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922B1 -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922B1
KR102172922B1 KR1020180155666A KR20180155666A KR102172922B1 KR 102172922 B1 KR102172922 B1 KR 102172922B1 KR 1020180155666 A KR1020180155666 A KR 1020180155666A KR 20180155666 A KR20180155666 A KR 20180155666A KR 102172922 B1 KR102172922 B1 KR 10217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lenoid valve
shaft
driv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841A (ko
Inventor
이민수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8015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9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지그블록에 솔레노이드밸브의 조정스크류를 조작할 수 있는 드라이버 타입의 조정기구가 설치된다. 따라서 유압 시험 중 지그블록으로부터 솔레노이드밸브를 탈거하지 않고도 조정스크류를 조작하여 유압 성능을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시험 및 조정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JIG FOR TESTING HYDRAULIC PRESSURE OF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을 테스트하는데 이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밸브는 코일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으로 아마추어를 구동하고, 아마추어에 의해 스풀을 작동시켜 유로를 제어함으로써 유로에 연결된 액추에이터에 작동 유압을 전달한다.
솔레노이드밸브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별 부품의 특성 차이 및 조립 편차 등이 누적되어 결과적으로 완성 제품의 유압 성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제품의 유압 성능을 시험(test)하고 설계값(목표값)을 가지도록 조정(setting)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 시험에 사용되는 지그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결합될 수 있고, 결합 상태에서 실제 사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유로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유로에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장치와, 유압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기(압력계, 유량계 등)가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는 사용 상태 구현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유압 측정을 위한 측정기기들이 연결되어 있을 뿐이어서, 시험을 통해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 편차를 확인한 후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지그로부터 분리(탈거)하고 조정스크류를 조작하는 조정과정을 거친 후, 다시 솔레노이드밸브를 지그에 장착하고 재시험을 실시해야만 하였다.
재시험에서 유압 성능의 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 솔레노이드밸브의 탈거와 조정, 재장착 및 재시험 과정을 다시 거쳐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솔레노이드 유압 시험용 지그는 단순히 유압 성능을 시험할 수 있을 뿐이므로 조정 작업을 위해서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지그에서 분리하고, 조정 후, 재장착하여 재시험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므로 솔레노이드밸브 시험 및 조정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5033호(2015.02.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 시험 및 조정 작업을 모두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밸브의 사용 상태 구현을 위한 유로들이 형성된 지그블록과, 상기 지그블록에 형성된 조정기구홀에 삽입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지 단부에 설치된 조정스크류를 회전 조작하는 조정기구와, 상기 조정기구홀과 조정기구의 사이에 설치된 미캐니컬시일을 포함한다.
상기 지그블록에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지가 삽입 결합되는 밸브홀과, 밸브홀에 플랜지가 삽입되었을 때 플랜지의 공급포트에 연결되는 공급유로와, 플랜지의 제어포트에 연결되는 제어유로 및 제어유로로부터 분기되어 밸브홀의 상기 조정스크류 앞쪽 공간으로 연결되는 피드백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조정기구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조정기구홀 내측 단부에 장착된 드라이버와, 샤프트의 조정기구홀 외측 단부에 장착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밸브홀과 조정기구홀 사이의 연통홀을 통해 밸브홀의 내부로 돌출되어 그 선단부가 조정스크류의 표면에 형성된 드라이버홈에 안착된다.
상기 샤프트는 중공관 형상이고, 샤프트의 중공홀에 상기 드라이버가 삽입 설치되며, 샤프트로부터 드라이버에 반경방향으로 핀이 삽입 설치되어 샤프트에 대한 드라이버의 회전이 구속된다.
상기 핀이 샤프트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샤프트에 대한 드라이버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의 중공홀에 드라이버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그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크류가 설치되어, 스크류의 체결 깊이 조절에 의해 스프링에 의한 드라이버 지지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에 밸브홀과 샤프트의 중공홀을 연결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지고, 핸들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어, 스크류홀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핸들이 샤프트에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에 사용 상태 구현을 위한 유로뿐만 아니라 조정기구가 더 구비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를 지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장착 상태에서 바로 조정스크류를 조작하여 유압 성능 조정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 시험 및 조정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의 평단면도(솔레노이드밸브 결합 상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의 정단면도(솔레노이드밸브 결합 상태).
도 3은 시험 대상 솔레노이드밸브의 조정스크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에 시험 대상 솔레노이드밸브(10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시험 대상 솔레노이드밸브(100)의 특징적인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00)는 하우징의 내부에 코일과 아마추어 등이 내장된 자로부와, 유압포트가 형성된 플랜지의 내부에 스풀(101)이 구비된 유로부로 이루어지며, 유압 성능 시험을 위해서는 유로부 즉, 플랜지가 지그블록(10)의 밸브홀(11)에 삽입 결합된다.
솔레노이드밸브(100)의 플랜지 단부에는 조정스크류(103)가 설치되고, 스풀(101)의 일단부와 조정스크류(103) 사이에는 스프링(102)이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의 외주에는 유압이 유입되는 공급포트(104)와, 제어압이 배출되는 제어포트(105)가 형성되며, 조정스크류(103)에는 스풀(101)에 피드백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피드백유로홀(103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전원 off시 유압이 배출되는 배출포트(106)(도 2참조)는 플랜지의 기단부(자로부 인접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시험 대상이 되는 솔레노이드밸브(100)는 스풀(101)에 피드백압 을 작용시키기 위한 피드백유로홀(103a)이 플랜지의 단부에 구비되는 조정스크류(103)에 형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는, 지그블록(10)과, 조정기구(20), 미캐니컬시일(30)을 포함한다.
지그블록(10)은 직육면체 형상이며, 일측면에 솔레노이드밸브(100)의 플랜지가 삽입 결합되는 밸브홀(11)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면에 조정기구(20)와 미캐니컬시일(30)이 삽입 설치되는 조정기구홀(12)이 형성된다. 밸브홀(11)과 조정기구홀(12)은 동축선상에 형성되며 연통홀(16)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사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지그블록(10)에는 상기 밸브홀(11)과 연결되는 공급유로(13)와 제어유로(14) 및 피드백유로(15)가 형성된다.
솔레노이드밸브(100)가 밸브홀(11)에 삽입되면 공급유로(13)는 플랜지의 공급포트(104)와 연결되고, 제어유로(14)는 제어포트(105)에 연결되며, 피드백유로(15)는 밸브홀(11)의 플랜지 단부 앞쪽 공간에 연결된다.
공급유로(13)와 제어유로(14)는 지그블록(10)의 외측면으로 연통되며, 피드백유로(15)는 제어유로(14)의 중간 부분에서 분기되어 밸브홀(11)의 끝 부분에 연결된다.
피드백유로(15)가 연결된 밸브홀(11)의 플랜지 앞쪽 공간에는 조정스크류(103)의 일측면이 노출되어 있으며, 조정스크류(103)에는 피드백유로홀(10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드백압이 피드백유로홀(103a)을 통해서 플랜지의 내부로 유입되어 스풀(101)의 일측 단부에 작용한다.
공급유로(13)와 제어유로(14)는 지그블록(10)의 외측면 부분에서 외경이 확장 성형되어 있으며, 이 확장부에 유압공급장치, 측정기기 등에 연결되는 파이프나 호스 등의 배관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유로(13)와 제어유로(14) 및 피드백유로(15)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실제 사용 상태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유압을 공급하고 솔레노이드밸브(100)를 on시켜 공급 전류를 조절하면서 제어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압 성능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기구(20)는 지그블록(10)의 조정기구홀(12)에 삽입 설치된다. 조정기구(20)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일측 단부(조정기구홀(12)에 삽입되는 쪽의 단부)에 장착되는 드라이버(22)와, 샤프트(21)의 타측 단부(조정기구홀(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쪽의 단부)에 장착되는 핸들(25)을 포함한다.
드라이버(22)는 밸브홀(11)과 조정기구홀(12)을 연결하는 연통홀(16)을 통해 밸브홀(11)쪽으로 돌출되어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조정스크류(103)에 접촉된다.
조립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22)는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조정스크류(103) 외측면에 형성된 드라이버홈(103b)에 삽입 가능하며, 핸들(25)은 지그블록(10)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시험 실시자는 핸들(25)을 손으로 잡고 돌려서 드라이버(22)를 매개로 조정스크류(103)를 회전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압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샤프트(21)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서 조정기구홀(12)에 삽입되었을 때 일측 단부는 조정기구홀(12)의 축방향(삽입방향) 내측 벽면에 접촉되고, 타측 단부는 조정기구홀(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는다.
조정기구홀(12)의 내측으로 삽입된 샤프트(21)의 단부에는 중공홀에 드라이버(22)가 삽입 설치된다. 드라이버(22)는 일측 단부가 샤프트(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핀(27)을 매개로 샤프트(21)에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도록 장착된다. 핀(27)은 샤프트(21)의 외주면으로부터 드라이버(22)로 반경 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핀(27)은 샤프트(21)에 축방향(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21a)에 삽입되어 있어서 슬롯(21a)을 따라 샤프트(2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핀(27)에 고정되어 있는 드라이버(22) 또한 핀(27)의 이동범위 내에서 샤프트(21)의 중공홀을 따라 전후 이동될 수 있다.
드라이버(22)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홀(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22a)은 드라이버(22) 전방의 밸브홀(11) 내부 공간과 드라이버(22) 뒤쪽의 스프링(23) 설치 공간을 서로 연결하여 오일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드라이버(22)의 전후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드라이버(22)의 전후 이동에 따른 밸브홀(11) 내의 압력 변동을 방지하여 압력 변동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압 성능 변화를 방지한다.
상기 샤프트(21)의 중공홀 내부에는 드라이버(22)의 뒤쪽으로 스프링(23)이 설치되며, 스프링(23)의 뒤쪽으로 스크류(24)가 체결된다. 스프링(23)은 드라이버(22)와 스크류(24)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있게 되며, 이에 드라이버(22)는 스프링(23)에 의해 항상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조정스크류(103)쪽으로 밀려져 있게 된다. 스크류(23)의 체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23)에 의한 드라이버(22)의 탄성 지지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핸들(25)은 샤프트(21)의 단부 외주에 끼워 맞춰진 원판형 부품으로서 외주면의 복수 개소에 핸들(25)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고, 그 스크류홀로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26)가 구비된다. 스크류(26)를 끝까지 조이면 스크류(26)가 스크류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샤프트(21)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그 힘에 의해 핸들(25)이 샤프트(21)의 단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미캐니컬시일(30)은 조정기구(20) 즉, 샤프트(21)의 외주면과 조정기구홀(12)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에 삽입 설치되어 이 부분을 통한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 제품이다.
미캐니컬시일(30)은 로워링(31), 미들링(32), 어퍼링(33) 순으로 조정기구홀(12)에 삽입되며, 미캐니컬시일(30)과는 별도로 마련된 커버(34)가 복수개의 볼트(35)로 지그블록(10)에 고정됨으로써 조정기구홀(1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설치 상태를 유지한다(볼트(35)는 지그블록(10)에 형성된 탭홀(17)에 체결된다).
로워링(31)과 미들링(32) 사이에는 스프링(36)이 구비되어 미들링(32)을 어퍼링(33)에 밀착시켜 미들링(32)과 어퍼링(33) 사이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미들링(32)의 내주면과 어퍼링(33)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오링(37)과 제2오링(38)이 구비되어 미캐니컬시일(30)과 조정기구(20) 사이의 틈과 미캐니컬시일(30)과 조정기구홀(12)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각각 실링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34)는 제2오링(38)을 눌러주어 미캐니킬시일(30)이 조정기구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압 성능 시험은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로부 즉, 플랜지를 지그블록(10)의 밸브홀(11)에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솔레노이드밸브(100)를 지그블록(10)에 결합한 상태에서 공급유로(13)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고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면서 제어유로(14)를 통해 배출되는 제어압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값이 정상인 경우에는 조정스크류(103) 조작을 통한 조정작업이 필요 없으나, 측정값이 설계값(목표값)과 차이 나는 경우에는 조정스크류(103)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압 성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지그블록(10)으로부터 탈거하고, 조정작업을 거친 후, 솔레노이드밸브를 다시 지그블록(10)에 장착하고 재시험을 실시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이 정상으로 조정되었는지 확인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블록(10)에 조정기구(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솔레노이드밸브(100)를 지그블록(10)으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장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정기구(20)를 조작하여 조정스크류(103)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밸브(100)를 지그블록(10)에 결합했을 때 조정스크류(103)의 외측면에 형성된 드라이버홈(103b)과 드라이버(22) 선단부의 회전 위상차로 인해 드라이버(22)의 선단부가 드라이버홈(103b)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22)는 조정스크류(103)에 의해 밀려져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샤프트(21)의 내측으로 소량 후퇴된다. 핀(27)은 드라이버(22)를 회전 방향으로 구속할 뿐 슬롯(21a)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은 드라이버(22)의 후퇴를 포함한 전/후진 작동은 허용한다.
스프링(23)에 의해 드라이버(22)는 항상 조정스크류(103)의 표면으로 밀려지는 힘을 받고 있으므로 핸들(25)을 잡고 샤프트(21)를 회전시키면 핀(27)에 의한 회전 방향 구속 작용에 의해 샤프트(21)와 함께 드라이버(22)가 회전됨으로써 최대 드라이버(22)의 1회전 내에 드라이버(22)의 선단부가 조정스크류(103)의 드라이버홈(103b) 내에 삽입 안착된다.
이후에는 핸들(25)을 조작하는 방향에 따라 조정스크류(103)를 플랜지의 내측으로 더욱 깊이 체결하거나 플랜지의 외측으로 풀어내어 스풀(101)을 지지하는 스프링(102)의 탄성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100)의 유압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지그블록(10)에 솔레노이드밸브 사용 상태 구현을 위한 유로들이 형성됨과 더불어 솔레노이드밸브의 조정스크류(103)를 조작할 수 있는 조정기구(20)가 함께 구비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성능 시험중 지그로부터 솔레노이드밸브를 탈거하지 않고 바로 조정스크류(103)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유압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정스크류(103) 조작을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의 탈거와, 조정스크류(103) 조정 후 재시험을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재장착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성능 시험 절차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지그블록 11 : 밸브홀
12 : 조정기구홀 13 : 공급유로
14 : 제어유로 15 : 피드백유로
16 : 연통홀 17 : 탭홀
20 : 조정기구 21 : 샤프트
21a : 슬롯 22 : 드라이버
22a : 관통홀 23 : 스프링
24 : 스크류 25 : 핸들
26 : 스크류 27 : 핀
30 : 미캐니컬시일 31 : 로워링
32 : 미들링 33 : 어퍼링
34 : 커버 35 : 볼트
36 : 스프링 37 : 제1오링
38 : 제2오링 100 : 솔레노이드밸브
101 : 스풀 102 : 스프링
103 : 조정스크류 103a : 피드백유로홀
103b : 드라이버홈 104 : 공급포트
105 : 제어포트 106 : 배출포트

Claims (8)

  1. 일측에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지가 삽입되는 밸브홀이 형성되고, 그 밸브홀에 솔레노이드밸브의 사용 상태 구현을 위한 유로들이 연결 형성된 지그블록과;
    상기 지그블록의 타측에 형성된 조정기구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밸브홀과 조정기구홀의 사이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랜지 단부에 설치된 조정스크류를 회전 조작하는 조정기구와;
    상기 조정기구홀과 조정기구의 사이에 설치된 미캐니컬시일;
    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들은 상기 밸브홀에 플랜지가 삽입되었을 때 플랜지의 공급포트에 연결되는 공급유로와, 플랜지의 제어포트에 연결되는 제어유로 및 제어유로로부터 분기되어 밸브홀의 상기 조정스크류 앞쪽 공간으로 연결되는 피드백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조정기구홀 내측 단부에 장착된 드라이버와, 샤프트의 조정기구홀 외측 단부에 장착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밸브홀의 내부로 돌출되어 그 선단부가 조정스크류의 표면에 형성된 드라이버홈에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중공관 형상이고, 샤프트의 중공홀에 상기 드라이버가 삽입 설치되며, 샤프트로부터 드라이버에 반경방향으로 핀이 삽입 설치되어 샤프트에 대한 드라이버의 회전이 구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이 샤프트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샤프트에 대한 드라이버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중공홀에 드라이버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그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크류가 설치되어, 스크류의 체결 깊이 조절에 의해 스프링에 의한 드라이버 지지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에 밸브홀과 샤프트의 중공홀을 연결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지고, 핸들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어, 스크류홀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핸들이 샤프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KR1020180155666A 2018-12-06 2018-12-06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KR102172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66A KR102172922B1 (ko) 2018-12-06 2018-12-06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66A KR102172922B1 (ko) 2018-12-06 2018-12-06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41A KR20200068841A (ko) 2020-06-16
KR102172922B1 true KR102172922B1 (ko) 2020-11-02

Family

ID=7114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666A KR102172922B1 (ko) 2018-12-06 2018-12-06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9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859A (ja) 1999-07-28 2001-02-16 Tokico Ltd 減衰力調整機構の初期調整、検査方法および減衰力テスト装置
JP2002081570A (ja) 2000-09-04 2002-03-22 Aisin Aw Co Ltd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の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
KR100745356B1 (ko) 2004-04-28 2007-08-02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조정식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검사기
KR101017243B1 (ko) 2008-07-24 2011-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용 오작동 검사장치
KR101605799B1 (ko) 2014-11-28 2016-04-01 복명순 유량조절밸브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033B1 (ko) 2013-05-03 2015-02-25 주식회사 에네스지 발전소 솔레노이드밸브의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859A (ja) 1999-07-28 2001-02-16 Tokico Ltd 減衰力調整機構の初期調整、検査方法および減衰力テスト装置
JP2002081570A (ja) 2000-09-04 2002-03-22 Aisin Aw Co Ltd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の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
KR100745356B1 (ko) 2004-04-28 2007-08-02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조정식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검사기
KR101017243B1 (ko) 2008-07-24 2011-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용 오작동 검사장치
KR101605799B1 (ko) 2014-11-28 2016-04-01 복명순 유량조절밸브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41A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471B1 (ko) 충전장치
JP4728358B2 (ja) 内燃エンジンのための平衡計量サーボバルブを備えた燃料噴射装置
EP2148090A1 (en) Locking assembly for the rotor of a wind power turbine
EP0872300A1 (en) Torch for working
JP5561496B2 (ja) 流量制御弁及びその組付方法
US7694692B2 (en) Non-magnetic latching servo actuated valve
CN111043421B (zh) 一种管道精准对接、快速锁紧接头
JP2017198340A (ja) クランプ装置
KR102172922B1 (ko) 솔레노이드밸브 유압 시험용 지그
CN109129008A (zh) 旋转台装置
CN114725746A (zh) 一种导电滑环结构
EP3464971A1 (en) An electrohydraulic valve with adjustable performance
US5294132A (en) Semi-cartridge seal
US6074118A (en) Automatic device for locking a vehicle wheel onto balancing machine shaft
US6024117A (en) Valve guide structure
JP2019506306A (ja) 遠心力によって作動可能なボーリングバー
KR101991771B1 (ko) 자동 및 수동 전환식 밸브 테스트 장치
US3516639A (en) Gas control valve for gas shielded electric welding torches
CN112692316A (zh) 集成夹头
JP7171891B2 (ja) 研削盤用のクランプシステム
US20220072626A1 (en) Boring tool
JP2018114586A (ja) マウントフランジ端面状態確認治具
US11413718B2 (en) Rotation indexing device
US2394624A (en) Gear fixture
JP3213863U (ja) 加工機支持装置及び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