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626B1 - 유압 펌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유압 펌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626B1
KR102172626B1 KR1020180165504A KR20180165504A KR102172626B1 KR 102172626 B1 KR102172626 B1 KR 102172626B1 KR 1020180165504 A KR1020180165504 A KR 1020180165504A KR 20180165504 A KR20180165504 A KR 20180165504A KR 102172626 B1 KR102172626 B1 KR 10217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ow path
control
control method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417A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8016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626B1/ko
Priority to CN201911317494.5A priority patent/CN111336080B/zh
Publication of KR2020007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6Control
    • F04B1/28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1/29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1/295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by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swash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1/141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145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64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6Control
    • F04B1/30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rotary cylinder blocks
    • F04B1/32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rotary cylinder block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1/324Control of machines or pumps with rotary cylinder block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by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swash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04B23/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the pumps being all of reciprocating positive-displacement typ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 어셈블리는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및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레귤레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귤레이터가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압력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 및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소경부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 가능한 제1 유로와 다른 압력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로 전달 가능한 제2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용 펌프 케이싱과,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사판을 갖는 유압 펌프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판을 움직이는 사판 구동 피스톤, 그리고 일영역은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및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밸브 블록과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영역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과 결합되며 상기 밸브 블록과 제1 유로를 연결하는 제3 유로 및 상기 밸브 블록과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4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용 밸브 케이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 펌프 어셈블리{HYDRAULIC PUMP ASSEMBLY}
본 발명은 유압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와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유압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 또는 산업 차량 등에는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레귤레이터와 같은 유량 제어 장치에 의해 토출 유량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에 각각 레귤레이터가 설치되고, 각 레귤레이터는 양쪽 유압 펌프의 마력의 합계가 한 쌍의 유압 펌프를 함께 구동하는 엔진의 마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양쪽 유압 펌프의 토출 압력에 따라 각 유압 펌프의 사판각을 제어한다. 특히, 유압 펌프의 입력 마력이 엔진의 출력을 초과하게 되면 엔진이 과부하로 정지되기 때문에 유압 펌프의 토출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하여야 한다.
또한, 근래에는 전자 제어 밸브를 사용한 레귤레이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전자 제어 밸브를 통해 유압 펌프의 토출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역에서의 유량 제어가 용이하고 토출 유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유압 펌프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구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유압 펌프의 제어 방식에는 전마력 제어 방식, 전자 유량 제어 방식, 및 전자 압력 제어 방식 등이 있다.
전마력 제어 방식은 유압 펌프의 토출 압력의 상승에 따라 유압 펌프의 사판각을 자동적으로 감소시켜 입력 토크(torque)를 일정 값 이하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사판각은 유압 펌프의 사판이 구동 샤프트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사판이 구동 샤프트에 대해 직각에 가깝게 세워질수록 유압 펌프의 토출 유량은 작아지고, 사판과 구동 샤프트 간의 교각이 작아질수록 유압 펌프의 토출 유량은 많아지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유압 펌프 각각의 마력을 합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은 제어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전자 제어 밸브를 통해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고, 파일럿 압력에 따라 유압 펌프의 사판각을 조절함으로써 유압 펌프의 토출 유량을 조절한다.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은 전기 신호에 따라 레귤레이터가 사판 구동 피스톤에 압력을 공급한다.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은 전자 유량 제어 방식과 달리 사판각을 피드백 받지 않고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어 방식은 유압 펌프가 장착되는 건설 기계의 종류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유압 펌프의 제어 방식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유압 펌프는 제어 방식이 고정되어 제어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유압 펌프를 전부 교체해야만 했다.
또한, 종래에는 유압 펌프의 제어 방식이 처음부터 결정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한번 제작된 유압 펌프를 다른 방식으로 변경할 수 없었다. 즉, 유압 펌프의 제어 방식이 많아질수록 생산성과 제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귤레이터를 교체하여 제어 방식을 변경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용화가 가능한 부품과 교체가 가능한 부품으로 구분하여 제작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 유압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펌프 어셈블리는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또는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와,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또는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과,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및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레귤레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귤레이터가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압력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 및 사판 구동 피스톤의 소경부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 가능한 제1 유로와 다른 압력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로 전달 가능한 제2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용 펌프 케이싱과,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사판을 갖는 유압 펌프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판을 움직이는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 그리고 일영역은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및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밸브 블록과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영역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과 결합되며, 상기 밸브 블록과 제1 유로를 연결하는 제3 유로 및 상기 밸브 블록과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4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용 밸브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 펌프와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유압 펌프 중 어느 한 유압 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자기 압력이라 하고, 한 쌍의 상기 유압 펌프 중 다른 유압 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상대 압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 압력을 상기 밸브 블록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5 유로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상대 압력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전달하기 위한 제6 유로 및 제7 유로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과 상기 공용 밸브 케이싱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유압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서보 압력을 생성하는 파일럿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는 마력 제어 스풀과,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컴펜세이터 피스톤, 그리고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입력 전류에 따라 상기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서보 압력과 상기 제5 유로를 통해 공급된 상기 자기 압력 중 더 큰 압력을 상기 제3 유로로 전달하는 셔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컴펜세이터 피스톤에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서보 압력과 상기 제5 유로를 통해 공급된 상기 자기 압력 중 더 큰 압력이 도입되고, 상기 제6 유로 및 상기 제7 유로를 통해 상대 압력이 도입되며,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제4 유로를 통해 상기 파일럿 압력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된 압력 제어 스풀과, 입력 전류에 따라 상기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생성한 파일럿 압력을 상기 압력 제어 스풀의 타단부에 공급하는 전자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3 유로와 연결하는 제1 블록 유로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4 유로와 연결하는 제2 블록 유로, 그리고 상기 제1 블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를 제3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류에 따라 상기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는 유량 제어 스풀과, 상기 파일럿 압력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파일럿 피스톤, 그리고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는 파일럿 제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3 유로와 연결하는 블록 유로와, 상기 블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를 제3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류에 따라 상기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서보 압력을 상기 전자 제어 밸브에 전달하기 위한 메인 제어 라인과,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는 유량 제어 스풀 및 마력 제어 스풀과, 상기 파일럿 압력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파일럿 피스톤과,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는 파일럿 제어 스프링과,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서보 압력이 도입되면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컴펜세이터 피스톤, 그리고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입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3 유로와 연결하는 블록 유로와, 상기 블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를 제3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체크 밸브, 그리고 상기 제4 유로와 연결된 비상 제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압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제어 라인과 상기 비상 제어 라인 중 어느 한 라인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서보 압력을 공급하는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밸브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상기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은 상기 메인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의 오작동 또는 동작 불능 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이 상기 비상 제어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펌프 어셈블리는 레귤레이터를 교체하여 제어 방식을 변경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용화가 가능한 부품과 교체가 가능한 부품으로 구분하여 제작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펌프 어셈블리에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와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펌프 어셈블리에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와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압 펌프 어셈블리에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와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압 펌프 어셈블리에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와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압 펌프 어셈블리가 비상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 어셈블리(10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 어셈블리(101)는 서로 상이한 제어 방식을 갖는 복수의 레귤레이터(200) 중 선택된 어느 한 레귤레이터(200),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밸브 블록(250) 중 선택된 어느 한 밸브 블록(250), 공용 펌프 케이싱(810), 유압 펌프(100), 사판 구동 피스톤(170), 및 공용 밸브 케이싱(850)을 포함한다.
유압 펌프(100)는 후술할 공용 펌프 케이싱(810)의 내부에 마련되며, 가변 용량형으로 토출 용량을 가변하기 위한 사판(150)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유압 펌프(1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유압 펌프(100)는 각각 동일한 제어 방식을 갖는 한 쌍의 레귤레이터(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서는 한 쌍의 유압 펌프(100) 중 1대의 유압 펌프(100)만을 도시하였고, 도시된 유압 펌프(100)의 토출 압력을 "자기 압력(Pd)", 다른 유압 펌프의 토출 압력을 "상대 압력(P2)"이라고 한다. 즉, 한 쌍의 유압 펌프(100) 중 어느 한 유압 펌프(100)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자기 압력(Pd)이라 하고, 한 쌍의 유압 펌프(100) 중 다른 유압 펌프(100)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상대 압력(P2)이라 한다.
사판 구동 피스톤(170)도 후술할 공용 펌프 케이싱(810)의 내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후술할 레귤레이터(200)의 제어에 따라 유압 펌프(100)의 사판을 움직인다.
파일럿 펌프(130)는 서보 압력(Psv)을 생성한다. 파일럿 펌프(130)도 후술할 공용 펌프 케이싱(8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한 쌍의 유압 펌프(100)와 함께 엔진(미도시)과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파일럿 펌프(130)는 한 쌍의 유압 펌프(100)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엔진에 의해 한 쌍의 유압 펌프(100)가 구동될 때, 파일럿 펌프(130)도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펌프(130)로는 기어 펌프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용 펌프 케이싱(810)은 한 쌍의 유압 펌프(100), 한 쌍의 사판 구동 피스톤(170), 및 파일럿 펌프(130)를 수용한다. 그리고 공용 펌프 케이싱(810)의 내부에는 여러 종류의 압력 신호를 전달하는 유로들(651, 652, 655, 65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압력 신호를 후술할 레귤레이터(200) 및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소경부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 가능한 제1 유로(651)와, 다른 압력 신호를 레귤레이터(200)로 전달 가능한 제2 유로(652)와, 자기 압력(Pd)을 후술할 밸브 블록(25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5 유로(655), 그리고 상대 압력(P2)을 레귤레이터(200)로 전달하기 위한 제6 유로(656)가 공용 펌프 케이싱(810)에 형성될 수 있다.
공용 밸브 케이싱(850)의 일영역은 후술할 밸브 블록(250)과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용 밸브 케이싱(850)의 타영역은 공용 펌프 케이싱(810)과 결합된다. 그리고 공용 밸브 케이싱(850)의 내부에도 여러 종류의 압력 신호를 전달하는 유로들(653, 654, 657)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밸브 블록(250)과 공용 펌프 케이싱(810)의 제1 유로(651)를 연결하는 제3 유로(653)과, 밸브 블록(250)과 공용 펌프 케이싱(810)의 제2 유로(652)를 연결하는 제4 유로(654), 그리고 상대 압력(P2)을 레귤레이터(200)로 전달하기 위해 공용 펌프 케이싱(810)의 제6 유로(656)와 연결된 제7 유로(657)가 공용 밸브 케이싱(850)에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제어 방식을 갖는 복수의 레귤레이터(200)는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1),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2),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3), 및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4)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1),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2),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3), 및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4)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귤레이터(200)가 공용 펌프 케이싱(810)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밸브 블록(250)은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1),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2),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3), 또는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4)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유압 펌프 어셈블리(101)는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1),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2),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3), 및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4)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밸브 블록(250)과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용 밸브 케이싱(8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레귤레이터(200) 중에서,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1)는 마력 제어 스풀(312), 컴펜세이터(compensator) 피스톤(370), 마력 제어 스프링(340), 마력 제어 슬리브(322), 및 피브백 레버9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밸브 블록 중에서,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1)은 전자 제어 밸브(500)와 셔틀 밸브9760)를 포함한다.
마력 제어 스풀(312)은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함으로써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동작을 제어한다는 것은 사판(150)의 각도를 조절하여 유압 펌프(100)의 토출 유량을 조절한다는 의미가 된다.
전자 제어 밸브(500)는 입력 전류에 따라 서보 압력(Psv)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Pi)을 생성한다.
셔틀 밸브(760)는 서보 압력(Psv)과 제5 유로(655)를 통해 공급된 자기 압력(Pd) 중 더 큰 압력을 제3 유로(653)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 압력은 제1 유로(651)를 거쳐 마력 제어 스풀(312)과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소경부로 향하게 된다.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은 파일럿 압력(Pi)에 따라 마력 제어 스풀(312)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마력 제어 스풀(312)을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는 서보 압력(Psv)과 제5 유로(655)를 통해 공급된 자기 압력(Pd) 중 더 큰 압력이 제1 유로(651)를 통해 도입되고, 제6 유로(656) 및 제7 유로(657)를 통해 상대 압력(P2)이 도입되며, 제2 유로(652) 및 제4 유로(654)를 통해 파일럿 압력(Pi)이 도입된다.
마력 제어 스프링(340)은 마력 제어 스풀(312)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한다. 이때, 마력 제어 스프링(340)을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함으로써, 유량의 변화에 따라 도중에 기울기가 변화하는 마력 제어선을 등마력선에 근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 도입된 파일럿 압력(Pi)을 포함한 여러 압력과 마력 제어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마력 제어 스풀(312)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전자 제어 밸브(500)를 통해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 도입되는 압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유압 펌프(100)의 마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마력 제어 슬리브(322)는 마력 제어 스풀(312)을 감싸며 마력 제어 스풀(312)과의 상대 위치로 가변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피브백 레버(200)는 마력 제어 슬리브(322)를 사판 구동 피스톤(170)과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사판(150)의 각도를 피드백시킬 수 있다. 즉, 사판 구동 피스톤(170)이 이동하면 피드백 레버(180)가 움직이면서 마력 제어 슬리브(32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판(150)의 각도에 따라 마력 제어 슬리브(322)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레귤레이터(200) 중에서,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2)는 압력 제어 스풀(380)과 전자 제어 밸브(500)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밸브 블록(250) 중에서,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2)은 제1 블록 유로(671), 제2 블록 유로(672), 및 체크 밸브(770)를 포함한다.
압력 제어 스풀(380)은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며 일단부가 제2 유로(652)와 연결된다.
전자 제어 밸브(500)는 입력 전류에 따라 서보 압력(Psv)을 변환시켜 생성한 파일럿 압력(Pi)을 압력 제어 스풀(380)의 타단부에 공급한다.
제1 블록 유로(671)는 제5 유로(655)를 제3 유로(653)와 연결한다. 제3 유로(653)는 제1 유로(651)와 연결되며, 제1 블록 유로(671)를 통과한 서보 압력(Psv)은 제1 유로(651)를 따라 이동하여 압력 제어 스풀(380)과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소경부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체크 밸브(770)는 제1 블록 유로(671)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가 제3 유로(653)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한다.
제2 블록 유로(672)는 제5 유로(655)를 제4 유로(654)와 연결한다. 제4 유로(654)는 제2 유로(652)와 연결되며, 제2 블록 유로(672)를 통과한 서보 압력(Psv)은 제2 유로(652)를 따라 압력 제어 스풀(380)의 일단부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 제어 밸브(500)에 입력 전류가 증가하여 전자 제어 밸브(500)가 생성하는 파일럿 압력(Pi)이 커지면,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대경부에 유입되는 작동유가 증가하면서 유압 펌프의 토출 유량이 증가된다.
한편, 전자 압력 제어 방식에서는 피드백 레버(180)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압력 제어 방식에서는 상대 압력(P2)이 사용되지 않으며, 이에 제6 유로(656)와 제7 유로(657)도 사용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레귤레이터(200) 중에서,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3)는 전자 제어 밸브(500), 유량 제어 스풀(311), 파일럿 피스톤(350), 파일럿 제어 스프링(330), 유량 제어 슬리브(321), 및 피드백 레버(180)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밸브 블록(250) 중에서,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3)은 블록 유로(680)와 체크 밸브(780)를 포함한다.
블록 유로(680)는 제5 유로(655)를 제3 유로(653)와 연결한다. 제3 유로(653)는 제1 유로(651)와 연결되며, 블록 유로(680)를 통과한 서보 압력(Psv)은 제1 유로(651)를 따라 이동하여 압력 제어 스풀(380)과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소경부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체크 밸브(780)는 블록 유로(680)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가 제3 유로(653)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한다.
전자 제어 밸브(500)는 입력 전류에 따라 서보 압력(Psv)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Pi)을 생성한다. 유량 제어 스풀(311)은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한다. 파일럿 피스톤(350)은 파일럿 압력(Pi)에 따라 유량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한다. 그리고 파일럿 제어 스프링(330)은 유량 제어 스풀(311)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한다.
따라서, 전자 제어 밸브(500)의 입력 전류가 커지면 파일럿 피스톤(350)에 도입되는 파일럿 압력(Pi)이 증가하고, 파일럿 압력(Pi)에 따라 파일럿 피스톤(350)이 유량 제어 스풀(311)을 이동시키면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가 증가하면서, 유압 펌프(100)의 토출 유량이 증가된다.
유량 제어 슬리브(321)는 유량 제어 스풀(311)을 감싸며 유량 제어 스풀(311)과의 상대 위치로 가변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피브백 레버(200)는 유량 제어 슬리브(321)를 사판 구동 피스톤(170)과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사판(150)의 각도를 피드백시킬 수 있다. 즉, 사판 구동 피스톤(170)이 이동하면 피드백 레버(180)가 움직이면서 유량 제어 슬리브(321)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판(150)의 각도에 따라 유량 제어 슬리브(321)의 위치가 결정된다.
한편, 전자 유량 제어 방식에서는 상대 압력(P2)이 사용되지 않으며, 이에 제6 유로(656)와 제7 유로(657)도 사용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레귤레이터(200) 중에서,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204)는 전자 제어 밸브(500), 유량 제어 스풀(311), 파일럿 피스톤(350), 파일럿 제어 스프링(330), 유량 제어 슬리브(321), 마력 제어 스풀(312), 컴펜세이터 피스톤(370), 마력 제어 스프링(340), 마력 제어 슬리브(322), 메인 제어 라인(610), 및 피드백 레버(180)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복수의 밸브 블록(250) 중에서,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253)은 블록 유로(690)와, 체크 밸브(790), 그리고 비상 제어 라인(620)을 포함한다.
또한, 유압 펌프 어셈블리(101)는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제어 스풀(311)과 마력 제어 스풀(312)은 각각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함으로써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량 제어 스풀(311)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동작을 제어하고, 마력 제어 스풀(312)은 비상시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시라 함은 전자 제어 밸브(500)의 오작동 또는 동작 불능 상태를 포함한 전기 전자 계통의 고장을 의미한다.
유량 제어 스풀(311)은 파일럿 압력(Pi)에 따라 이동하여 사판 구동 피스톤(170)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유량 제어 방식에서는 전자 제어 밸브(500)가 서보 압력(Psv)를 변환시켜 생성한 파일럿 압력(Pi)에 의해 유량 제어 스풀(311)이 제어된다. 여기서, 서보 압력(Psv)를 1차 압력이라고도 하며, 파일럿 압력(Pi)를 2차 압력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제어 밸브(500)는 입력 전류가 커지면 서보 압력(Psv)을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파일럿 압력(Pi)으로 변환시키고, 입력 전류가 작아지면 서보 압력(Psv)을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의 파일럿 압력(Pi)으로 변환시킨다. 즉, 전자 제어 밸브(500)의 입력 전류가 변화되면, 이에 따라 파일럿 압력(Pi)이 변화하게 되고 유압 펌프(100)의 토출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마력 제어 스풀(312)은 서보 압력(Psv)과 유압 펌프(100)의 상대 압력(P2)에 따라 이동하여 사판 구동 피스톤(170)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한다. 유압 펌프(100)의 토출 압력, 즉 상대 압력(P2)이 상승하면 마력 제어 스풀(312)이 이동하여 사판 구동 피스톤(170)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함으로써 유압 펌프(100)의 사판(150)의 경전각을 감소시켜 유압 펌프(150)의 입력 토크(torque)를 일정 값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파일럿 피스톤(350)에 전자 제어 밸브(500)가 생성한 파일럿 압력(Pi)이 도입되면, 파일럿 피스톤(350)은 유량 제어 스풀(311)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파일럿 피스톤(350)은 파일럿 압력(Pi)에 따라 유량 제어 스풀(311)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유량 제어 스풀(31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파일럿 제어 스프링(330)은 유량 제어 스풀(311)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한다. 따라서, 파일럿 압력(Pi)이 파일럿 제어 스프링(330)의 탄성력보다 커지면 파일럿 피스톤(350)이 유량 제어 스풀(311)을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파일럿 압력(Pi)이 파일럿 제어 스프링(330)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면 유량 제어 스풀(311)은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전자 제어 밸브(500)가 파일럿 피스톤(350)에 도입되는 파일럿 압력(Pi)을 상승시키면, 유량 제어 스풀(311)이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대경구 공급되는 작동유를 증가시키게 되고, 결국 유압 펌프(100)의 토출 유량이 증가된다.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 파일럿 펌프(130)가 생성한 서보 압력(Psv)이 도입되면 마력 제어 스풀(312)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는 파일럿 펌프(130)의 서보 압력(Psv)과 유압 펌프(100)의 상대 압력(P2)이 도입되며, 이 힘으로 마력 제어 스풀(312)의 일단부를 가압한다. 그리고 마력 제어 스프링(340)은 마력 제어 스풀(312)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한다. 이와 같이,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 도입되는 파일럿 펌프(130)의 서보 압력(Psv)과 유압 펌프(100)의 상대 압력(P2) 그리고 마력 제어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마력 제어 스풀(312)의 위치가 결정된다.
메인 제어 라인(610)은 파일럿 펌프(130)가 생성한 서보 압력(Psv)을 전자 제어 밸브(500)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비상 제어 라인(620)은 파일럿 펌프(130)가 생성한 서보 압력(Psv)을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은 메인 제어 라인(610)과 비상 제어 라인(620) 중 어느 한 라인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파일럿 펌프(130)가 생성한 서보 압력(Psv)을 공급한다.
일례로, 메인 제어 라인(610)과 비상 제어 라인(620)의 단부에는 연결 포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의 단부는 호스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의 단부를 메인 제어 라인(610)과 비상 제어 라인(6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 포트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 포트는 마개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의 단부를 다른 연결 포트로 바꾸어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밸브(500)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은 메인 제어 라인(610)과 연결된다. 따라서, 서보 압력(Psv)이 전자 제어 밸브(500)에 공급되고, 전자 제어 밸브(500)는 파일럿 피스톤(350)에 파일럿 압력(Pi)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압 펌프(100)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전자 제어 밸브(500)에 입력되는 전류가 증가할수록 사판각이 증가되면서 유압 펌프(100)의 토출 유량은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사판각은 유압 펌프(100)의 사판(150)이 구동 샤프트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사판(150)이 구동 샤프트에 대해 직각에 가깝게 세워질수록 유압 펌프(100)의 토출 유량은 작아지고, 사판(150)과 구동 샤프트 간의 교각이 작아질수록 유압 펌프(100)의 토출 유량은 많아지게 된다.
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밸브(500)의 오작동 또는 동작 불능 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이 비상 제어 라인(6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자 제어 밸브(500)가 고장나거나 전기 전자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여 유압 펌프(100)가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서보 압력 공급 라인(630)을 메인 제어 라인(6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비상 제어 라인(620)에 대신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비상 제어 라인(620)을 통해 서보 압력(Psv)이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 공급되고,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이 마력 제어 스풀(312)을 이동시키면서, 유압 펌프(100)에 대한 마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즉, 유압 펌프(100)의 토출 압력의 상승에 따라 유압 펌프(100)의 사판각을 자동적으로 감소시켜 입력 토크(torque)를 일정 값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시동이 멈추지 않고 유압 펌프(10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유압 펌프(100)가 장착된 건설 기계를 정비 가능 구역으로 이동시키거나 긴급한 작업을 지속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컴펜세이터 피스톤(370)에 서보 압력(Psv)이 도입되면, 파일럿 피스톤(350)에도 서보 압력(Psv)이 도입되어 파일럿 피스톤(350)이 유량 제어 스풀(311)를 사판 구동 피스톤(170)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압력인 서보 압력(Psv)은 2차 압력인 파일럿 압력(Pi)보다 큰 압력을 가지므로, 서보 압력(Psv)이 바로 파일럿 피스톤(350)에 작용하면, 파일럿 피스톤(350)이 유량 제어 스풀(311)을 강하게 밀어 끝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유량 제어 슬리브(321)는 유량 제어 스풀(311)을 감싸며 유량 제어 스풀(311)과의 상대 위치로 가변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마력 제어 슬리브(322)는 마력 제어 스풀(312)을 감싸며 마력 제어 스풀(312)과의 상대 위치로 가변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피브백 레버(200)는 유량 제어 슬리브(321)와 마력 제어 슬리브(322)를 사판 구동 피스톤(170)과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사판(150)의 각도를 피드백시킬 수 있다. 즉, 사판 구동 피스톤(170)이 이동하면 피드백 레버(180)가 움직이면서 유량 제어 슬리브(321) 및 마력 제어 슬리브(32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판(150)의 각도에 따라 유량 제어 슬리브(321) 및 마력 제어 슬리브(322)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펌프 어셈블리(101)는 레귤레이터(200)를 교체하여 제어 방식을 변경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용화가 가능한 부품과 교체가 가능한 부품으로 구분하여 제작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귤레이터(200)와 밸브 블록(250)만 교체하면 유압 펌프 어셈블리(101)의 제어 방식을 변경할 수 있으며, 공용 펌프 케이싱(810)과, 공용 밸브 케이싱(850), 그리고 공용 펌프 케이싱(810)과 공용 밸브 케이싱(820) 내부에 설치된 구성들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유압 펌프
130: 파일럿 펌프
150: 사판
170: 사판 구동 피스톤
180: 피드백 레버
200: 레귤레이터
201: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202: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203: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204: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250: 밸브 블록
251: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252: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253: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254: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311: 유량 제어 스풀
312: 마력 제어 스풀
321: 유량 제어 슬리브
322: 마력 제어 슬리브
330: 파일럿 제어 스프링
340: 마력 제어 스프링
350: 파일럿 피스톤
370: 컴펜세이터 피스톤
500: 전자 제어 밸브
610: 메인 제어 라인
620: 비상 제어 라인
630: 서보 압력 공급 라인
651: 제1 유로
652: 제2 유로
653: 제3 유로
654: 제4 유로
655: 제5 유로
656: 제6 유로
657: 제7 유로
671: 제1 블록 유로
672: 제2 블록 유로
680, 690: 블록 유로
760: 셔틀 밸브
770, 780, 790: 체크 밸브

Claims (7)

  1.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또는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와;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또는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과;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 및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레귤레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귤레이터가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압력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 및 사판 구동 피스톤의 소경부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 가능한 제1 유로와 다른 압력 신호를 상기 레귤레이터로 전달 가능한 제2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용 펌프 케이싱과;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사판을 갖는 유압 펌프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판을 움직이는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 그리고
    일영역은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및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밸브 블록과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영역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과 결합되며, 상기 밸브 블록과 제1 유로를 연결하는 제3 유로 및 상기 밸브 블록과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제4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용 밸브 케이싱
    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류에 따라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서보 압력을 상기 전자 제어 밸브에 전달하기 위한 메인 제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상기 제4 유로와 연결된 비상 제어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 라인과 상기 비상 제어 라인 중 어느 한 라인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서보 압력을 공급하는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상기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은 상기 메인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의 오작동 또는 동작 불능 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이 상기 비상 제어 라인에 연결되되,
    상기 메인 제어 라인과 상기 비상 제어 라인의 단부에는 연결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의 단부는 호스로 마련되며, 상기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의 단부를 상기 메인 제어 라인과 상기 비상 제어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 포트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 포트는 마개로 밀폐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서보 압력 공급 라인의 단부가 다른 연결 포트로 바뀌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와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유압 펌프 중 어느 한 유압 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자기 압력이라 하고, 한 쌍의 상기 유압 펌프 중 다른 유압 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상대 압력이라 하며,
    상기 자기 압력을 상기 밸브 블록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5 유로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상대 압력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전달하기 위한 제6 유로 및 제7 유로가 상기 공용 펌프 케이싱과 상기 공용 밸브 케이싱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펌프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서보 압력을 생성하는 파일럿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는 마력 제어 스풀과;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컴펜세이터 피스톤; 그리고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전마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입력 전류에 따라 상기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서보 압력과 상기 제5 유로를 통해 공급된 상기 자기 압력 중 더 큰 압력을 상기 제3 유로로 전달하는 셔틀 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컴펜세이터 피스톤에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서보 압력과 상기 제5 유로를 통해 공급된 상기 자기 압력 중 더 큰 압력이 도입되고, 상기 제6 유로 및 상기 제7 유로를 통해 상대 압력이 도입되며, 상기 제2 유로 및 상기 제4 유로를 통해 상기 파일럿 압력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유로와 연결된 압력 제어 스풀과;
    입력 전류에 따라 상기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생성한 파일럿 압력을 상기 압력 제어 스풀의 타단부에 공급하는 전자 제어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압력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3 유로와 연결하는 제1 블록 유로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4 유로와 연결하는 제2 블록 유로; 그리고
    상기 제1 블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를 제3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체크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류에 따라 상기 서보 압력을 변환시켜 파일럿 압력을 생성하는 전자 제어 밸브와;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는 유량 제어 스풀과;
    상기 파일럿 압력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파일럿 피스톤; 그리고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는 파일럿 제어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3 유로와 연결하는 블록 유로와;
    상기 블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를 제3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체크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의 레귤레이터는,
    상기 사판 구동 피스톤의 대경부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절하는 유량 제어 스풀 및 마력 제어 스풀과;
    상기 파일럿 압력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파일럿 피스톤과;
    상기 유량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는 파일럿 제어 스프링과;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서보 압력이 도입되면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컴펜세이터 피스톤; 그리고
    상기 마력 제어 스풀의 타단부를 탄성 가입하는 마력 제어 스프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구동 기능을 갖는 전자 유량 제어 방식용 밸브 블록은,
    상기 제5 유로를 상기 제3 유로와 연결하는 블록 유로와;
    상기 블록 유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유를 제3 유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체크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 어셈블리.
  7. 삭제
KR1020180165504A 2018-12-19 2018-12-19 유압 펌프 어셈블리 KR10217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04A KR102172626B1 (ko) 2018-12-19 2018-12-19 유압 펌프 어셈블리
CN201911317494.5A CN111336080B (zh) 2018-12-19 2019-12-19 液压泵总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04A KR102172626B1 (ko) 2018-12-19 2018-12-19 유압 펌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17A KR20200076417A (ko) 2020-06-29
KR102172626B1 true KR102172626B1 (ko) 2020-11-02

Family

ID=7118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504A KR102172626B1 (ko) 2018-12-19 2018-12-19 유압 펌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2626B1 (ko)
CN (1) CN1113360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35A (ko) * 2020-12-03 2022-06-10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유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6689A (ja) * 2015-08-07 2017-02-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圧駆動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5240A (en) * 1969-05-16 1971-12-07 Bendix Corp Hydraulic booster system
US3665809A (en) * 1970-08-19 1972-05-30 Abex Corp Multiple channel redundant control system
JP2504470Y2 (ja) * 1987-12-25 1996-07-1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ポンプの制御装置
JP3611615B2 (ja) * 1994-12-29 2005-01-19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電気制御ポンプ
JP4460539B2 (ja) * 2006-01-26 2010-05-12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複合型ポンプ設備
CN200952456Y (zh) * 2006-08-29 2007-09-26 陕西航天动力高科技股份有限公司 轴向变量柱塞泵
KR101124943B1 (ko) * 2006-11-30 2012-03-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 유압펌프 최대유량 제어장치
KR101186496B1 (ko) * 2010-12-28 2012-09-27 주식회사 두산 비상장치가 구비된 펌프 유량 제어장치
JP6088396B2 (ja) * 2013-10-15 2017-03-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圧駆動システム
KR101510397B1 (ko) * 2014-11-12 2015-04-09 정옥희 사판식 유압펌프용 레귤레이터
CN106122141B (zh) * 2016-05-31 2018-04-03 上海人豪液压技术有限公司 采用模块化可配组插装阀rhcv组合的电液控制终端
CN208057548U (zh) * 2018-04-16 2018-11-06 旭孚(北京)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液压动力站、液压驱动系统和集热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6689A (ja) * 2015-08-07 2017-02-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圧駆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17A (ko) 2020-06-29
CN111336080A (zh) 2020-06-26
CN111336080B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54451B (zh) 用于可移动的做功机械的布置结构的液压的控制布置结构和可移动的做功机械的布置结构
KR101683317B1 (ko) 중장비의 유압 펌프 제어 장치
KR101210733B1 (ko) 굴삭기의 유압펌프용 레귤레이터
JP2011256814A (ja) 建設機械のポンプ吐出量制御回路
CN104976172A (zh) 可切换的静液压调节装置
JP2005265062A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CN105971951A (zh) 油压驱动系统
KR102172626B1 (ko) 유압 펌프 어셈블리
JP6757238B2 (ja) 油圧駆動システム
CN105545850A (zh) 一种负载敏感功能阀及其多路阀、液压系统、小型挖掘机
CN104314784B (zh) 一种集成于液压泵壳体内的功率控制机构
CN103291597A (zh) 可调节的液压泵
KR102198503B1 (ko) 유압 펌프 유량 제어 시스템
KR101533115B1 (ko) 건설기계 유압펌프의 선택 유량 제어장치
CN111356851B (zh) 用于液压轴向位移机的控制系统
JP4851857B2 (ja) ポンプ流量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6698359B2 (ja) フェールセーフ付油圧システム
KR102257416B1 (ko) 밸브 디바이스
CN111336079B (zh) 液压泵用调节器
KR20110074388A (ko) 건설기계의 유압회로
CN108644169A (zh) 集成优先速度控制的高压自动控制装置
JP4033849B2 (ja)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制御装置
JP7200385B2 (ja) 可変容量形油圧ポンプセット及びショベル
JP2016011633A (ja) フェールセーフ付油圧駆動システム
WO2013042192A1 (ja) 建設機械のポンプ吐出量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