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484B1 -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484B1
KR102171484B1 KR1020190061537A KR20190061537A KR102171484B1 KR 102171484 B1 KR102171484 B1 KR 102171484B1 KR 1020190061537 A KR1020190061537 A KR 1020190061537A KR 20190061537 A KR20190061537 A KR 20190061537A KR 102171484 B1 KR102171484 B1 KR 10217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linth
foam body
seated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건설
Priority to KR102019006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공포가 개시되는 것으로, 고전 한옥의 공포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구비되는 콘크리트공포체에 의해 한 몸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포체를 구비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현장에서 가공하여 조립 시공함에 따른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비용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공포를 현장이 아닌 제조공장에서 직접 제조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manufacture method of sectional gong-po for korean house and sectional gong-po}
본 발명은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찰이나 고전한옥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로 공포를 제조하여 공포의 설치성 향상은 물론 공포의 제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포는 건물 지붕의 무게를 분산 혹은 집중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완충적 기능을 하기도 하고 내부공간을 확장시키며 건물을 높여 웅장한 멋을 낼 뿐 아니라, 그 구성과 공작이 섬세하고 화려하여 장식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공포는, 놓여지는 위치와 결합 방법에 따라 주심포 양식, 다포 양식, 익공 양식으로 분류되며, 사찰 또는 한옥에 따라 그 형상 모양 및 크기 높이 등은 다양하다.
주심포 양식은 공포가 기둥 위에만 짜이는 양식이고, 기둥 사이에는 창방이라는 횡부재가 기둥머리를 파고 놓여지며, 창방의 중앙에는 화반이나 포벽이 구성된다.
다포 양식은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 놓여지는 매우 화려한 모습을 가지는 양식으로 지붕의 무게가 기둥뿐만 아니라 벽을 통하여도 전달되므로 기둥머리를 연결하는 횡부재인 창방만으로는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워 창방 위에 평방이라는 횡부재를 하나 더 올려놓고 그 위에 공포를 구성한다.
익공 양식은 기둥 위의 밖으로는 쇠서의 형태로 그리고 안으로는 보아지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부재를 기둥머리에 맞물리게 끼우고 그 위에 주두, 두공과 쇠서를 짜서 공포를 꾸미는 형식으로 익공은 놓여지는 쇠서의 수에 따라 초익공과 이익공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포는 사찰이나 한옥에 있어서 지붕을 받치는 실질적인 기능을 하며 아름다운 미를 살리는 대표적인 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포의 일종인 다포의 경우 건물을 웅장하고 화려하게 건축하기 위하여 각양각색의 제공, 첨차 등의 장식용 소품을 깎아 만들어서 현장에서 많은 시간을 들여 일일이 조립하였기 때문에 수공비의 과다지출과 더불어 현장에서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고, 공기가 길어짐에 따라 인건비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869149호인 고전한옥 및 사찰의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고정한옥, 사찰 등은 보존의 가치와 역사의 자료로서 중요한 시대의 산물임을 알 수 있으나 오랜 시간을 관리하면서 발생 되는 소손은 화재, 충격, 지진, 부패 등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통의 벗을 발휘하여 제작한 뛰어난 효과를 갖도록 하고, 연결구조가 모두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므로 다른 구조물의 철근연결방법보다는 보존기간이 길고, 연결기초대가 2중으로 구성되어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여 지진에서도 붕괴가 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시공함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현장에서 가공하거나 또는 가공된 구성요소들을 다시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시공함에 따른 작업성은 물론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에 따른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69149호(2008.11.11.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51196호(2015.09.02. 등록)
본 발명은 한온 건물의 기둥 상단에 구비되는 공포를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제조한 다음, 현장이 아닌 생산공장에서 조립 제조하여 조립이 완료된 공포를 현장에서 바로 시공하도록 함에 따라 시공성 향상은 물론 시공에 따른 시간을 절감하고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은, 공포지지체성형틀과 제1콘크리트공포체성형틀, 제2콘크리트공포체성형틀, 제1콘크리트연결체성형틀, 제2콘크리트연결체성형틀, 제1주두성형틀, 제2주두성형틀, 제3주두성형틀, 제1콘크리트연결보성형틀, 제2콘크리트연결보성형틀, 제1콘크리트도리성형틀, 제2콘크리트도리성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후 공포지지체와 제1콘크리트공포체, 제2콘크리트공포체, 제1콘크리트연결체, 제2콘크리트연결체, 제1콘크리트주두, 제2콘크리트주두, 제3콘크리트주두, 제1콘크리트연결보, 제2콘크리트연결보, 제1콘크리트도리, 제2콘크리트도리를 제조하는 제1공정; 성형된 공포지지체의 상단 일측에 제1콘크리트주두와 상단 타측에 제2콘크리트주두를 안착하는 제2공정; 성형된 제1콘크리트공포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의 일측 상단과 제2콘크리트주두의 일측 상단을 연결하여 안착하는 제3공정; 성형된 제2콘크리트공포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의 타측 상단과 제2콘크리트주두의 타측 상단을 연결하여 안착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교차결합되도록 안착하는 제4공정; 성형된 제1콘크리트연결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주두에 안착하는 제5공정; 성형된 제2콘크리트연결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내측 중앙에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제2주두에 안착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체와 앙카결합하는 제6공정; 성형된 제3콘크리트주두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교차된 부분 상단에 안착하는 제7공정; 성형된 제1콘크리트연결보를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 일측에 안착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가 연결되도록 안착하는 제8공정; 성형된 제2콘크리트연결보를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 타측에 안착하되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가 연결되도록 안착하는 제9공정;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성형된 제1콘크리트도리를 안착하고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성형된 제2콘크리트도리를 안착하는 제10공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는, 콘크리트 기둥 상단에 올려지고 상단 일측에 제1콘크리트주두가 구비되며 상단 타측에 제2콘크리트주두가 구비되는 공포지지체와; 상기 공포지지체의 제1콘크리트주두의 일측과 제2콘크리트주두의 일측을 연결하여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공포지지체의 제1주두의 타측과 제2주두의 타측을 연결하여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에 교차결합되는 제2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제1주두에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로부터 노출되는 제1콘크리트연결체와;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내측 중앙에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주두에 안착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체와 앙카결합되는 제2콘크리트연결체와; 상기 서로에 대해 교차결합되는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교차된 부분 상단에 안착되는 제3주두와; 상기 제3주두 일측에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연결되는 제1콘크리트연결보와; 상기 제3주두 타측에 안착되되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와 교차 연결되는 제2콘크리트연결보와;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도리와;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안착되는 제2콘크리트도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전 한옥의 공포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구비되는 콘크리트공포체에 의해 한 몸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포체를 구비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현장에서 가공하여 조립 시공함에 따른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비용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공포를 현장이 아닌 제조공장에서 직접 제조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공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공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의 공정을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콘크리트 공포가 시공된 고전 한옥의 일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공포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동일 구성에 대해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포지지체성형틀과 제1콘크리트공포체성형틀, 제2콘크리트공포체성형틀, 제1콘크리트연결체성형틀, 제2콘크리트연결체성형틀, 제1주두성형틀, 제2주두성형틀, 제3주두성형틀, 제1콘크리트연결보성형틀, 제2콘크리트연결보성형틀, 제1콘크리트도리성형틀, 제2콘크리트도리성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후 공포지지체와 제1콘크리트공포체, 제2콘크리트공포체, 제1콘크리트연결체, 제2콘크리트연결체, 제1콘크리트주두, 제2콘크리트주두, 제3콘크리트주두, 제1콘크리트연결보, 제2콘크리트연결보, 제1콘크리트도리, 제2콘크리트도리를 제조하는 제1공정(S1)과, 성형된 공포지지체의 상단 일측에 제1콘크리트주두와 상단 타측에 제2콘크리트주두를 안착하는 제2공정(S2)과, 성형된 제1콘크리트공포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의 일측 상단과 제2콘크리트주두의 일측 상단을 연결하여 안착하는 제3공정(S3)과, 성형된 제2콘크리트공포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의 타측 상단과 제2콘크리트주두의 타측 상단을 연결하여 안착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교차결합되도록 안착하는 제4공정(S4)과, 성형된 제1콘크리트연결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주두에 안착하는 제5공정(S5)과, 성형된 제2콘크리트연결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내측 중앙에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제2주두에 안착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체와 앙카결합하는 제6공정(S6)과, 성형된 제3콘크리트주두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교차된 부분 상단에 안착하는 제7공정(S7)과, 성형된 제1콘크리트연결보를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 일측에 안착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가 연결되도록 안착하는 제8공정(S8)과, 성형된 제2콘크리트연결보를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 타측에 안착하되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가 연결되도록 안착하는 제9공정(S9)과,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성형된 제1콘크리트도리를 안착하고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성형된 제2콘크리트도리를 안착하는 제10공정(S1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콘크리트 공포(100)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기둥(102) 상단에 올려지고 상단 일측에 제1콘크리트주두(11)가 구비되며 상단 타측에 제2콘크리트주두(12)가 구비되는 공포지지체(10)와, 상기 공포지지체(10)의 제1콘크리트주두(11)의 일측과 제2콘크리트주두(12)의 일측을 연결하여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상기 공포지지체(10)의 제1콘크리트주두(11)의 타측과 제2콘크리트주두(12)의 타측을 연결하여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에 교차결합되는 제2콘크리트공포체(30)와,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11)에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로부터 노출되는 제1콘크리트연결체(40)와,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의 내측 중앙에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주두(12)에 안착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체(20)와 앙카결합되도록 앙카볼트(51)를 갖는 제2콘크리트연결체(50)와, 상기 서로에 대해 교차결합되는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의 교차된 부분 상단에 안착되는 제3콘크리트주두(60)와,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일측에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연결되고 상단에 제1상측개방연결홈(71)을 갖는 제1콘크리트연결보(70)와,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타측에 안착되되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30)와 교차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제1상측개방연결홈(71)과 교차되어 끼워지는 제1하측개방연결홈(81)을 갖는 제2콘크리트연결보(80)와,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70) 상단에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도리(91) 및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80) 상단에 안착되는 제2콘크리트도리(9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가 각각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후 서로 교차되도록 끼워져 제조되기 때문에 기존 목재로 이루어지는 공포체를 구비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각각 가공하여 각각 끼워 조립함에 따른 작업시간 지연과 작업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가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에 대한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재질로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 제1콘크리트연결체(40), 제2콘크리트연결체(50), 제1콘크리트주두(11), 제2콘크리트주두(12), 제3콘크리트주두(60), 제1콘크리트연결보(70), 제2콘크리트연결보(80), 제1콘크리트도리(91), 제2콘크리트도리(92)가 성형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기존 목재로 이루어진 공포가 갖는 습기나 수분 또는 기온차에 의한 부식이나 훼손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콘크리트공포체(20)는, 하단에 구비되는 좌측초재부(21)와, 상기 좌측초재부(21)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주두(12) 일측에 안착되는 좌측이재부(22)와, 상기 좌측이재부(22) 상단에 위치되는 좌측심재부(23)와, 상기 좌측초재부(21)와 좌측이재부(22) 및 좌측심재부(23)를 연결하는 제1콘크리트소주두(24)와, 상기 좌측초재부(21)와 좌측이재부(22) 및 좌측심재부(2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좌측익공부(25)와, 상기 좌측이재부(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상측개방연결홈(26)이 구비되는 제1연결익공(2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콘크리트공포체(30)는, 하단에 구비되는 우측초재부(31)와, 상기 우측초재부(31)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주두(12) 타측에 안착되는 우측이재부(32)와, 상기 우측이재부(32) 상단에 위치되는 우측심재부(33)와, 상기 우측초재부(31)와 우측이재부(32) 및 우측심재부(33)를 연결하는 제2콘크리트소주두(34)와, 상기 우측초재부(31)와 우측이재부(32) 및 우측심재부(3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우측익공부(35)와, 상기 우측이재부(3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측개방연결홈(26)에 대응되에 교차 끼워지는 제2하측개방연결홈(36)이 구비된 제2연결익공(3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콘크리트공포체(20)의 좌측초재부(21), 좌측이재부(22), 좌측심재부(23), 제1콘크리트소주두, 좌측익공부(25), 제1연결익공(27)이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2콘크리트공포체(30)의 우측초재부(31), 우측이재부(32), 우측심재부(33), 제2콘크리트소주두, 우측익공부(35), 제2연결익공(37)이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존 각각의 구성요소 즉, 초재공, 이재공, 심재공, 주두, 익공을 각각 가공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시간은 물론 시공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고전한옥 지붕의 무거운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으며 화재 위험성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기존 고전한옥을 건축할 경우에는 지붕을 받쳐주는 공포의 구성요소들인 초재공, 이재공, 심재공, 주두, 익공을 목재를 이용하여 각각 현장에서 깎아 가공한 후 이들을 조립하면서 건축물을 시공하였기 때문에 높은 공간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조립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킴은 물론 목재로 가공함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부식이나 훼손이 발생되어 무거운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점차적으로 저하되었으나, 본 발명은 제1콘크리트공포체(20)의 좌측초재부(21), 좌측이재부(22), 좌측심재부(23), 제1콘크리트소주두, 좌측익공부(25), 제1연결익공(27)이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2콘크리트공포체(30)의 우측초재부(31), 우측이재부(32), 우측심재부(33), 제2콘크리트소주두, 우측익공부(35), 제2연결익공(37)이 제조공장에서 제조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기중기를 이용하여 들어올려 시공함에 따라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부식이나 훼손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무거운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저하되지 않게 되어 견고한 지지성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일측에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연결보(70)에는 제1연결철근(72)이 돌출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에는 상기 제1연결철근(72)이 끼워져 연결되는 제1철근인입구멍(20a)이 구비되며,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타측에 안착되는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80)에는 제2연결철근(82)이 돌출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30)에는 상기 제2연결철근(82)이 끼워져 연결되는 제2철근인입구멍(30a)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철근인입구멍(20a)에 끼워지는 제1연결철근(72)에 의해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70)가 제1콘크리트공포체(20)에 연결되고 제2철근인입구멍(30a) 에 끼워지는 제2연결철근(82)에 의해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80)가 제2콘크리트공포체(30)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공포(100)를 기둥(102)의 상단에 올린 후 지붕서까래를 받쳐주는 콘크리트 도리와 일체로 타설되어 고정됨에 따라 견고성은 물론 지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 및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70)와 제2콘크리트연결보(80)에는 기중기연결걸이구(101)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중기연결걸이구(10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 및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70)와 제2콘크리트연결보(80)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공포(100)를 쉽게 들어올려 고전한옥을 건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 : 제1공정 S2 : 제2공정
S3 : 제3공정 S4 : 제4공정
S5 : 제5공정 S6 : 제6공정
S7 : 제7공정 S8 : 제8공정
S9 : 제9공정 S10 : 제10공정
10 : 공포지지체 11 : 제1콘크리트주두
12 : 제2콘크리트주두 20 : 제1콘크리트공포체
21 : 좌측초재부 22 : 좌측이재부
23 : 좌측심재부 24 : 제1콘크리트소주두
25 : 좌측익공부 26 : 제2상측개방연결홈
27 : 제1연결익공 30 : 제2콘크리트공포체
31 : 우측초재부 32 : 우측이재부
33 : 우측심재부 34 : 제2콘크리트소주두
35 : 우측익공부 36 : 제2하측개방연결홈
37 : 제2연결익공 40 : 제1콘크리트연결체
50 : 제2콘크리트연결체 51 : 앙카볼트
60 : 제3콘크리트주두 70 : 제1콘크리트연결보
71 : 제1상측개방연결홈 80 : 제2콘크리트연결보
81 : 제1하측개방연결홈 91 : 제1콘크리트도리
92 : 제2콘크리트도리
20a : 제1철근인입구멍 30a : 제2철근인입구멍

Claims (4)

  1. 공포지지체성형틀과 제1콘크리트공포체성형틀, 제2콘크리트공포체성형틀, 제1콘크리트연결체성형틀, 제2콘크리트연결체성형틀, 제1주두성형틀, 제2주두성형틀, 제3주두성형틀, 제1콘크리트연결보성형틀, 제2콘크리트연결보성형틀, 제1콘크리트도리성형틀, 제2콘크리트도리성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후 공포지지체와 제1콘크리트공포체, 제2콘크리트공포체, 제1콘크리트연결체, 제2콘크리트연결체, 제1콘크리트주두, 제2콘크리트주두, 제3콘크리트주두, 제1콘크리트연결보, 제2콘크리트연결보, 제1콘크리트도리, 제2콘크리트도리를 제조하는 제1공정(S1);
    성형된 공포지지체의 상단 일측에 제1콘크리트주두와 상단 타측에 제2콘크리트주두를 안착하는 제2공정(S2);
    성형된 제1콘크리트공포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의 일측 상단과 제2콘크리트주두의 일측 상단을 연결하여 안착하는 제3공정(S3);
    성형된 제2콘크리트공포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의 타측 상단과 제2콘크리트주두의 타측 상단을 연결하여 안착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교차결합되도록 안착하는 제4공정(S4);
    성형된 제1콘크리트연결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주두에 안착하는 제5공정(S5);
    성형된 제2콘크리트연결체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내측 중앙에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제2주두에 안착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체와 앙카결합하는 제6공정(S6);
    성형된 제3콘크리트주두를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제2콘크리트공포체의 교차된 부분 상단에 안착하는 제7공정(S7);
    성형된 제1콘크리트연결보를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 일측에 안착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가 연결되도록 안착하는 제8공정(S8);
    성형된 제2콘크리트연결보를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 타측에 안착하되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와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가 연결되도록 안착하는 제9공정(S9);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성형된 제1콘크리트도리를 안착하고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 상단에 성형된 제2콘크리트도리를 안착하는 제10공정(S1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2. 콘크리트 기둥 상단에 올려지고 상단 일측에 제1콘크리트주두(11)가 구비되며 상단 타측에 제2콘크리트주두(12)가 구비되는 공포지지체(10)와;
    상기 공포지지체(10)의 제1콘크리트주두(11)의 일측과 제2콘크리트주두(12)의 일측을 연결하여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상기 공포지지체(10)의 제1콘크리트주두(11)의 타측과 제2콘크리트주두(12)의 타측을 연결하여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에 교차결합되는 제2콘크리트공포체(30)와;
    상기 제1콘크리트주두(11)에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로부터 노출되는 제1콘크리트연결체(40)와;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의 내측 중앙에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주두(12)에 안착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체(40)와 앙카결합되도록 앙카볼트(51)를 갖는 제2콘크리트연결체(50)와;
    상기 서로에 대해 교차결합되는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제2콘크리트공포체(30)의 교차된 부분 상단에 안착되는 제3콘크리트주두(60)와;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일측에 안착되되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와 연결되고 상단에 제1상측개방연결홈(71)을 갖는 제1콘크리트연결보(70)와;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타측에 안착되되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30)와 교차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제1상측개방연결홈(71)과 교차되어 끼워지는 제1하측개방연결홈(81)을 갖는 제2콘크리트연결보(80)와;
    상기 제1콘크리트연결보(70) 상단에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도리(91) 및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80) 상단에 안착되는 제2콘크리트도리(9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는,
    하단에 구비되는 좌측초재부(21)와;
    상기 좌측초재부(21)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주두(12) 일측에 안착되는 좌측이재부(22)와;
    상기 좌측이재부(22) 상단에 위치되는 좌측심재부(23)와;
    상기 좌측초재부(21)와 좌측이재부(22) 및 좌측심재부(23)를 연결하는 제1콘크리트소주두(24)와;
    상기 좌측초재부(21)와 좌측이재부(22) 및 좌측심재부(2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좌측익공부(25)와;
    상기 좌측이재부(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상측개방연결홈(26)이 구비되는 제1연결익공(27)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30)는,
    하단에 구비되는 우측초재부(31)와;
    상기 우측초재부(31)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주두(12) 타측에 안착되는 우측이재부(32)와;
    상기 우측이재부(32) 상단에 위치되는 우측심재부(33)와;
    상기 우측초재부(31)와 우측이재부(32) 및 우측심재부(33)를 연결하는 제2콘크리트소주두(34)와;
    상기 우측초재부(31)와 우측이재부(32) 및 우측심재부(3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우측익공부(35)와;
    상기 우측이재부(3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측개방연결홈(26)에 대응되에 교차 끼워지는 제2하측개방연결홈(36)이 구비된 제2연결익공(3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일측에 안착되는 제1콘크리트연결보(70)에는 제1연결철근(72)이 돌출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공포체(20)에는 상기 제1연결철근(72)이 끼워져 연결되는 제1철근인입구멍(20a)이 구비되며,
    상기 제3콘크리트주두(60) 타측에 안착되는 상기 제2콘크리트연결보(80)에는 제2연결철근(82)이 돌출되고 상기 제2콘크리트공포체(30)에는 상기 제2연결철근(82)이 끼워져 연결되는 제2철근인입구멍(30a)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KR1020190061537A 2019-05-24 2019-05-24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KR10217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37A KR102171484B1 (ko) 2019-05-24 2019-05-24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37A KR102171484B1 (ko) 2019-05-24 2019-05-24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484B1 true KR102171484B1 (ko) 2020-10-29

Family

ID=7312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537A KR102171484B1 (ko) 2019-05-24 2019-05-24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4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38B1 (ko) * 1999-08-19 2002-02-27 홍용환 고전한옥의 공포(控包)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에 의한 공포성형 방법
KR200363394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공포 조립구조
KR20050078083A (ko) * 2004-01-30 2005-08-04 장춘식 고전한옥 및 사찰의 조립식 공포
KR100869149B1 (ko) 2007-11-26 2008-11-19 어용구 고전한옥 및 사찰의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551196B1 (ko) 2015-06-12 2015-09-08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 건축물의 공포 설치용 구조물 및 이에 의한 공포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38B1 (ko) * 1999-08-19 2002-02-27 홍용환 고전한옥의 공포(控包)성형용 금형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에 의한 공포성형 방법
KR20050078083A (ko) * 2004-01-30 2005-08-04 장춘식 고전한옥 및 사찰의 조립식 공포
KR200363394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공포 조립구조
KR100869149B1 (ko) 2007-11-26 2008-11-19 어용구 고전한옥 및 사찰의 공포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551196B1 (ko) 2015-06-12 2015-09-08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 건축물의 공포 설치용 구조물 및 이에 의한 공포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34666U (zh) 模块建筑系统、模块建筑用连接组件
US6438923B2 (en) Method of assembling lightweight sandwich wall panel
CN107288218B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框架结构梁柱节点及其制作方法
KR101184277B1 (ko)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철골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CN109505368B (zh) 用于装配式建筑的墙板连接节点
KR100890342B1 (ko) 현대식 건축물을 전통목구조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는 가구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7313609A (zh) 采用干法装配结构的现代干栏式居住建筑
CN104763059A (zh) 建筑用连接件、框架结构和用连接件组装框架结构的方法
CN203213344U (zh) 工业化率高的装配整体式钢筋混凝土剪力墙结构体
KR102171484B1 (ko) 콘크리트 공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포
CN207646867U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框架结构梁柱节点及其制作模具
JP2017014713A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CN106906945A (zh) 轻质保温墙板、轻质建筑结构和轻质建筑结构的安装方法
CN108699837B (zh) 韩式房屋和寺庙的斗拱组装结构
CN113090161A (zh) 一种装配式整体飘窗预制构件及施工方法
KR100452968B1 (ko) 관통 연결부가 형성된 기성콘크리트기둥을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697361B1 (ko) 조립식 기둥과 보 및 슬라브의 연결구조
KR101748770B1 (ko) 복합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204590233U (zh) 全预制阳台及带该全预制阳台的建筑
CN220598750U (zh) 一种楼房混凝土墙的预埋件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US20090064615A1 (en) Building Element and a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the Build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