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664B1 -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664B1
KR102172664B1 KR1020200059237A KR20200059237A KR102172664B1 KR 102172664 B1 KR102172664 B1 KR 102172664B1 KR 1020200059237 A KR1020200059237 A KR 1020200059237A KR 20200059237 A KR20200059237 A KR 20200059237A KR 102172664 B1 KR102172664 B1 KR 102172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lter
mounting space
foreign substance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동신
Original Assignee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5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장착공간과 하부 장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케이스 장착홈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부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의 하부에 위치한 상부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부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중앙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 저면은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 하부 끝단의 내부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수용부가 형성되는 상부 여과 케이스와 상기 중앙 돌출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면은 하부를 향해 곡면지게 형성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로 구성되는 상부 여과수단;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부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내부는 관통형성되면서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 장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저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구획벽이 형성되는 필터 지지구; 상기 구획벽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구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여과부재로 구성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Construction kitchen hood filter device}
본 발명은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 교체가 용이하고, 필터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에 혼합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요식업소 등의 주방에 설치된 조리용 연소기기의 상부에는 도 1과 같이,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 및 연소기기의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용 후드(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기용 후드(30)의 흡입구(35)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 및 배기가스에 함유되는 기름이나 이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32)가 설치된다.
이 필터(32)는 도 2에서와 같이, 후드(30)의 흡입구(35) 영역을 차단하도록 스크류(31) 등에 의해 후드케이싱(33)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방용 후드에 설치된 필터는 기름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면 사용자가 일일이 필터를 후드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특히, 음식물 조리가 많은 가정이나 요식업소 등에서는 필터의 사용시간이 짧고, 필터의 빈번한 세척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용이 더욱 불편하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3-04183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195402호에는 공조기기용 필터교환장치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들 필터자동교환장치는 한 쌍의 권취샤프트를 공조기기의 흡입구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필터를 일측의 권취샤프트에서부터 흡입구 영역을 거쳐 타측의 권취샤프트에 권취되도록 하여 필터의 교체 및 청소의 번거러움을 해소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교환장치의 설치구조를 주방용 후드에 맞게 개선하여 후드에 장착한다면 주방용 후드의 필터를 세척할 필요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필터의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질 수 있으며, 주방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자동교환장치는 샤프트를 좁은 공간의 양측에 설치하여야 하고 단지 필터를 교환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사용하기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3-0418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제20-1954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필터가 장착된 필터 케이스를 끼움 결합구조로 구성하고, 필터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에 혼합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이중으로 수거할 수 있는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는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장착공간과 하부 장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케이스 장착홈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부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의 하부에 위치한 상부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부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중앙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 저면은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 하부 끝단의 내부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수용부가 형성되는 상부 여과 케이스와 상기 중앙 돌출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면은 하부를 향해 곡면지게 형성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로 구성되는 상부 여과수단;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부 장착공간에 배치되고, 내부는 관통형성되면서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 장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저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구획벽이 형성되는 필터 지지구; 상기 구획벽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구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여과부재로 구성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지지구의 내부에는 히팅부가 장착되고, 상기 필터 지지구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부에 전원을 공급하면서도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필터 지지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구 삽입홈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필터 지지구의 내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지 경사면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수단 케이스;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전원부;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단 히팅부;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히팅부에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 및 상기 수단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와 상부 여과수단의 사이에 위치한 필터 케이스의 하부 장착공간 양측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보조 여과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보조 여과수단은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보조 케이스; 상기 보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부재; 및 상기 보조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고 여과부재를 통해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는 필터가 장착된 필터 케이스를 끼움 결합구조로 구성하여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터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에 혼합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이중으로 수거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방후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주방후드 필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여과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여과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는 필터 케이스(200), 흡입팬(300), 상부 여과수단(400), 필터 지지구(500), 필터(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케이스(2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되, 상기 필터 케이스(10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내부구성(상부 여과수단(400), 필터 지지구(500), 필터(600))의 형상도 변경됨을 밝힌다.
상기 필터 케이스(200)는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200)는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장착공간(210)과 하부 장착공간(22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케이스 장착홈(2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필터 케이스(2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단차지게 형성하고, 하부 장착공간(220)의 내면에는 필터 지지구(500)의 지지를 위한 케이스 장착홈(23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장착홈(230)의 상부는 필터 지지구(500)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부가 경사 또는 곡면지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팬(300)은 필터 케이스(200)의 상부 장착공간(21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300)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팬(300)은 공지된 흡입팬을 선택하여 장착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여과수단(400)은 흡입팬(300)의 하부에 위치한 상부 장착공간(21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상부 여과수단(400)은 상부 장착공간(210)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600)를 통과한 공기에 혼합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 여과수단(400)은 필터(600)에 여과된 공기에 혼합된 기름 또는 상기 흡입팬(300)의 작동에 따른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과 상부 장착공간(210)에 위치한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 등을 여과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여과수단(400)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여과 케이스(420)와 상기 상부 여과 케이스(4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4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여과 케이스(420)는 상부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관통공(42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중앙 돌출부(422)가 형성되고, 상부 저면(423)은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 하부 끝단의 내부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수용부(4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여과 케이스(440)는 상기 중앙 돌출부(422)의 하부에 결합되고,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면(442)은 하부를 향해 곡면지게 형성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여과수단(400)은 곡면지게 형성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440)의 가장자리면(442)과 상부 여과 케이스(420)의 상부 저면(423)을 통해, 공기 중에 혼합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이물질 수용부(424)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필터 지지구(500)는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에 배치된다.
즉, 상기 필터 지지구(500)는 상부에 필터(600)를 장착한 후 상기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에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지지구(500)는 내부는 관통형성되면서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 장착홈(230)에 끼움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돌기(510)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저면(522)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구획벽(5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필터 지지구(5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양측으로 케이스 장착홈(230)에 끼움 결합을 위한 케이스 결합돌기(510)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필터(600)의 장착을 위한 구획벽(520)과 지지구 장착공간(5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 지지구(500)는 하부 장착공간(220)에 경사지게 삽입된 후, 한쪽의 케이스 결합돌기(510)를 끼움 결합한 다음, 타측의 케이스 결합돌기(510)를 하부 방향으로 내리면서 끼움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필터(600)는 필터 지지구(500)에 장착된다.
즉, 상기 필터(600)는 필터 지지구(500)를 구성하는 구획벽(520)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구 장착공간(530)에 장착되어 하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600)는 내부에 수용공간(6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624)이 형성되는 케이스(620)와 상기 케이스(620)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여과부재(6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필터(600)는 케이스(620)의 관통공(624)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부재(640)를 통해 여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부재(640)는 단일 또는 도시된 도면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는 도시된 도 8 및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8의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는 상기 필터 지지구(500)의 내부에 히팅부(540)가 장착되고, 상기 필터 지지구(50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면서도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수단(7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700)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필터 지지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구 삽입홈(712)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필터 지지구(500)의 내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지 경사면(71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이 형성되는 수단 케이스(710),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에 장착되는 전원부(720),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단 히팅부(730),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히팅부(540)에 전원부(720)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740), 상기 수단 케이스(7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조작부(7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는 공기에 혼합된 기름 등의 접촉이 심한 필터 지지구(500)에 히팅부(540)를 장착하고, 상기 필터 지지구(500)의 하부에는 이물질 제거수단(700)을 장착하여, 상기 필터 지지구(5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750)를 작동하면, 상기 전원부(720)의 전원은 단자부(740)를 통해 히팅부(540)와 수단 히팅부(730)에 공급되고, 상기 히팅부(540)와 수단 히팅부(730)는 필터 지지구(500)와 수단 케이스(710)에 열을 공급하여 끈적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7000은 수단 케이스(710)을 구성하는 지지 경사면(714)을 통해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을 구성하는 내면에 묻은 기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9의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는 상기 필터(600)와 상부 여과수단(400)의 사이에 위치한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 양측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보조 여과수단(8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여과수단(800)은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812)이 형성되는 보조 케이스(810), 상기 보조 케이스(8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부재(820), 상기 보조케이스(8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여과부재(820)를 통해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감지부재(8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보조 여과수단(800)은 상부 장착공간(210)과 하부 장착공간(2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에 포함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감지부재(830)는 설정된 무게 이상으로 기름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무게가 증가할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장착공간(210)과 하부 장착공간(22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케이스 장착홈(230)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200)의 상부 장착공간(210)의 하부로 상부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관통공(42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중앙 돌출부(422)가 형성되고, 상부 저면(423)은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 하부 끝단의 내부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수용부(424)가 형성되는 상부 여과 케이스(420)와 상기 중앙 돌출부(422)의 하부에 결합되고,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면(442)은 하부를 향해 곡면지게 형성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440)로 구성되는 상부 여과수단(4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여과수단(40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장착공간(210)으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팬(300)을 장착한다.
그리고 내부는 관통형성되면서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 장착홈(230)에 끼움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돌기(510)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저면(522)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구획벽(520)이 형성되는 필터 지지구(50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 지지구(500)의 구획벽(520)의 상부에 위치한 장착공간(530)으로 내부에 수용공간(6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624)이 형성되는 케이스(620)와 상기 케이스(620)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여과부재(640)로 구성되는 필터(600)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필터(600)가 장착된 필터 지지구(500)를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에 삽입한 후 상기 케이스 장착홈(230)에 케이스 결합돌기(510)를 결합하면,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를 주방후드의 하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필터 케이스(200)의 상부 장착공간(210)에 위치한 흡입팬(300)은 작동하고, 실내의 공기는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장착공간(220)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 지지구(500)의 구획벽(520)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필터(600)에 전달된 후 상기 케이스(620)의 관통공(624)을 관통한 후 여과부재(640)를 통해 일차적으로 여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 지지구(500)의 필터(600)를 통과한 공기에 혼합된 기름 등의 이물질은 상부 여과수단(400)을 구성하는 곡면지게 형성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440)의 가장자리면(442)과 상부 여과 케이스(420)의 상부 저면(423)을 통해 이물질 수용부(424)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 여과수단(400)과 흡입팬(300)을 통과한 여과된 공기를 설치된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200 : 필터 케이스 210 : 상부 장착공간
220 : 하부 장착공간 230 : 케이스 장착홈
300 : 흡입팬 400 : 상부 여과수단
420 : 상부 여과 케이스 421 : 관통공
422 : 중앙 돌출부 423 : 상부 저면
424 : 이물질 수용부 440 : 하부 여과 케이스
442 : 가장자리면 500 : 필터 지지구
510 : 케이스 결합돌기 520 : 구획벽
530 : 히팅부 장착공 540 : 히팅부
600 : 필터 620 : 케이스
622 : 수용공간 624 : 관통공
640 : 여과부재 700 : 이물질 제거수단
710 : 수단 케이스 712 : 지지구 삽입홈
714 : 지지 경사면 716 :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
720 : 전원부 730 : 수단 히팅부
740 : 단자부 750 : 조작부
800 : 보조 여과수단 810 : 보조 케이스
812 : 관통공 820 : 여과부재
830 : 감지부재

Claims (3)

  1. 주방 후드에 설치되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장착공간(210)과 하부 장착공간(22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케이스 장착홈(230)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200);
    상기 필터 케이스(200)의 상부 장착공간(210)에 장착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팬(300);
    상기 흡입팬(300)의 하부에 위치한 상부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부의 내면에 간격을 두고 관통공(42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중앙 돌출부(422)가 형성되고, 상부 저면(423)은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 하부 끝단의 내부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수용부(424)가 형성되는 상부 여과 케이스(420)와 상기 중앙 돌출부(422)의 하부에 결합되고,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면(442)은 하부를 향해 곡면지게 형성되는 하부 여과 케이스(440)로 구성되는 상부 여과수단(400);
    상기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에 배치되고, 내부는 관통형성되면서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 장착홈(230)에 끼움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돌기(510)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평면상 "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저면(522)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구획벽(520)이 형성되는 필터 지지구(500);
    상기 구획벽(52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구 장착공간(530)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6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624)이 형성되는 케이스(620)와 상기 케이스(620)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여과부재(640)로 구성되는 필터(600); 및
    상기 필터 지지구(500)의 내부에는 히팅부(540)가 장착되고, 상기 필터 지지구(50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면서도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수단(700);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700)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필터 지지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구 삽입홈(712)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필터 지지구(500)의 내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지 경사면(71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이 형성되는 수단 케이스(710);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에 장착되는 전원부(720);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단 히팅부(730);
    상기 수단 케이스 장착공간(716)의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히팅부(540)에 전원부(720)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740); 및
    상기 수단 케이스(7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조작부(7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600)와 상부 여과수단(400)의 사이에 위치한 필터 케이스(200)의 하부 장착공간(220) 양측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보조 여과수단(800)이 장착되고,
    상기 보조 여과수단(800)은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812)이 형성되는 보조 케이스(810);
    상기 보조 케이스(8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부재(820); 및
    상기 보조케이스(8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여과부재(820)를 통해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감지부재(8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KR1020200059237A 2020-05-18 2020-05-18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KR10217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37A KR102172664B1 (ko) 2020-05-18 2020-05-18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37A KR102172664B1 (ko) 2020-05-18 2020-05-18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664B1 true KR102172664B1 (ko) 2020-11-02

Family

ID=7339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237A KR102172664B1 (ko) 2020-05-18 2020-05-18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6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616B1 (ko) * 2022-05-18 2023-01-26 주식회사 늘푸른 주방용 후드 필터 시스템
KR102491613B1 (ko) * 2022-05-18 2023-01-26 주식회사 늘푸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KR20230106797A (ko) 2022-01-07 2023-07-14 송진우 조리용 후드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183Y1 (ko) 1988-11-30 1993-07-07 주식회사 금성사 에어콘의 에어필터 자동교환장치
KR200195402Y1 (ko) 2000-04-21 2000-09-01 심기섭 에어 필터 자동 교환 장치
KR20100096921A (ko) * 2009-02-25 2010-09-02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20140033828A (ko) * 2012-09-11 2014-03-19 주식회사 이노베코 친환경 환풍기
KR101787478B1 (ko) * 2017-06-19 2017-10-18 나진호 후드 기름받이용 필터
KR20170116324A (ko) * 2016-04-11 2017-10-19 서윤석 주방 환기용 후드장치
KR102059802B1 (ko) * 2019-05-24 2019-12-27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즈 보텍스팬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183Y1 (ko) 1988-11-30 1993-07-07 주식회사 금성사 에어콘의 에어필터 자동교환장치
KR200195402Y1 (ko) 2000-04-21 2000-09-01 심기섭 에어 필터 자동 교환 장치
KR20100096921A (ko) * 2009-02-25 2010-09-02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20140033828A (ko) * 2012-09-11 2014-03-19 주식회사 이노베코 친환경 환풍기
KR20170116324A (ko) * 2016-04-11 2017-10-19 서윤석 주방 환기용 후드장치
KR101787478B1 (ko) * 2017-06-19 2017-10-18 나진호 후드 기름받이용 필터
KR102059802B1 (ko) * 2019-05-24 2019-12-27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즈 보텍스팬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797A (ko) 2022-01-07 2023-07-14 송진우 조리용 후드 구조체
KR102491616B1 (ko) * 2022-05-18 2023-01-26 주식회사 늘푸른 주방용 후드 필터 시스템
KR102491613B1 (ko) * 2022-05-18 2023-01-26 주식회사 늘푸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664B1 (ko)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RU2438758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ем
KR102665025B1 (ko) 공기청정기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KR20000016373A (ko) 배기정화장치_
JP2018054165A (ja) レンジフード
EP2610555B1 (en) Hood with a grease filter
EP1707098A2 (en) Water filtration vacuum cleaner apparatus having sloping baffle
KR101970531B1 (ko) 제연기가 구비된 자바라식 후드
KR101028835B1 (ko) 물을 이용한 오일집진장치
CN210145759U (zh) 一种360度环形进风的空气净化器
CN210540759U (zh) 一种智能炒菜设备
CN218096172U (zh) 组合灶
CN218096173U (zh) 组合灶
CN216778275U (zh) 一种多功能气体过滤设备
JP2007003088A (ja) 調理廃気浄化装置
KR1014662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12362232U (zh) 空调器及过滤机构
JP2002372274A (ja) レンジフード
CN107514794B (zh) 用于空调的冷凝水再利用过滤装置和空调器
JPH08318118A (ja) 溶接等排煙集塵装置
CN111780173A (zh) 家用电器
CN111810993A (zh) 家用电器
CN212108560U (zh) 滤油件和集成灶
KR102548717B1 (ko) 식품 튀김기용 필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