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613B1 -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613B1
KR102491613B1 KR1020220069002A KR20220069002A KR102491613B1 KR 102491613 B1 KR102491613 B1 KR 102491613B1 KR 1020220069002 A KR1020220069002 A KR 1020220069002A KR 20220069002 A KR20220069002 A KR 20220069002A KR 102491613 B1 KR102491613 B1 KR 10249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rail groove
insertion rail
fram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준
안수경
이길성
황미경
황미숙
신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늘푸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늘푸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늘푸른
Priority to KR102022006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 구조의 필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방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환기 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되는 후드 하우징; 일측 및 타측이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 하우징에 설치되는 주방용 프레임; 및 상기 주방용 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방용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Angled Adjustable Hood Housing System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 구조의 필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조리용 연소기기 상부에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함유된 증기와, 연소기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혼합된 혼합가스의 원활한 배기를 위하여 배기후드를 설치하여 왔으며, 이러한 종래의 배기후드는 천장에 설치된 배기덕트에 연통되는 본체 및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부직포 형상의 필터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기후드는 배기 중 포함되어 있는 기름이나 이물질들이 필터에 부착되어 외관이 불량하게 되고, 필터의 효과가 저하되며, 필터를 교환해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유지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필터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송풍압력에 의해서 필터가 하우징 내부에서 요동하여 먼지 나 이물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주방용 후드는 가스레인지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냄새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냄새에 의한 실내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임. 현재 요식업장 등의 주방용 후드는 통구조로 이루어져 관리에 불편함이 있는 상태이다.
종래 주방 후드에 설치된 필터는 오염되면 일일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해야 하고, 요식업소 등에서는 필터의 사용기간이 짧아 빈번한 세척이 필요하기 때문에 필터 및 덕트 결합체 등의 전체적인 시스템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23542호 (2002.05.13.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0424320호 (2004.06.23.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탈부착 구조의 필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은, 주방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환기 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되는 후드 하우징; 일측 및 타측이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 하우징에 설치되는 주방용 프레임; 및 상기 주방용 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방용 필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은, 상기 주방용 필터를 통과하여 상승되는 공기가 상기 덕트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주방용 프레임에서 상기 주방용 필터의 상측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방용 덕트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방용 프레임은, 상기 후드 하우징에 결합 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전단 상부가 상기 후드 하우징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방용 필터는, 상기 주방용 프레임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메시형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방용 프레임은, 일측 및 타측이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제1 결합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삽입 레일홈; 및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일 실시예에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의 상측에 제2 결합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삽입 레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은, 상기 주방용 프레임의 일측 전단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체와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를 동시에 체결하는 제1 가압 체결부; 및 상기 주방용 프레임의 타측 전단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체와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를 동시에 체결하는 제2 가압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 체결부는,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의 전단을 상승시켜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상측면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와 대향하면서 하부가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제1 결합체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체의 전단을 상승시켜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의 상측면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직립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회전하지 아니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바아;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볼트 안착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하단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볼트 안착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지지 볼트부; 상기 제1 지지 볼트부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지지 볼트부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트 안착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상측이 상기 제1 지지 볼트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볼트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제2 지지 볼트부; 및 상기 볼트 안착홀의 상하 연장을 위해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턱의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볼트 안착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지지 볼트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볼트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볼트부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설치홈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지지 볼트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볼트 안착홈을 따라 하강할 경우 상기 볼트 안착홈의 하측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지지 볼트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유체를 공급받아 신장되면서 상기 볼트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 볼트부를 회전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필터체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 방식을 제공하고, 필터체 및 덕트 결합체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2단 레일형 프레임을 구현하며, 덕트 결합체의 끼움결합부에 추가 결합부재를 부가하여 덕트와 덕트결합체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며, 필터체와 덕트 결합체의 간편한 슬라이딩 식 결합 분리를 통해 세척 및 관리 용이하여 주방의 청결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드 프레임의 2단 레일 구조는 1층과 2층의 폭을 달리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주방용 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주방용 프레임과 주방용 필터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주방용 프레임과 덕트 체결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의 설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제1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5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10)은, 후드 하우징(100), 주방용 프레임(200) 및 주방용 필터(300)를 포함한다.
후드 하우징(100)은, 주방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환기 시스템의 덕트(D)에 설치되며 주방용 프레임(200) 등의 구성들이 연결 설치된다.
주방용 프레임(200)은, 일측 및 타측이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 형태로 형성되어 후드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주방용 프레임(200)은, 후드 하우징(100)에 결합 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전단 상부가 후드 하우징(100)의 전단 하측에 경첩 등의 연결 장치(H)에 의해 연결 설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주방용 필터(300)는, 주방용 프레임(200)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10)은, 필터체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 방식을 제공하고, 필터체 및 덕트 결합체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2단 레일형 프레임을 구현하며, 덕트 결합체의 끼움결합부에 추가 결합부재를 부가하여 덕트와 덕트결합체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며, 필터체와 덕트 결합체의 간편한 슬라이딩 식 결합 분리를 통해 세척 및 관리 용이하여 주방의 청결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드 프레임의 2단 레일 구조는 1층과 2층의 폭을 달리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방용 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방용 필터(300)는, 필터 프레임(310) 및 메시형 필터(320)를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310)은, 주방용 프레임(200)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시형 필터(320)는, 필터 프레임(3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20)은, 후드 하우징(100), 주방용 프레임(200), 주방용 필터(300) 및 덕트 체결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드 하우징(100), 주방용 프레임(200) 및 주방용 필터(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덕트 체결구(400)는, 주방용 필터(300)를 통과하여 상승되는 공기가 덕트(D)로 유입될 수 있도록 주방용 프레임(200)에서 주방용 필터(300)의 상측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주방용 프레임(200)은, 프레임 바디(210), 제1 삽입 레일홈(220) 및 제2 삽입 레일홈(230)을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210)는, 일측 및 타측이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삽입 레일홈(220)은, 제1 결합체(P1)(즉, 주방용 필터(3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프레임 바디(2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2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삽입 레일홈(230)은, 제1 삽입 레일홈(220)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결합체(P1)의 상측에 제2 결합체(P2)(즉, 덕트 체결구(4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프레임 바디(2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삽입 레일홈(22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프레임 바디(2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30)은, 후드 하우징(100), 주방용 프레임(200), 주방용 필터(300), 덕트 체결구(400), 제1 가압 체결부(500) 및 제2 가압 체결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드 하우징(100), 주방용 프레임(200), 주방용 필터(300) 및 덕트 체결구(400)는, 도 1 또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가압 체결부(500)는, 주방용 프레임(200)의 일측 전단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삽입 레일홈(230)에 삽입되어 있는 제2 결합체(P2)와 제1 삽입 레일홈(220)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결합체(P1)를 동시에 체결한다.
제2 가압 체결부는, 주방용 프레임(200)의 타측 전단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삽입 레일홈(230)에 삽입되어 있는 제2 결합체(P2)와 제1 삽입 레일홈(220)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결합체(P1)를 동시에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압 체결부(500)는, 제1 가압부(510) 및 제2 가압부(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가압 체결부는, 후술하는 제1 가압 체결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가압 체결부(500)의 제1 가압부(510) 및 제2 가압부(52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가압부(510)는, 제1 삽입 레일홈(220)의 전단 하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제1 삽입 레일홈(220)에 삽입되어 있는 제1 결합체(P1)의 전단을 상승시켜 제1 삽입 레일홈(220)의 상측면으로 가압하여 체결한다.
제2 가압부(520)는, 제1 가압부(510)와 대향하면서 하부가 제1 삽입 레일홈(2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제2 삽입 레일홈(230)의 전단 하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제1 가압부(510)에 의해 상승되는 제1 결합체(P1)에 의해 상승되어 제2 삽입 레일홈(230)에 삽입되어 있는 제2 결합체(P2)의 전단을 상승시켜 제2 삽입 레일홈(230)의 상측면으로 가압하여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30)은, 주방용 프레임(200)에 삽입되어 있는 주방용 필터(300)와 덕트 체결구(400)가 사용 도중에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제1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가압부(510)는, 베이스 플레이트(511), 다수 개의 가이드 바아(512), 제1 지지 볼트부(513), 제2 지지 볼트부(514) 및 고정 볼트(51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가이드 바아(512)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삽입 레일홈(220)의 전단 하측에 안착된다.
다수 개의 가이드 바아(512)는,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하측에 직립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제1 삽입 레일홈(220)의 전단 하측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H1)에 안착되며, 가이드홈(H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511)가 회전하지 아니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한다.
제1 지지 볼트부(513)는, 제1 삽입 레일홈(220)의 전단 하측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볼트 안착홀(H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하단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볼트 안착홀(H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제2 지지 볼트부(514)는, 제1 지지 볼트부(513)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제1 지지 볼트부(513)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트 안착홈(H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상측이 제1 지지 볼트부(513)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지지 볼트부(513)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511)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지지 볼트부(514)의 상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511)와의 회전 연결을 위해 베어링 등의 회전 연결 장치(511a)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볼트(515)는, 볼트 안착홀(H2)의 상하 연장을 위해 프레임 바디(210)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턱(210a)의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볼트 안착홀(H2)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지지 볼트부(51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가압부(510)는, 충격 완충부(5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 완충부(516)는, 볼트 안착홈(H3)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제2 지지 볼트부(514)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설치홈(H4)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511)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제2 지지 볼트부(514)가 회전하면서 볼트 안착홈(H3)을 따라 하강할 경우 볼트 안착홈(H3)의 하측에 수용되어 제2 지지 볼트부(514)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유체(L)(예를 들어, 물 또는 오일 등)를 공급받아 신장되면서 볼트 안착홈(H3)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제2 지지 볼트부(514)를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가압부(510)는, 주방용 프레임(200)에 삽입되어 있는 주방용 필터(300)와 덕트 체결구(400)가 사용 도중에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방용 필터(300) 또는 덕트 체결구(4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충격 완충부(516)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100: 후드 하우징
200: 주방용 프레임
300: 주방용 필터
400: 덕트 체결구
500: 제1 가압 체결부
600: 제2 가압 체결부

Claims (5)

  1. 주방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는 환기 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되는 후드 하우징;
    일측 및 타측이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 하우징에 설치되는 주방용 프레임; 및
    상기 주방용 프레임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방용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주방용 프레임은,
    일측 및 타측이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ㄷ"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제1 결합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삽입 레일홈; 및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의 상측에 제2 결합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삽입 레일홈;을 포함하며,
    상기 주방용 프레임의 일측 전단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체와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를 동시에 체결하는 제1 가압 체결부; 및
    상기 주방용 프레임의 타측 전단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체와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를 동시에 체결하는 제2 가압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 체결부는,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결합체의 전단을 상승시켜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상측면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와 대향하면서 하부가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제1 결합체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체의 전단을 상승시켜 상기 제2 삽입 레일홈의 상측면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직립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회전하지 아니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바아;
    상기 제1 삽입 레일홈의 전단 하측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볼트 안착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하단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볼트 안착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지지 볼트부;
    상기 제1 지지 볼트부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지지 볼트부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트 안착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상측이 상기 제1 지지 볼트부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볼트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제2 지지 볼트부; 및
    상기 볼트 안착홀의 상하 연장을 위해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턱의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볼트 안착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지지 볼트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필터를 통과하여 상승되는 공기가 상기 덕트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주방용 프레임에서 상기 주방용 필터의 상측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방용 덕트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프레임은,
    상기 후드 하우징에 결합 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전단 상부가 상기 후드 하우징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필터는,
    상기 주방용 프레임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메시형 필터;를 포함하는,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5. 삭제
KR1020220069002A 2022-05-18 2022-06-07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KR10249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71A KR102491616B1 (ko) 2022-05-18 2022-06-07 주방용 후드 필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10 2022-05-18
KR20220060910 2022-05-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071A Division KR102491616B1 (ko) 2022-05-18 2022-06-07 주방용 후드 필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613B1 true KR102491613B1 (ko) 2023-01-26

Family

ID=8511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002A KR102491613B1 (ko) 2022-05-18 2022-06-07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6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542B1 (ko) 1998-12-17 2002-05-13 구자홍 후드겸용전자레인지용시로코팬의스크롤하우징
KR100424320B1 (ko) 1998-12-02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전자렌지의편심스크롤하우징을갖는시로코팬
KR200430068Y1 (ko) * 2006-08-21 2006-11-02 주용구 완충 볼트
KR20160003293U (ko) * 2015-03-17 2016-09-27 오동원 슬라이드 방식을 가지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후드 커버 및 그 후드 커버가 구비된 후드
CN110160103A (zh) * 2019-06-17 2019-08-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油烟机及具有油烟机的装置
KR102172664B1 (ko) * 2020-05-18 2020-11-02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20B1 (ko) 1998-12-02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전자렌지의편심스크롤하우징을갖는시로코팬
KR100323542B1 (ko) 1998-12-17 2002-05-13 구자홍 후드겸용전자레인지용시로코팬의스크롤하우징
KR200430068Y1 (ko) * 2006-08-21 2006-11-02 주용구 완충 볼트
KR20160003293U (ko) * 2015-03-17 2016-09-27 오동원 슬라이드 방식을 가지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후드 커버 및 그 후드 커버가 구비된 후드
CN110160103A (zh) * 2019-06-17 2019-08-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油烟机及具有油烟机的装置
KR102172664B1 (ko) * 2020-05-18 2020-11-02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주방후드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811B1 (ko) 주방용 세척식 천장 후드
US7383836B2 (en) Firepit with pivoting sliding door
US20060231553A1 (en) Retractable canopy range vent hood mounted below over-the-range microwave ovens
CN106439973A (zh) 一种能够进行拆卸的侧吸式双进风吊柜油烟机
US11944197B2 (en) Water spillage protection for table purifier
KR102491613B1 (ko) 주방용 각도 조절 가능한 후드 하우징 시스템
KR102491616B1 (ko) 주방용 후드 필터 시스템
CN208282196U (zh) 一种具有动板的吸油烟机
CN211977143U (zh) 一种厕所自动新风除臭系统
CN1420308A (zh) 分体式厨房灶具空调
CN105953276B (zh) 升降对接式的厨柜强制排烟装置
CN109780592A (zh) 一种吸油烟机
KR102474743B1 (ko) 측방차폐형 입식 배기후드
WO1999028680A1 (en) Hood for cooking areas
CN110939966A (zh) 一种带转动挡烟板的吸油烟机
JP3756396B2 (ja) 卓上型排煙具
KR100577097B1 (ko) 급배기 일체형 후드
CN2320934Y (zh) 带有净化空气功能的金属暖气装饰罩
CN218209748U (zh) 下排式油烟机
JP3949502B2 (ja) 無煙調理台
CN220556192U (zh) 一种油烟机
CN209733061U (zh) 一种通风消毒橱柜
CN207674530U (zh) 一种高效调节抽油烟机
CN219036756U (zh) 一种集成灶头部接油机构
TWI810022B (zh) 櫥櫃嵌入式抽油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