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191B1 -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 Google Patents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191B1
KR102173191B1 KR1020190031430A KR20190031430A KR102173191B1 KR 102173191 B1 KR102173191 B1 KR 102173191B1 KR 1020190031430 A KR1020190031430 A KR 1020190031430A KR 20190031430 A KR20190031430 A KR 20190031430A KR 102173191 B1 KR102173191 B1 KR 10217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coupled
vertical surfac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570A (ko
Inventor
주성준
박준용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신동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신동아정공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1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16B39/0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with a pin or staple parallel to the bol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16B39/101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with a plate, spring, wire or ring holding two or more nuts or bolt heads which are mainl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볼트부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2 볼트부를 맞대어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하는 너트의 내측에서 스프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체를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결합한 후, 제2 볼트부를 외부로 분리하면 구체가 제1 볼트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어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강화되어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한 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난 방지 기능도 있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Bolt and Nut for Protecting Burglars and Untied}
본 발명은 볼트와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볼트부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2 볼트부를 맞대어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하는 너트의 내측에서 스프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체를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결합한 후, 제2 볼트부를 외부로 분리하면 구체가 제1 볼트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에 관한 것이다.
기계 장치에 적용되는 체결 기구로서 볼트-너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볼트 너트는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체결 대상을 체결하는 구조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볼트 및 너트는 통상 2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물체를 단일체로서 체결 조립하는 용도로서 자동차부품조립, 전자부품조립, 가구조립 등의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 및 너트 체결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 및 너트 체결 구조는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 2)에 끼워지는 볼트(3)와, 볼트(3)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트(3) 및 너트(4)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셔(5)가 볼트(3) 및 너트(4)에 내측에 삽입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볼트 및 너트 체결 구조는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 2)을 체결하기 위해서 피체결물(1, 2)에 형성된 끼움공을 통하여 볼트(3)를 관통시킨 다음, 볼트(3)의 나사부에 너트(4)를 체결시키면, 볼트(3)에 너트(4)가 나사 체결된다. 이에 따라 피체결물(1, 2)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볼트(3)와 너트(4)에 와셔(5)를 삽입시키게 됨으로써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트 및 너트의 결합 구조는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볼트로부터 너트의 체결력이 약화되거나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국 등록실용번호 제20-0415224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볼트부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2 볼트부를 맞대어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하는 너트의 내측에서 스프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체를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결합한 후, 제2 볼트부를 외부로 분리하면 구체가 제1 볼트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볼트부(110)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2 볼트부(120)를 상기 제1 볼트부(110)의 일면인 평탄한 제1 수직면(112)과 상기 제2 볼트부(120)의 일면이 평탄한 제2 수직면(123)을 맞대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볼트(100); 및
상기 볼트(100)와 체결되는 체결홀(202)을 형성하는 너트본체(201)와, 상기 너트본체(201)의 내부 일측의 내부 공간부(211)에 형성된 탄성부재(213)와, 상기 탄성부재(213)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구체(214)로 이루어진 풀림 방지부(210)로 이루어진 너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트부(110)는 상기 제1 수직면(112) 상에 오목 형태의 결합홈(11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부(120)는 상기 결합홈(114)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하는 볼록부(124)를 상기 제2 수직면(123)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볼트(100)는 상기 제2 볼트부(120)의 볼록부(124)를 상기 제1 볼트부(110)의 결합홈(114)에 끼워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는,
제1 헤드부(111)와 상기 제1 헤드부(11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113)와, 상기 제1 헤드부(111)의 일측과 상기 나사산부(113)의 일측이 평탄한 면의 제1 수직면(112)이 형성된 제1 볼트부(110)와, 제2 헤드부(121)와 상기 제2 헤드부(12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고, 일면이 평탄한 면의 제2 수직면(123)과, 나머지 면이 곡선을 이루는 곡선부를 형성한 나사산이 없는 기둥부(122)로 이루어진 제2 볼트부(120)로 이루어진 볼트(100); 및
상기 볼트(100)와 체결되는 체결홀(202)을 형성하는 너트본체(201)와, 상기 너트본체(201)의 내부 일측의 내부 공간부(211)에 형성된 탄성부재(213)와, 상기 탄성부재(213)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구체(214)로 이루어진 풀링 방지부(210)로 이루어진 너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트부(110)는 상기 제1 수직면(112) 상에 오목 형태의 결합홈(11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부(120)는 상기 결합홈(114)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하는 볼록부(124)를 상기 제2 수직면(123)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볼트(100)는 상기 제2 볼트부(120)의 볼록부(124)를 상기 제1 볼트부(110)의 결합홈(114)에 끼워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볼트의 너트의 변경된 구조로 인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이 강화되어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한 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난 방지 기능도 있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트 및 너트 체결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를 결합한 후, 제2 볼트부를 외부로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 구조는 볼트(100) 및 너트(200)를 포함한다.
볼트(100)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볼트부(110)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2 볼트부(120)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1 볼트부(110)와 제2 볼트부(120)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볼트부(110)는 제1 헤드부(111)와 상기 제1 헤드부(11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나사산부(113)를 포함한다.
제1 볼트부(110)는 제1 헤드부(111)의 일측을 연직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사산부(113)까지 커팅하여 제1 수직면(11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직면(112)이 형성된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수직면(112)은 제1 헤드부(111)의 일측과 나사산부(113)의 일측을 커팅하여 형성된 평탄한 면이고, 제1 수직면(112) 상에는 일정 깊이의 결합홈(11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 볼트부(120)는 상기 제1 볼트부(110)에 결합되어 완전한 하나의 볼트(1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볼트부(120)는 제2 헤드부(121)와 상기 제2 헤드부(12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기둥부(122)를 포함한다.
제2 볼트부(120)는 제2 헤드부(121)의 일측을 연직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기둥부(122)까지 커팅한 평탄한 형태의 제2 수직면(123)을 형성한다.
제2 수직면(123)은 상기 제1 볼트부(110)의 제1 수직면(112)에 맞대어 결합하고, 오목 형상의 결합홈(114)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볼록부(124)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한다.
기둥부(122)는 일면이 제2 수직면(123)을 형성하고, 나머지 면이 곡선을 이루는 곡선부를 형성한다.
제2 볼트부(120)는 볼록부(124)를 제1 볼트부(110)의 결합홈(114)에 끼워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면, 제1 수직면(112)과 제2 수직면(123)에 맞대어 결합되어 제1 볼트부(110)와 일체로 하나의 볼트(110)를 형성한다.
제1 헤드부(111)와 제2 헤드부(121)의 결합은 원형, 사각 및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결합홈(114)과 상기 볼록부(124)는 하나로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2개 이상으로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너트(200)는 너트본체(201) 및 풀림 방지부(210)를 포함한다.
너트본체(201)는 볼트(100)와 체결되는 체결홀(202)을 형성한다. 체결홀(202)에는 나사산(203)이 형성되며, 제1 볼트부(110)의 나사산부(113)는 나사산(203)에 나사 체결된다.
너트본체(201)의 내부 일측에는 풀림 방지부(21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풀림 방지부(210)는 하나로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2개 이상으로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풀림 방지부(210)는 너트본체(201)의 내부 일측에 내부 공간부(211)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부(211)에 지지대(212)와, 상기 지지대(212)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213)와, 상기 탄성부재(213)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구체(214)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13)는 스프링을 채택하여 체결홀(202)의 중심부 방향으로 밀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214)는 탄성부재(213)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부재(213)의 왕복 운동에 의해 내부 공간부(211)의 삽입되었다가 체결홀(202)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를 결합한 후, 제2 볼트부를 외부로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볼트(100)와 너트(200)의 결합 및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너트(200)는 체결홀(202)에 볼트(100)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하는 동안 구체(214)가 내부 공간부(211)에 삽입된다.
볼트(100)와 너트(200)를 결합한 후, 제2 볼트부(120)를 외부로 분리하면, 구체(214)는 탄성부재(213)에 의해 체결홀(202)로 이동되어 결합홈(114)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하여 볼트(100)와 너트(200)를 체결력을 강화시켜 체결할 수 있다.
볼트(100)와 너트(200)를 분리하는 경우, 먼저 제2 볼트부(120)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즉, 결합홈(114)에 제2 볼트부(120)의 볼록부(124)를 삽입하면서 제1 수직면(112)과 제2 수직면(123)를 맞대어 기둥부(122)를 끼우고, 너트(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면 된다. 이때, 기둥부(122)의 삽입시 기둥부(122)에 구체(214)가 충돌하여 구체(214)가 내부 공간부(211)로 다시 삽입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볼트 110: 제1 볼트부
111: 제1 헤드부 112: 제1 수직면
113: 나사산부 114: 결합홈
120: 제2 볼트부 121: 제2 헤드부
122: 기둥부 123: 제2 수직면
124: 볼록부 200: 너트
201: 너트본체 210: 풀림 방지부
211: 내부 공간부 212: 지지대
213: 탄성부재 214: 구체

Claims (4)

  1.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볼트부(110)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2 볼트부(120)를 상기 제1 볼트부(110)의 일면인 평탄한 제1 수직면(112)과 상기 제2 볼트부(120)의 일면이 평탄한 제2 수직면(123)을 맞대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볼트(100); 및
    상기 볼트(100)와 체결되는 체결홀(202)을 형성하는 너트본체(201)와, 상기 너트본체(201)의 내부 일측의 내부 공간부(211)에 형성된 탄성부재(213)와, 상기 탄성부재(213)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구체(214)로 이루어진 풀림 방지부(210)로 이루어진 너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트부(110)는 상기 제1 수직면(112) 상에 오목 형태의 결합홈(11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부(120)는 상기 결합홈(114)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하는 볼록부(124)를 상기 제2 수직면(123)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볼트(100)는 상기 제2 볼트부(120)의 볼록부(124)를 상기 제1 볼트부(110)의 결합홈(114)에 끼워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2. 제1 헤드부(111)와 상기 제1 헤드부(11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113)와, 상기 제1 헤드부(111)의 일측과 상기 나사산부(113)의 일측이 평탄한 면의 제1 수직면(112)이 형성된 제1 볼트부(110)와, 제2 헤드부(121)와 상기 제2 헤드부(12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고, 일면이 평탄한 면의 제2 수직면(123)과, 나머지 면이 곡선을 이루는 곡선부를 형성한 나사산이 없는 기둥부(122)로 이루어진 제2 볼트부(120)로 이루어진 볼트(100); 및
    상기 볼트(100)와 체결되는 체결홀(202)을 형성하는 너트본체(201)와, 상기 너트본체(201)의 내부 일측의 내부 공간부(211)에 형성된 탄성부재(213)와, 상기 탄성부재(213)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구체(214)로 이루어진 풀링 방지부(210)로 이루어진 너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볼트부(110)는 상기 제1 수직면(112) 상에 오목 형태의 결합홈(11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부(120)는 상기 결합홈(114)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하는 볼록부(124)를 상기 제2 수직면(123)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볼트(100)는 상기 제2 볼트부(120)의 볼록부(124)를 상기 제1 볼트부(110)의 결합홈(114)에 끼워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200)는 상기 체결홀(202)에 상기 볼트(100)를 삽입하여 회전시켜 결합시 상기 구체(214)가 상기 내부 공간부(2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볼트부(120)를 외부로 분리하면, 상기 구체(214)가 상기 탄성부재(213)에 의해 상기 체결홀(202)로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114)에 오목 볼록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0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00)와 상기 너트(200)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결합홈(114)에 제2 볼트부(120)의 볼록부(124)를 삽입하면서 상기 제1 수직면(112)과 상기 제2 수직면(123)를 맞대어 상기 제2 볼트부(120)를 끼우고, 상기 너트(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KR1020190031430A 2019-03-19 2019-03-19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KR10217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30A KR102173191B1 (ko) 2019-03-19 2019-03-19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30A KR102173191B1 (ko) 2019-03-19 2019-03-19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70A KR20200111570A (ko) 2020-09-29
KR102173191B1 true KR102173191B1 (ko) 2020-11-03

Family

ID=7266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30A KR102173191B1 (ko) 2019-03-19 2019-03-19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1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339A (ja) 1999-05-31 2000-12-05 Otis:Kk 螺合締結具
JP2017026087A (ja) 2015-07-26 2017-02-02 茂樹 長嶺 ボルト
KR101734842B1 (ko) 2016-05-13 2017-05-12 김준하 진공배관용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224Y1 (ko) 2006-02-17 2006-04-28 주원돈 볼트 및 너트 풀림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339A (ja) 1999-05-31 2000-12-05 Otis:Kk 螺合締結具
JP2017026087A (ja) 2015-07-26 2017-02-02 茂樹 長嶺 ボルト
KR101734842B1 (ko) 2016-05-13 2017-05-12 김준하 진공배관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70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224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 방지 구조
KR101472952B1 (ko)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JP2005133931A (ja) 自動車用ボルト及びクランプの締結構造
US8702363B2 (en) Lock nut and a fastening unit comprising the same
CN212360457U (zh) 一种防松动的螺丝紧固件
KR102020270B1 (ko) 이중나사선 볼트 및 이중결합너트
KR102173191B1 (ko)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US9651193B1 (en) Security mounting arrangement
JP2008144955A (ja) 締結部材のねじ山
CN111878500A (zh) 一种螺杆螺母垫圈组合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KR101213456B1 (ko) 체결구 조립체
KR20150135982A (ko) 카운터싱크 와셔
KR102020267B1 (ko) 이중나사선 볼트 및 너트
US6592312B1 (en) Bolt employing shearing stress for self-locking
SE538548C2 (en) Fastening device and use of such a device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JP6527366B2 (ja) 座金付きねじ
US20190305535A1 (en) Enclosure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cables and the like
KR20200048980A (ko) 이중나사선 볼트, 너트 및 압축결합 너트
KR200482966Y1 (ko) 나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목 지지용 구조체
KR200372541Y1 (ko) 풀림방지안전형 캡너트
KR200415212Y1 (ko) 풀림 방지 너트
KR102434190B1 (ko) 풀림방지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