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299B1 -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 Google Patents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299B1
KR102173299B1 KR1020200082055A KR20200082055A KR102173299B1 KR 102173299 B1 KR102173299 B1 KR 102173299B1 KR 1020200082055 A KR1020200082055 A KR 1020200082055A KR 20200082055 A KR20200082055 A KR 20200082055A KR 102173299 B1 KR102173299 B1 KR 10217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lyzed water
chamber
spac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종
Original Assignee
최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종 filed Critical 최원종
Priority to KR102020008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40/00Production or use of heat resulting from internal friction of moving fluids or from friction between fluids and mov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18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10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전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가열된 전해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챔버부, 절연성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전해수의 상기 유출구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채, 상기 챔버부의 내측에 결속되며,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속부, 하측은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기립되며, 상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관통한 채, 체결되며,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와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결정되도록 하는 평행부 및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하부측은 상기 삽입공간에 수용되고, 상부측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기립된 채,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는 전극봉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Electrode rods structure for ion electrode boiler}
본 발명은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입된 제1 온도의 전해수를 이온화시켜, 이온화된 전해수의 분자운동으로 가열된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의 전해수를 배출시키는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을 수관을 통하여 순환시켜 난방을 수행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물을 가열하는 가열원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의 보일러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 있어서 일반적인 전기보일러 타입은 니크롬선과 피복선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전기보일러는 전기에너지에서 열에너지로 전환될 때의 에너지손실이 발생될 수 있어서 에너지 효율이 낮으며, 장시간 사용될 경우에 저항체의 고열에 의한 산화과정 즉, 니크롬선, 피복선과 같은 가열체에 이물질이 흡착되면서 에너지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전기보일러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열원을 가열시켜 물을 데우는 간접적인 방식이 아닌 전극봉과 전극봉 사이로 물에 전류를 흘려 물을 직접적으로 데우는 전극보일러가 상용화되고 있다.
전극보일러는 전기보일러에 대비하여 동일한 전기사용으로 높은 열효율을 제공하는 보일러 장치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보일러에서의 가열매체를 가열시켜 물을 데우는 것이 아닌 전극봉으로 물속의 화학적 성분을 물리적 반응으로 환원시켜 열량을 발생시키는 물을 가열매체로 이용하는 보일러 장치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94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된 제1 온도의 전해수를 이온화시켜, 이온화된 전해수의 분자운동으로 가열된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의 전해수를 배출시키는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는, 유입된 제1 온도의 전해수를 이온화시켜, 이온화된 전해수의 분자운동으로 가열된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의 전해수를 배출시키는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에 있어서,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전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가열된 전해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챔버부, 절연성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전해수의 상기 유출구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채, 상기 챔버부의 내측에 결속되며,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속부, 하측은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기립되며, 상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관통한 채, 체결되며,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와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결정되도록 하는 평행부 및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하부측은 상기 삽입공간에 수용되고, 상부측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기립된 채,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는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봉은,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홀을 따라 승강함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인출 또는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상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의 상기 전극봉은,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수록, 정격용량이 커지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수록 정격용량이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의 상기 전극봉은,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봉은,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암나사산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공간을 규정하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은,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암나사산 및 제2 암나사산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의 상기 결속부는,상기 챔버부의 내측면에 결속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횡단면적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상부로부터 연장된 채, 상기 삽입홀을 규정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중앙에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전해수가 상기 유출구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는, 상기 평행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평행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로의 전해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기밀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극봉의 연결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극봉 사이로의 전해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기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평행부의 상측과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제1-1 기밀부 및 상기 평행부의 하측과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제1-2 기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의 상기 유입구는, 상기 챔버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상기 챔버부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는, 상기 챔버부의 하부측을 커버하여 상기 챔버부의 하부측을 보호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보일러의 정격용량을 변화시켜 전극보일러의 호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의 전극봉, 결속부, 연결부 및 기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분해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는 유입된 제1 온도의 전해수를 이온화시켜, 이온화된 전해수의 분자운동으로 가열된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의 전해수를 배출시키는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는 전극보일러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보일러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만, 금속저항체를 직접가열시켜 열을 데우는 기존의 히터봉 전기보일러와 달리, 미량의 전해질을 넣은 물에 전극봉(50)으로 전기를 직접 공급하여 전해수(물+전해질)가 이온화되도록 하여, 물 분자간의 상호 마찰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보일러이다.
본 발명의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는, 챔버부(10), 결속부(20), 연결부(30), 평행부(40) 및 전극봉(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S)과 연통되며 상기 전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S)과 연통되며 가열전 전해수가 유출되는 유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챔버부(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13)는, 상기 챔버부(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10)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속부(20)는, 절연성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전해수의 상기 유출구(13)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채, 상기 챔버부(10)의 내측에 결속되며, 중앙에 삽입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하측은 상기 챔버부(1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수용공간(S)으로 기립되며, 상측이 개구된 삽입공간(V)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행부(40)는, 상기 연결부(30)가 관통한 채, 체결되며, 상기 챔버부(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30)와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의 크기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행부(40)는, 상기 연결부(30)의 하부측이 관통되며 상기 연결부(30)와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평행부(40)는, 상기 연결부(30)를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수용공간(S)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행부(40)와 상기 연결부(30) 사이의 이격 공간은 후술할 기밀부에 의해 메워져, 상기 평행부(40)와 상기 연결부(3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전극봉(50)은, 하부측은 상기 삽입공간(V)에 수용되고, 상부측은 상기 수용공간(S)으로 기립된 채, 상기 삽입홀(H1)을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50)은,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홀(H1)을 따라 승강함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V)으로부터 인출 또는 상기 삽입공간(V)으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공간(S)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상이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봉(50)의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수록, 정격용량이 커지게 되고, 상기 전극봉(50)의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수록 정격용량이 작아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를 구비한 전극보일러의 정격용량을 변화시켜 전극보일러의 호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전극보일러의 경우, 사용처의 전기용량이 보일러의 전기용량을 견디지 못하면, 새로운 전극봉(50)으로 교체를 해야만 한다. 일례로, 특정 공간에 인가된 전기용량이 3KW 인 경우, 3KW 의 전기용량 전극봉(50)이 구비된 전극보일러를 사용한다. 이 때, 특정 공간에 구비된 다른 전기기계에 따른 부하 사용량이 높아 실제로는 3KW 로 했을 경우 차단기가 트립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극보일러에 구비된 전극봉(50)을 2KW 로 교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는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극봉(50)과 전해수의 전극면적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는 커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80)는, 상기 챔버부(10)의 하부측을 커버하여 상기 챔버부(10)의 하부측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챔버부(10) 및 내장된 각 부속품의 무게보다 크게 형성되어 기립된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가 외력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의 전극봉, 결속부, 연결부 및 기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의 전극봉(50)은,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산(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0)의 삽입홀(H1)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51)과 대응되는 제1 암나사산(25)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봉(50)은,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암나사산(25)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부(20)는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채, 상기 챔버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되는데, 고정된 상기 결속부(20)의 삽입홀(H1)에 삽입된 전극봉(50)은, 수나사산(51)이 제1 암나사산(25)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결속부(20)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50)의 하측은 상기 연결부(30)의 삽입공간(V)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30)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삽입공간(V)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삽입공간(V)을 규정하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51)과 대응되는 제2 암나사산(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봉(50)은,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암나사산(25) 및 제2 암나사산(31)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제2 암나사산(31)은 상기 제1 암나사산(25)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봉(50)의 수나사산(51)의 제1 암나사산(25)을 통한 승강과 제2 암나사산(31)을 통한 승강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0)는, 프레임부(21) 및 연장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는, 상기 챔버부(10)의 내측면에 결속되며, 상기 수용공간(S)의 횡단면적의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S)의 횡단면적의 크기에 종속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21)는, 중앙에 상기 삽입홀(H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H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H2)은,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전해수가 상기 유출구(13)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는, 상기 프레임부(21)의 중앙 상부로부터 연장된 채, 상기 삽입홀(H1)을 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23)는 속이 빈 원통형 형상으로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며, 내주면을 따라 제1 암나사산(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H1)과 상기 연장부(23)의 중공으로 규정되는 삽입홀(H1)은 연결된 채, 제1 암나사산(2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1)는, 제1 기밀부(60) 및 제2 기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밀부(60)는, 상기 평행부(40)와 상기 연결부(30)의 연결부(30)위에 장착되어, 상기 평행부(40)와 상기 연결부(30) 사이로의 전해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밀부(60)는, 상기 평행부(40)의 상측과 상기 연결부(30)의 연결부(30)위에 장착되는 제1-1 기밀부(61) 및 상기 평행부(40)의 하측과 상기 연결부(30)의 연결부(30)위에 장착되는 제1-2 기밀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밀부(70)는,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전극봉(50)의 연결부(30)위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전극봉(50) 사이로의 전해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10: 챔버부
20: 결속부
30: 연결부
40: 평행부
50: 전극봉
60: 제1 기밀부
70: 제2 기밀부
80: 커버부

Claims (5)

  1. 유입된 제1 온도의 전해수를 이온화시켜, 이온화된 전해수의 분자운동으로 가열된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의 전해수를 배출시키는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전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가열된 전해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챔버부;
    절연성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전해수의 상기 유출구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채, 상기 챔버부의 내측에 결속되며,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속부;
    하측은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기립되며, 상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가 관통한 채, 체결되며, 상기 챔버부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와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가 결정되도록 하는 평행부; 및
    하부측은 상기 삽입공간에 수용되고, 상부측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기립된 채,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는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봉은,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홀을 따라 승강함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인출 또는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상이해지고,
    상기 전극봉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수록, 정격용량이 커지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전해수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수록 정격용량이 작아지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챔버부의 내측면에 결속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횡단면적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중앙 상부로부터 연장된 채, 상기 삽입홀을 규정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중앙에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전해수가 상기 유출구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평행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평행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로의 전해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기밀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극봉의 연결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극봉 사이로의 전해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기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평행부의 상측과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제1-1 기밀부 및 상기 평행부의 하측과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제1-2 기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은,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1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봉은,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암나사산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공간을 규정하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봉은,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암나사산 및 제2 암나사산을 따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하부측을 커버하여 상기 챔버부의 하부측을 보호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챔버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상기 챔버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KR1020200082055A 2020-07-03 2020-07-03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KR10217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55A KR102173299B1 (ko) 2020-07-03 2020-07-03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55A KR102173299B1 (ko) 2020-07-03 2020-07-03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299B1 true KR102173299B1 (ko) 2020-11-03

Family

ID=7319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055A KR102173299B1 (ko) 2020-07-03 2020-07-03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2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467A (ja) * 1997-08-04 1999-02-26 Gastar Corp 風呂装置
KR20110135172A (ko) * 2010-06-10 2011-12-16 (주)에이치엠테크노 전류 제어식 전기 전극봉 보일러
KR101112122B1 (ko) * 2011-07-22 2012-02-14 (주)대성기연 전기 보일러
KR101144456B1 (ko) * 2010-12-27 2012-05-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가스로 시스템 및 상기 가스로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349468B1 (ko) 2013-05-08 2014-01-08 표행주 전극보일러의 전극봉 구조
CN107543319A (zh) * 2017-09-29 2018-01-05 范兴玉 电极加热器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467A (ja) * 1997-08-04 1999-02-26 Gastar Corp 風呂装置
KR20110135172A (ko) * 2010-06-10 2011-12-16 (주)에이치엠테크노 전류 제어식 전기 전극봉 보일러
KR101144456B1 (ko) * 2010-12-27 2012-05-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가스로 시스템 및 상기 가스로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112122B1 (ko) * 2011-07-22 2012-02-14 (주)대성기연 전기 보일러
KR101349468B1 (ko) 2013-05-08 2014-01-08 표행주 전극보일러의 전극봉 구조
CN107543319A (zh) * 2017-09-29 2018-01-05 范兴玉 电极加热器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1637C (zh) 蒸汽发生器
CN104822988B (zh) 具有电极单元的电极锅炉
KR850700290A (ko) 니켈-수소 쌍극성 배터리
KR200491446Y1 (ko) 전기이온 보일러용 열발생장치
MXPA01001108A (es) Calentador de agua electrico de conversion de campo.
KR102173299B1 (ko) 이온전극 보일러용 전극봉 구조체
CN105845848A (zh) 动力电池顶盖
CN212533452U (zh) 一种用于蒸汽发生器的加热组件、蒸汽发生器、洗衣机
JP2002501392A (ja) 活性物質を放つための新規な電気加熱装置
CN205561981U (zh) 液位检测装置
KR102173298B1 (ko) 전극봉 구조체를 이용한 이온전극 보일러
KR100655145B1 (ko) 스팀보일러
CN202854279U (zh) 一种电气试验用绝缘恒温水箱
CN211006071U (zh) 一种蒸汽熨斗的铝底结构
CN209054762U (zh) 一种接口安装结构、接口组件以及空调器
CN111829025A (zh) 一种隔热型等离子体灶
CN109341050A (zh) 一种接口安装结构、接口组件以及空调器
CN215442154U (zh) 一种进水机构及具有进水机构的储水装置
CN211783692U (zh) 一种机电分离塑料件
CN218120184U (zh) 一种加热装置
KR102477814B1 (ko) 전극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발열 디바이스와, 이에 적용되는 누전 방지 제어 방법
CN212565906U (zh) 一种隔热型等离子体灶
CN213850368U (zh) 一种水电分离的泡脚盆
CN207800699U (zh) 一种电池隔板
CN215070071U (zh) 一种新结构增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