간접적인 배열에 대해서도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볼트는 홈통 부분 내의 스프링 상에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력이 볼트를 리세스로부터 외부로 밀어낸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 및 로킹 클립의 리세스들이 동일한 평면에 놓여 있으면, 볼트가 스프링력에 의해서 로킹 클립의 리세스 내로 가압된다.
바람직하게, 홈통 부분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의 결합 영역 내로 돌출한다. 전기 커넥터가 정합 전기 커넥터와 상호 결합되면, 정합 전기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의 결합 영역 내로 관통하게 되고, 이로 인해 홈통 부분을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결합 면 내로 돌출하는 홈통 부분의 외부 윤곽은 상응하게 라운딩 처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홈통 부분은, 정합 전기 커넥터의 결합 면의 결합 측 프레임에 의해 결합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로킹 클립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볼트도 홈통 부분과 볼트 사이에서의 전술한 스프링 작용을 통해 외부로의 힘을 받게 된다. 로킹 클립이, 전기 커넥터 하우징 및 로킹 클립의 리세스들이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있으면, 볼트가 로킹 클립을 향해 가압되고, 이때에 스프링이 인장된다. 그 다음에 로킹 클립이 로킹의 목적으로 정합 전기 커넥터 위로 피봇팅 되고, 이로 인해 전기 커넥터 하우징 및 로킹 클립의 리세스들이 서로 동일한 높이의 위치로 보내지면, 볼트가 스프링력에 의해서 로킹 클립의 리세스 내로 가압되고, 이로 인해 로킹 클립은 자신의 피봇팅 동작에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변형예에서, 전기 커넥터의 리세스 내에는 가이드 요소가 배열되어 있다. 이 가이드 요소는 리세스 내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요소는 홈통 부분과 탄성적으로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다. 홈통 부분은 예를 들어 래칭 후크를 통해서 가이드 요소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홈통 부분은 간단히 외부로부터 전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보어 내부로 슬라이딩 되고, 가이드 부분과의 순수한 나사 결합에 의해서 유지된다. 보어 자체가 견부를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홈통 부분의 더 큰 직경은 더 이상 안으로 가압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요소 내에는 볼트가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요소는, 외부로의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의) 그리고 내부로의 (하우징의 결합 영역 내부로의) 볼트의 가이드에 충실한 동작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변형예에서, 로킹 클립의 리세스 내에는 액추에이터가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는 볼트와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를 통해서는, 힘이 볼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기 볼트에 가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볼트는 재차 로킹 클립의 리세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로킹 클립은 이제 재차 정합 전기 커넥터로부터 아래로 피봇팅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 커넥터와 정합 전기 커넥터 간의 로킹이 해제된다. 전기 커넥터와 정합 전기 커넥터는 상호 분리되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능동적인 이용에 의해서, 이용자는 자신의 행동을 의식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수로 인한 "부하 하에 당기는 동작"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전기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의 결합 면을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매체 밀봉 방식으로 밀봉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 면이 오염되는 상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커버는 바람직하게 로킹 클립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의 결합을 위한 로킹 클립의 피봇팅 동작 중에는, 그와 동시에 커버도 또한 전기 커넥터의 결합 면으로부터 아래로 피봇팅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봇팅 가능한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및 이 전기 커넥터에 매칭되는 정합 전기 커넥터로 이루어진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로킹 클립은 결합된 상태에서 자신의 피봇팅 동작에서 고정되어 있다. 로킹 클립은, 바람직하게, 로킹된 상태에서 정합 플러그의 로킹 핀에 맞물리는 리세스들을 양 측면에 구비하는 U자 형상의 클립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축 방향 축을 따라 절단된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반경 방향 축을 따라 절단된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전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리세스 및 이 리세스와 동일 평면에 놓여 있는 로킹 클립 내의 리세스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리세스 및 이 리세스와 동일 평면에 놓여 있는 로킹 클립 내의 리세스의 또 다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대안적인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리세스 및 이 리세스와 동일 평면에 놓여 있는 로킹 클립 내의 리세스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6은 정합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도들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동일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의 다양한 도면들이 상이한 척도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1)의 결합 영역을 축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2)에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로킹 클립(3)이 피봇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2)에는, 결합 측에 커버(4)가 피봇팅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커버(4)를 통해서, 전기 커넥터(1)의 결합 면이 매체 밀봉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 커버(4)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2)에 고정된 스프링(5)과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5)에 의해서는, 커버(4)를 자신의 폐쇄된 밀봉 위치로 밀어주는 힘이 커버(4)에 가해진다. 커버(4)는, 로킹 클립(3)의 가이드 그루브(7) 내부에서 진행하는 핀(6)을 측면에 구비한다. 이를 통해, 로킹 클립(3)이 상응하게 화살표(8)를 따라 전기 커넥터 하우징(2)으로부터 아래로 피봇팅 되면, 커버(4)가 자신의 밀봉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팅 된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2) 내에는, 전류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요소(22)가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공압 신호 또는 LWL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요소(22)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2)은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가지며, 이 리세스 내에 가이드 요소(12)가 분실되지 않게, 예를 들어 나사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요소(12) 내에는 볼트(11)가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결합 영역 측에서, 가이드 요소(12)에는 홈통 부분(13)이 반경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래칭 또는 유지되어 있다. 가이드 요소(12)와 홈통 부분(13)은 나선형 스프링(15)을 통해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다. 중공으로 구현된 볼트(11) 내부에는, 홈통 부분(13)과 볼트(11)를 상호 작용 연결하는 나선형 스프링(14)이 배열되어 있다. 로킹 클립(3)의 리세스 내에 가이드 요소(16)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요소(16) 내에는,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의 액추에이터(17)가 차단 링(18)의 도움으로 분실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홈통 부분(13)은, 나선형 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전기 커넥터(1)의 결합 영역 내로 밀려 들어간다. 정합 전기 커넥터(10)를 전기 커넥터(1)의 결합 영역 내로 삽입함으로써, 홈통 부분(13)은 결합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반경 방향 외부로 가압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2) 및 로킹 클립(3)의 개별 리세스들이 서로 동일 평면에 놓여 있다. 도 3에서, 볼트(11)는 처음에는 아직도 전기 커넥터 하우징(2) 내부에 있다.
리세스들이 동일 평면에 놓여 있고, 전기 커넥터(1)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볼트(11)가 나선형 스프링(14)에 의해 로킹 클립(3)의 리세스 내로 가압되며, 이로 인해 로킹 클립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로킹 클립(3)의 또 다른 피봇팅 동작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이때, 전기 커넥터 하우징(2) 및 로킹 클립(3)의 동일 평면에 놓인 리세스들은, 로킹 클립(3)이 정합 전기 커넥터(10)의 핀(9)에 맞물리는 위치에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킹된 상태에서는, 전기 커넥터(1) 및 정합 전기 커넥터(10)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더 이상 실수로 개방될 수 없고 상호 분리될 수 없다.
액추에이터(17)에 의해서는, 로킹 클립(3)의 리세스 내에 있는 볼트(11)가 (나선형 스프링(14)의 스프링력과 반대로) 전기 커넥터 하우징(2) 내부에 있는 위치로 역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로킹 클립(3)이 재차 정합 전기 커넥터(10)로부터 아래로 피봇팅 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와 정합 전기 커넥터(10)는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7)를 통한 전기 결합의 능동적인 해제에 의해서, 이용자에게 자신의 행동이 의식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수로 인한 "부하 하에 당기는 동작"이 피해진다.
도 5에는, 로킹 클립(3)에 있는 작동 기구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홈통 부분(13') 내의 중공 몸체는, 로킹 클립(3)을 로킹하기 위한 볼트(11')를 구동시키는 스프링(14') 및 홈통 부분(13')을 전기 커넥터(1)의 결합 영역 내로 밀어주는 스프링(15') 모두가 홈통 부분(13')의 바닥 상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7')는 2개 부분으로 구현되어 있고, 가이드 요소(16') 내에 지지된 가이드 볼트(20)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차단 링(18)이 생략될 수 있다. 나사(21)를 통해 액추에이터가 가이드 볼트(20)와 연결되어 있다. 로킹 클립(3) 내의 리세스는 선택적인 밀봉부(19)를 통해서 밀봉될 수 있다.
1: 전기 커넥터
2: 전기 커넥터 하우징
3: 로킹 클립
4: 커버
5: 스프링
6: 핀
7: 가이드 그루브
8: 화살표
9: 핀
10: 정합 전기 커넥터
11: 볼트
12: 가이드 요소
13: 홈통 부분
14: 나선형 스프링
15: 나선형 스프링
16: 가이드 요소
17: 액추에이터
18: 차단 링
19: 밀봉부
20: 가이드 볼트
21: 나사
22: 접촉 요소

Claims (10)

  1. 전기 커넥터 하우징(2) 내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 상기 제1 리세스 내에 가동적으로 배열된 볼트(11), 및 전기 커넥터 하우징(2)에 피봇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리세스를 갖는 로킹 클립(3)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리세스는 정합 전기 커넥터에 로킹된 상태에서 서로 동일 평면에 정렬되어 있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볼트(11)는 로킹 클립(3)의 하나 이상의 제2 리세스 내로 돌출함으로써, 로킹 클립(3)은 자신의 피봇팅 동작에서 고정되고,
    볼트(11)는 홈통 부분(13) 내에 배열되어 있고, 홈통 부분(13)은 전기 커넥터 하우징(2)의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되어 있고,
    전기 커넥터(1)의 제1 리세스 내에는 가이드 요소(2)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요소는 홈통 부분(13)과 탄성적으로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볼트(11)는 홈통 부분(13) 내에서 스프링(14')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홈통 부분(13)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1)의 결합 영역 내로 돌출하는, 전기 커넥터.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요소(12) 내에는 볼트(11)가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로킹 클립(3)의 제2 리세스 내에는 액추에이터(17)가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7)를 통해서는 힘이 볼트(11)에 가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볼트(11)는 로킹 클립(3)의 제2 리세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는, 전기 커넥터(1)의 결합 면을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매체 밀봉 방식으로 밀봉하는 커버(4)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10. 삭제
KR1020197016031A 2016-12-08 2017-11-20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2173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3817.1 2016-12-08
DE102016123817.1A DE102016123817A1 (de) 2016-12-08 2016-12-08 Steckverbinder mit einem Druckknopfverriegelungsbügel
PCT/DE2017/100993 WO2018103783A1 (de) 2016-12-08 2017-11-20 Steckverbinder mit einem verriegelungsbüg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49A KR20190073549A (ko) 2019-06-26
KR102173539B1 true KR102173539B1 (ko) 2020-11-04

Family

ID=6057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031A KR102173539B1 (ko) 2016-12-08 2017-11-20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58978B2 (ko)
EP (1) EP3552274B1 (ko)
KR (1) KR102173539B1 (ko)
CN (1) CN110062984B (ko)
DE (1) DE102016123817A1 (ko)
WO (1) WO2018103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860B (zh) * 2018-12-25 2023-10-1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三芯180°带辅助信号连接器
DE102020202727A1 (de) * 2020-03-03 2021-09-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Gehäuseanordnung für einen Stecker, Verfahren zum Lösen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Stecker und einem Gegenstecker
CN112228752B (zh) * 2020-10-15 2022-01-11 哈尔滨工程大学 水下卡箍连接器活动定位防松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344A (ja) * 2003-03-11 2004-09-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2011018379A1 (de) * 2011-04-21 2012-10-2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ung mit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WO2013132808A1 (ja) 2012-03-05 2013-09-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40127924A1 (en) 2011-05-31 2014-05-08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CN105098483A (zh) * 2015-07-13 2015-11-25 深圳巴斯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动汽车连接器插头端按钮式分段锁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2203B2 (ja) * 1996-02-16 2002-03-04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US5888081A (en) 1996-08-08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ems Inc. Lever connector
IT238122Y1 (it) * 1997-12-16 2000-09-29 Ilme Spa Dispositivo anti innesto per connettori elettrici multipolari
DE20113501U1 (de) 2001-08-14 2001-10-11 Harting Kgaa Steckverbinder mit Adapter
JP3882111B2 (ja) * 2002-04-22 2007-0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32995B2 (ja) * 2002-06-28 2007-06-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周波焼もどし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5804C (zh) 2002-10-29 2004-11-17 山西大学 一种洗发膏及其制备方法
FR2909805B1 (fr) 2006-12-11 2009-04-17 Tyco Electronics France Sas So Fiche de raccordement electrique
JP4988430B2 (ja) * 2007-05-18 2012-08-01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170160A (ja) * 2008-01-11 2009-07-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47181B2 (ja) * 2010-04-13 2012-06-06 日立電線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419224B2 (ja) * 2010-04-13 2014-02-19 日立金属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EP2603954B1 (de) * 2010-08-11 2015-11-25 ERICH JAEGER GmbH + Co. KG Steckdose
JP5610088B2 (ja) * 2011-10-25 2014-10-22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DE102012022413B3 (de) * 2012-11-15 2014-02-27 Temtec Fahrzeugtechnik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Verriegelungsvorrichtung zum Verriegeln eines elektrischen Steckers in einer Buchse
US9142916B2 (en) * 2013-03-15 2015-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receptacle carriers
CN104103960B (zh) * 2013-04-08 2016-12-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插座
JP6460404B2 (ja) 2015-05-20 2019-01-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5846230B (zh) * 2016-03-25 2018-07-17 江苏天曦电力设备有限公司 高效的建筑机械电源线连接锁定装置
US10218116B1 (en) * 2017-10-03 2019-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cking vehicle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344A (ja) * 2003-03-11 2004-09-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2011018379A1 (de) * 2011-04-21 2012-10-2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ung mit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US20140127924A1 (en) 2011-05-31 2014-05-08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WO2013132808A1 (ja) 2012-03-05 2013-09-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5098483A (zh) * 2015-07-13 2015-11-25 深圳巴斯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动汽车连接器插头端按钮式分段锁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62984B (zh) 2021-04-23
WO2018103783A1 (de) 2018-06-14
CN110062984A (zh) 2019-07-26
KR20190073549A (ko) 2019-06-26
US20210288440A1 (en) 2021-09-16
US11158978B2 (en) 2021-10-26
EP3552274B1 (de) 2022-03-02
EP3552274A1 (de) 2019-10-16
DE102016123817A1 (de)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539B1 (ko) 로킹 클립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9716338B2 (en) Waterproof separable swivel connector
US9478904B2 (en) Push-pull coupling locking connector
US20120302085A1 (en) Locking cover for electrical connection appliance
US20160149332A1 (en) Improved low profile latching connector
US10804048B2 (en) Switch for rotating machine
US10199771B2 (en) High-current plug with clip lock
CA2968296A1 (en) Plug connector with damping element
KR100970778B1 (ko)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US3613047A (en) Plug-and-socket connector
US6957977B1 (en) Plug retention apparatus
US11520109B2 (en) Retrofit cover for fiber optic cable connection
CA2680871A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US6435756B1 (en) Push-pul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for this assembly
US10401577B2 (en) Multi-core optical fiber connection device
KR200481574Y1 (ko) 분리 방지용 커넥터
US3512119A (en) Electrical connector
JP6641930B2 (ja) 防水コネクタ
US10218122B1 (en) Circular connector and method of retaining components
JP3285308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14059960A (ja) コネクタ
KR101955384B1 (ko) 동력 전달을 위한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N107634379B (zh) 连接器
WO2011090120A1 (ja) コネクタ
US20230066571A1 (en) Retrofit cover for fiber optic cabl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