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641B1 -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 - Google Patents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2641B1 KR102172641B1 KR1020130124449A KR20130124449A KR102172641B1 KR 102172641 B1 KR102172641 B1 KR 102172641B1 KR 1020130124449 A KR1020130124449 A KR 1020130124449A KR 20130124449 A KR20130124449 A KR 20130124449A KR 102172641 B1 KR102172641 B1 KR 1021726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ilure
- tracking data
- data
- stored
- failure tra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3—Modular or univers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e.g. monitoring system having modules that may be combined to build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gacy systems; adaptable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는, 동작부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처리부; 및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과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맵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에 대하여도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복수개의 필터로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기능이나 상기 정수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몇가지 편의 기능(온수, 냉수 제공기능)만을 포함한 형태로 출시되었다. 하지만, 전자제어 기법 등이 발전하면서, 정수기에도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 내장되어,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자적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다만,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정수기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동작이상이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수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종래에는 직접 정수기를 분해하여 육안으로 고장여부를 확인하거나, 각종 시험장비를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정수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였으나, 이 경우 고장원인파악 및 조치에 많은 시간과 비요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에 대하여도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는, 동작부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처리부; 및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과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맵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기 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RAM(Random Access Memory)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저장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기 설정된 저장용량 내에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덮어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RAM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에 저장하며, 상기 RAM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 중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EEPROM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맵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된 EEPROM의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업데이트 주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반복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방법은, 제품의 내부에 구비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에 구비된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하는 고장추적데이터 생성단계;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RAM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에 구비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에 저장하는 고장감지단계; 및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 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맵 및 상기 EEPROM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 외부로 전송하는 고장추적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 생성단계는, 기 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RAM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저장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기 설정된 저장용량 내에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덮어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감지단계는,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RAM에 저장한 고장추적데이터 중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EEPROM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맵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된 EEPROM의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업데이트 주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반복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에 대하여도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고장발생여부 내지는 고장원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에 의하면, 제품 내부에서 고장여부 판단 및 고장원인 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유선 도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므로, 상기 제품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고장진단 및 조치가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의 메모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의 메모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는 측정부(10), 중앙처리부(20) 및 통신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는, 가정이나 회사 등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각종 전자제품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정수기, 공기 청정기, 에어컨 등의 실내 가전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장이력추적장치를 정수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정수기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입된 유체는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한 유체는 필터부(f)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f)는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오염물질 등을 여과하여 깨끗한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f)에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 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nano filter)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부(f)에 구비되는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상기 정수기의 여과방식 또는 상기 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f)에서 여과된 정수는 저장탱크(t)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에는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히터(h)로 상기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온수탱크, 냉각기(c)로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냉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나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생성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t)에 저장된 정수, 냉수 및 온수는 각각 정수밸브(V1), 냉수밸브(V2) 및 온수밸브(V3)의 개도량에 따라 공급량이 조절되어 사용자 등 외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로를 제어하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정수의 온도 및 상기 온수탱크에서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저장탱크(t)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도 상기 정수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히터(h), 냉각기(c), 얼음생성부, 살균수 생성부, 밸브(V1, V2, V3), 센서 등의 동작부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상기 정수기에 포함된 중앙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동작부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부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각의 동작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장치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는 상기 정수기에 구비된 RAM이나 EEPROM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수기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동작이상이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직접 정수기를 분해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각종 시험장비 등을 이용한 진단 등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의 이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실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의 단순변심이나, 감성불만, 단순반환시에도 고장으로 접수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상기 정수기에 대한 고장원인파악 및 조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의 고장원인에 대한 보다 신속, 정확한 확인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장치는 측정부(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부(10)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부의 동작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기에 포함된 각각의 동작부로부터 동작상태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동작상태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측정부(10)는 상기 히터(h)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히터(h)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주기 등을 상기 측정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밸브(V1)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정수밸브(V1)의 개도량을 상기 측정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0)는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유량센서의 출력값을 상기 측정데이터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10)는 상기 정수기 등의 제품에 대하여 별도로 구비되어 직접 상기 동작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품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센서 등의 구성을 상기 측정부(10)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앙처리부(20)는, 상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는, 상기 정수기 등의 제품에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이나 동작이상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측정데이터를 미리 선정하여, 기 설정된 포맷으로 정리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이용하면 상기 정수기의 고장발생여부 및 고장원인, 고장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포함된 측정데이터는 동일한 시점에 측정된 값일 수 있으며, 이후 기 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상기 측정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20)는, 먼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RAM(21, 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RAM에 할당된 저장영역 내에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 및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RAM(21)에 할당된 기 설정된 저장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기 설정된 저장용량 내에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덮어쓸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20)는 오래된 데이터부터 덮어쓰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는, 상기 측정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밸브, 유량센서 등의 동작이나,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공급주기 등의 측정데이터에 대하여는 매초마다 업데이트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온수의 온도나 냉수의 온도에 대하여는 매분마다 업데이트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수기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 간격이나 상기 측정데이터의 종류를 달리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업데이트 간격이 상이한 측정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생성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대하여는, 상기 RAM(21)에 저장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부(20)에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RAM(21)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EEPROM(22, 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RAM(21)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 중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EEPROM(22)으로 옮길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20)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에 있어서, 오류 발생 등의 고장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고장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고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측정데이터 중에서 상기 온수의 온도가 기 설정값 이상으로 지나치게 높게 측정되거나, 상기 히터(h)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과전류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정수기의 중앙제어장치에서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고장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정수기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20)는 상기 정수기에 포함된 중앙제어장치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정수기의 중앙제어장치를 상기 중앙처리부(20)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장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정수기의 동작은 중단되며 이 경우 상기 RAM(21)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를 상실하게 될 위험이 있다. 즉, 상기 RAM(21)의 특성상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RAM(21)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두 사라지게 되므로, 상기 고장신호가 발생하면 즉시 상기 RAM(21)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EEPROM(22)으로 복사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EEPROM(22)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후 상기 EERPOM(22)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고장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EEPROM(22)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비휘발성 메모리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EEPROM(22)에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되면, 이후 상기 정수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정수기 내부의 고장부위판단이나 고장원인파악 등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정수기의 종류는 다양하므로, 상기 정수기의 종류별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양식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정수, 냉수 및 온수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와 정수 및 얼음을 제공하는 정수기,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정수기 등은 각각의 측정데이터의 종류 및 개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도 각각의 정수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나아가,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 예를들어, 정수기, 공기청정기, 에어컨 등은 각각 상이한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할 것이 자명하다.
즉, 상기 정수기의 종류 내지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상이하게 되므로, 호환성의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정수기, 서로 다른 종류의 제품에 의하여 생성된 서로 다른 고장추적데이터에서 각각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정수기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먼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맵을 먼저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된 EEPROM(22)의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업데이트 주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반복주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맵을 먼저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포맷형식에 따라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2는 EEPROM(22)에 저장된 데이터맵 및 고장추적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의 좌측열은 상기 EEPROM(22)의 어드레스(address)를 나타내고, +0, +1, +2, +3, +4, +5, +6, +7은 각각 8bit 즉, 1byte의 저장공간을 나타낸다. 상기 어드레스의 "h"는 16진법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먼저, A영역에는 상기 데이터맵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A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맵을 이용하여, 상기 EEPROM(22)에 저장된 각각의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형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업데이트 주기 등에 따라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종류를 나눌 수 있으며, 상기 A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맵을 통하여, 각각의 종류에 따른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추적데이터의 업데이트 주기, 데이터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맵을 통하여 파악한 후,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포함된 측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A영역에 02 00 03 F8 00 3C 08 04 (h)가 입력된 경우에는, 시작 어드레스(Start Addr.)가 0200(H), 종료 어드레스(End Addr.)가 03F8(h), 샘플링 타임(Samp Time) 즉, 업데이트 주기는 003C(h)이고, 각 데이터 사이즈(D.Size)가 08(h), 각 데이터의 반복주기(D.Peri)가 04(h)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0200(h)부터 03F8(h) 사이 즉, B영역에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는 60(3*16+12)초마다 업데이트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포함된 각각의 측정데이터는 8bit 즉, 1byte의 크기를 가지며 4개의 측정데이터가 계속하여 업데이트되어 저장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영역에는 1분마다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4개의 측정데이터 Dm0, Dm1, Dm2, Dm3가 각각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Dm0는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Dm1, Dm2, Dm3는 각각 1byte의 크기를 가지는 측정데이터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A영역에 입력된 다른 데이터맵에 따라, C영역에는 다른 종류의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Ds0는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Ds1, Ds2, Ds3, Ds4, Ds5, Ds6, Ds7은 각각 1byte의 크기를 가지는 측정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8개의 측정데이터는 각각 1초단위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통신부(3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맵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맵과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이용하면 상기 EEPROM(22)에 저장된 상기 정수기의 측정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통신부(30)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맵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가 전송하는 고장추적데이터와 데이터맵은 별도의 분석단말(미도시) 등으로 전송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가 외부에 구비된 분석단말(미도시)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방법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방법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통신부(30)는 3G, 4G 등의 이동통신 규격을 활용하여 상기 분석단말과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방법은, 고장추적데이터 생성단계(S10), 고장감지단계(S20) 및 고장추적데이터 전송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장이력추적방법을 설명한다.
고장추적데이터 생성단계(S10)는, 제품의 내부에 구비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에 구비된 RAM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품에는 가정이나 회사 등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각종 전자제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정수기, 공기청정기, 에어컨 등의 실내가전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품의 내부에는 상기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품의 동작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장치가 측정하는 측정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고장추적데이터를 이용하면 상기 제품의 고장발생여부, 고장원인 등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는 기 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와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상기 RAM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RAM에는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용량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RAM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설정된 저장용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RAM의 저장용량의 범위내에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덮어쓸 수 있으며, 이때 오래된 데이터부터 덮어쓰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먼저 t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S11). 이후, 매초마다 업데이트하는 측정데이터에 대한 고장추적데이터인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S12), 상기 생성한 제1 데이터를 RAM에 저장할 수 있다(S13). 상기 t가 60미만이면(S14), 상기 t를 1만큼 증가시킨 후(S15), 상기 측정데이터를 업데이트한 제1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S12), 상기 RAM에 저장될 상기 제1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조절한 후 상기 업데이트된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13). 상기의 과정은 t가 60이 될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S14). 여기서, 상기 t가 60이 되면, 매분마다 업데이트하는 측정데이터에 대한 고장추적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S16), 상기 생성한 제2 데이터가 저장될 어드레스를 조절한 후,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RAM에 저장할 수 있다(S17). 따라서, 고장신호가 입력될 때까지(S18)까지 매초마다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S12, S13), 매분마다 상기 제2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S16, S17)하는 방식으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고장감지단계(S20)로 진행하며, 상기 RAM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에 구비된 EEPROM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RAM은 전원공급이 끊어지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들이 모두 지워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RAM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에 저장하여, 이후 제품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RAM에 저장한 고장추적데이터 중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EEPROM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고장추적데이터 전송단계(S30)를 통하여, 상기 EEPROM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는 분석단말 등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단말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고장여부, 고장원인 등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EEPROM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분석단말 등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와 함께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 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 맵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맵을 함께 전송하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고장추적데이터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02 00 03 F8 00 3C 08 04 (h)의 데이터맵이 입력된 경우에는, 시작 어드레스(Start Addr.)가 0200(H), 종료 어드레스(End Addr.)가 03F8(h), 샘플링 타임(Samp Time) 즉, 업데이트 주기는 003C(h)이고, 각 데이터 사이즈(D.Size)가 08(h) 및 각 데이터의 반복주기(D.Peri)가 04(h)에 해당함을 파악할 수 있다. 즉, 0200(h)부터 03F8(h) 사이에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는 60(3*16+12)초마다 업데이트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포함된 각각의 측정데이터는 8bit 즉, 1byte의 크기를 가지며 4개의 측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맵을 이용하면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고장발생여부 내지 고장원인 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전송단계(S30)는, 상기 유선통신방법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방법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측정부 20: 중앙처리부
30: 통신부 f: 필터부
t: 저장탱크 h: 히터
c: 냉각기 V1: 정수밸브
V2: 냉수밸브 V3: 온수밸브
S10: 고장추적데이터생성단계 S20: 고장감지단계
S30: 고장추적데이터전송단계
30: 통신부 f: 필터부
t: 저장탱크 h: 히터
c: 냉각기 V1: 정수밸브
V2: 냉수밸브 V3: 온수밸브
S10: 고장추적데이터생성단계 S20: 고장감지단계
S30: 고장추적데이터전송단계
Claims (8)
- 동작부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RAM(Random Access Memory)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통해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 중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부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맵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중앙처리부; 및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맵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고장이력추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RAM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저장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기 설정된 저장용량 내에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덮어쓰는 고장이력추적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RAM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EEPROM에 저장하는 고장이력추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맵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업데이트 주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반복주기를 포함하는 고장이력추적장치.
- 제품의 내부에 구비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에 대한 고장추적데이터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에 구비된 RAM(Random Access Memory)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고장추적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통해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RAM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 중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고장추적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제품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포맷 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맵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고장감지단계; 및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맵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상기 제품의 외부로 전송하는 고장추적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고장이력추적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RAM에 저장된 고장추적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저장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기 설정된 저장용량 내에서 상기 고장추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덮어쓰는 고장이력추적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하는 고장이력추적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맵은
상기 고장추적데이터가 저장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업데이트 주기,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고장추적데이터의 반복주기를 포함하는 고장이력추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4449A KR102172641B1 (ko) | 2013-10-18 | 2013-10-18 |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4449A KR102172641B1 (ko) | 2013-10-18 | 2013-10-18 |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5148A KR20150045148A (ko) | 2015-04-28 |
KR102172641B1 true KR102172641B1 (ko) | 2020-11-03 |
Family
ID=5303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4449A KR102172641B1 (ko) | 2013-10-18 | 2013-10-18 |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2641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7975A (ko) * | 2001-09-18 | 2003-04-08 | (주)누리텔레콤 | 원격검침용 무선모뎀 |
KR20090000057A (ko) * | 2006-12-21 | 2009-01-07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 |
KR20100127030A (ko) * | 2009-05-25 | 2010-12-03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정수기의 절전제어시스템 및 절전제어방법 |
JP2012532558A (ja) * | 2009-07-06 | 2012-12-13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家電機器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
-
2013
- 2013-10-18 KR KR1020130124449A patent/KR10217264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5148A (ko) | 2015-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33243B1 (en) | An air purifier filter system, an air purifi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purifier | |
DE602006004933D1 (de) | Entferntes Endgerät für programmierbare Steuerung | |
US20180270548A1 (en) |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EP2991689B1 (en) | Diffuse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on of spaces and surfaces | |
EP2752723A1 (en) | Field apparatus | |
JP2018513497A (ja) | ワイヤレス機器構成によるプロセス計装 | |
US20100261044A1 (en) |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charge, or remaining capacity, of a disposable or rechargeable battery | |
JPH0924209A (ja) | 記憶装置を備えたフィルタ | |
KR20180103295A (ko) |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 |
KR102634730B1 (ko) | 가전제품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
WO201501774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lifetime of a solenoid coil | |
JP2017217616A (ja) | フィルタのオンライン診断方法およびオンライン診断システム | |
KR102172641B1 (ko) | 고장이력추적장치 및 고장이력추적방법 | |
CN104330329A (zh) | 空气净化器滤材损耗程度的监测方法及装置 | |
EP4130686A1 (de) | Intelligentes messgerät | |
CN205639783U (zh) | 一种监控分析流体的自动电动阀门 | |
KR102364999B1 (ko) | 필터오염 측정기반 필터교체 시기 알람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사용한 필터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 |
EP2728796B1 (en) | Control method for a domestic device using a control kit, and control method for a water purifier using a control kit | |
KR20150139664A (ko) | 공기정화기 및 이의 필터교체시기 결정 방법 | |
WO2021058707A1 (de) | Verfahren und system zur nicht-elektrischen kommunikation bei wasseraufbereitungsanlagen oder medizingeräten | |
US20180179084A1 (en) | Auto diagnostic sensor based water purification system | |
WO2018009081A1 (en) |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regulation of physical parameters | |
JP2015185931A (ja) | 機器アダプタ、機器システム、及び起動制御方法 | |
JP2013174385A (ja) | 空気調和機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 | |
CN104950699A (zh) | 净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