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187B1 -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187B1
KR102172187B1 KR1020140109486A KR20140109486A KR102172187B1 KR 102172187 B1 KR102172187 B1 KR 102172187B1 KR 1020140109486 A KR1020140109486 A KR 1020140109486A KR 20140109486 A KR20140109486 A KR 20140109486A KR 102172187 B1 KR102172187 B1 KR 10217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radiating
polarization
omni antenna
element ar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302A (ko
Inventor
문영찬
최오석
김인호
양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4010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187B1/ko
Priority to CN201580044964.9A priority patent/CN106688141B/zh
Priority to JP2017510475A priority patent/JP6400839B2/ja
Priority to PCT/KR2015/007548 priority patent/WO2016027997A1/ko
Publication of KR2016002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302A/ko
Priority to US15/438,397 priority patent/US10355342B2/en
Priority to US16/429,675 priority patent/US10910700B2/en
Priority to KR1020200136016A priority patent/KR102293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01Q21/205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cover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6Turnstile or like antennas comprising arrangements of three or more elongated elements disposed radially and symmetrically in a horizontal plane about a common cent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18Vertical disposition of th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에 있어서; 수평면 상에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어, 각각 빔을 방사하는 복수의 방사소자와; 복수의 방사소자의 각각으로 급전 신호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두 개의 방사암을 가지는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와, 두 개의 방사암을 가지는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결합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PCS, Cellular, CDMA, GSM, LTE 등)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이나 중계국에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옴니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무지향성(Non-directional) 안테나라고 불리는, 옴니 안테나는 수평방향으로 360도 전체방향으로 고르게 전자파가 방사되도록 설계되는 안테나를 뜻한다.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특성상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원형의 모노폴(mono-pole) 안테나 구조를 채용한 옴니 안테나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지국이나 중계국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통상 3섹터로 분할된 각 서비스 범위를 지향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가 설치된다.
최근,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건물 내부 등과 같은 음영지역의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서, 또한,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해 소형 셀(small Cell) 또는 초소형 셀 장비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아웃도어(outdoor)용 소형 셀은 0.5 ~ 1.5km의 커버리지(coverage)에서 서비스 되며, 장비 자체의 사이즈도 소형을 요구하므로, 해당 장비에 적용되는 안테나는 옴니 안테나를 채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옴니 안테나는 단일편파(V-pol)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LTE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기술이 필연적이며, 이를 위해 복편파 안테나가 반드시 필요하다. 옴니 안테나에서, 기존에 복편파라고 하면 수평 편파(H-pol; 0도), 수직 편파(V-pol; 90도)를 말한다.
그러나 이중편파(+/-45도)가 페이딩에 의해 전파의 반사 또는 회절에 두 편파간에 상관도가 가장 낮아서, 통상 기지국이나 중계국에 적용되는 지향성 안테나는 이중편파(+/-45)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옴니 안테나에서도 +/-45도 이중편파를 발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전방향(Omni-direction)의 고른 방사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45도 이중편파를 발생하기 위한 구조를 구현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였다. 더욱이, +/-45도 이중편파를 발생하는 것과 더불어, 건물 내부 등과 같이 소형 셀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옴니 안테나의 사이즈를 소형으로 구현하는 것을 고려할 경우에, 이는 더욱 어려운 과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전방향(Omni-direction) 방사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45도 또는 -45도 편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5도 이중편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이즈를 소형으로 구현하면서 +/-45도 이중편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에 있어서; 수평면 상에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어, 각각 빔을 방사하는 복수의 방사소자와;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의 각각으로 급전 신호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두 개의 방사암을 가지는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와, 두 개의 방사암을 가지는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결합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 Printed Circuit Board)을 이용하여 패턴 인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들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원통형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사암이 해당 방사소자의 중심에 위치에서 각각 서로 연결되거나,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또는 일측 방사암이 해당 방사소자의 중심에 위치에서 각각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패턴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가 연결되는 부위들에 동시에 급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에 있어서; 수평면 상에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어, 각각 빔을 방사하는 복수의 방사소자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으로 급전 신호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들의 각각의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두 개의 방사암을 가지는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와, 두 개의 방사암을 가지는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결합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사암이 해당 방사소자의 중심에 위치에서 각각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1 타입 방사소자들로 구성되거나,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또는 일측 방사암이 해당 방사소자의 중심에 위치에서 각각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2 타입 방사소자들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패턴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가 연결되는 부위들에 동시에 급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들은,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 Printed Circuit Board)을 이용하여 패턴 인쇄 방식으로 동시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는,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로 구성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가 형성되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원통형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는, 상기 제1 타입 방사소자들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어레이와, 상기 제2 타입 방사소자들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어레이의 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는, 제1 내지 제4 방사소자어레이가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방사소자어레이는 상기 제1 타입 또는 제2타입 방사소자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방사소자어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방사소자어레이와는 다른 타입의 방사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으로 급전 신호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상기 급전부는,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별로 급전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급전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급전기판 각각은, 기판내층과; 상기 기판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대응되는 방사소자어레이에 형성된 복수의 방사소자에 각각 커플링 방식으로 급전하기 위한 복수의 커플링급전패턴을 가지는 급전패턴과; 상기 기판내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지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급전기판 각각은, 복수의 급전선로를 통해 급전되며; 다른 급전기판(들)으로 급전하는 급전선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지나가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통로가 관통 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지가는 급전선로는 상기 접지패턴과 솔더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는, 우수한 전방향 방사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45도 이중편파를 발생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전체 안테나 사이즈를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의 개략적인 분리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일 방사소자의 제1 타입 구조도
도 3은 도 1의 일 방사소자의 제2 타입 구조도
도 4는 도 1의 옴니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옴니 안테나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방사소자어레이들 간의 편파 방향의 조합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5의 일 방사소자어레이의 상세 사시도
도 9는 도 5의 일 방사소자어레이의 전개 평면도
도 10은 도 5의 다른 방사소자어레이의 전개 평면도
도 11은 도 5의 일 방사소자어레이에 적용되는 급전기판의 평면도
도 12는 도 12의 급전기판의 배면도
도 13은 도 5의 다른 방사소자어레이에 적용되는 급전기판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급전기판의 배면도
도 15는 도 5의 옴니 안테나의 급전기판들에 대한 급전선로의 연결 구조도
도 16 내지 도 19는 도 5의 옴니 안테나의 방사 특성들을 나타낸 그래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어레이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의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의 개략적인 분리 구조도이며, 도2는 도 1의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 각각의 제1 타입에 따른 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예를 들어, 3개의 방사소자, 즉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 11-1, 11-2, 11-3)의 조합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의 방사패턴(110)은 각각 두 개의 방사암(radiating arm)(110b, 110d)을 가지는 수평 편파용(H-pol) 다이폴 방사부와, 두 개의 방사암(110a, 110c)을 가지는 수직 편파용(V-pol) 다이폴 방사부의 결합 구조를 가진다. 이때, 각각의 방사소자(11)에서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0d)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0a)이 방사소자(110)의 중심에 위치하는 급전점(P)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서로 연결되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0b)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0c)이 상기 급전점(P)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0d)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0a)이 페어(pair)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되고,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0b)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0c)이 페어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됨을 알 수 있다.
각 방사소자(11)로 급전 신호를 제공하는 급전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 방사소자(11)의 급전점(P)은 급전선로(예를 들어, 도1의 참조번호 14)와 연결되어 급전되는데, 급전점(P)을 통해,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패턴의 일측 방사암(110d)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0a)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와,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0b)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0c)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동시에 급전되도록 설계된다.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 각각의 방사 패턴들은 얇은 금속 판(예를 들어, 동판)을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 Printed Circuit Board)(122)을 이용하여 패턴 인쇄 방식을 통한 회로 패턴(patter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들(11)이 F-PCB에 구현된 기술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들은 PCB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휘어진 동판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F-PCB 대신에 일반적인 평판(flat) PCB를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복수의 방사소자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각 평판(flat) PC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의 구조는 소형화된 보우타이(bow tie) 형태의 수평 편파용 다이폴 안테나와, 보우타이 형태의 수직 편파용 다이폴 안테나를 결합하여 예를 들어, +45도 방향의 편파를 발생하는 (제1타입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와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를 서로 대칭으로 설계하여, 정확한 +45도(또는 -45도) 편파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각 방사소자(11)의 제2 타입에 따른 구조가 도시되고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제2 타입의 구조에 따른 각 방사소자(11)의 방사패턴(11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마찬가지로, 각각 두 개의 방사암(113b, 113d)을 가지는 수평 편파용(H-pol) 다이폴 방사부와, 두 개의 방사암(113a, 113c)을 가지는 수직 편파용(V-pol) 다이폴 방사부의 결합 구조를 가진다.
이때, 각각의 방사소자에서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3d)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c)이 방사소자(113)의 중심에 위치하는 급전점(P)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서로 연결되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b)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c)이 상기 급전점(P)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3d)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c)이 페어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되고,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b)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c)이 페어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됨을 알 수 있다.
이때 급전점(P)을 통해,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패턴의 일측 방사암(113d)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c)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와,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113b)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113a)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동시에 급전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구조는 -45도 방향의 편파를 발생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로 제1 내지 제4 방사소자의 방사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요구되는 +45도 또는 -45도 편파를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각의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를 상호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를 구성하는데, 수평면 상 한 기준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에 따라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가 전체 360도 수평면 상에서 120도 각도의 동일한 각도로 서로 등을 마주대고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빔을 방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의 각 급전점(P)은 하나의 급전선로(14)에서 1/3으로 분배된 신호를 각각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통상적인 안테나 구조와 마찬가지로, 옴니 안테나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 레이돔 구조 등을 포함하는 케이스(미도시)와, 각 방사소자(11)들 및 급전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물(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장비들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2와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4개의 방사암들은 서로 대칭형 구조로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방사암들이 서로 대칭형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을 경우에는, 방사암들이 비대칭 구조일 때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다이폴 방사부의 진폭(amplitude), 위상(phase) 등을 조절하는 시뮬레이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도 용이하다.
도 4는 도 1의 옴니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3차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매우 우수한 전방향(Omni-direction) 방사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의 구성에서,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를 도2에 도시된 제1 타입의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는 옴니 안테나는 전체적으로 +45도 편파를 발생하며, 제1 내지 제3 방사소자(11)를 도3에 도시된 제2 타입의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는 옴니 안테나는 전체적으로 -45도 편파를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의 방사소자들을 모두 사용하여 +/-45도 이중편파를 발생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방사소자들로 구성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옴니 안테나 구조와, 제2 타입의 방사소자들로 구성한 옴니 안테나 구조들을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옴니 안테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옴니 안테나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방사소자어레이들 간의 편파 방향의 조합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옴니 안테나 구조가 복수개 조합된 구조를 가진다. 복수개 조합되는 옴니 안테나 구조 각각을 이하 '방사소자어레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제1 내지 제4 방사소자어레이(21, 22, 23, 24)가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방사소자어레이(21, 22)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2 타입의 방사소자들로 구성되어 -45도 편파를 전방향으로 발생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방사소자어레이(23, 2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타입의 방사소자들로 구성되어 +45도 편파를 전방향으로 발생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방사소자어레이(21, 22)에서 발생되는 -45도 편파와, 제3 및 제4 방사소자어레이(23, 24)에서 발생되는 +45도 편파가 서로 조합되어, 전체적으로 +/-45도의 이중편파를 발생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도 편파들 간의 격리도(Isolation)를 높이기 위해 동일 편파를 가진 방사소자어레이들끼리 서로 묶어서 인접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들(예를 들어, 제2 및 제3방사소자어레이)간의 이격 거리(S)는 커질수록 격리도 특성이 향상된다. 하지만 안테나의 소형화 등을 위해 이격 거리(S)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격 거리(S)에 영향을 주는 몇 가지 요인이 있는데, 각 방사소자어레이의 방사 빔 폭이 감소하면 방사소자어레이 간에 간섭이 감소하고 이격 거리(S)도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S)는 방사소자어레이들의 수가 증가하면 그에 반비례한다.
또한, 동일 편파 방사소자어레이들(예를 들어, 제1 및 제2방사소자어레이, 또는 제3 및 제4방사소자어레이)간의 이격 거리(g)는 사이드로브(sidelobe) 특성 및 이득(gain)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이격 거리(g)는 처리 주파수 대비 약 0.75 ~ 0.8λ(λ: 파장)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g)는 이득과 사이드로브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이격 거리(g)가 작을수록 사이드로브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옴니 안테나를 좀 더 소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일 편파를 가지는 방사소자어레이들 간에는 보다 높은 격리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평면 상에서 상대적으로 약 60도의 차이를 가지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사소자어레이(21)에 배치된 방사소자들이 수평면에서, 0도, 120도, 240도를 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설치될 경우에, 제2 방사소자어레이(22)에 배치된 각 방사소자들은 예를 들어, 60도, 180도, 300도를 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가 구성될 수 있는데,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가 통상적인 안테나 구조와 유사하게, 옴니 안테나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로서 상부 캡(28)과, 하부 캡(29)을 구비하며, 또한, 상부 캡(28)과 하부 캡(29) 사이에서 방사소자어레이들을 감싸는 레이돔(27)을 구비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방사소자어레이들을 지지하는 복수, 예를 들어 전파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질(플라스틱, 테플론 등)의 제1 내지 제3 지지대(261, 262, 263)를 구비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이외에도 각 방사소자어레이들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 구조 및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장비들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일 방사소자어레이, 예를 들어 제3 방사소자어레이(23)의 상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의 일 방사소자어레이, 예를 들어 제3 방사소자어레이(23)의 전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5의 다른 방사소자어레이, 예를 들어 제1 방사소자어레이(2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5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방사소자어레이(21-24)는 각각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232 또는 212) 상에 복수개 예를 들어, 3개의 방사소자(23-1, 23-2, 23-3, 또는 21-1, 21-2, 21-3)가 패턴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어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해당하는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3개의 방사소자(23-1, 23-2, 23-3, 또는 21-1, 21-2, 21-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232 또는 212)은 이후 원통형으로 둥글게 말리고, 서로 접하게 되는 양 측면이 서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232 또는 212)에 설치되는 방사소자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전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구조의 급전기판(예를 들어, 도 8의 33)들을 통해 각각 급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급전기판은 연성인쇄회로기판(232, 212)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연성인쇄회로기판(232, 212)은 원형의 급전기판을 감싸는 형태로 둥글게 말려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연성인쇄회로기판(232 또는 212)에서, 각각의 방사소자(23-1, 23-2, 23-3, 또는 21-1, 21-2, 21-3) 별로,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두 개의 방사암에는 급전 지점과 인접하는 부위에 각각 관통홀(235 또는 2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전기판(예를 들어, 도 8의 33)에는 이러한 관통홀(235, 215)들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되는 크기로 각각 돌출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연성인쇄회로기판(232, 212)이 급전기판을 감싸는 형태로 둥글게 말려서 설치될 경우에, 상기 관통홀(235, 215)에 급전기판의 상기 돌출부(a)가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서 일점쇄선을 표시한 원 영역 A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232)의 관통홀(235)을 통해 급전기판(33)의 돌출부(a)가 끼워진 형태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고 있다. 이때, 급전기판(33)은 에폭시 등의 재질의 기판내층(330)의 하부면에 (상기 돌출부a까지 연장되는) 접지패턴(334)이 형성되며, 돌출부(a)가 연성인쇄회로기판(232)의 관통홀(235)에 끼워진 상태에서 b 부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후 솔더링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연성인쇄회로기판(232)과 급전기판(33)을 더욱 안정되게 고정하며, 이와 더불어, 연성인쇄회로기판(232)의 각 관통홀(235) 부위에 형성된 각 방사소자(23-1, 23-2, 23-3)의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패턴(230)과 급전기판(33)의 접지패턴(33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구성에서 명확해 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에서는, 각 연성인쇄회로기판(232 또는212)에서, 각각의 방사소자(23-1, 23-2, 23-3, 또는 21-1, 21-2, 21-3)가 형성되며, 이후 각 연성인쇄회로기판(232 또는 212)이 둥글게 말려진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방사소자(23-1, 23-2, 23-3, 또는 21-1, 21-2, 21-3) 전체적으로 완전한 평면이 아니라, 좌우 가장자리에 비해 가운데 부위가 볼록한 곡면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방사소자어레이 및 이에 따른 옴니 안테나의 전체 가로방향 사이즈를 가장 줄일 수 있는 설계가 가능하게 하며, 더욱이, 각 방사소자(23-1, 23-2, 23-3, 또는 21-1, 21-2, 21-3)에서 방사되는 방사 빔의 조합이 최적화되어 최적의 전방향 방사 특성을 갖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일 방사소자어레이, 예를 들어 제3 방사소자어레이(23)에 적용되는 제1 타입의 급전기판(33)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도 5의 다른 방사소자어레이, 예를 들어 제1 방사소자어레이(21)에 적용되는 제2 타입의 급전기판(31)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각 방사소자어레이들로 급전 신호를 제공하는 급전부의 구성으로서, 급전기판(33 또는 3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1 타입의 급전기판(33)은 에폭시 재질 등으로 구성되는 기판내층(330)과; 기판내층(330)의 상면에 형성되는 급전패턴(332: 232-1, 232-2, 232-3)과; 기판내층(3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지패턴(334)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타입의 급전 기판(33)에는 복수의 지지대(예를 들어, 도 5, 도 6의 261, 262, 263)가 관통되며,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h11, h12, h13)이 형성되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전선로(들)가 지나가기 위한 복수의 연결통로(h21, h22, h23)가 적절한 위치에 관통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급전패턴(332: 332-1, 332-2, 332-3)은 대응되는 방사소자어레이(23)에 형성된 3개의 방사소자에 각각 커플링 방식으로 급전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커플링급전패턴(332-2, 332-1, 332-3)을 가진다. 제1 내지 제3 커플링급전패턴(332-2, 332-1, 332-3)은 급전기판(33)과 방사소자어레이(23)가 결합되는 돌출부(a)에서 해당 방사소자어레이의(23) 각 방사소자들로 커플링 방식으로 급전하기 위한 패턴을 가진다. 제1 내지 제3 커플링급전패턴(332-2, 332-1, 332-3)은 급전기판(33)의 중앙에 형성되는 하나의 급전점(P)으로부터 급전신호를 각각 분배받는 구조로 패턴이 형성된다. 급전점(P)은 동축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는 급전선로(예를 들어, 43)를 통해 급전신호를 제공받게 구성된다.
도 1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원 영역 A에는 급전기판(33)과 급전선로(43)의 연결 구조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고 있는데, 급전기판(33)의 하부에서 급전선로(43)에 연결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로 구성되는 급전선로(43)의 내부도체(432)는 급전점(P) 지점에 형성되는 관통홀(h1)을 통해서 삽입되어 급전기판(33)을 관통하고, 급전기판(33)의 상면의 급전패턴(332)과 연결된다. 이때 급전선로(43)의 외부도체(434)는 급전기판(33)의 하면의 접지패턴(334)과 연결된다. 이후 급전기판(33)의 상면에서 급전패턴(332)과 급전선로(43)의 내부도체(332)와 솔더링되며, 급전기판(33)의 하면에서 접지패턴(334)과 급전선로(43)의 외부도체(434)가 솔더링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제2 타입의 급전기판(31)이 도시되고 있는데, 제2 타입의 급전기판(31)은 상기 제1 타입의 급전기판(33)과 마찬가지로, 기판내층(310)과; 기판내층(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급전패턴(312: 312-1, 312-2, 312-3)과; 기판내층(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지패턴(314)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지지대가 관통되며,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h11, h12, h13)과, 복수의 급전선로가 지나가기 위한 복수의 연결통로(h21, h22, h23)가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다.
급전패턴(312: 312-1, 312-2, 312-3)은 대응되는 방사소자어레이(21)에 형성된 3개의 방사소자에 각각 커플링 방식으로 급전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커플링급전패턴(312-2, 312-1, 312-3)을 가진다. 제1 내지 제3 커플링급전패턴(312-2, 312-1, 312-3)은 급전기판(31)의 중앙에 형성되는 하나의 급전점(P)으로부터 급전신호를 각각 분배받는 구조로 패턴이 형성된다. 급전점(P)은 동축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는 급전선로를 통해 급전신호를 제공받게 구성된다.
이때, 제2 타입의 급전기판(31)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커플링급전패턴(312-1, 312-2, 312-3)은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급전기판(33)에 형성되는 패턴과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제2 타입의 급전기판(31)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커플링급전패턴(312-2, 312-1, 312-3)은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급전기판(33)에 형성되는 패턴에 비해 신호 커플링 부위에서 급전 신호의 진행 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형성된다.
도 15는 도 5의 옴니 안테나의 급전기판들에 대한 급전선로의 연결 구조도로서, 4개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급전기판(31, 32, 33, 34)들이 상측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급전기판(31, 32, 33, 34)은 각각 제1 내지 제4 급전선로(41, 42, 43, 44)에 의해 급전된다. 이때, 제1 및 제2 급전선로(41, 42)는 제1 공통 급전선로(40-1)로부터 제1 분배기(52)를 통해 분배된 신호를 각각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급전선로(43, 44)는 제2 공통 급전선로(40-2)로부터 제2분배기(54)를 통해 분배된 신호를 각각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각 급전선로(41-44)들 중에서 다른 급전기판 부위를 지나가는 급전선로들(도 15의 예에서는, 41, 43, 40-1)은 각 급전기판(31-34)에 형성된 연결통로(h2: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4의 h21, h22, h23)를 통과하도록 설계된다. 도 15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원 영역 A에는 예를 들어 제2 급전기판(32)의 연결통로(h2)를 통해 제1 급전선로(41)가 지나가는 구조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고 있다. 이때, 동축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는 제1 급전선로(41)(의 외부도체)는 제2 급전기판(32)의 하면에 형성된 접지패턴(324)과 솔더링된다. 마찬가지로, 각 급전기판의 연결통로를 통해 지나가는 급전선로들은 해당 급전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접지패턴과 솔더링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급전선로에 해당하는 동축케이블의 케이블 접지와, 각 급전기판의 접지가 상호 솔더링되어, 접지 특성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각 급전기판과 연결되는 급전선로의 길이는 각 방사소자어레이에서 방사되는 빔의 위상을 맞추기 위해 예를 들어, 동일하게 설계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분배기(52)와 연결되는 제1 급전선로(41)와 제2 급전선로(42)의 길이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급전기판(31)과 제2급전기판(32)은 동일한 타입의 급전기판을 사용하여 위상이 동일하므로 두 기판 간에 위상차는 없다. 만약 상기 제1 타입의 급전기판과 제2타입의 급전기판은 해당 급전패턴의 차이에 따라 서로 간의 급전 신호가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구조를 갖는다면 각 방사소자어레이에 설치되는 급전기판의 타입을 적절히 달리 설계하여, 어느 한쪽의 급전기판과 연결되는 급전선로의 길이를 180도의 위상차이와 대응되게 상당한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줄어드는 급전선로의 길이는 파장, 유전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급전선로(41)가 100mm인 경우 제2급전선로(42)는 2GHz에서 60mm, 2.6GHz에서 40mm 등으로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급전선로의 구성은 종래 다수의 급전 케이블들이 복잡하게 연결되는 점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를 설계하는데 구조적 편리성이 향상되고 케이블에 따른 전력 손실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소형경량화의 목적에도 부합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도 5의 옴니 안테나의 방사 특성들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6은 옴니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17은 수직방향의 방사 특성을 나타내며, 도 18 및 도 19는 수평방향의 방사 특성을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전방향 방사 특성이 매우 우수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18 및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 방사 패턴에서 수평방향의 리플(ripple) 특성이 설계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2.5GHz, 2.6GHz, 2.7GHz)에서 약 0.2dB로서, 매우 우수한 방사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는 옴니 안테나 또는 방사소자어레이들이 세개의 방사소자들로 형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방사소자어레이 및 옴니 안테나의 사이즈를 최소화 하고자 하기 위한 구성이다. 만약, 방사소자어레이 및 옴니 안테나의 설계시에 사이즈 제약이 크지 않다면, 방사소자들을 네 개 이상 조합하여 하나의 방사소자어레이 또는 옴니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방사소자를 두 개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안테나 사용 환경에 따라 방사소자 수를 변환하여 설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주파 대역에서 방사 파이에 비례하여 커지는 리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방사소자를 줄이고 저주파 대역에서는 방사소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방사소자가 형성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원통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면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방사소자어레이(25)는 3개의 방사소자(25-1, 25-2, 25-3)가 연성인쇄회로기판(251)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는데, 이때, 연성인쇄회로기판(251)은 예를 들어 삼각 기둥 형태로 접혀서, 각 측면에 각각의 방사소자(25-1, 25-2, 25-3)가 하나씩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옴니안테나 또는 하나의 방사소자어레이를 형성하는 방사소자들이 모두 +45도 편파를 발생하는 제1 타입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45도 편파를 발생하는 제2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제1 타입 및 제2 타입의 방사소자들이 섞인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사소자어레이는 +45도 편파를 발생하는 제1 타입의 방사소자와 -45도 편파를 발생하는 제2 타입의 방사소자들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방사소자어레이가 4개가 조합되는 구조를 개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방사소자어레이가 2개 또는 6개 이상 조합되는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옴니 안테나는 동일 편파를 가지는 방사소자어레이들끼리 서로 묶어서 인접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45도 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와 -45도 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각 방사소자의 4개의 방사암들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대칭형 구조로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4개의 방사암들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소자의 방사패턴(110')의 구조는, 마찬가지로, 두 개의 방사암(110d', 110b')을 가지는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와, 두 개의 방사암(110a', 110c')을 가지는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결합 구조를 가진다. 이때,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110d', 110b')과,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110a', 110c')은 상호 동일한 형상이 아닌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이때,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두 개의 방사암(110d', 110b')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두 개의 방사암(110a', 110c')도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에 있어서,
    수평면상 한 기준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각도에 따라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각 빔을 방사하는 복수의 방사소자와;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의 각각으로 급전 신호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급전부
    를 구비한 방사소자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두 개의 방사암(radiating arm)을 갖는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와, 두 개의 방사암을 갖는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의 방사패턴은,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이 페어(pair)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이 페어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되는 제1 타입 또는,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이 페어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타측 방사암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일측 방사암이 페어를 이루어 일체로 마련되는 제2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어레이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 각각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 Printed Circuit Board)을 이용하여 패턴(pattern)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들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연속 배치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다면체 형태 또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에 동시에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과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페어로 마련된 수평 편파용 방사부의 방사암과 수직 편파용 방사부의 방사암은 상호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은 상호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수직 편파용 다이폴 방사부의 방사암들은 상호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의 개수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는, 제1편파 및 제2편파를 발생하는 적어도2개 이상이 수직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며, 편파 방향이 다른 방사소자어레이들이 수직방향으로 극성이 상호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파 방향이 다른 방사소자어레이들 사이의 거리는 방사소자어레이 수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는, 제1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들과 제2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들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으로 급전 신호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상기 급전부는,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마다 급전 신호를 제공하는 급전패턴을 구비한 복수의 급전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급전기판은
    상기 급전패턴의 차이에 의해 급전 신호가 상호 위상차를 갖는 제1타입과 제2타입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타입과 제2타입의 급전기판들은 동일 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들에 교호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는, 제1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들과 제2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들로 구성되며,
    동일 편파를 발생하는 방사소자어레이들은 수평면 상에서 상호간 미리 지정된 각도의 차이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각도는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 각각으로 급전 신호를 분배하여 제공하는 상기 급전부는, 상기 복수의 방사소자어레이마다 급전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급전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급전기판 각각은,
    기판내층과;
    상기 기판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대응되는 방사소자어레이에 형성된 복수의 방사소자에 각각 커플링 방식으로 급전하기 위한 복수의 커플링 급전패턴을 가지는 급전패턴과;
    상기 기판내층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지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급전기판 각각은,
    복수의 급전선로를 통해 급전되며;
    다른 급전기판(들)으로 급전하는 급전선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지나가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통로가 관통 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지나가는 급전선로는 상기 접지패턴과 솔더링됨을 특징으로 하는 옴니 안테나.
KR1020140109486A 2014-08-22 2014-08-22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KR10217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486A KR102172187B1 (ko) 2014-08-22 2014-08-22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CN201580044964.9A CN106688141B (zh) 2014-08-22 2015-07-21 移动通信服务用全向天线
JP2017510475A JP6400839B2 (ja) 2014-08-22 2015-07-21 移動通信サービス用オムニアンテナ
PCT/KR2015/007548 WO2016027997A1 (ko) 2014-08-22 2015-07-21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US15/438,397 US10355342B2 (en) 2014-08-22 2017-02-21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16/429,675 US10910700B2 (en) 2014-08-22 2019-06-03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KR1020200136016A KR102293354B1 (ko) 2014-08-22 2020-10-20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486A KR102172187B1 (ko) 2014-08-22 2014-08-22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016A Division KR102293354B1 (ko) 2014-08-22 2020-10-20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302A KR20160023302A (ko) 2016-03-03
KR102172187B1 true KR102172187B1 (ko) 2020-10-30

Family

ID=5535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486A KR102172187B1 (ko) 2014-08-22 2014-08-22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355342B2 (ko)
JP (1) JP6400839B2 (ko)
KR (1) KR102172187B1 (ko)
CN (1) CN106688141B (ko)
WO (1) WO2016027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187B1 (ko) * 2014-08-22 2020-10-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KR102633242B1 (ko) 2017-02-28 2024-02-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이중편파 옴니 안테나
EP3462542B1 (en) * 2017-10-02 2021-05-19 Nokia Shanghai Bell Co. Ltd. Antenna and method of assembly of such antenna
TWI682583B (zh) * 2017-11-30 2020-01-11 財團法人金屬工業研究發展中心 利用非輻射耦合邊實現隔離之多天線系統
CN109962338A (zh) * 2017-12-25 2019-07-02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利用非辐射耦合边实现隔离的多天线系统
CN108832270A (zh) * 2018-05-08 2018-11-16 深圳市通用测试系统有限公司 双频双极化全向天线
CN109411878A (zh) * 2018-10-18 2019-03-01 漆宏 天线的辐射单元和具有其的阵列天线
US11876309B2 (en) 2018-11-12 2024-01-16 Nec Platforms, Lt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forming method
WO2020200465A1 (en) * 2019-04-04 2020-10-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tenna element
KR20200117557A (ko) * 2019-04-04 2020-10-14 에코캡 주식회사 다면 절곡의 메탈피시비를 갖는 엘이디램프 및 그 제조방법
CN113381169B (zh) * 2020-02-25 2024-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以及雷达系统
CN114256601B (zh) * 2020-09-19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天线模组和电子设备
WO2023092294A1 (zh) * 2021-11-23 2023-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单元、天线及天馈系统
US11901624B1 (en) 2022-10-06 2024-02-13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Wideband high-gain omnidirectional biconical antenna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019A (en) * 1976-04-02 1977-12-06 Rca Corporation Low cost linear/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R2583226B1 (fr) * 1985-06-10 1988-03-25 France Etat Antenne omnidirectionnelle cylindrique
US5986610A (en) * 1995-10-11 1999-11-16 Miron; Douglas B. Volume-loaded short dipole antenna
US5872547A (en) * 1996-07-16 1999-02-16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Conical omni-directional coverage multibeam antenna with parasitic elements
US5903826A (en) * 1996-12-06 1999-05-11 Northern Telecom Limited Extremely high frequency multipoint fixed-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11284433A (ja) * 1998-03-30 1999-10-15 Apricot:Kk アンテナ装置
JPH11330850A (ja) * 1998-05-12 1999-11-30 Harada Ind Co Ltd 円偏波クロスダイポールアンテナ
US6366254B1 (en) * 2000-03-15 2002-04-02 Hrl Laboratories, Llc Planar antenna with switched beam diversity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a mobile environment
US6693595B2 (en) * 2002-04-25 2004-02-17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Cylindrical double-layer microstrip array antenna
US6879291B2 (en) * 2003-03-04 2005-04-12 Nortel Networks Limited Offsetting patch antennas on an ominidirectional multi-facetted array to allow space for an interconnection board
CN100336269C (zh) * 2004-07-28 2007-09-05 西安海天天线科技股份有限公司 四极化六扇区阵列全向天线
US7880683B2 (en) * 2004-08-18 2011-02-01 Ruckus Wireless, Inc. Antennas with polarization diversity
US7522095B1 (en) * 2005-07-15 2009-04-2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olygonal cylinder array antenna
JP2009044207A (ja) * 2007-08-06 2009-02-26 Ykc:Kk 広帯域アンテナ
JP2009159225A (ja) * 2007-12-26 200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アンテナ装置
US7701384B2 (en) * 2008-04-08 2010-04-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ntenna system for a micro air vehicle
CN101546869B (zh) * 2009-04-23 2012-08-29 上海交通大学 用于td-scdma基站的偶极子阵列天线
US8325101B2 (en) * 2009-08-03 2012-12-04 Venti Group, LLC Cross-dipole antenna configurations
US20170149145A1 (en) * 2009-08-03 2017-05-25 Venti Group Llc Cross-Dipole Antenna Configurations
US8427385B2 (en) 2009-08-03 2013-04-23 Venti Group, LLC Cross-dipole antenna
US8558749B2 (en) * 2010-04-28 2013-10-15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duplexers in transmit/receive phased array antennas
FR2960710B1 (fr) 2010-05-28 2013-08-23 Alcatel Lucent Element rayonnant a double polarisation d'antenne multibande
KR101111578B1 (ko) * 2010-06-08 2012-02-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중편파 양방향성 안테나
US8736504B1 (en) * 2010-09-29 2014-05-27 Rockwell Collins, Inc. Phase center coincident, dual-polarization BAVA radiating elements for UWB ESA apertures
KR101872460B1 (ko) * 2011-01-27 2018-06-29 갈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광대역 이중 편파 안테나
JP2012191501A (ja) * 2011-03-11 2012-10-04 Harada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US10548132B2 (en) * 2011-08-17 2020-01-28 Skyline Partners Technology Llc Radio with antenna array and multiple RF bands
JP5721073B2 (ja) * 2011-08-26 2015-05-20 株式会社Nttドコモ アンテナ
KR101315546B1 (ko) * 2011-09-01 2013-10-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물질 이중 대역 전방향성 원형편파 안테나
KR20130035052A (ko)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감마누 병렬급전 방식의 가변틸트 옴니안테나
CN102723577B (zh) * 2012-05-18 2014-08-13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宽频带环状双极化辐射单元及阵列天线
US9276329B2 (en) * 2012-11-22 2016-03-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Ultra-wideband dual-band cellular basestation antenna
US9711871B2 (en) * 2013-09-11 2017-07-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High-band radiators with extended-length feed stalks suitable for basestation antennas
CN103811857B (zh) * 2014-01-21 2017-01-11 盛宇百祺(南京)通信技术有限公司 垂直极化全向天线和具有其的4g双极化全向吸顶天线
KR101551567B1 (ko) * 2014-03-12 2015-09-10 한국과학기술원 초소형 셀 기지국용 다중 대역, 이중 편파, 이중 빔 스위치 안테나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10074910B1 (en) * 2014-08-01 2018-09-11 Rockwell Collins, Inc. Switchable X band communication panel
KR102172187B1 (ko) * 2014-08-22 2020-10-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US9831559B2 (en) * 2015-08-04 2017-11-28 Rockwell Collins, Inc. Low-profile blanket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0550A1 (en) 2017-06-15
KR20160023302A (ko) 2016-03-03
US20190296423A1 (en) 2019-09-26
JP2017528986A (ja) 2017-09-28
CN106688141B (zh) 2021-07-20
US10355342B2 (en) 2019-07-16
US10910700B2 (en) 2021-02-02
JP6400839B2 (ja) 2018-10-03
CN106688141A (zh) 2017-05-17
WO2016027997A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187B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US20220085520A1 (en) Multi-Band Access Point Antenna Array
KR102633242B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이중편파 옴니 안테나
US20100007573A1 (en) Multibeam antenna
US20100328173A1 (en) Single feed planar dual-polarization multi-loop element antenna
KR101541374B1 (ko) 다중대역 다이폴 안테나 및 시스템
US11374331B1 (en) Base station antenna including Fabrey-Perot cavities
KR20150087171A (ko)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KR102293354B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옴니 안테나
JP2004104682A (ja) アンテナ装置
Sonkki et al. Dual polarized dual fed Vivaldi antenna for cellular base station operating at 1.7–2.7 GHz
KR101686903B1 (ko)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시스템
KR102016014B1 (ko) 전방위 방사 안테나
KR102016013B1 (ko) 전방위 방사 안테나
US11018423B2 (en)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39601B1 (ko) 무지향성 방사체를 갖는 빔 성형 안테나 장치
KR101517773B1 (ko)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시스템
KR20190117965A (ko) 밀리미터파용 균일 원형 배열 안테나
JP2012039305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